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문정왕후 (조선)

색인 문정왕후 (조선)

문정왕후 윤씨(文定王后 尹氏, 1501년 12월 2일(음력 10월 22일) ~ 1565년 5월 5일(음력 4월 6일))는 조선 중기의 왕후이자 섭정으로 중종(中宗)의 제2계비이.

140 처지: 덕흥대원군, 류경심, 류인숙, 마녀보감, 목첨, 목천 상씨, 명성왕후, 문정왕후, 문정왕후 어보 반환, 백인걸, 박승임, 박정숙, 박지영 (1969년), 경빈 이씨, 경현공주, 보우 (조선), 공회빈 윤씨, 봉은사, 봉성군, 불암산, 귀인 한씨, 김미숙, 김민정 (1982년), 김효원, 김용림, 김희 (조선), 김전, 김청, 김혜자, 김성일 (1538년), 김안로, 대장금, 대윤 소윤,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대왕대비, 구사맹, 단성소, 효순공주, 효혜공주, 장경왕후 (조선), 장성 백양사 극락보전, 임진왜란, 희빈 장씨, 이량 (1519년), 이덕희 (배우), 이미지, 이경록 (1543년), 이광식 (1493년), 이기 (1476년), 이이, ..., 이즙 (1503년), 이지방 (1466년), 이언적, 이연수 (배우), 인목왕후, 인순공주, 인순왕후, 인성왕후, 의혜공주, 을사사화, 은해사, 전인화, 전설의 고향 - 2008년, 정난정, 정희왕후, 정윤겸, 정현왕후, 정언각, 조광조 (드라마), 조선, 조선 명종, 조선 인종, 조선 중종, 조선 선조, 조선 성종, 조선 세조, 조선의 불교, 조선의 역대 왕비, 조선의 역대 왕대비, 조선의 역사, 조선왕릉, 종묘, 창빈 안씨, 창빈 안씨 묘역, 천명: 조선판 도망자 이야기, 판선교 양종사도 대선사, 유홍 (1524년), 육대춘, 윤백원, 윤번, 윤관, 윤임, 윤지임, 윤언이, 윤사로, 윤사분, 윤사흔, 윤안인, 윤원량, 윤원로, 윤원형, 파평 윤씨, 상진, 태릉, 태강릉, 순회세자, 수렴청정, 숙빈 윤씨, 숙정옹주 (중종), 옥중화, 어보, 어우동, 여인천하 (드라마), 여인천하 (소설), 역사스페셜, 역사저널 그날의 에피소드 목록, 허난설헌, 허자, 허엽, 풍란 (드라마), 사화, 선정릉, 서산 명종대왕 태실 및 비, 소혜왕후, 핼리 혜성, 한국 불교의 역사, 안순왕후, 하동부대부인, 신사임당, 신안 주씨, 심통원, 원각사지, 원경왕후, 홍수의 변, 황진이, 외척, 왕후, 1501년, 1563년, 1565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90 더) »

덕흥대원군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1530년 4월 2일 ~ 1559년 6월 14일)은 조선 중기의 왕자이며 조선 최초의 대원군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덕흥대원군 · 더보기 »

류경심

경심(柳景深, 1516년 ~ 1571년 6월)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류경심 · 더보기 »

류인숙

인숙(柳仁淑, 1485년 ~ 1545년)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학자, 사림파 정치인으로 자(字)는 원명, 호는 정수, 시호는 문정, 본관은 진주(晉州)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류인숙 · 더보기 »

마녀보감

《마녀보감》은 2016년 5월 13일부터 2016년 7월 16일까지 JTBC에서 방송된 금토 드라마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마녀보감 · 더보기 »

목첨

목첨(睦詹, 1515년 ~ 1593년 5월 21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목첨 · 더보기 »

목천 상씨

목천 상씨(木川 尙氏)는 충청남도 천안시 목천읍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목천 상씨 · 더보기 »

명성왕후

명성왕후 김씨(明聖王后 金氏, 1642년 6월 13일/음력 5월 17일 ~ 1684년 1월 21일/1683년 음력 12월 5일)는 조선의 제18대 국왕인 현종의 정비(正妃)이자 숙종의 어머니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명성왕후 · 더보기 »

문정왕후

문정왕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문정왕후 · 더보기 »

문정왕후 어보 반환

문정왕후(1501~1565)의 금보(왕실도장인 어보의 한 종류)가 2009년 당시 LA의 라크마 박물관에 전시중이었.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문정왕후 어보 반환 · 더보기 »

