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471 처지: 도 평의회, 도농복합시, 도상록, 독도 분쟁, 독은기, 동양척식주식회사, 리공순, 리두균, 리승엽, 리세균, 매일신보, 맥아더 포고령, 맹건호, 맹종호, 맹형규, 모윤숙, 문명호 (1896년), 문제안, 문정창, 미소공동위원회, 민족자주연맹, 민주주의민족전선, 방재순, 방준표, 방순원, 방한준, 배철, 백건우, 백낙준, 백인제, 백윤화, 백영권, 백선엽, 백학면, 개풍군, 발산초등학교, 개성특급시, 반민족행위처벌법, 반기독교운동, 박동균 (1919년), 강동정치학원, 박명재, 강명옥, 강문봉, 강문석 (1906년), 박문웅 (1890년), 박경훈 (1900년), 박범집, 박노태, 강용옥 (1918년), ...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421 더) »
도 평의회
평의회(道評議會) 또는 도회(道會)는 일제 강점기 조선의 13도에 설치된 최초의 광역 의회였.
보다 미 군정와 도 평의회
도농복합시
농복합시(都農複合市) 또는 도농통합시(都農統合市)란 도시(동) 지역과 농촌(읍, 면) 지역이 통합된 형태의 시를 말. 대한민국에서는 1995년 지방자치제의 시행으로 인해 시(市)와 주변 군(郡) 통합하면서 많은 도농복합시가 탄생하였.
보다 미 군정와 도농복합시
도상록
상록(都相祿, 1903년 10월 13일 ~ 1990년 2월 13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물리학자이.
보다 미 군정와 도상록
독도 분쟁
독도 분쟁이란, 독도를 실효 지배하고 있는 대한민국에 대해 그렇지 못한 일본이 그 영유권을 주장하면서 발생한 영토 분쟁을 말. 대한민국은 공식적으로 영토 분쟁은 없으며, 분쟁이란 단어는 적합하지 않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
보다 미 군정와 독도 분쟁
독은기
독은기(獨銀麒, 본명: 김춘득 (金春得), 일본식 이름: 光成健)는 한국의 영화 배우이.
보다 미 군정와 독은기
동양척식주식회사
동양척식주식회사(동양척식, Oriental Development Company)은 1908년 12월 18일에 설립된 일본의 기업으로, 일본 제국이 조선의 경제 독점과 토지·자원의 수탈을 목적으로 세운 국책회사이.
리공순
리공순(1934년 12월 3일 ~)은 대한민국의 비전향 장기수이.
보다 미 군정와 리공순
리두균
리두균(1926년 4월 2일 ~ 2012년 8월 31일)은 대한민국의 비전향 장기수이.
보다 미 군정와 리두균
리승엽
리승엽(李承燁, 1905년 2월 8일 ~ 1954년 7월 30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가이.
보다 미 군정와 리승엽
리세균
리세균(1922년 1월 15일 ~ 2013년 8월 1일)은 대한민국의 비전향 장기수이.
보다 미 군정와 리세균
매일신보
1910년 8월 30일자 매일신보 창간호. 1945년 8월 15일자 매일신보 《매일신보》(每日申報, 每日新報)는 일제 강점기 동안 발행된 조선총독부의 기관지이.
보다 미 군정와 매일신보
맥아더 포고령
맥아더 포고령 혹은 맥아더 포고령 제1호는 1945년 9월, 미군이 한반도에 입성했을때 발표한 통치에 대한 포고문이.
맹건호
맹건호(孟健鎬, 일본식 이름: 武內健三, 1893년 ~ ?)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교육인이.
보다 미 군정와 맹건호
맹종호
맹종호(孟鍾鎬, 1911년 8월 10일 ~ ?)는 일제 강점기의 사회주의 계열 운동가로, 남로당의 간부였.
보다 미 군정와 맹종호
맹형규
맹형규(孟亨奎, 1946년 8월 9일 ~)는 대한민국의 정치가이.
보다 미 군정와 맹형규
모윤숙
모윤숙(毛允淑, 1910년 3월 5일 ~ 1990년 6월 7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시인이며 수필가이.
보다 미 군정와 모윤숙
문명호 (1896년)
문명호(文命浩, 일본식 이름: 文原武, 1896년 ~ ?)는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문제안
문제안(文濟安, 1920년 ~ 2012년 6월 17일)은 대한민국의 언론인이.
보다 미 군정와 문제안
문정창
문정창(文定昌, 일본식 이름: 文山定昌, 1899년, 부산 ~ 1980년)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대한민국의 재야 역사학자이.
보다 미 군정와 문정창
미소공동위원회
미소공동위원회(美蘇共同委員會, US-Soviet Joint Commission)는 1946년 3월 20일부터 1947년 10월 21일까지 한반도의 임시정부 수립을 지원하기 위해 미국과 소련이 개최한 회의이.
민족자주연맹
민국의 시계열적 정당 지도 민족자주연맹(民族自主聯盟, Federation Korean National Independence, KNI)은 1947년 12월 20일 김규식 등에 의해서 창당, 발족된 대한민국의 정당이.
