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말갈

색인 말갈

말갈(靺鞨;, 뭐허)은 6~7세기경 중국의 지린 성, 헤이룽장 성과 한국의 함경도, 러시아의 연해주, 하바롭스크 지방에 거주한 퉁구스계 민족으로, 주나라 때에는 주로 숙신, 한나라 때에는 읍루라 불. 본래 쑹화강 (松花江) 유역의 물길(고대 중국어: Miut Kit)이 지배하였으나 6세기 중엽 물길의 세력이 약화되자 각 부족들이 자립하였는데, 이들을 총칭하여 말갈(중세 중국어: Muat ɣat)이라 부른.

114 처지: 돌궐, 동명성왕, 동이, 동사 (이종휘), 동사 (허목), 동성왕, 만주, 만주족, 만주원류고, 모허 현, 몽골족, 문무왕, 물길, 민해경, 백산말갈, 발해, 발해 무왕, 발해 문왕, 발해 선왕, 발해-요 전쟁, 발해고, 발해어, 걸걸중상, 걸사비우, 견발해사, 견권, 검모잠, 고구려, 고구려 부흥운동, 고구려-백제 전쟁, 고구려-당 전쟁, 고구려의 대외 관계, 고구려어, 고정의, 고혜진, 고연무, 고연수, 보장왕, 공성현, 변발, 광개토태왕 (드라마), 부여어족, 근초고왕 (드라마), 기루왕, 금나라, 김유신, 김원술, 대조영 (드라마), 대한제국 고종, 구수왕, ..., 구서당 (신라), 내해 이사금, 나당 전쟁, 뇌음신, 우창 시, 우수리스크, 습족, 자비 마립간, 임유관 전투, 평로치청절도사, 읍루, 이진충, 일성 이사금, 흘우, 의자왕, 흑수말갈, 제1차 고구려-당 전쟁, 제2차 고구려-당 전쟁, 제3차 고구려-당 전쟁, 절도사, 정령 (민족), 조공,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족, 중경도, 진 (군사), 지마 이사금, 천문령 전투, 초고왕, 파주 칠중성, 위례성, 생해, 수서 (역사서), 숙신, 영주 (랴오닝 성), 온조왕, 예맥, 옛 나라 목록, 헤이룽장성, 여진의 지도자 목록, 프리모르스키 지방, 선비 (민족), 성진 즙씨, 속말말갈, 속말말갈 대조영, 손만영, 소나 (신라), 소지 마립간, 솔빈부, 한국, 한국의 역사, 한국의 사라진 성씨, 한산주, 안동도호부, 안시성 전투, 하서주, 실위, 외만주, 125년, 137년, 139년, 1년, 4년, 6정.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64 더) »

돌궐

돌궐 제1제국의 강역 서돌궐의 강역 동돌궐 및 이후 돌궐 제2제국 최전성기의 강역 돌궐(突厥,,, 551년-657년) 또는 괵튀르크(𐰜𐰇𐰚 𐱅𐰇𐰼𐰜, Göktürk)는 천산 산맥에서 발원한 철륵의 하위 부족이.

새로운!!: 말갈와 돌궐 · 더보기 »

동명성왕

평양에 있는 동명성왕의 무덤 동명성왕(東明聖王) 또는 추모왕(鄒牟王, 기원전 58년 ~ 기원전 19년 음력 9월)은 고구려의 초대 태왕이.

새로운!!: 말갈와 동명성왕 · 더보기 »

동이

사이의 명칭 동이(東夷)는 중국 역사에서 동쪽에 사는 이민족을 일컬어 부르는 말이.

새로운!!: 말갈와 동이 · 더보기 »

동사 (이종휘)

《동사》(東史)는 조선 후기 이종휘(1731년 ~ 1797년)가 지은 역사 책이.

새로운!!: 말갈와 동사 (이종휘) · 더보기 »

동사 (허목)

《동사(東事)》는 1667년 조선 현종 때 허목이 지은 사서이.

새로운!!: 말갈와 동사 (허목) · 더보기 »

동성왕

동성왕(東城王, ? ~ 501년, 재위: 479년~501년)은 백제의 제24대 국왕이.

