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모름

색인 모름

모른다는 것은 어떤 것을 알지 못하거나 이해하지 못하는 것을 의미하며, 그에 관한 지식이 없다는 뜻이.

15 처지: 동마쇼날랜드 주, 뢰야삼위, 베단타 학파, 번뇌, 불교 용어 목록/무, 구획문제, 자이나교, 축생도, 유머, 영지주의, 사성제, , 아뢰야식, 아브라삭스, 신행.

동마쇼날랜드 주

동마쇼날랜드 주의 위치 동마쇼날랜드 주(Mashonaland East Province)는 짐바브웨 북동부에 위치한 주로, 주도는 마론데라이며 면적은 32,230km2, 인구는 1,100,000명(2002년 기준)이.

새로운!!: 모름와 동마쇼날랜드 주 · 더보기 »

뢰야삼위

야3위(賴耶三位) 또는 뇌야3위(賴耶三位)는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교학의 수행론의 일부로서, 수행이 향상되면서 모든 번뇌 즉 번뇌장과 소지장을 단멸함에 따라 일어나는 제8식 즉 아뢰야식의 변화를 크게 3단계로 나눈 아애집장현행위(我愛執藏現行位)선악업과위(善惡業果位)상속집지위(相續執持位)의 3가지 지위 또는 계위를 말. 달리 말하면, 뢰야3위는 수행기간인 인위(因位)에서 불과(佛果)를 증득한 지위인 과위(果位)에 이르는 사이에 제8식에서 일어나는 질적 변화 또는 변형을 3단계로 나눈 것이.

새로운!!: 모름와 뢰야삼위 · 더보기 »

베단타 학파

베단타 학파(वेदान्त, Vedānta)는 베다의 지식부(知識部)의 근본적인 뜻, 즉 아란야카와 우파니샤드의 철학적신비적밀교적 가르침을 연구하는 힌두교 철학 학파로 힌두교의 정통 육파철학 중 하나이.

새로운!!: 모름와 베단타 학파 · 더보기 »

번뇌

번뇌(煩惱,, ,)는 그 본질적 성질이 부적정(不寂靜: 고요하지 않음)인 마음작용들을 말. 번뇌의 본질적인 작용은 번뇌가 일어나게 되면, 그 번뇌를 대치(對治)하지 않는 한, 그 자체의 본질적인 성질에 근거하여 그 번뇌가 일으키는 부적정한 영향력 즉 부적정한 업이 몸과 마음에 상속되어 전전(展轉)하게 하는 것이.

새로운!!: 모름와 번뇌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무

1.

새로운!!: 모름와 불교 용어 목록/무 · 더보기 »

구획문제

획문제(區劃問題, demarcation problem)란 과학철학에서 과학과 비과학을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지를 논하는 분야이.

새로운!!: 모름와 구획문제 · 더보기 »

자이나교

자이나교(Jaininsm)는 고대 인도에서 제사 중심의 베다 브라마니즘에 대한 반동이자 개혁으로 발생하여 지금까지 존속하고 있는 종교이자 철학이.

새로운!!: 모름와 자이나교 · 더보기 »

축생도

축생도(畜生道) 또는 축생(畜生)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모름와 축생도 · 더보기 »

유머

학, 익살 등으로 번역되며 프랑스어로는 위무르(humour), 독일어로는 후모르(Humor).

새로운!!: 모름와 유머 · 더보기 »

영지주의

영지주의(靈知主義, Gnosticism)는 고대에 존재하였던 혼합주의적 종교 운동 중 하나로, "Gnosticism" 항목, 《Encyclopædia Britannica 2009》.

새로운!!: 모름와 영지주의 · 더보기 »

사성제

사성제(四聖諦) 또는 사제(四諦)는 《아함경(阿含經)》에 나오는 원시 불교 가르침으로 불교 기본 교의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모름와 사성제 · 더보기 »

thumb 앎은 안다는 것으로, 특정한 물건이나 사람, 혹은 추상적인 어떠한 것을 이해할 수 있거나 그에 대한 지식이 있다는 것을 의미.

새로운!!: 모름와 앎 · 더보기 »

아뢰야식

아뢰야식(阿賴耶識)은 산스크리트어 알라야 비즈냐나(ālaya vijñāna)를 음을 따라 표기한 것으로 아리야식(阿梨耶識)이라고도 하며, 제8아뢰야식(第八阿賴耶識) 또는 간단히 제8식(第八識, eighth consciousness)이.

새로운!!: 모름와 아뢰야식 · 더보기 »

아브라삭스

아브라삭스 보석에 새겨진 조각 아브라삭스(ΑΒΡΑΣΑΞAbrasax)는 기원후 2세기의 나스티시즘 교부였던 바실리데스의 철학 체계에서 사용된 낱말로 신비적인 의미를 띄는 낱말이.

새로운!!: 모름와 아브라삭스 · 더보기 »

신행

신행(信行: 540~594)은 수나라(隋: 581~618) 때 말법사상에 입각한 새로운 불교 종파인 삼계교(三階敎)를 창종한 중국의 승려이.

새로운!!: 모름와 신행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무지.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