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무안대군

색인 무안대군

무안대군 이방번(撫安大君 李芳蕃, 1381년 ~ 1398년 10월 6일(음력 8월 26일))은 조선 태조 이성계의 일곱째 왕자이.

52 처지: 강지연, 강윤성, 강순, 경순공주, 고려 공양왕, 변안렬, 광평대군, 귀성군, 국대비 왕씨, 남은, 용의 눈물, 임영대군, 이우주 (배우), 이제 (1365년), 이숙번, 음력 8월 26일, 의안대군 (1382년), 익안대군, 정도전, 정도전 (드라마), 정강군 (고려), 정태우, 정원부원군, 조선, 조선 태조, 조선 태종, 조선 왕 가계도, 조선의 역사, 진안대군, 치호, 육룡이 나르샤, 수서동, 영응대군, 영천군 (1379년), 영순군, 호경, 풍안군, 삭녕 신씨, 서촌, 함흥차사, 한국의 왕자와 왕녀 목록, 하륜, 학천군, 신덕왕후, 심덕부, 심효생, 심종, 원주 원씨, 왕우 (고려 왕족), 왕자의 난, ..., 10월 6일, 1398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2 더) »

강지연

강지연(康之淵)은 고려시대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무안대군와 강지연 · 더보기 »

강윤성

강윤성(康允成, ? - 1358년 12월)은 고려 말기의 문신이.

새로운!!: 무안대군와 강윤성 · 더보기 »

강순

강순(康純, 1390년 ~ 1468년 10월 27일)은 조선 세종, 세조 때의 명장, 정치가이.

새로운!!: 무안대군와 강순 · 더보기 »

경순공주

경순공주(慶順公主, ? ~ 1407년 9월 8일(음력 8월 7일))는 조선의 공주로, 태조(太祖, 1335~1408, 재위: 1392~1398)와 신덕왕후 강씨(神德王后 康氏, 1356~1396)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딸로 적3녀이.

새로운!!: 무안대군와 경순공주 · 더보기 »

고려 공양왕

공양왕(恭讓王, 1345년 3월 9일 (음력 2월 5일) ~ 1394년 5월 17일 (음력 4월 17일), 재위: 1389년 ~ 1392년)은 고려의 제34대 국왕이자 마지막 임금이.

새로운!!: 무안대군와 고려 공양왕 · 더보기 »

변안렬

변안렬(邉安烈, 1334년 4월 ~ 1390년 2월 1일(음력 1월 16일))은 중국 원나라 심양(瀋陽) 출신으로 고려 말기의 문신(文臣), 무신(武臣), 시인(詩人)이.

새로운!!: 무안대군와 변안렬 · 더보기 »

광평대군

광평대군 이여(廣平大君 李璵, 1425년 5월 2일 ~ 1444년 12월 7일)는 조선의 왕족 종실로 세종대왕과 소헌왕후 심씨의 다섯째 아들이.

새로운!!: 무안대군와 광평대군 · 더보기 »

귀성군

성군 이준(또는 구성군 이준, 龜城君 李浚, 1441년 1월 ~ 1479년 1월 28일)은 조선 전기의 왕족 종실(王族 宗室), 문신(文臣), 무신(武臣), 정치가(政治家)이.

새로운!!: 무안대군와 귀성군 · 더보기 »

국대비 왕씨

국대비 왕씨(國大妃 王氏, 생몰년 미상)는 고려 후기의 왕족이.

새로운!!: 무안대군와 국대비 왕씨 · 더보기 »

남은

은(南誾, 1354년 ~ 1398년 10월 6일(음력 8월 26일)은 고려 말과 조선 초의 문신으로, 본관은 의령이다. 고려 말기에 왜구 토벌과 신진사대부 정치인으로 활동하였으며 이성계를 도와 조선왕조 개국에 공을 세웠다. 개국공신 1등으로 의성군에 봉해졌고, 사후 의정부영의정에 추증된 뒤 의성부원군으로 추봉되었다. 본관은 의령이고, 시호는 강무(剛武)이다. 행촌 이암의 외손녀사위이기도 하다.

새로운!!: 무안대군와 남은 · 더보기 »

용의 눈물

《용의 눈물》은 1996년 11월 24일부터 1998년 5월 31일까지 방송된 KBS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무안대군와 용의 눈물 · 더보기 »

임영대군

임영대군 이구(臨瀛大君 李璆, 1420년 1월 6일 ~ 1469년 1월 21일)은 조선시대 초기의 왕족, 정치인으로, 조선의 제4대 왕 세종대왕과 소헌왕후의 넷째 아들이.