새로운!!: 말갈와 동성왕 · 더보기 »

만주

붉은색은 둥베이(랴오닝 성, 지린 성, 헤이룽장 성) 지방이고, 조금 연한 부분은 내몽골 자치구 동부 지역, 가장 연한 부분은 외만주이다. 만주()는 동북아시아 압록강 북쪽의 광활한 지역을 일컫.

새로운!!: 말갈와 만주 · 더보기 »

만주족

건륭제의 만주족 시위 (1760) 중국 베이징의 자금성에 있는 건청문(乾淸門) 현판. 왼쪽에는 한자, 오른쪽에는 만주문자로 적혀 있다. 만주족(滿洲族) 또는 만족()은 만주(중국 동북부; 랴오닝 성, 지린 성, 헤이룽장 성), 연해주에서 발상한 퉁구스계 민족으로 중국 내 55개 소수민족 중 하나이.

새로운!!: 말갈와 만주족 · 더보기 »

만주원류고

《흠정만주원류고》(欽定滿洲源流考)는 청 제국 때 내각대학사 아계(阿桂), 군기대신 우민중(于敏中), 수석군기대신 화신(和珅), 동각대학사 동고(董詁)가 건륭제의 재가를 받아 편찬한 만주의 원류 및 지명, 문화 등을 고찰하는 총 20권으로 이루어진 관찬서이.

새로운!!: 말갈와 만주원류고 · 더보기 »

모허 현

모허 현의 위치 시산 공원에서 본 모허의 모습 모허 현() 은 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장 성 다싱안링 지구의 행정구역이.

새로운!!: 말갈와 모허 현 · 더보기 »

몽골족

몽골족()은 몽골, 러시아, 중국(주로 내몽골 자치구)에 거주하는 민족이.

새로운!!: 말갈와 몽골족 · 더보기 »

문무왕

문무왕(文武王, 626년~681년 7월 21일 (음력 7월 1일))은 신라 제30대 왕(재위: 661년 음력 6월 ~ 681년 음력 7월 1일)이.

새로운!!: 말갈와 문무왕 · 더보기 »

물길

물길(勿吉)은 쑹화강 유역에 거주하였던 부족이.

새로운!!: 말갈와 물길 · 더보기 »

민해경

민해경(閔海景, 1962년 4월 18일 ~)은 대한민국의 여성 가수, 텔레비전 연기자, 뮤지컬 배우이.

새로운!!: 말갈와 민해경 · 더보기 »

백산말갈

백산말갈(白山靺鞨)은 말갈의 7부족중의 하나로 지린 성 (吉林省) 지방에 거주하였.

새로운!!: 말갈와 백산말갈 · 더보기 »

발해

발해(渤海, 698년 ~ 926년)는 고구려 멸망 이후 고구려를 계승하여 대조영이 건국한 국가이.

새로운!!: 말갈와 발해 · 더보기 »

발해 무왕

발해 무왕 대무예(渤海 武王 大武藝, ? ~ 737년, 재위: 719년 6월 ~ 737년)는 발해의 제2대 왕이.

새로운!!: 말갈와 발해 무왕 · 더보기 »

발해 문왕

발해 문왕 대흠무(渤海 文王 大欽茂, ? ~ 793년, 재위: 737년 ~ 793년)는 발해의 제3대 왕으로, 연호는 대흥(大興)이.

새로운!!: 말갈와 발해 문왕 · 더보기 »

발해 선왕

발해 선왕 대인수(渤海 宣王 大仁秀, ? ~ 830년, 재위: 818년 ~ 830년)는 발해의 제10대 왕으로, 대야발 계통의 첫 왕이.

새로운!!: 말갈와 발해 선왕 · 더보기 »

발해-요 전쟁

발해-요 전쟁 (渤海國-遼國 戰爭)은 9세기 선왕 이후 해동성국 발해가 쇠퇴하던 10세기 이후부터 세력을 팽창하던 거란과 발해와의 일련의 전쟁이.

새로운!!: 말갈와 발해-요 전쟁 · 더보기 »

발해고

《발해고》(渤海考)는 조선 정조 8년(1784년)에 규장각검서로 일하던 실학자 류득공유득공(柳得恭)은 '유득공'이.

