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무형문화재

색인 무형문화재

무형문화재(無形文化財)는 일정한 형태가 없는 문화재를 말. 역사적으로나 예술적으로 높은 가치와 문화적 기능을 지닌 사람을 인간문화재로 지정하여 그 기능을 후계자에게 전수할 수 있도록 하며, 그 비용은 국가가 부. 무형문화재의 종류로는 연극·음악·무용·공예·무예·의식·놀이 등이 있.

70 처지: 무형문화유산, 문화유산, 묵계월, 발갱이들소리, 박동신, 박병천, 박초월, 박칼린, 강수진 (발레 무용수), 박송암, 밀양아리랑대축제, 경기도의 무형문화재, 경주시, 복온공주, 광주광역시의 무형문화재, 봉화산 (서울), 부산광역시의 무형문화재, 기생, 금강문화유산연구원, 김무규, 김득수 (국악인), 김정연 (국악인), 김죽파, 김여란, 김연수 (국악인), 김성태 (1895년), 대구광역시의 무형문화재, 대전광역시의 무형문화재, 대한민국 문화재보호법, 대한민국의 문화재, 남사당, 울산 멸치후리 그물당기기, 울산광역시의 무형문화재, 장재봉, 장태남, 이동백, 이동안, 이은관, 이종록, 이창배, 인천광역시의 무형문화재, 의암별제, 제주특별자치도의 무형문화재, 정광수, 정권진, 정득만, 중랑구, 진주교방굿거리춤, 진주논개제, 진주오광대, ..., 충청북도의 무형문화재, 충청남도의 무형문화재, 판소리, 유형문화재, 탈춤, 오정숙, 양천구, 여인천하 (드라마), 성금연, 성창순, 세종특별자치시의 무형문화재, 서울특별시의 무형문화재, 함동정월, 한국의 줄타기, 안동소주, 안비취, 신관용류 가야금산조, 홍원기 (국악인), KBS 파노라마, 2011년 9월.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20 더) »

무형문화유산

무형문화유산(無形文化遺産, (非物質文化遺産),, ICH)은 유네스코의 사업 중 하나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무형문화유산 · 더보기 »

문화유산

문화유산(文化遺産)은 장래의 문화적 발전을 위하여 다음 세대 또는 젊은 세대에게 계승·상속할 만한 가치를 지닌 사회의 문화적 소산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문화유산 · 더보기 »

묵계월

묵계월(1921년 10월 19일 ~ 2014년 5월 2일)은 대한민국의 국악인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묵계월 · 더보기 »

발갱이들소리

발갱이들소리는 경상북도 구미시 고아읍과 지산동에 전해지는 논매기소리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발갱이들소리 · 더보기 »

박동신

박동신(1904년 ~ ?)은 대한민국의 국악인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박동신 · 더보기 »

박병천

박병천(1933년 11월 18일 ~ 2007년 11월 20일)은 대한민국의 국악인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박병천 · 더보기 »

박초월

박초월(朴初月, 1917년 2월 20일 ~ 1983년 3월 17일)은 대한민국의 국악인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박초월 · 더보기 »

박칼린

박칼린(Kolleen Park, 1967년 5월 1일 ~)은 대한민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미국 시민권자 신분의 예술 감독 겸 뮤지컬 연출가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박칼린 · 더보기 »

강수진 (발레 무용수)

강수진(1967년 4월 24일 ~)은 대한민국 출신의 발레리나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강수진 (발레 무용수) · 더보기 »

박송암

박송암(1911년 ~ ?)은 대한민국의 국악인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박송암 · 더보기 »

밀양아리랑대축제

밀양아리랑대축제는 매년 음력 4월 16일 이전의 길일을 택하여 4일간 개최하는 전통예술축제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밀양아리랑대축제 · 더보기 »

경기도의 무형문화재

경기도의 무형문화재는 무형문화재 중에서 경기도 내에 있는 문화재를 의미.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경기도의 무형문화재 · 더보기 »