백인걸

휴암 백인걸 백인걸(白仁傑, 1497년 - 1579년 9월 29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이자 사림파 정치인이며 성리학자, 작가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백인걸 · 더보기 »

박승임

박승임(朴承任, 1517년 ~ 1586년)은 조선 명종, 선조 때의 문신, 학자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박승임 · 더보기 »

박정숙

박정숙(朴正淑, 1970년 2월 4일 ~)은 대한민국 MC 출신의 방송인 겸 연기자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박정숙 · 더보기 »

박지영 (1969년)

박지영(1969년 1월 25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박지영 (1969년) · 더보기 »

경빈 이씨

경빈 이씨(慶嬪 李氏, 1541년 ~ 1595년 음력 6월)는 조선 명종의 후궁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경빈 이씨 · 더보기 »

경현공주

경현공주(敬顯公主, 1530년 ~ 1584년)는 중종(中宗, 1488~1544, 재위 1506~1544)의 4녀이자 문정왕후 윤씨(文定王后 尹氏, 1501~1565) 소생으로, 명종의 친누나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경현공주 · 더보기 »

보우 (조선)

보우(普雨: 1515~1565)는 조선 명종 때의 승려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보우 (조선) · 더보기 »

공회빈 윤씨

공회빈 윤씨(恭懷嬪 尹氏, 1550년대? ~ 1592년 4월 14일/음력 3월 3일)는 조선의 왕족으로 순회세자의 빈이며 명종과 인순왕후의 며느리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공회빈 윤씨 · 더보기 »

봉은사

봉은사(奉恩寺)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수도산 기슭에 있는 사찰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봉은사 · 더보기 »

봉성군

봉성군(鳳城君, 1528년 ~ 1547년 음력 윤9월)은 조선의 왕족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봉성군 · 더보기 »

불암산

불암산(佛巖山)은 서울특별시 노원구와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에 걸쳐 있는 508m의 바위산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불암산 · 더보기 »

귀인 한씨

인 한씨(貴人 韓氏, 1500년 ~ 1575년 음력 3월)는 조선 중종의 후궁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귀인 한씨 · 더보기 »

김미숙

미숙(金美淑, 1959년 3월 26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김미숙 · 더보기 »

김민정 (1982년)

민정(1982년 7월 30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김민정 (1982년) · 더보기 »

김효원

저서 성암집의 일부 김효원(金孝元, 1542년 ~ 1590년)은 조선 중기의 학자이며 문신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김효원 · 더보기 »

김용림

용림(金容琳, 1940년 3월 3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김용림 · 더보기 »

김희 (조선)

희(金禧, ? ~ 1531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김안로의 아들이자 중종의 장녀 효혜공주의 남편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김희 (조선) · 더보기 »

김전

전(金詮, 1458년 ~ 1523년)은 조선 전기, 중기의 문신, 학자로 자는 중륜(仲倫), 호는 나헌(懶軒)·능인(能人), 시호는 충정공(忠貞公)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김전 · 더보기 »

김청

청(1962년 6월 1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김청 · 더보기 »

김혜자

혜자(金惠子, 1941년 9월 15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김혜자 · 더보기 »

김성일 (1538년)

성일 (金誠一, 1538년~1593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외교관, 학자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김성일 (1538년) · 더보기 »

김안로

안로(金安老, 1481년 ~ 1537년 10월 27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외척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김안로 · 더보기 »

대장금

《대장금》(大長今)은 장금의 생애를 조명한 2003년 9월 15일 ~ 2004년 3월 23일까지 방송된 문화방송의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대장금 · 더보기 »

대윤 소윤

윤(大尹)과 소윤(小尹)은 조선 중기 중종의 친인척을 가리키는 용어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대윤 소윤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이 문서는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 더보기 »

대왕대비

왕대비(大王大妃)는 전왕의 어머니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대왕대비 · 더보기 »

구사맹

사맹(具思孟, 1531년 ~ 1604년 음력 4월 1일)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구사맹 · 더보기 »

단성소

《단성현감사직소》(丹城縣監辭職疏), 줄여서 《단성소》(丹城疏)는 남명 조식이 1555년 11월 19일(양력 12월 2일)에 단성현감에 제수되자 이를 사직하면서 조선 명종에게 올린 상소문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단성소 · 더보기 »

