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 Play 스토어에서 Unionpedia 앱을 복원하기 위해 작업 중입니다
나가는들어오는
🌟더 나은 탐색을 위해 디자인을 단순화했습니다!
Instagram Facebook X LinkedIn

무성음

색인 무성음

무성음(無聲音,, voiceless consonant)은 조음할 때 성대(목청)의 울림을 수반하지 않거나 유성음보다 덜 울리는 소리이며 안울림소리.

목차

  1. 80 처지: , , い단, う단, ハ행전호, , , , , , , Ë, 말라사다, 무기음, 무성 경구개 마찰음, 무성 권설 마찰음, 무성 권설 파열음, 무성 구개수 마찰음, 무성 구개수 파열음, 무성 인두 마찰음, 무성 치 마찰음, 무성 치경 마찰음, 무성 치경 파찰음, 무성 치경 파열음, 무성 순치 마찰음, 무성 순치 파열음, 무성 양순 마찰음, 무성 양순 파열음, 무성 연구개 마찰음, 무성 연구개 파열음, 무성 후두개 마찰음, 무성 후치경 마찰음, 무성 후치경 파찰음, 반치음, 반설음, 바론, 바이어 (아시아의 언어), 버마어, 꽁옹어, 구자라트 문자, 국제 음성 기호, 나바호어, 닿소리, 니브흐어, 스페인어, 우비흐어 음운론, 힌디어, 페르시아어, 입술소리, 일본 한자음, ...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30 더) »

は, ハ는 일본어 음절의 하나이며, 가나의 하나이.

보다 무성음와 は

ひ, ヒ는 일본어 음절의 하나이며, 가나의 하나이.

보다 무성음와 ひ

い단

い단(だん|이단)은 오십음도에서 두 번째 단(제2단)이.

보다 무성음와 い단

う단

う단(だん|우단)은 오십음도에서 세 번째 단(제3단)이.

보다 무성음와 う단

ハ행전호

ハ행 전호란,일본어사에 있어서의 큰 음운변화의 하나이고, 어중・어말의 ハ행음이 ワ행음으로 변화한 현상을 말. 헤이안 시대에 일어나 일반화.

보다 무성음와 ハ행전호

ㄷ()은 한글의 닿소리 중 셋째 글자.

보다 무성음와 ㄷ

(히읗)은 한글 낱자의 열넷째 글자이.

보다 무성음와 ㅎ

(피읖)은 한글 낱자의 열셋째 글자이.

보다 무성음와 ㅍ

읕의 두 가지 모양 ㅌ(티읕)은 한글 낱자의 열두째 글자이.

보다 무성음와 ㅌ

ㅂ(비읍)은 한글 닿소리 중 여섯째 글자이.

보다 무성음와 ㅂ

(키읔)은 한글 닿소리 중 열한째 글자이.

보다 무성음와 ㅋ

Ë

Ë/ë은 로마자E 위에 발음 구별 기호로 트레마 (다이어러시스)가 있.

보다 무성음와 Ë

말라사다

말라사다()는 포르투갈의 도넛이.

보다 무성음와 말라사다

무기음

무기음(無氣音)은 언어음을 발음할 때 수반한 공기가 거세게 나지 않는 닿소리이.

보다 무성음와 무기음

무성 경구개 마찰음

무성 경구개 마찰음(無聲硬口蓋摩擦音)은 자음의 하나로 경구개에서 조음되는 무성 마찰음이.

보다 무성음와 무성 경구개 마찰음

무성 권설 마찰음

무성 권설 마찰음(無聲捲舌摩擦音)은 자음의 하나로 치조후에서 혀끝을 말아 만드는 무성 마찰음이.

보다 무성음와 무성 권설 마찰음

무성 권설 파열음

무성 권설 파열음(無聲捲舌破裂音)은 자음의 하나로 치조후에서 혀끝을 말아 만드는 무성 파열음이.

보다 무성음와 무성 권설 파열음

무성 구개수 마찰음

무성 구개수 마찰음(無聲口蓋垂摩擦音)은 자음의 하나로 목젖에서 조음되는 무성 마찰음이.

보다 무성음와 무성 구개수 마찰음

무성 구개수 파열음

무성 구개수 파열음(無聲口蓋垂破裂音)은 자음의 하나로 목젖에서 조음하는 무성 파열음이.

보다 무성음와 무성 구개수 파열음

무성 인두 마찰음

무성 인두 마찰음(無聲咽頭摩擦音)은 자음의 하나로 인두에서 조음되는 무성 마찰음이.

보다 무성음와 무성 인두 마찰음

무성 치 마찰음

무성 치 마찰음(無聲齒摩擦音)은 자음의 하나로 이에서 조음되는 무성 마찰음이.