경주시

경주시(慶州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동남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경주시 · 더보기 »

복온공주

복온공주(福溫公主, 1818년 음력 10월 26일 ~ 1832년 음력 5월 12일)는 조선의 왕족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복온공주 · 더보기 »

광주광역시의 무형문화재

광주광역시의 무형문화재는 무형문화재 중에서 광주광역시 내에 있는 문화재를 의미.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광주광역시의 무형문화재 · 더보기 »

봉화산 (서울)

봉화산(烽火山)은 서울특별시 중랑구에 있는 산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봉화산 (서울) · 더보기 »

부산광역시의 무형문화재

부산광역시의 무형문화재는 무형문화재 중에서 부산광역시 내에 있는 문화재를 의미.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부산광역시의 무형문화재 · 더보기 »

기생

전모를 쓴 기생 그림 기생 기생(妓生) 혹은 기녀(妓女)는 춤·노래·풍류 등으로 주연석이나 유흥장의 흥을 돋우는 일을 직업으로 삼는 관기(官妓) ·민기(民妓) ·약방기생 ·상방기생 등 예기(藝妓)의 총칭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기생 · 더보기 »

금강문화유산연구원

강문화유산연구원은 문화유산(유형문화재, 무형문화재 및 매장문화재)의 보호, 보존, 조사, 연구, 관리 및 그 활용을 통해 민족문화의 우수성을 선양하고 창조적으로 개발함을 목적으로 2008년 8월 14일 설립된 문화체육관광부 소관의 재단법인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금강문화유산연구원 · 더보기 »

김무규

무규(1908년 ~ ?)는 대한민국의 국악인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김무규 · 더보기 »

김득수 (국악인)

득수(1917년 ~ 1990년 5월 21일)는 대한민국의 국악인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김득수 (국악인) · 더보기 »

김정연 (국악인)

정연(金正淵, 1913년 ~ 1987년)은 대한민국의 국악인으로 서도소리의 명창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김정연 (국악인) · 더보기 »

김죽파

죽파(金竹波, 1911년 ~ 1989년)는 대한민국의 가야금 산조 명인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김죽파 · 더보기 »

김여란

여란(金如蘭, 1907년 ~ 1983년)은 대한민국의 국악인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김여란 · 더보기 »

김연수 (국악인)

연수(金演洙, 1907년 ~ 1974년)는 대한민국의 국악인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김연수 (국악인) · 더보기 »

김성태 (1895년)

성태(金星泰, 1895년 6월 13일 - 1962년)는 대한민국의 민속 예술인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김성태 (1895년) · 더보기 »

대구광역시의 무형문화재

광역시의 무형문화재는 무형문화재 중에서 대구광역시 내에 있는 문화재를 의미.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대구광역시의 무형문화재 · 더보기 »

대전광역시의 무형문화재

전광역시의 무형문화재는 무형문화재 중에서 대전광역시 내에 있는 문화재를 의미.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대전광역시의 무형문화재 · 더보기 »

대한민국 문화재보호법

문화재보호법(大韓民國 文化財保護法)은 대한민국의 문화재보호에 관한 법률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대한민국 문화재보호법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문화재

민국의 문화재는 건물·조각·악보·악기·공예품·서적·서예·고문서 등의 유물·유적 가운데 역사적·예술적 가치가 높거나 역사 연구에 자료가 되는 유형문화재, 민속문화재(민속자료), 기념물, 연주·무용·공예·기술 등에서 역사적·예술적 가치가 높은 무형문화재 등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대한민국의 문화재 · 더보기 »

남사당

right 남사당은 남사당패 연희종목인 농악, 줄타기, 땅재주, 가면극 등의 무형문화재 보존·전승을 위한 조사 및 연구, 보유자 보호사업 등의 사업을 추진하기 위하여 2001년 12월 28일 설립된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소관의 사단법인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남사당 · 더보기 »