효순공주

효순공주(孝順公主, 1522년 ~ 1538년)는 제11대 왕 중종(中宗, 1488~1544, 재위 1506~1544)의 3녀이자 문정왕후 윤씨(文定王后 尹氏, 1501~1565) 소생으로, 명종의 친누나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효순공주 · 더보기 »

효혜공주

효혜공주(孝惠公主, 1511년 6월 13일(음력 5월 18일) ~ 1531년 5월 6일(음력 4월 20일))는 조선 중기의 공주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효혜공주 · 더보기 »

장경왕후 (조선)

장경왕후 윤씨(章敬王后 尹氏, 1491년 8월 10일(음력 7월 6일) ~ 1515년 3월 16일(음력 3월 2일))는 조선 중종의 계비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장경왕후 (조선) · 더보기 »

장성 백양사 극락보전

장성 백양사 극락보전(長城 白羊寺 極樂寶殿)은 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 약수리, 백양사에 있는 건축물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장성 백양사 극락보전 · 더보기 »

임진왜란

임진왜란(壬辰倭亂)은 1592년(선조 25)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면서 시작되어 1598년(선조 31)까지 이어진 전쟁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임진왜란 · 더보기 »

희빈 장씨

희빈 장씨(禧嬪 張氏, 1659년 11월 3일 (음력 9월 19일) ~ 1701년 11월 7일 (음력 10월 8일)), 장희빈(張禧嬪) 또는 옥산부대빈 장씨(玉山府大嬪 張氏)는 조선의 제19대 왕 숙종의 빈(嬪)으로, 제20대 왕 경종(景宗)의 어머니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희빈 장씨 · 더보기 »

이량 (1519년)

이량(李樑, 1519년 11월 17일 ~ 1563년 3월 8일)은 조선 중기의 왕족이자 문신, 외척이었.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이량 (1519년) · 더보기 »

이덕희 (배우)

이덕희(李德姬, 1960년 1월 25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이덕희 (배우) · 더보기 »

이미지

이미지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이미지 · 더보기 »

이경록 (1543년)

이경록(李慶祿, 1543년 ~ 1599년)은 조선의 왕족 출신 무신이자 군인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이경록 (1543년) · 더보기 »

이광식 (1493년)

이광식(李光軾, 1493년(성종 23년) 11월 7일(음력 9월 29일) ~ 1563년(명종 18년) 12월 15일(음력 12월 1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무신, 군인, 정치인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이광식 (1493년) · 더보기 »

이기 (1476년)

이기(李芑, 1476년 10월 26일 ~ 1552년 4월 28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 권신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이기 (1476년) · 더보기 »

이이

이이(李珥, 1537년 1월 7일(1536년 음력 12월 26일) ~ 1584년 2월 27일(음력 1월 16일))는 조선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이이 · 더보기 »

이즙 (1503년)

이즙(李楫, 1503년 - 1580년)은 조선시대 중기의 왕족 출신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이즙 (1503년) · 더보기 »

이지방 (1466년)

이지방(李之芳, 1466년 10월 15일 - 1537년 12월 11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무신, 정치인, 군인이자 외교관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이지방 (1466년) · 더보기 »

이언적

이언적(李彦迪, 1491년 11월 25일 ~ 1553년 11월 23일)은 조선의 성리학자이자 정치가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이언적 · 더보기 »

이연수 (배우)

이연수(1970년 3월 7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이연수 (배우) · 더보기 »

인목왕후

인목왕후 김씨(仁穆王后 金氏, 1584년 12월 15일/음력 11월 14일 ~ 1632년 8월 13일/음력 6월 28일)는 조선 선조(宣祖)의 계비(繼妃, 임금이 다시 장가를 가서 맞은 아내)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인목왕후 · 더보기 »

인순공주

인순공주(仁順公主, 1542년 ~ 1545년)는 조선의 왕족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인순공주 · 더보기 »

인순왕후

인순왕후 심씨(仁順王后 沈氏, 1532년 6월 27일/음력 5월 25일 ~ 1575년 2월 12일/음력 1월 2일)는 조선의 제13대 국왕인 명종의 정비(正妃)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인순왕후 · 더보기 »

인성왕후

인성왕후 박씨(仁聖王后 朴氏, 1514년 10월 7일/음력 9월 20일 ~ 1578년 1월 6일/1577년 음력 11월 29일)는 조선 인종의 왕비이며 정식시호는 효순공의인성왕후(孝順恭懿仁聖王后)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인성왕후 · 더보기 »