새로운!!: 무안대군와 임영대군 · 더보기 »

이우주 (배우)

이우주(2009년 2월 20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무안대군와 이우주 (배우) · 더보기 »

이제 (1365년)

이제(李濟, 1365년 ~ 1398년)는 고려 말 조선 초기의 문신이.

새로운!!: 무안대군와 이제 (1365년) · 더보기 »

이숙번

이숙번(李叔蕃, 1373년 ~ 1440년)은 고려 말기의 생원이고 조선 초기의 문관, 무관, 정치가이며 조선 태종 이방원의 측근이었.

새로운!!: 무안대군와 이숙번 · 더보기 »

음력 8월 26일

음력 8월 26일은 음력 8월의 26번째 날이.

새로운!!: 무안대군와 음력 8월 26일 · 더보기 »

의안대군 (1382년)

의안대군(宜安大君, 1382년 ~ 1398년 10월 6일(음력 8월 26일))은 조선 태조 이성계의 8왕자이며 조선의 첫 왕세자이.

새로운!!: 무안대군와 의안대군 (1382년) · 더보기 »

익안대군

익안대군(益安大君, 1360년 ~ 1404년 9월 26일)은 고려 말기 사람이자 조선 전기의 왕족이.

새로운!!: 무안대군와 익안대군 · 더보기 »

정도전

정도전(鄭道傳, 1342년~ 1398년 10월 6일(음력 8월 26일))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자 유학자, 혁명가(革命家)이.

새로운!!: 무안대군와 정도전 · 더보기 »

정도전 (드라마)

《정도전》(鄭道傳) 은 KBS 1TV에서 2014년 1월 4일부터 2014년 6월 29일까지 방송된 정도전의 일대기를 그린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무안대군와 정도전 (드라마) · 더보기 »

정강군 (고려)

정강군 왕조(定康君 王珇, ? - 1398년 8월 26일)는 고려 후기의 왕족으로 고려 신종의 8세손이며, 고려 공양왕의 조카이.

새로운!!: 무안대군와 정강군 (고려) · 더보기 »

정태우

정태우(鄭泰祐, 1982년 3월 23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무안대군와 정태우 · 더보기 »

정원부원군

정원부원군 왕균(定原府院君 王鈞, ? - ?)은 고려 후기의 문신, 왕족, 외교관으로 고려 신종의 아들 양양공의 5대손 이며 순화후 왕유의 아들이.

새로운!!: 무안대군와 정원부원군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무안대군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태조

조선 태조(朝鮮 太祖, 1335년 10월 27일 (음력 10월 11일) ~ 1408년 6월 18일 (음력 5월 24일), 재위: 1392년 8월 5일 (음력 7월 17일) ~ 1398년 10월 14일 (음력 9월 5일))는 고려 말의 무신 겸 정치가이자 조선의 초대 왕이.

새로운!!: 무안대군와 조선 태조 · 더보기 »

조선 태종

종(太宗, 1367년 6월 13일 (음력 5월 16일) ~ 1422년 5월 30일 (음력 5월 10일) 재위 1400년 ~ 1418년)은 고려, 조선의 문신이자 조선의 제3대 임금이.

새로운!!: 무안대군와 조선 태종 · 더보기 »

조선 왕 가계도

조선의 임금들은 전주 이씨의 조선 태조의 후손들로 1392년부터 1897년까지 혈통이 이어졌.

새로운!!: 무안대군와 조선 왕 가계도 · 더보기 »

조선의 역사

조선의 역사는 크게 전기와 후기로 나뉘며, 전기를 다시 둘로 나눠 전기와 중기로 보아 전기-중기-후기로 보. 이때 전기-후기를 나누는 기준은 임진왜란이며, 전기-중기-후기를 나누는 기준은 전기와 중기는 중종반정, 중기와 후기는 임진왜란 또는 병자호란이.

새로운!!: 무안대군와 조선의 역사 · 더보기 »

진안대군

안대군(鎭安大君, 1354년 ~ 1394년 1월 15일(1393년 음력 12월 13일))은 고려 말기의 문신이자 조선 초기의 왕자이.

새로운!!: 무안대군와 진안대군 · 더보기 »

치호

호라는 타명 혹은 별호를 사용한 이에는 다음과 같은 이들이 있었.

새로운!!: 무안대군와 치호 · 더보기 »

육룡이 나르샤

《육룡이 나르샤》는 SBS에서 2015년 10월 5일부터 2016년 3월 22일까지 방영된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무안대군와 육룡이 나르샤 · 더보기 »

수서동

수서동(水西洞)은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법정동 및 행정동이.

새로운!!: 무안대군와 수서동 · 더보기 »

영응대군

영응대군 이염(永膺大君 李琰, 1434년 5월 23일/음력 4월 15일 ~ 1467년 2월 2일)은 조선의 왕족이.