울산 멸치후리 그물당기기

울산 멸치후리 그물당기기는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산읍 이진리 어민들의 어업하는 방식의 문화재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울산 멸치후리 그물당기기 · 더보기 »

울산광역시의 무형문화재

울산광역시의 무형문화재는 무형문화재 중에서 울산광역시 내에 있는 문화재를 의미.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울산광역시의 무형문화재 · 더보기 »

장재봉

장재봉(張在奉, 1896년 ~ 1966년)은 대한민국의 민속 예술인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장재봉 · 더보기 »

장태남

장태남(1909년 ~ ?)은 대한민국의 국악인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장태남 · 더보기 »

이동백

정동극장의 뜰에 서있는 이동백 상 이동백(李東伯, 1867년∼1950년)은 조선 말기 판소리 5명창 중의 한 사람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이동백 · 더보기 »

이동안

이동안(李東安, 1906년 ~ 1995년)은 대한민국의 전 발탈 무형문화재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이동안 · 더보기 »

이은관

이은관(李殷官, 1917년 11월 27일 ~ 2014년 3월 12일)은 대한민국의 국악인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이은관 · 더보기 »

이종록

이종록은 대한민국 무형문화재 영제시조(嶺制時調) 예능보유자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이종록 · 더보기 »

이창배

이창배(李昌培, 1916년 ~ 1983년)는 대한민국의 국악인으로 〈선소리 산타령〉의 명인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이창배 · 더보기 »

인천광역시의 무형문화재

인천광역시의 무형문화재는 무형문화재 중에서 인천광역시 내에 있는 문화재를 의미.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인천광역시의 무형문화재 · 더보기 »

의암별제

의암별제의 포구락무 의암별제(義巖別祭)는 매년 음력 6월에 길일을 택하여 논개를 추고하기 위해 기생들만이 치른 대규모 의식으로, 악공을 제외하고 제관(祭官) 등 모든 의식을 여자(기생)들이 주관하는 독특한 제전이며, 선비들의 음악인 정악(正樂)을 사용한다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행사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의암별제 · 더보기 »

제주특별자치도의 무형문화재

제주특별자치도의 무형문화재는 무형문화재 중에서 제주특별자치도 내에 있는 문화재를 의미.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제주특별자치도의 무형문화재 · 더보기 »

정광수

정광수(丁珖秀, 1909년 ∼ 2003년 11월 2일 한겨레, 2003년 11월 3일자.)는 판소리 명창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정광수 · 더보기 »

정권진

정권진(鄭權鎭, 1927년 ~ 1986년)은 대한민국의 국악인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정권진 · 더보기 »

정득만

정득만(1907년 ~ 1994년)은 대한민국의 국악인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정득만 · 더보기 »

중랑구

중랑구(中浪區)는 서울특별시의 동부에 있는 자치구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중랑구 · 더보기 »

진주교방굿거리춤

주교방굿거리춤(晋州敎坊굿거리춤)은 1997년 1월 30일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21호로 지정되었으며, 진주 교방에 의해 전승되는 굿거리춤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진주교방굿거리춤 · 더보기 »

진주논개제

의암별제의 검무 진주논개제(晉州論介祭, The Jinju Nongae Festivel)는 경상남도 진주시에서 매년 5월 개최되는 지역 테마 축제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진주논개제 · 더보기 »

진주오광대

주오광대(晋州五廣大)는 진주 지역에서 전승되는 굿거리 장단의 민속탈놀이로 2003년 6월 7일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27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진주오광대 · 더보기 »

충청북도의 무형문화재

충청북도 무형문화재는 지방 무형문화재 중에서 충청북도 내에 있는 무형문화재를 의미.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충청북도의 무형문화재 · 더보기 »

충청남도의 무형문화재

충청남도 무형문화재는 무형문화재 중에서 충청남도 내에 있는 무형문화재를 의미.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충청남도의 무형문화재 · 더보기 »