의혜공주

의혜공주(懿惠公主, 1521년 ~ 1564년)은 조선중기의 공주로 제11대 왕 중종(中宗, 1488~1544, 재위 1506~1544)의 차녀이자 문정왕후 윤씨의 소생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의혜공주 · 더보기 »

을사사화

을사사화(乙巳士禍)는 1545년(명종 즉위년) 조선 왕실의 외척인 대윤(大尹)·소윤(小尹)의 반목으로 일어난 사림(士林)의 화옥(禍獄)으로 소윤이 대윤을 몰아낸 사건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을사사화 · 더보기 »

은해사

은해사(銀海寺)는 경상북도 영천시 청통면 치일리에 위치한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의 사찰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은해사 · 더보기 »

전인화

전인화(錢忍和, 1965년 10월 27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전인화 · 더보기 »

전설의 고향 - 2008년

1999년 이후 한동안 방송되지 않던 《전설의 고향》은 10여 년 만인 2008년 8월 6일 〈구미호〉편을 시작으로 한층 더 발전한 CG를 바탕으로 총 8편의 수목 미니시리즈 드라마 형식으로 KBS 2TV에서 방송되기 시작하였.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전설의 고향 - 2008년 · 더보기 »

정난정

정난정(鄭蘭貞, ? ~ 1565년 11월 13일)은 조선 중기의 외척이며 명종의 넷째 외삼촌이자 재상인 윤원형의 애첩이자 그의 둘째 부인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정난정 · 더보기 »

정희왕후

정희왕후 윤씨(貞熹王后 尹氏, 1418년 12월 8일 (음력 11월 11일) ~ 1483년 5월 6일 (음력 3월 30일))는 조선 세조의 왕비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정희왕후 · 더보기 »

정윤겸

정윤겸(鄭允謙, 1463년 ∼ 1536년)은 조선의 무신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정윤겸 · 더보기 »

정현왕후

정현왕후 윤씨(貞顯王后 尹氏, 1462년 7월 21일 (음력 6월 25일)~1530년 9월 13일 (음력 8월 22일)는 조선 성종(成宗)의 둘째계비이다. 시호는 자순화혜소의흠숙정현왕후(慈順和惠昭懿欽淑貞顯王后)이다. 자순대비(慈順大妃)로도 잘 알려져 있다. 영원부원군 평정공 윤호(鈴原府院君 平靖公 尹壕)와 연안부부인 전씨(延安府夫人 田氏)의 딸로, 본관은 파평(坡平)이다. 중종반정 시 중종을 왕으로 세우는 것을 승낙한 인물로 유명하다. 능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선정릉 내에 위치한 선릉(宣陵)으로, 남편 성종과 동원이강의 형태로 같이 묻혀 있다.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정현왕후 · 더보기 »

정언각

정언각(鄭彦慤, 1498년 ∼ 1556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정언각 · 더보기 »

조광조 (드라마)

《조광조》는 KBS2TV에서 1996년 1월 1일부터 1996년 6월 25일까지 방영되었던 드라마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조광조 (드라마)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명종

명종(明宗, 1534년 7월 3일 (음력 5월 22일)~ 1567년 8월 2일 (음력 6월 28일))은 조선의 제13대 임금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조선 명종 · 더보기 »

조선 인종

인종(仁宗, 1515년 3월 10일 (음력 2월 25일) ~ 1545년 8월 7일(음력 7월 1일))은 조선의 제12대 임금(재위 1544년 ~ 1545년)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조선 인종 · 더보기 »

조선 중종

중종(中宗, 1488년 4월 16일 (음력 3월 5일) ~ 1544년 11월 29일 (음력 11월 15일), 재위: 1506년~1544년)은 조선의 제11대 왕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조선 중종 · 더보기 »

조선 선조

선조(宣祖, 1552년 11월 26일 (음력 11월 11일) ~ 1608년 3월 16일 (음력 2월 1일))는 조선의 제14대 임금 (재위 1567년~1608년)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조선 선조 · 더보기 »

조선 성종

조선 성종(成宗, 1457년 8월 19일 (음력 7월 30일) ~ 1495년 1월 19일 (음력 1494년 12월 24일), 재위 1469년 ~ 1494년)은 조선의 제9대 왕이며 시인, 유학자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조선 성종 · 더보기 »