새로운!!: 무안대군와 영응대군 · 더보기 »

영천군 (1379년)

영천군 이담(寧川君 李湛, 1379년 ~ 1431년 12월)은 조선의 왕족 종실이다,.

새로운!!: 무안대군와 영천군 (1379년) · 더보기 »

영순군

영순군 이부(永順君 李溥, 1444년 6월 ~ 1470년 3월 28일)는 조선의 왕족 종실이.

새로운!!: 무안대군와 영순군 · 더보기 »

호경

강호경(康虎景, 생몰년 미상)은 신라 말기의 군인, 개성의 호족으로 고구려 출신 신라의 장군이.

새로운!!: 무안대군와 호경 · 더보기 »

풍안군

풍안군 이효손(豊安君 李孝孫, 1403년 ~ 1463년)은 조선의 왕족 종실이.

새로운!!: 무안대군와 풍안군 · 더보기 »

삭녕 신씨

삭녕 신씨(朔寧 申氏)는 경기도 연천군(漣川郡)과 강원도 철원군(鐵原郡)을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무안대군와 삭녕 신씨 · 더보기 »

서촌

서촌(西村)은 대한민국 서울의 경복궁과 서울의 내사산 가운데 서쪽 산인 인왕산 사이에 있는 지역을 뜻. 조선 시대에는 흔히 '장의동'(藏義洞, 壯義洞)이나 '장동'(壯洞)으로 불. 서촌은 창덕궁 남쪽의 교동이나 경복궁과 창덕궁 사이 북촌과 함께 서울에서 가장 오래된 동. 조선 시대엔 왕족과 사대부, 중인들의 거주지로 유명했으며, 일제 시대 이후엔 문인과 예술인들이 많이 자리잡았.

새로운!!: 무안대군와 서촌 · 더보기 »

함흥차사

흥차사(咸興差使)는 조선 태종 이방원이 태조의 환궁을 권유하려고 함흥으로 보낸 차사를 일컫는 말이.

새로운!!: 무안대군와 함흥차사 · 더보기 »

한국의 왕자와 왕녀 목록

이 문서는 현재까지 알려진 한국의 왕자(황자)와 왕녀(공주, 궁주, 옹주)의 목록을 담고 있.

새로운!!: 무안대군와 한국의 왕자와 왕녀 목록 · 더보기 »

하륜

(河崙, 1348년 1월 22일(1347년 음력 12월 22일) ~ 1416년 11월 24일(음력 11월 6일))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새로운!!: 무안대군와 하륜 · 더보기 »

학천군

학천군 이징(鶴川君 李澄, 1375년 ~ 1435년 8월)은 고려 시대 말기 무관 관료를 지낸 조선 초기의 왕족 종실 겸 무신이며 문관 겸 정치가이.

새로운!!: 무안대군와 학천군 · 더보기 »

신덕왕후

신덕왕후 강씨(神德王后 康氏, 1356년 7월 12일(음력 6월 14일) ~ 1396년 9월 15일(음력 8월 13일))는 조선 태조(太祖)의 계비이.

새로운!!: 무안대군와 신덕왕후 · 더보기 »

심덕부

심덕부(沈德符, 1328년 ~ 1401년)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자 무신, 공신이.

새로운!!: 무안대군와 심덕부 · 더보기 »

심효생

심효생(沈孝生, 1349년 ~ 1398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자, 조선 개국공신으로, 본관은 부유(富有)이.

새로운!!: 무안대군와 심효생 · 더보기 »

심종

심종(沈悰, 아명(兒名)은 沈淙. ? ~ ?)은 고려 말기의 선비이자, 조선 초기의 무신(武臣), 문신(文臣)이.

새로운!!: 무안대군와 심종 · 더보기 »

원주 원씨

원주 원씨(原州 元氏)는 강원도 원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무안대군와 원주 원씨 · 더보기 »

왕우 (고려 왕족)

정양군 왕우(定陽君 王瑀, ? ~ ?)는 고려 말기의 왕족이자 조선 초기의 문신이.

새로운!!: 무안대군와 왕우 (고려 왕족) · 더보기 »

왕자의 난

왕자의 난(王子-亂)은 조선 태조 이성계의 창업 도상에서 일어난 왕자들의 왕위 계승권을 에워싼 골육상쟁이.

새로운!!: 무안대군와 왕자의 난 · 더보기 »

10월 6일

10월 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79번째(윤년일 경우 28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무안대군와 10월 6일 · 더보기 »

139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무안대군와 1398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공순군, 공순군 이방번, 무안군 이방번, 무안대군 이방번, 이방번, 추성공, 추성공 이방번, 추성군, 추성군 이방번, 장혜공, 장혜공 이방번, 장혜군.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