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맥노트 혜성

색인 맥노트 혜성

맥노트 혜성(Comet McNaught, 공식 이름 C/2006 P1)은 2006년 8월 7일 오스트레일리아의 천문학자 로버트 맥노트(Robert H. McNaught)가 뱀주인자리에서 발견한 비주기 혜성이.

7 처지: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 궤도 이심률, 대혜성, 우주선이 방문한 소행성체와 혜성 목록, 제4천년기, 천문학의 임시 명칭, 율리시스 (우주선).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List of unsolved problems in physics)는 물리학 분야의 미해결 문제들로 이론적인 의미로는 기존 이론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특정한 관측 현상 및 실험 결과들을 의미.

새로운!!: 맥노트 혜성와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 · 더보기 »

궤도 이심률

쌍곡선 궤도 (이심률 = 1.3) 궤도 이심률(軌道 離心率)은 물체의 궤도가 완벽한 원에서 벗어나 있는 정도를 수치화한 정도이.

새로운!!: 맥노트 혜성와 궤도 이심률 · 더보기 »

대혜성

1843년 대혜성 대혜성(大彗星)은 (지구상의 관측자의 입장에서) 특히 밝고 장엄하게 빛나는 혜성을 말. 대혜성은 평균 10년에 한 번 정도 등장.

새로운!!: 맥노트 혜성와 대혜성 · 더보기 »

우주선이 방문한 소행성체와 혜성 목록

이 문서는 우주선이 소행성체와 혜성을 방문한 목록이.

새로운!!: 맥노트 혜성와 우주선이 방문한 소행성체와 혜성 목록 · 더보기 »

제4천년기

제4천년기 이후(第四千年期)은 그레고리력으로 3001년 1월 1일부터 4000년 12월 31일까지를 뜻. 이는 서기로 네 번째 시기의 천년이라는 뜻으로, 31세기에서 무한세기에 해당.

새로운!!: 맥노트 혜성와 제4천년기 · 더보기 »

천문학의 임시 명칭

문학에서의 임시 명칭은 발견 직후 해당 천체의 궤도가 정확히 확인되지 않은 시점에 부여되며, 추후 궤도가 확인되면 정식 명칭을 부여받.

새로운!!: 맥노트 혜성와 천문학의 임시 명칭 · 더보기 »

율리시스 (우주선)

PAM-S와 IUS 상단부에 탑재된 율리시스 RTG 발사 후의 율리시스의 상상도 STS-41 미션으로 발사된 후의 율리시스 율리시스의 궤도 율리시스()는 태양을 탐사하기 위해 설계된 무인 탐사선이.

새로운!!: 맥노트 혜성와 율리시스 (우주선)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C/2006 P1.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