조선 세조

세조(世祖, 1417년 11월 2일 (음력 9월 24일) ~ 1468년 9월 23일 (음력 9월 8일), 재위 1455년~1468년)는 조선의 제7대 임금, 시인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조선 세조 · 더보기 »

조선의 불교

조선의 불교, 즉 조선 시대의 불교는 고려 말기의 불폐(佛弊)로 인해 조선 시대에는 억불숭유(抑佛崇儒) 정책이 강조되어 많은 법난을 겪었.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조선의 불교 · 더보기 »

조선의 역대 왕비

조선의 왕비와 대한제국의 황후(朝鮮의 王妃와 大韓帝國의 皇后)는 조선 시대 국왕이나 대한제국 황제의 정실 부인(正宮)으로서 중궁(中宮)의 자리에 있던 사람을 말. 흔히 중전(中殿, 중궁전의 준말)이라고 하며 이외에도 국모(國母), 내전(內殿), 곤전(坤殿), 곤위(壼位), 곤극(壼極), 성녀(聖女) 등의 여러 이칭이 있. 왕비의 자리에 오르는 것에는 여러가지 경우가 있었는데, 일반적으로는 국가에서 금혼령(禁婚令)을 내리고 간택 절차를 거쳐 세자빈에 책봉되면 훗날 세자인 남편이 왕위에 올라 자신도 왕비가 되는 것이었.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조선의 역대 왕비 · 더보기 »

조선의 역대 왕대비

조선의 왕대비(朝鮮의 王大妃)는 조선 시대 왕비의 지위(地位) 중 하나로서 일반적으로 임금의 어머니를 말. 흔히 대비(大妃, 왕대비의 준말)라고 하며 이외에도 국모(國母), 모후(母后), 자성(慈聖), 자전(慈殿), 자위(慈闈) 등의 여러 이칭이 있.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조선의 역대 왕대비 · 더보기 »

조선의 역사

조선의 역사는 크게 전기와 후기로 나뉘며, 전기를 다시 둘로 나눠 전기와 중기로 보아 전기-중기-후기로 보. 이때 전기-후기를 나누는 기준은 임진왜란이며, 전기-중기-후기를 나누는 기준은 전기와 중기는 중종반정, 중기와 후기는 임진왜란 또는 병자호란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조선의 역사 · 더보기 »

조선왕릉

조선왕릉(朝鮮王陵)은 조선의 역대 왕과 왕비, 추존왕들의 무덤을 총칭하는 말로, 일반적으로 1897년에 수립된 대한제국의 역대 황제와 황후의 무. 조선왕릉은 삼국 시대와 고려 시대의 왕릉 제도의 영향을 받았는데, 고구려의 호석(護石)제도는 신라와 고려를 거쳐 조선왕릉에 그대로 전해졌고, 조선왕릉의 전체적인 형태는 공민왕의 무덤인 현정릉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았.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조선왕릉 · 더보기 »

종묘

종묘(宗廟)는 조선 왕조의 역대 국왕들과 왕후들의 신주를 모시고 제례를 봉행하는 유교 사당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종묘 · 더보기 »

창빈 안씨

창빈 안씨(昌嬪 安氏, 1499년 ~ 1549년)는 중종의 후궁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창빈 안씨 · 더보기 »

창빈 안씨 묘역

창빈 안씨 묘역(昌嬪 安氏 墓域)은 조선 제11대 임금 중종(1488∼1544)의 후궁으로 선조(1552∼1608)의 할머니가 되는 창빈 안씨(昌嬪安氏, 1499∼1549)의 신도비와 묘소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창빈 안씨 묘역 · 더보기 »

천명: 조선판 도망자 이야기

《천명: 조선판 도망자 이야기》는 2013년 4월 24일부터 2013년 6월 27일까지 KBS 2TV에서 방영된 수목드라마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천명: 조선판 도망자 이야기 · 더보기 »

판선교 양종사도 대선사

선교 양종사도 대선사는 명종시절에 문정왕후가 불교를 중흥시킴에 도움을 받기 위해 만든 벼슬로, 승려 보우를 여기에 앉혔.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판선교 양종사도 대선사 · 더보기 »

유홍 (1524년)

유홍(兪泓, 1524년 ~ 1594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자는 지숙, 호는 송당, 시호는 충목, 본관은 기계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유홍 (1524년) · 더보기 »

육대춘

육대춘(陸大春)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육대춘 · 더보기 »

윤백원

윤백원(尹百源, 1528 - 1589)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윤백원 · 더보기 »