판소리

소리(또는 소리)는 한 명의 소리꾼이 고수(북치는 사람)의 장단에 맞추어 소리(창), 아니리(말), 너름새(몸짓)을 섞어가며 구연(口演)하는 일종의 솔로 오. ‘판소리’는 ‘판’과 ‘소리’의 합성어로 ‘소리’는 ‘음악’을 말하고 ‘판’은 ‘여러 사람이 모인 곳’ 또는 ‘상황과 장면’을 뜻하는 것으로 ‘많은 청중들이 모인 놀이판에서 부르는 노래’라는 뜻으로 구광대가 병풍을 두르고 돗자리를 펼친 마당이나 공연장에서 짧게는 세 시간, 길게는 여섯 시간 정도 걸리는 긴 이야기를 몸짓을 섞어가며 고수의 북 반주에 맞춰 노래하는 한국 전통음악의 하나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판소리 · 더보기 »

유형문화재

유형문화재(有形文化財)는 형태가 없는 무형문화재와는 달리 건조물·회화·조각·공예품·서적·서예 등 일정한 형태를 갖춘 것으로, 역사적·예술적 가치가 높은 것을 말. 유형문화재 가운데 중요한 것은 보물로 지정하며, 보물 가운데 더욱 높은 가치를 지닌 것을 국보로 지정.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유형문화재 · 더보기 »

탈춤

은 한국의 각 지방에서 전해지는 탈을 쓰고 벌이는 전통 가면극을 말.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탈춤 · 더보기 »

오정숙

오정숙(吳貞淑, 1935년 ~ 2008년)은 대한민국의 판소리 명창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오정숙 · 더보기 »

양천구

양천구(陽川區)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남서부에 있는 구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양천구 · 더보기 »

여인천하 (드라마)

《여인천하》(女人天下)는 월탄 박종화의 역사소설 《여인천하》를 원작으로 삼아 SBS에서 방영한 대하사극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여인천하 (드라마) · 더보기 »

성금연

성금연(成錦鳶, 1923년 5월 9일 ~ 1986년)은 대한민국의 국악인으로 가야금 산조의 명인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성금연 · 더보기 »

성창순

성창순(成昌順, 1934년 1월 10일 ~ 2017년 1월 5일)은 대한민국의 국악인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성창순 · 더보기 »

세종특별자치시의 무형문화재

세종특별자치시의 무형문화재는 무형문화재 중에서 세종특별자치시 내에 있는 문화재를 의미.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세종특별자치시의 무형문화재 · 더보기 »

서울특별시의 무형문화재

서울특별시의 무형문화재는 무형문화재 중에서 서울특별시 내에 있는 문화재를 의미.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서울특별시의 무형문화재 · 더보기 »

함동정월

동정월(咸洞庭月, 1917년 8월 23일 ~ 1994년 10월 10일)은 가야금 산조의 명인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함동정월 · 더보기 »

한국의 줄타기

민국 전주시에서 벌어진 줄타기 무대 모습 줄타기는 대한민국의 무형문화재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한국의 줄타기 · 더보기 »

안동소주

안동소주(安東燒酒)는 경상북도 안동에서 전승되어온 민속주로 증류식 소주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안동소주 · 더보기 »

안비취

안비취(1926년 3월 21일 ~ 1997년 1월 3일)는 대한민국의 국악인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안비취 · 더보기 »

신관용류 가야금산조

신관용류 가야금산조(申寬龍流 伽倻琴散調)는 가야금 산조로 스승 이영채로부터 가야금 산조를 배워 자신만의 독특한 가야금 산조를 완성하였고, 이것이 제자인 강순영에게 전해졌.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신관용류 가야금산조 · 더보기 »

홍원기 (국악인)

홍원기(洪元基, 1922년 ~ 1997년)는 일제 강점기, 대한민국의 국악인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홍원기 (국악인) · 더보기 »

KBS 파노라마

《KBS 파노라마》(Panorama)는 한국방송공사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KBS 파노라마 · 더보기 »

2011년 9월

;군사/.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2011년 9월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무형 문화재.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