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 Play 스토어에서 Unionpedia 앱을 복원하기 위해 작업 중입니다
나가는들어오는
🌟더 나은 탐색을 위해 디자인을 단순화했습니다!
Instagram Facebook X LinkedIn

목호의 난

색인 목호의 난

목호의 난(牧胡의 亂)은, 고려 공민왕 23년(1374년)에 당시 원(元)의 목장이 있던 제주도(濟州島)에서 말을 기르던 목호(하치)들이 주동해 일으킨 반란이.

목차

  1. 16 처지: 목인길, 목호, 명월성지, 법환항, 법화사 (서귀포시), 고려 공민왕, 나세, 임견미, 제주마, 철령위, 추자군도, 새별오름, 호도 (서귀포시), 최영, 사천 목씨, 신축민란.

목인길

목인길(睦仁吉, 1317년 ~ 1392년)은 고려의 무신, 재상(宰相)이.

보다 목호의 난와 목인길

목호

목호(牧胡)는, 13세기 원(元)이 제주도에 설치한 목장(아막阿莫)의 관리를 위해 파견된 몽골인(胡)을 말. 《고려사》에는 하치(哈赤), 달달목자(達達牧子), 달단목자(韃靼牧子), 탐라목자(耽羅牧子)로도 등장.

보다 목호의 난와 목호

명월성지

명월성지(明月城址)는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명월리와 동명리 일대에 남아 있는 성터이.

보다 목호의 난와 명월성지

법환항

법환항은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법환동에 위치한 어항이.

보다 목호의 난와 법환항

법화사 (서귀포시)

법화사(法華寺)는, 제주특별자치도의 사찰이.

보다 목호의 난와 법화사 (서귀포시)

고려 공민왕

공민왕(恭愍王, 1330년 5월 23일 (음력 5월 6일) ~ 1374년 10월 27일 (음력 9월 22일), 재위: 1351년 ~ 1374년)은 고려의 제31대 국왕이.

보다 목호의 난와 고려 공민왕

나세

세(羅世, 1320년~1397년 10월 8일(음력 9월 17일))는 원나라에서 귀화한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장이.

보다 목호의 난와 나세

임견미

임견미(林堅味, ? ~ 1388년 1월)는 고려 말의 무신이.

보다 목호의 난와 임견미

제주마

제주마(濟州馬, Equus caballus)는 제주특별자치도에 자생하는 조랑말의 총칭으로, 1986년 2월 8일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347호로 지정되었.

보다 목호의 난와 제주마

철령위

령위(鐵嶺衛)는, 고려말(高麗末) 우왕13년, 중국 명(明)이 요동 지역에 설치한 군사적 행정기구이.

보다 목호의 난와 철령위

추자군도

자군도(楸子群島)는 제주시에서 가장 북쪽 제주해협에 위치한 군도로, 행정구역상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추자면에 속. 주 섬인 상추자도와 하추자도가 추자대교로 서로 연결되어 있고, 횡간도, 추포도를 포함한 4개의 유인도, 38개의 무인도로 이루어져 있.

보다 목호의 난와 추자군도

새별오름

새별오름(曉星岳/新星岳)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봉성리에 위치한 오름(측화산)이.

보다 목호의 난와 새별오름

호도 (서귀포시)

범섬(虎島)은 서귀포시 법환동에 위치해 있는 무인도이.

보다 목호의 난와 호도 (서귀포시)

최영

영(崔瑩, 1316년 ~ 1388년)은 고려 말기의 장군 겸 정치가이다. 본관은 동주(東州)이다. 아버지는 최원직(崔元直)이고, 어머니는 봉산 지씨(鳳山智氏)이다. 시호는 무민(武愍)이다. 우왕의 왕비인 영비 최씨는 그의 서녀였다. 군관으로 출사하여 우달치에 임명된 뒤 관직은 육도 도순찰사, 양광, 전라도 왜적 체복사 등을 거쳐 문하시중에 이르렀다.

보다 목호의 난와 최영

사천 목씨

사천 목씨(泗川 睦氏)는 경상남도 사천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보다 목호의 난와 사천 목씨

신축민란

제주 관덕정. 당시 봉기를 지휘했던 이재수가 이곳 광장에서 천주교도를 처형하였다. 신축민란(辛丑民亂), 제주 신축교난, 제주 교난, 또는 이재수의 난은 구한말 봉세관(捧稅官)의 조세 수탈과 프랑스 선교사를 앞세운 천주교회의 폐단에 맞선 민중 항쟁이.

보다 목호의 난와 신축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