윤번

윤번(尹璠, 1384년~1448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며 세조의 국구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윤번 · 더보기 »

윤관

윤관(尹瓘, 미상 ~ 1111년 6월 15일 (음력 5월 8일))은 고려 중기의 문신·군인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윤관 · 더보기 »

윤임

윤임(尹任, 1487년 ~ 1545년 8월 30일) 조선시대 중기의 무신이자 인척.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윤임 · 더보기 »

윤지임

윤지임(尹之任, 1475년? - 1534년 4월 14일)은 조선 시대 외척인 인물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윤지임 · 더보기 »

윤언이

윤언이(尹彦頤, 1090년 ~ 1149년)는 고려시대의 문신으로 자는 원로(元老) 호는 금강거사(金剛居士), 시호는 문강(文康)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윤언이 · 더보기 »

윤사로

윤사로(尹師路, 1423년 ~ 1463년)는 조선전기의 문신, 외척으로, 세종의 서녀 정현옹주의 남편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윤사로 · 더보기 »

윤사분

윤사분(尹士昐, 1401년 ∼ 1471년)은 조선 초기의 외척으로 자는 계휘(繼輝), 시호는 이정(夷靖), 본관은 파평(坡平)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윤사분 · 더보기 »

윤사흔

윤사흔(尹士昕, 1422년 - 1485년)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며 외척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윤사흔 · 더보기 »

윤안인

윤안인(尹安仁, 1440년 - 1538년)은 조선시대의 문신이자 외척으로 관찰사와 참판을.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윤안인 · 더보기 »

윤원량

윤원량(尹元亮, 1495년 ~ 1569년)은 조선 중기의 척신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윤원량 · 더보기 »

윤원로

윤원로(尹元老, ? ~ 1547년)는 조선시대 중기의 무신이자 척신으로 본관은 파평(坡平)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윤원로 · 더보기 »

윤원형

윤원형(尹元衡, 1503년 ∼ 1565년 11월 18일)은 조선 중기의 외척이자 문신으로, 파산부원군 윤지임과 전성부대부인 전의 이씨(全城府夫人 全義李氏)의 넷째 아들이자 문정왕후의 남동생이며, 윤원량·윤원로의 동생이며 소윤(小尹)의 영수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윤원형 · 더보기 »

파평 윤씨

평 윤씨(坡平尹氏)는 경기도 파주시 파평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파평 윤씨 · 더보기 »

상진

상진(尙震, 1493년 ~ 1564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상진 · 더보기 »

태릉

릉은 중국과 한국의 왕릉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태릉 · 더보기 »

태강릉

릉(泰陵)은 문정왕후 윤씨(文定王后 尹氏)의 능이고, 강릉(康陵)은 명종과 그의 비 인순왕후 심씨의 능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태강릉 · 더보기 »

순회세자

순회세자 이부(順懷世子 李暊, 1551년 7월 1일/음력 5월 28일 ~ 1563년 10월 6일/음력 9월 20일)는 조선 명종과 인순왕후의 외아들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순회세자 · 더보기 »

수렴청정

수렴청정(垂簾聽政)은 동아시아에서 나이 어린 왕이 즉위했을 때 왕의 어머니나 할머니, 또는 큰어머니(적모, 백모)나 작은어머니(숙모)가 대리로 정치를 맡는 일을 말한다(→섭정).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수렴청정 · 더보기 »

숙빈 윤씨

숙빈 윤씨(淑嬪 尹氏, ? ~ 1595년 이후)는 조선 인종의 후궁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숙빈 윤씨 · 더보기 »

숙정옹주 (중종)

숙정옹주(淑靜翁主, 1525년 ~ 1564년)는 조선의 왕족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숙정옹주 (중종) · 더보기 »

옥중화

《옥중화》는 2016년 4월 30일부터 2016년 11월 6일까지 방영된 창사 55주년 특별기획 드라마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옥중화 · 더보기 »

어보

쪽.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어보 · 더보기 »

어우동

어우동(朴於宇同, 1430년경(?) ~ 1480년 10월 18일)은 조선전기의 왕족이자 시인, 서예가, 작가, 기생, 무희였.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어우동 · 더보기 »

여인천하 (드라마)

《여인천하》(女人天下)는 월탄 박종화의 역사소설 《여인천하》를 원작으로 삼아 SBS에서 방영한 대하사극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여인천하 (드라마) · 더보기 »

여인천하 (소설)