새로운!!: 말갈와 발해고 · 더보기 »

발해어

발해어(渤海語)는 발해에서 사용되어 온 언어이.

새로운!!: 말갈와 발해어 · 더보기 »

걸걸중상

중상(乞乞仲象)은 고구려의 장수이자 고구려의 부흥을 이끈 지도자이.

새로운!!: 말갈와 걸걸중상 · 더보기 »

걸사비우

사비우(乞四比羽, ? ~ 698년)는 7세기에 대조영의 아버지 걸걸중상과 함께 발해의 건국을 주도한 말갈족 출신이.

새로운!!: 말갈와 걸사비우 · 더보기 »

견발해사

발해사()는, 율령국가 일본이 발해(渤海)에 파견했던 사절로 728년부터 811년까지 모두 14회(13회 또는 15회 설도 있다. 후술) 파견 기록이 남아 있.

새로운!!: 말갈와 견발해사 · 더보기 »

견권

(堅權)은 후삼국 시대 무장이.

새로운!!: 말갈와 견권 · 더보기 »

검모잠

모잠(劍牟岑, ? ~ 670년)은 고구려의 부흥운동 지도자로 벼슬은 대형(大兄)이었.

새로운!!: 말갈와 검모잠 · 더보기 »

고구려

(高句麗, 기원전 37년 ~ 668년)는 한국의 고대 국가 중 하나로, 백제 및 신라와 함께 삼국 시대를 구성한 주요 국가이.

새로운!!: 말갈와 고구려 · 더보기 »

고구려 부흥운동

부흥운동(高句麗復興運動)은 일반적으로 고구려의 후예인 안승 등이 668년 나당연합군에 의해 고구려가 멸망된 뒤 고구려의 유민을 모아 부흥운동을 일으킨 것을 말. 또한 고구려의 왕이었던 보장왕도 부흥운동을 일으킨 바 있.

새로운!!: 말갈와 고구려 부흥운동 · 더보기 »

고구려-백제 전쟁

백제 전쟁은 369년에서 607년까지 약 4세기에 걸쳐 고구려와 백제가 벌인 일련의 전쟁이.

새로운!!: 말갈와 고구려-백제 전쟁 · 더보기 »

고구려-당 전쟁

-당 전쟁은 645년에서 668년까지 고구려와 당나라 사이에서 벌어졌던 전쟁이.

새로운!!: 말갈와 고구려-당 전쟁 · 더보기 »

고구려의 대외 관계

이글은 고구려의 대외 관계를 나라별로 서술한 글이.

새로운!!: 말갈와 고구려의 대외 관계 · 더보기 »

고구려어

어(高句麗語)는 고구려에서 쓰인 언어를 지칭.

새로운!!: 말갈와 고구려어 · 더보기 »

고정의

정의(高正義, ? ~ ?)는 고구려 말의 대신이.

새로운!!: 말갈와 고정의 · 더보기 »

고혜진

혜진(高惠眞, ? ~ ?)은 고구려 말의 무장이.

새로운!!: 말갈와 고혜진 · 더보기 »

고연무

연무(高延武, ? ~ ?)는 고구려의 부흥운동 지도자이.

새로운!!: 말갈와 고연무 · 더보기 »

고연수

연수(高延壽, ? ~ 645년)는 고구려 말의 무장이.

새로운!!: 말갈와 고연수 · 더보기 »

보장왕

보장왕(寶臧王, ? ~ 682년)은 고구려의 제28대 국왕(재위: 642년 11월 ~ 668년 9월)이.

새로운!!: 말갈와 보장왕 · 더보기 »

공성현

공성현(功城縣)은 지금의 연천군 연천읍을 중심으로 남북국 시대에 있던 옛 행정구역의 명칭으로 지금 연천군의 모체(母體)이.

새로운!!: 말갈와 공성현 · 더보기 »

변발

변발을 한 청년의 모습 청나라 한족의 변발 변발(辮髮)은 앞 머리털을 밀고 뒤 머리털만 남기고 땋는 몽골족(동호족, 선비족, 거란족)과 만주족(여진족) 머리매무새이.