보다 무성음와 무성 치 마찰음

무성 치경 마찰음

무성 치경 마찰음(無聲齒莖摩擦音)은 자음의 하나로 잇몸에서 조음되는 무성 마찰음이.

보다 무성음와 무성 치경 마찰음

무성 치경 파찰음

무성 치경 파찰음(無聲 齒莖 破擦音)은 치경에서 조음하는 파찰음이고 무성음이.

보다 무성음와 무성 치경 파찰음

무성 치경 파열음

무성 치경 파열음(無聲齒莖破裂音)은 자음의 하나로 이나 잇몸에서 조음되는 무성 파열음이.

보다 무성음와 무성 치경 파열음

무성 순치 마찰음

무성 순치 마찰음(無聲脣齒摩擦音)은 자음의 하나로 이와 입술을 사용하여 조음하는 무성 마찰음이.

보다 무성음와 무성 순치 마찰음

무성 순치 파열음

무성 순치 파열음(無聲脣齒破裂音)은 자음의 하나로 이와 입술을 사용하여 조음하는 무성 파열음이.

보다 무성음와 무성 순치 파열음

무성 양순 마찰음

무성 양순 마찰음(無聲兩脣摩擦音)은 자음의 하나로 위아래 입술을 사용하여 조음하는 무성 마찰음이.

보다 무성음와 무성 양순 마찰음

무성 양순 파열음

무성 양순 파열음(無聲兩脣破裂音)은 자음의 하나로 위아래 입술을 사용하여 조음하는 무성 파열음이.

보다 무성음와 무성 양순 파열음

무성 연구개 마찰음

무성 연구개 마찰음(無聲軟口蓋摩擦音)은 자음의 하나로 연구개에서 조음되는 무성 마찰음이.

보다 무성음와 무성 연구개 마찰음

무성 연구개 파열음

무성 연구개 파열음(無聲軟口蓋破裂音)은 자음의 하나로 연구개에서 조음되는 무성 파열음이.

보다 무성음와 무성 연구개 파열음

무성 후두개 마찰음

무성 후두개 마찰음(無聲喉頭蓋摩擦音)은 자음의 하나로 후두개에서 조음되는 무성 마찰음이.

보다 무성음와 무성 후두개 마찰음

무성 후치경 마찰음

무성 후치경 마찰음(無聲後齒莖摩擦音)은 자음의 하나로 후치경에서 조음되는 무성 마찰음이.

보다 무성음와 무성 후치경 마찰음

무성 후치경 파찰음

무성 후치경 파찰음(無聲 後齒莖 破擦音) 또는 무성 후치경 폐찰음(無聲 後齒莖 閉擦音)은 윗니의 잇몸 뒤쪽에 둔 뒤, 혀가 떨어진 순간에 혀와 잇몸 뒷면 사이에 있는 틈새로 숨을 쉼으로써 생기는 호흡의 마찰에 의해 조음되는 파찰음의 무성음이.

보다 무성음와 무성 후치경 파찰음

반치음

반치음(半齒音) 또는 반잇소리(반니쏘리)는 전통적 음운학에서 치음과 조음 위치나 조음 방법이 비슷하지만 오음(五音) 기준에 속하지 않는 닿소리를 분류한 것이.

보다 무성음와 반치음

반설음

반설음(半舌音) 또는 반혓소리(반혀쏘리)는 전통적 음운학에서 설음과 조음 위치가 같지만 조음방법이 오음(五音)에 기준이 속하지 않는 닿소리를 분류한 것이.

보다 무성음와 반설음

바론

바론(Baronh:파일:TRON 9-985B.gif파일:TRON 9-9840.gif파일:TRON 9-9855.gif파일:TRON 9-9847.gif파일:TRON 9-984C.gif파일:TRON 9-984D.gif)은 일본의 과학소설 작가 모리오카 히로유키가 만든 예술어이.

보다 무성음와 바론

바이어 (아시아의 언어)

바이어() 는 중국 윈난 성에 사는 바이족들의 언어이.

보다 무성음와 바이어 (아시아의 언어)

버마어

버마어(မြန်မာဘာသာ, IPA)는 미얀마의 공용어이.

보다 무성음와 버마어

꽁옹어

꽁옹어는 코이산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음운이 141개가 있으며 그 대부분이 흡착음이.

보다 무성음와 꽁옹어

구자라트 문자

자라트 문자는 구자라트어와 쿠치어를 기록하는 데 쓰이는 브라흐미 문자계열의 아부기다이.

보다 무성음와 구자라트 문자

국제 음성 기호

국제 음성 기호 (2015년 개정) 국제 음성 기호 (2015년 개정) 한국어판 국제 음성 기호(國際音聲記號,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IPA) 또는 만국 음성 기호(萬國音聲記號)는 언어학에서 주로 사용되는 음성 기록 체계를 말. 현존하는 모든 언어의 소리를 독자적이고 정확하면서 표준적인 방법으로 표시하기 위해 이 기호 체계가 고안되었으며, 언어학자외에도 언어장애 병리사나 발성 치료사, 외국어 교수자, 말뭉치 연구자, 번역가 등이 일상생활에서 이 기호체계를 활용하고 있.