여인천하(女人天下)는 월탄 박종화의 1959년작 역사소설로 중종시대를 배경으.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여인천하 (소설) · 더보기 »

역사스페셜

《역사스페셜》은 한국 역사에 관한 KBS의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역사스페셜 · 더보기 »

역사저널 그날의 에피소드 목록

아래는 KBS 1TV 《역사저널 그날》의 방영 목록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역사저널 그날의 에피소드 목록 · 더보기 »

허난설헌

설헌(許蘭雪軒, 1563년 ~ 1589년 3월 19일)은 조선 중기의 시인, 작가, 화가,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허난설헌 · 더보기 »

허자

자의 글씨 허자(許磁, 1496년 음력 윤 3월 13일 ~ 1551년 3월 14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 작가, 정치인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허자 · 더보기 »

허엽

엽(許曄, 1517년 12월 29일 ~ 1580년 2월 4일)은 조선중기의 문신, 성리학자로, 자는 태휘(太輝), 호는 초당(草堂), 본관은 양천(陽川)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허엽 · 더보기 »

풍란 (드라마)

《풍란》은 MBC 정통 사극 조선왕조 오백년 시리즈의 네 번째 작품으로, 1985년 3월 11일부터 10월 8일까지 방영되었.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풍란 (드라마) · 더보기 »

사화

사화(士禍)는 선비들이 정치적 반대파에게 화를 입는 일을 가리키며, 한국사에서는 특히 조선 중기에 사림 세력이 화를 당한 연산군 때부터 명종 즉위년까지 발생한 4차례의 옥사를 말. 이들 사화는 1498년(연산군 4년)의 무오사화, 1504년(연산군 10년)의 갑자사화, 1519년(중종 14년)의 기묘사화, 1545년(명종 즉위년)의 을사사화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를 ‘4대 사화’라고 부른.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사화 · 더보기 »

선정릉

선정릉(宣靖陵, 사적 199호)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있는 조선 왕릉으로 세 개의 능이 있다고 하여 삼릉공원이라고도 불린.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선정릉 · 더보기 »

서산 명종대왕 태실 및 비

서산 명종대왕 태실 및 비(瑞山 明宗大王 胎室 및 碑)는 충청남도 서산시에 있는, 조선 제 13대 왕인 명종의 태를 묻었던 곳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서산 명종대왕 태실 및 비 · 더보기 »

소혜왕후

소혜왕후 한씨(昭惠王后 韓氏, 1437년 10월 7일(음력 9월 8일) ~ 1504년 5월 11일(음력 4월 27일)는 조선 초기의 세자빈이자 덕종(德宗, 추존왕)의 왕비이며 시호는 인수자숙휘숙명의소혜왕후(仁粹慈淑徽肅明懿昭惠王后)이다. 1450년(문종 즉위년)에 수양대군의 큰아들인 도원군(의경세자, 덕종)과 혼인하여 군부인에 봉작되었으며, 1455년(세조 즉위년)에 시아버지 수양대군이 왕위로 즉위하여 자신은 맏며느리로서 세자빈이 되어 궁궐에 들어갔으나, 1457년(세조 3년)에 남편 의경세자가 20세의 나이로 갑자기 죽어 사가로 물러났다. 그러나 1469년에 자신의 둘째 아들인 자을산군(성종)이 왕위에 등극하고, 자신도 궁궐에 다시 들어가 곧 왕비로 진봉되었다가 1475년(성종 6년) 왕대비에 올라 인수대비(仁粹大妃)가 되었다. 의정부좌의정을 지낸 서원부원군 양절공 한확(西城府院君 襄節公 韓確)과 남양부부인 홍씨(南陽府夫人 洪氏) 여섯째 딸로, 본관은 청주(淸州)이다. 당시 여성으로서는 드물게 한문과 유교 경전에 능통하여 《열녀》,《여교》,《명감》,《소학》등에서 발췌하여 엮어 《내훈》(內訓)을 편찬하였다. 내훈은 조선시대 사대부 여인들의 수신서이자 당시 여성교육의 기본서가 되었다. 또한 그녀는 불교 옹호론자로 불교 억압 정책에 강력히 반발하였으며, 이 때문에 당시 조정의 신하들과 4차례의 격한 논쟁을 벌였는데 대표적인 것이 금승법(禁僧法) 과 그녀가 추진한 봉선사 금자경 간행 작업이다. 그녀는 연산군의 할머니로도 유명한데, 며느리이자 연산군의 생모가 되는 윤씨가 왕비 시절 성종의 얼굴을 할퀴는 사건으로 내쫓기고 사사되는 데에는 거의 전적으로 그녀의 의지로 단행되었기 때문이다. 1504년(연산군 10년) 봄에 연산군은 생모인 폐비 윤씨를 제헌왕후(齊獻王后)로 추숭했다. 이 과정에서 윤씨를 폐비하고 사사하는 데 개입한 수많은 사람들을 죽이고 추방했는데, 인수대비는 당사자가 되므로 손자인 연산군과 갈등을 빚었다. 능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에 위치한 경릉(敬陵)이다.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소혜왕후 · 더보기 »