새로운!!: 말갈와 변발 · 더보기 »

광개토태왕 (드라마)

《광개토태왕》(廣開土太王)은 고구려 제19대 광개토태왕을 조명한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말갈와 광개토태왕 (드라마) · 더보기 »

부여어족

부여어족(夫餘語族)은 고구려어, 백제어와 일본어족이 속한다는 가설상의 어족이.

새로운!!: 말갈와 부여어족 · 더보기 »

근초고왕 (드라마)

《근초고왕》(近肖古王)은 백제 제13대 근초고왕의 일대기를 그린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말갈와 근초고왕 (드라마) · 더보기 »

기루왕

왕(己婁王, ? ~ 128년, 재위: 77년 ~ 128년)은 백제의 제3대 국왕이.

새로운!!: 말갈와 기루왕 · 더보기 »

금나라

(大金, 1115년~1234년) 또는 암반 안취운 구룬(여진어: Amban Anʧu-un Gurun)은 여진족이 중국 동북지방, 몽골, 화베이 일대에 세운 왕조이자 동진국, 청나라와 더불어 만주의 제족 중 대표적인 퉁구스계 국가였.

새로운!!: 말갈와 금나라 · 더보기 »

김유신

유신(金庾信, 595년 ~ 673년 8월 18일 (음력 7월 1일))은 신라의 군인 겸 정치가이자, 외척이었.

새로운!!: 말갈와 김유신 · 더보기 »

김원술

원술(金元述, ? ~ ?)은 신라의 화랑이.

새로운!!: 말갈와 김원술 · 더보기 »

대조영 (드라마)

《대조영》(大祚榮)은 KBS가 2006년 9월 16일부터 2007년 12월 23일까지 방영한 고구려·발해사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말갈와 대조영 (드라마) · 더보기 »

대한제국 고종

종(高宗, 1852년 9월 8일 ~ 1919년 1월 21일)은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재위: 1897년 ~ 1907년)이자, 조선의 제26대 마지막 왕(재위: 1863년 ~ 1897년)이.

새로운!!: 말갈와 대한제국 고종 · 더보기 »

구수왕

수왕(仇首王, ? ~ 234년, 재위: 214년 ~ 234년)은 백제의 제6대 국왕이.

새로운!!: 말갈와 구수왕 · 더보기 »

구서당 (신라)

서당(九誓幢)은, 신라 시대 중앙에 배치되어 수도 방어와 치안을 맡았던 아홉 개의 부대이.

새로운!!: 말갈와 구서당 (신라) · 더보기 »

내해 이사금

이사금(奈解 泥師今, ? ~230년, 재위: 196년~230년)은 신라의 제10대 왕이며, 이사금의 칭호를 사용한 8번째 왕이.

새로운!!: 말갈와 내해 이사금 · 더보기 »

나당 전쟁

당 전쟁(羅唐戰爭)은 670년부터 676년까지 신라와 당나라 사이에 벌어진 전쟁이.

새로운!!: 말갈와 나당 전쟁 · 더보기 »

뇌음신

음신(惱音信, ? ~ ?)은 고구려(高句麗) 말기의 무장으로, 생몰연대는 미상이.

새로운!!: 말갈와 뇌음신 · 더보기 »

우창 시

우창(오상)은 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장 성 하얼빈 시에 속해있는 현급시이.

새로운!!: 말갈와 우창 시 · 더보기 »

우수리스크

우수리스크()는 러시아 프리모르스키 지방의 남부에 위치한 도시이.

새로운!!: 말갈와 우수리스크 · 더보기 »

습족

습족(霫族) 또는 백습(白霫)은 고대 중국 남북조시대, 만주 서부 시라무렌 강 츠펑에서 살았던 유목민족으로, 수렵과 유목이 주 생활이었.

새로운!!: 말갈와 습족 · 더보기 »

자비 마립간

자비 마립간(慈悲 麻立干, ? ~ 479년 3월 12일(음력 2월 3일), 재위 458년 ~ 479년 3월 12일)은 신라의 제20대 임금이.

새로운!!: 말갈와 자비 마립간 · 더보기 »

임유관 전투

임유관 전투(臨渝關戰鬪)는 고구려와 수나라의 전쟁 중 제1차 전쟁에서 벌어진 전투이.

새로운!!: 말갈와 임유관 전투 · 더보기 »

평로치청절도사

청평로절도사(淄靑平盧節度使)는 당나라의 절도사 직위 중 하나로 산둥 반도 일대를 거점으로 하였.