보다 무성음와 국제 음성 기호

나바호어

바호어(Diné bizaad)는 아타바스칸어족 나데네어파에 속하는 아메리카 원주민인 나바호족이 사용하는 언어이.

보다 무성음와 나바호어

닿소리

닿소리(자음(子音), Consonant)는 성문을 벗어나 조음된 소리가 목, 입, 혀 따위의 발음 기관에 의하여 방해를 받으면서 나는 소리이.

보다 무성음와 닿소리

니브흐어

브흐어(нивхгу)는 니브흐족들이 쓰는 언어이.

보다 무성음와 니브흐어

스페인어

스페인어(이디오마 에스파뇰) 또는 카스티야어(이디오마 카스테야노)는 이베리아로망스어군에 속하는 로망스어의 하나이.

보다 무성음와 스페인어

우비흐어 음운론

우비흐어는 북서캅카스어족의 언어이.

보다 무성음와 우비흐어 음운론

힌디어

힌디어 방언의 분포 힌디어(हिन्दी)는 인도유럽어족의 인도이란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영어와 함께 1965년 1월 26일 이후로 인도의 공용어이.

보다 무성음와 힌디어

페르시아어

르시아어(فارسی 혹은 پارسی) 간칭 파사어(波斯語)는 이란을 중심으로 한 중동 지역에서 사용되는, 인도이란어파에 속하는 언어이며, 아랍어와 마찬가지로 표기에는 아랍 문자가 사용되나, 아랍어와는 전혀 다른 언어이며, 힌디어, 싱할라어, 영어, 러시아어와 같은 인도유럽어족의 언어이.

보다 무성음와 페르시아어

입술소리

입술소리(입시울쏘리) 또는 순음(脣音)은 입술에서 만들어지는 닿소리라는 뜻으로 현대 음성학과 전통적 음운학에서 쓰인.

보다 무성음와 입술소리

일본 한자음

일본 한자음(日本漢字音)은 일본어에서의 한자의 소리를 뜻. 대부분 한 글자가 하나의 소리만을 가지고 있는 한국 한자음과 달리, 일본의 한자음은 시대에 따른 중국어의 음운의 변화를 반영했기 때문에, 하나의 한자가 중국에서 유입된 시기에 따라 여러 음을 가질 수 있.

보다 무성음와 일본 한자음

일본어

일본어(「にっぽんご」를 표제어로 세우고 있는 국어사전은 일본국어대사전 등 소수에 그친다.)는 주로 일본에서 사용되는 언어이.

보다 무성음와 일본어

일본어의 한자

()는 일본에서 쓰이고 있는 한자(漢字) 즉, 일본어의 한자를 지칭.

보다 무성음와 일본어의 한자

음운론

음운론(音韻論)은 언어학의 하위 분야의 하나로 특정 개별 언어 또는 여러 언어의 소리 체계를 연구하는 분야이.

보다 무성음와 음운론

청음 (일본어)

청음()은 폭넓게는 일본어의 음절 중에 발음과 촉음을 제외하고 탁점도 반탁점도 붙이지 않은 가나로 나타낸 것이며, 좁은 의미로는 탁음과 대립하는 무성자음을 가지는 음절만을 가리.

보다 무성음와 청음 (일본어)

청음과 탁음

청음(淸音)과 탁음(濁音)은 중국의 음운학에서 무성음과 유성음의 대립 구조를 가리.

보다 무성음와 청음과 탁음

체코어

어(Čeština)는 서슬라브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체코 공화국의 공용어이.

보다 무성음와 체코어

초기 에스페란토

에스페란토(初期Esperanto, Pra-Esperanto)는 제1서가 출판되기 이전의 에스페란토의 형태를 일컫.

보다 무성음와 초기 에스페란토

치음 (음운학)

음(齒音), 잇소리는 이에서 나는 소리라는 뜻으로, 조선 시대 훈민정음과 중국의 전통적인 음성학인 음운학에서 쓰였.

보다 무성음와 치음 (음운학)

코만치어

만치어는 미국 텍사스와 오클라호마 그리고 뉴멕시코 동부에 살았던 코만치족의 언어로서 유토아즈텍어족에 속. 쇼쇼니어의 어느 한 방언에서 갈려져 나왔.

보다 무성음와 코만치어

유성음

유성음(有聲音,, voiced consonant)은 조음할 때 성대(목청)의 울림을 수반하는 소리.

