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목릉

색인 목릉

목릉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6 처지: 동구동, 이병식 (1785년), 이해익 (1849년), 인목왕후, 의인왕후, 조선왕릉.

동구동

동구동(東九洞)은 대한민국 경기도 구리시 북쪽에 남양주시와 경계를 접하고 있는 동이.

새로운!!: 목릉와 동구동 · 더보기 »

이병식 (1785년)

이병식(李秉植, 1785년-1851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추존 장조의 장남 은언군의 손자 종실 익평군 이희(益平君 李曦)에게 출계한 덕안군 이재덕(德安君 李載悳)의 생조부이.

새로운!!: 목릉와 이병식 (1785년) · 더보기 »

이해익 (1849년)

이해익(李海益, 1849년 ~ 1895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전주이.

새로운!!: 목릉와 이해익 (1849년) · 더보기 »

인목왕후

인목왕후 김씨(仁穆王后 金氏, 1584년 12월 15일/음력 11월 14일 ~ 1632년 8월 13일/음력 6월 28일)는 조선 선조(宣祖)의 계비(繼妃, 임금이 다시 장가를 가서 맞은 아내)이.

새로운!!: 목릉와 인목왕후 · 더보기 »

의인왕후

의인왕후(懿仁王后, 1555년 5월 5일(음력 4월 15일) ~ 1600년 8월 5일(음력 6월 27일))는 조선의 제14대 왕 선조의 정비(正妃)이.

새로운!!: 목릉와 의인왕후 · 더보기 »

조선왕릉

조선왕릉(朝鮮王陵)은 조선의 역대 왕과 왕비, 추존왕들의 무덤을 총칭하는 말로, 일반적으로 1897년에 수립된 대한제국의 역대 황제와 황후의 무. 조선왕릉은 삼국 시대와 고려 시대의 왕릉 제도의 영향을 받았는데, 고구려의 호석(護石)제도는 신라와 고려를 거쳐 조선왕릉에 그대로 전해졌고, 조선왕릉의 전체적인 형태는 공민왕의 무덤인 현정릉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았.

새로운!!: 목릉와 조선왕릉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