새로운!!: 말갈와 평로치청절도사 · 더보기 »

읍루

읍루(挹婁)는 숙신(肅愼)의 후예이자 말갈(靺鞨)의 전신이.

새로운!!: 말갈와 읍루 · 더보기 »

이진충

이진충(李盡忠, ? ~ 696년, 재위: 660년 ~ 696년)은 거란의 추장이.

새로운!!: 말갈와 이진충 · 더보기 »

일성 이사금

일성 이사금(逸聖泥師今, ? ~ 154년, 재위 134년~154년)은 신라의 제7대 국왕으로, 유리 이사금의 맏아들이라고도 하며 일지(日知) 갈문왕의 아들이.

새로운!!: 말갈와 일성 이사금 · 더보기 »

흘우

흘우(屹于, ? ~ 48년)는 백제 사람으로 동부 출신이.

새로운!!: 말갈와 흘우 · 더보기 »

의자왕

의자왕(義慈王, ?자식 중 하나인 부여융은 615년생이다. 이것으로 보아 595년경에 태어났을 것이다. ~ 660년, 재위: 641년 ~ 660년)은 백제의 마지막 국왕(혹은 31대 국왕)이.

새로운!!: 말갈와 의자왕 · 더보기 »

흑수말갈

흑수말갈(黑水靺鞨)은 말갈족의 한 부족이.

새로운!!: 말갈와 흑수말갈 · 더보기 »

제1차 고구려-당 전쟁

제1차 고구려-당전쟁(第一次高句麗-唐戰爭)은 서기 645년 당 태종이 고구려를 침공하여 일어난 전쟁이.

새로운!!: 말갈와 제1차 고구려-당 전쟁 · 더보기 »

제2차 고구려-당 전쟁

제2차 고구려-당 전쟁(第二次高句麗-唐戰爭)은 서기 660년 당 고종이 고구려를 침공하여 662년까지 지속된 전쟁이.

새로운!!: 말갈와 제2차 고구려-당 전쟁 · 더보기 »

제3차 고구려-당 전쟁

665년 연개소문이 죽고 그의 맏아들 연남생이 부친을 대신하여 막리지가 되었.

새로운!!: 말갈와 제3차 고구려-당 전쟁 · 더보기 »

절도사

절도사(節度使)는, 중국 당(唐) 왕조에서 북송(北宋) 왕조에 걸쳐 존재했던 지방 조직인 번진(藩鎭)을 통솔했던 수장을 말. 관찰사(觀察使) 등을 겸하는 수도 있었으며, 지방의 군사와 재정을 통괄하였.

새로운!!: 말갈와 절도사 · 더보기 »

정령 (민족)

정령(丁零) 또는 고거/고차(高車), 철륵(鐵勒)은 투르크 계통의 유목 민족이.

새로운!!: 말갈와 정령 (민족) · 더보기 »

조공

조공(朝貢)은 한 집단이 다른 집단에게 예물을 바치는 행위를 말하며 역사적으로 국력이 약한 나라가 강한 나라에게 군사적, 정치적 목적을 가지고 예물을 바친 행위를 일컫.

새로운!!: 말갈와 조공 · 더보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북부에 위치한 국가이.

새로운!!: 말갈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더보기 »

조선족

조선족(朝鮮族)은 주로 1945년 이전 만주의 간도 지역으로 이주해 거주해온 한민족들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민족이름으로 한민족(韓民族)이라는 표현은 잘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한민족 전체를 일컫는 용어로 ‘조선족’이라는 용어를 사용.

새로운!!: 말갈와 조선족 · 더보기 »

중경도

중경도(中京道)는 요나라가 세운 5도 중 하나였.

새로운!!: 말갈와 중경도 · 더보기 »

진 (군사)

(鎭)은 옛날에 있었던 특수목적 행정구역이.

새로운!!: 말갈와 진 (군사) · 더보기 »

지마 이사금

마 이사금(祗摩 泥師今, ?~134년, 재위: 112년~134년)은 신라의 제6대 국왕이.