보다 무성음와 유성음

파열음

열음(破裂音, plosive)은 닿소리를 발음할 때 허파로부터 성대를 통해 나오던 공기가 완전한 폐쇄를 당했다 터져 나오면서 나는 소리이.

보다 무성음와 파열음

팔리어

빨리어 또는 빠알리어(Pāḷi, Pāli, पाऴि)는 인도아리아어군의 중세 인도아리아어(중기 인도아리아어) 즉 프라크리트어에 속하는 언어이.

보다 무성음와 팔리어

탁음 (일본어)

탁음()은 일본어 음절 내의 가나에 탁점(゛)을 붙인 표기를 맞춤법으로 하는 것을 말.

보다 무성음와 탁음 (일본어)

샤이엔어

미국에 사는 샤이엔족들이 쓰는 언어이.

보다 무성음와 샤이엔어

영어

영어(英語)는 영국의 잉글랜드에서 기원한 서게르만어군 언어이.

보다 무성음와 영어

오크사프민어

오크사프민어(Oksapmin)는 파푸아뉴기니의 산다운 주에서 사용되는 트랜스뉴기니어족의 언어이.

보다 무성음와 오크사프민어

오음 (음운학)

오음(五音)은 한국이나 중국에서 전통적으로 음절 초의 닿소리를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에 따라 분류한 것이며, 아음(牙音, 어금닛소리), 설음(舌音, 혓소리), 순음(脣音, 입술소리), 치음(齒音, 잇소리), 후음(喉音, 목구멍소리)을 가리.

보다 무성음와 오음 (음운학)

예사소리

예사소리(例事--)는 숨을 거세게 내지 않으며 목을 긴장시키지 않는 소리.

보다 무성음와 예사소리

에스페란토 문자

에스페란토 문자()는 에스페란토의 표기에 쓰는 문자.

보다 무성음와 에스페란토 문자

키룬디어

어(Kirundi) 또는 룬디어(Rundi)는 우간다 외에 부룬디, 그리고 탄자니아와 콩고 민주 공화국의 근접 지역의 900만 명의 사람들이 사용하는 언어이.

보다 무성음와 키룬디어

삼발 어

삼발어(Sambali 또는 Sambal)는 필리핀 삼발 족 자치주인 산타크루즈, 칸델라리아, 마신로크, 팔라우이그, 그리고 이바, 인판타의 팡가시난 주에서 주로 말해지는 삼발 족의 언어이.

보다 무성음와 삼발 어

설음

설음(舌音) 또는 혓소리(혀쏘리)는 혀에서 나는 소리라는 뜻으로 전통적 음운학에서 두자음들을 분류하였던 말. 오음의.

보다 무성음와 설음

성문 마찰음

성문 마찰음(聲門摩擦音)은 자음의 하나로 성문에서 조음되는 무성 마찰음이.

보다 무성음와 성문 마찰음

한국어 음운론

이 문서에서는 한국어의 말소리를 음성학과 음운론의 관점에서 기술.

보다 무성음와 한국어 음운론

하이난어

이난어() 또는 해남어(海南語)는 중화인민공화국 하이난성에서 쓰이는 민어 방언이.

보다 무성음와 하이난어

아일랜드어 음운론

아일랜드어가 사용되는 지역을 표시한 지도. 아일랜드어 음운론()은 아일랜드 각지 방언마다 제각각이.

보다 무성음와 아일랜드어 음운론

아음

아음(牙音) 또는 어금닛소리(엄쏘리)는 어금니에서 나는 소리라는 뜻으로 전통적 음운학에서 두자음들을 분류하였던 말. 오음의.

보다 무성음와 아음

티베트 문자

베트 문자(藏文字母, Tibetan script)는 티베트어의 표기에 이용하는 문자이.

보다 무성음와 티베트 문자

후음

후음(喉音) 또는 목구멍소리(목소리)는 목구멍에서 나오는 소리의 뜻으로 두자음들을 분류하였던 전통적 음운학에서 쓰인 말이.

보다 무성음와 후음

X-SAMPA

확장된 SAM 음성 기호(X-SAMPA: eXtended Speech Assessment Methods Phonetic Alphabet)는 런던 대학교의 음성학 교수인 존 C. 웰스가 1995년에 고안한 SAMPA의 변형이.

보다 무성음와 X-SAMPA

또한 안울림소리로 알려져 있다.

, 일본어, 일본어의 한자, 음운론, 청음 (일본어), 청음과 탁음, 체코어, 초기 에스페란토, 치음 (음운학), 코만치어, 유성음, 파열음, 팔리어, 탁음 (일본어), 샤이엔어, 영어, 오크사프민어, 오음 (음운학), 예사소리, 에스페란토 문자, 키룬디어, 삼발 어, 설음, 성문 마찰음, 한국어 음운론, 하이난어, 아일랜드어 음운론, 아음, 티베트 문자, 후음, X-SAMP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