핼리 혜성

1986년의 핼리 혜성 핼리 혜성(공식 명칭은 1P/Halley)은 그 주기와 다음 접근 시기를 예측한 에드먼드 핼리의 이름을 딴 혜성으로, 약 75~76년을 주기로 지구에 접근하는 단주기 혜성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핼리 혜성 · 더보기 »

한국 불교의 역사

국 불교의 역사 또는 한국 불교사는 한국에서 전개된 불교의 역사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한국 불교의 역사 · 더보기 »

안순왕후

안순왕후 한씨(安順王后 韓氏, 1445년? 음력 3월 12일 ~ 1499년 2월 3일(1498년 음력 12월 23일)는 조선 예종의 계비이다. 시호는 인혜명의소휘제숙안순왕후(仁惠明懿昭徽齊淑安順王后)이다. 청천부원군 양혜공 한백륜(淸川府院君 襄惠公 韓伯倫)과 서하부부인 임씨(西河府夫人 任氏)의 딸로, 본관은 청주(淸州)이다. 성종 즉위 초 그와 성종의 생모 소혜왕후와의 서열을 놓고 갈등이 있었다.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안순왕후 · 더보기 »

하동부대부인

동부대부인 정씨(河東府大夫人 鄭氏, 1522년 9월 23일 - 1567년 6월 24일)는 조선 중기의 왕족으로 정인지의 후손이며 조선 제14대 선조의 사친이자 덕흥대원군의 부인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하동부대부인 · 더보기 »

신사임당

신사임당(申師任堂, 1504년 12월 5일(음력 10월 29일) ~ 1551년 6월 20일(음력 5월 17일)) 또는 신사임(申師任), 사임당 신씨(師任堂申氏)는 조선 시대 중기의 문인이자 유학자, 화가, 작가, 시인이었.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신사임당 · 더보기 »

신안 주씨

신안 주씨(新安 朱氏) 또는 능성 주씨(綾城 朱氏)는 중국에서 유래한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신안 주씨 · 더보기 »

심통원

심통원(沈通源, 1499년 ~ 1572년 7월 8일)은 조선 중기의 권신, 척신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심통원 · 더보기 »

원각사지

원각사지(圓覺寺址)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탑골공원 안에 있던 절의 터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원각사지 · 더보기 »

원경왕후

원경왕후 민씨(元敬王后 閔氏, 1365년 7월 29일 (음력 7월 11일) ~ 1420년 8월 18일 (음력 7월 10일))는 조선 태종(太宗)의 왕비이자 조선 세종대왕(世宗大王)의 모후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원경왕후 · 더보기 »

홍수의 변

홍수의 변(紅袖之變)은 조선 숙종 1년, 인조의 셋째 아들 인평대군의 아들인 종친 복창군과 복평군이 궁녀와 간통하여 자식을 보았다는 청풍부원군 김우명의 거짓 고발로 발발한 사건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홍수의 변 · 더보기 »

황진이

황진이(黃眞伊, 1506년? ~ 1567년?)는 조선 중기의 시인, 기녀, 작가, 서예가, 음악가, 무희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황진이 · 더보기 »

외척

외척(外戚)은 어머니 쪽의 친척을 이르는 말로 동양에서는 역사적으로 왕후, 황후 혹은 후궁의 친정사람들을 이르는 말로 쓰였.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외척 · 더보기 »

왕후

왕후(王后, Queen consort)는 한자 문화권 국가의 제왕(帝王)의 적배(嫡配)의 작위 중 하나이.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왕후 · 더보기 »

150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1501년 · 더보기 »

156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1563년 · 더보기 »

156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문정왕후 (조선)와 1565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문정 왕후, 문정왕후 (조선 중종), 문정왕후 윤씨, 성렬대비.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