새로운!!: 말갈와 지마 이사금 · 더보기 »

천문령 전투

전쟁기념관 소장 천문령 전투(天門嶺戰鬪) 또는 천문령 대첩(天門嶺大捷)은 698년, 고왕 대조영(大祚榮)과 당(唐) 왕조 하의 거란족(契丹) 출신 옥검위대장군(玉鈐衛大將軍) 이해고(李楷固) 간에 벌어진 전투이.

새로운!!: 말갈와 천문령 전투 · 더보기 »

초고왕

왕(肖古王, ? ~ 214년, 재위: 166년 ~ 214년)은 백제의 제5대 국왕이.

새로운!!: 말갈와 초고왕 · 더보기 »

파주 칠중성

중성(七重城)은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구읍리에 위치한 산성(山城)으로, 2002년 1월 29일에 사적 제437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말갈와 파주 칠중성 · 더보기 »

위례성

위례성(慰禮城)은 백제의 초기 도읍지였.

새로운!!: 말갈와 위례성 · 더보기 »

생해

생해(生偕)(633 ~ 690)는 고구려(高句麗) 말기의 속국 말갈의 무장이.

새로운!!: 말갈와 생해 · 더보기 »

수서 (역사서)

《수서》(隋書)는 수나라의 역사서로, 당 고조 이연 때부터 시작하여, 당 태종, 당 고종에 이르기까지 3대에 걸쳐 완성된 총 85권의 수나라 역사 통사이.

새로운!!: 말갈와 수서 (역사서) · 더보기 »

숙신

숙신(肅愼 영어: Sushen, 중국어: 肃慎, 병음: Sùshèn)은 주대(周代)에 중국의 동북 지방에 살던 동이인 퉁구스계 민족을 일컫던 말이.

새로운!!: 말갈와 숙신 · 더보기 »

영주 (랴오닝 성)

영주(營州)는 남북조 시대 요서 지역에 설치되어 요나라 때까지 설치된 중국의 옛 군이었.

새로운!!: 말갈와 영주 (랴오닝 성) · 더보기 »

온조왕

온조왕(溫祚王, ? ~ 28년, 재위: 기원전 18년 ~ 28년 음력 2월)은 백제의 건국자이.

새로운!!: 말갈와 온조왕 · 더보기 »

예맥

예맥(濊貊)은 고대 한민족의 종족명으로, 한반도 북부와 중국의 동북부에 살던 한민족(韓民族)의 근간이 되는 민족 중 하나로 보는 게 일반적이.

새로운!!: 말갈와 예맥 · 더보기 »

옛 나라 목록

옛 나라 목록에서는 인류 역사상 과거에 존재했던 국가, 국제 기구 또는 영토를 점유한 게릴라, 정부, 정권, 테러 조직, 망명 정부, 부대 그리고 무장단체 등을 기술하였습.

새로운!!: 말갈와 옛 나라 목록 · 더보기 »

헤이룽장성

헤이룽장 성(흑룡강성)은 중화인민공화국 동북부에 있는 성이.

새로운!!: 말갈와 헤이룽장성 · 더보기 »

여진의 지도자 목록

여진은 말갈의 후신으로서 17세기에 만주라고 이름을 바꿀 때까지 오늘날의 중국 동북면에 살았던 퉁구스계 민족이.

새로운!!: 말갈와 여진의 지도자 목록 · 더보기 »

프리모르스키 지방

리모르스키 지방 프리모르스키 지방()은 러시아 극동에 위치한 러시아의 지방이.

새로운!!: 말갈와 프리모르스키 지방 · 더보기 »

선비 (민족)

샨베이 벨트 버클 3-4세기 선비(기원전 1세기 ~ 6세기)는 몽골과 중국 화북 지방에서 살았던 유목 민족으로, 튀르크족의 조상 중 하나이.

새로운!!: 말갈와 선비 (민족) · 더보기 »

성진 즙씨

성진 즙씨(城津 汁氏) 또는 성진 십씨(城津 辻氏)는 함경북도 성진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말갈와 성진 즙씨 · 더보기 »

속말말갈

속말말갈(粟末靺鞨)은 말갈의 한 부족이.

새로운!!: 말갈와 속말말갈 · 더보기 »

속말말갈 대조영

예맥, 옥저, 동예 등을 흡수, 통합한 제국으로, 발해국으로 포함된 고구려인은 고구려 건국초기의 고구려인이 아닌 초기 다민족의 고구려인에서 통합된 고구려 후기의 민족의 고구려인이.

새로운!!: 말갈와 속말말갈 대조영 · 더보기 »

손만영

손만영(孫萬榮, ? ~ 697년, 재위: 696년~697년)은 거란(契丹)의 추장이.

새로운!!: 말갈와 손만영 · 더보기 »

소나 (신라)

소나(素那,?~675년)는, 7세기 신라의 무장이.

새로운!!: 말갈와 소나 (신라) · 더보기 »

소지 마립간

소지 마립간(炤知 麻立干, ? ~ 500년, 재위; 479년 ~ 500년)은 신라의 제21대 왕이.

새로운!!: 말갈와 소지 마립간 · 더보기 »

솔빈부

솔빈부(率賓府)는 발해시기 지금의 러시아 연해주 우수리스크에 설치되어 금나라때까지 존재한 옛 행정구역이.

새로운!!: 말갈와 솔빈부 · 더보기 »

한국

국(韓國) 또는 조선(朝鮮)은 한민족의 나라를 말. 현대사에서 한국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

새로운!!: 말갈와 한국 · 더보기 »

한국의 역사

국의 역사(韓國-歷史) 또는 한국사는 구석기 시대 이후 주로 한반도와 만주, 연해주, 넓게는 동아시아 지역을 바탕으로 발전되어 온 한민족의 역사이.

새로운!!: 말갈와 한국의 역사 · 더보기 »

한국의 사라진 성씨

국의 사라진 성씨는 문헌에는 기록이 있으나, 현재까지 이어져 내려오지 않는 성씨를 말.

새로운!!: 말갈와 한국의 사라진 성씨 · 더보기 »

한산주

남북국 시대 신라의 9주 5소경 한산주(漢山州) 또는 한주(漢州)는 신라의 광역 행정구역인 9주 5소경의 한 주(州)이.

새로운!!: 말갈와 한산주 · 더보기 »

안동도호부

안동도호부(安東都護府)는 당나라가 고구려를 멸망시키고 668년 평양에 설치한 군정 기관이.

새로운!!: 말갈와 안동도호부 · 더보기 »

안시성 전투

안시성 전투(645년, 보장왕 4년)는 고구려-당 전쟁 중에 당나라 태종이 지휘하는 군대가 대규모로 고구려를 침공하여 3개월 가량 안시성을 포위하고 공격했으나 끈질긴 항전으로 이를 물리치고 고구려가 승리한 싸움이.

새로운!!: 말갈와 안시성 전투 · 더보기 »

하서주

남북국 시대 신라의 9주 5소경 하서주(河西州) 또는 명주(溟州)는 신라의 광역 행정구역인 9주 5소경의 한 주(州)이.

새로운!!: 말갈와 하서주 · 더보기 »

실위

실위(室韋, 병음:Shìwéi)는 6세기에서 10세기까지 중국 동북부의 넌장 강, 아르군 강, 흑룡강 유역에 존재했던 민족이.

새로운!!: 말갈와 실위 · 더보기 »

외만주

외만주(지도에서 연한 붉은색 부분) 외만주(外滿洲)는 만주 동쪽의 러시아 영토로, 아이훈 조약(1858년)과 베이징 조약(1860년)으로 중국이 러시아에 넘겨준 지역을 말. 중국에서는 외동북(外東北)이.

새로운!!: 말갈와 외만주 · 더보기 »

12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말갈와 125년 · 더보기 »

13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말갈와 137년 · 더보기 »

13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말갈와 139년 · 더보기 »

1년

A.D 1년 당시의 세계 게르만 종족의 이동(1년).

새로운!!: 말갈와 1년 · 더보기 »

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말갈와 4년 · 더보기 »

6정

6정(六停)은 544년(진흥왕 5년)부터 9주 5소경 체제가 정립된 685년(신문왕 5년)까지 신라의 지역 최고 군사조직으로서 행정조직의 기능을 겸하였고, 이후 9주 5소경 체제를 마련하는데 기반이 된 조직이.

새로운!!: 말갈와 6정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말갈족, 모허.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