보다 미 군정와 민족자주연맹
민주주의민족전선
민주주의민족전선(民主主義民族戰線)은 미군정 시기에 서울에서 결성된 좌파 계열의 연합 단체이.
방재순
방재순(1917년 2월 25일 ~)은 대한민국의 비전향 장기수이.
보다 미 군정와 방재순
방준표
방준표(方俊杓, 1906년 ~ 1954년 1월 31일)는 일제 강점기와 미군정 시기의 사회주의 운동가이며 한국 전쟁 중에는 유격전을 지휘.
보다 미 군정와 방준표
방순원
방순원(方順元, 일본식 이름: 方山順元, 1914년 1월 2일 ~ 2004년 10월 21일)은 일제 강점기부터 활동한 대한민국의 법조인이.
보다 미 군정와 방순원
방한준
방한준(方漢駿, 1906년 3월 6일 ~ 1950년 8월 27일)은 한국의 영화 감독이.
보다 미 군정와 방한준
배철
배철(裵哲, 1912년 ~ 1953년?)는 한국의 사회주의 계열 독립 운동가로, 남로당의 간부였.
보다 미 군정와 배철
백건우
백건우(白建宇, 1946년 5월 10일 ~)는 재불(在佛) 대한민국의 피아니스트이.
보다 미 군정와 백건우
백낙준
백낙준(白樂濬, 1895년 3월 9일 ~ 1985년 1월 13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교육자, 국문학자이자 한글학자, 기독교사학자, 정치가이.
보다 미 군정와 백낙준
백인제
백인제(白麟濟, 1898년 1월 28일 ~ ?)는 대한민국의 외과의사이며, 백병원의 설립자이.
보다 미 군정와 백인제
백윤화
백윤화(白允和, 일본식 이름: 白川允和, 1893년 5월 11일 ~ 1956년 10월 17일)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친일파 법조인이.
보다 미 군정와 백윤화
백영권
백영권(白濙權)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건국 초기의 경찰이.
보다 미 군정와 백영권
백선엽
thumb 백선엽(白善燁, 일본식 창씨명: 시라카와 요시노리(白川義則), 1920년 11월 23일 ~)은 일제강점기 만주국의 간도특설대 군인 장교이자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 외교관, 기업인, 교육인이며 사회운동가이.
보다 미 군정와 백선엽
백학면
백학면(百鶴面)은 대한민국 경기도 연천군의 면으로 군의 서남쪽에 있. 21개 법정리 중 11개리는 비무장지대와 군사분계선 북쪽에 위치하고 있. 15 km의 휴전선과 임진강을 접하는 전형적인 농촌 지역으로, 면 전체 가구의 4분의 1 정도가 민간인출입통제구역에 출입하며 농사를 짓고 있.
보다 미 군정와 백학면
개풍군
풍군(開豊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북도의 군이.
보다 미 군정와 개풍군
발산초등학교
발산초등학교(鉢山初等學校)는 전라북도 군산시 개정면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
보다 미 군정와 발산초등학교
개성특급시
성특급시(開城特級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북도의 남부에 있는 도시이.
보다 미 군정와 개성특급시
반민족행위처벌법
반민특위 활동 보도 기사 (1949년 1월 11일자 조선일보 보도) 반민족행위처벌법(反民族行爲處罰法)은 일제강점기 때 일본에 협력하며 반민족적 행위로 민족에게 해를 끼친 자를 처벌하기 위하여 제정한 법률이.
반기독교운동
반기독교운동(反基督敎運動) 또는 안티 기독교 운동은 시민운동의 하나로, 기독교에 반대하는 시민사회운동이.
보다 미 군정와 반기독교운동
박동균 (1919년)
박동균(朴東均, 1919년 1월 29일 ~)은 만주국과 대한민국의 군인이며, 예편 후에는 기업인으로도 활동.
강동정치학원
강동정치학원(江東政治學院)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있던 공작원 양성 기관이.
보다 미 군정와 강동정치학원
박명재
박명재(朴明在, 1947년 7월 5일 ~)는 대한민국의 정치가이.
보다 미 군정와 박명재
강명옥
강명옥(康明玉, 1910년 3월 1일 제주 ~ 1965년 1월 3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관료이.
보다 미 군정와 강명옥
강문봉
강문봉(姜文奉, 1923년 10월 26일 ~ 1988년 2월 26일)은 대한민국의 군인, 외교관, 정치가이며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중장이.
보다 미 군정와 강문봉
강문석 (1906년)
강문석(姜文錫, 1906년~1955년)은 일제 강점기부터 활동한 한국의 사회주의 운동가이.
박문웅 (1890년)
박문웅 박문웅(朴文雄, 일본명:朴忠文雄 호추 후미오, 1890년 12월 7일 ~ 1959년 8월 14일)은 일제 강점기 조선총독부의 관료이.
박경훈 (1900년)
박경훈(朴景勳, 1909년 10월20일 ~ 1973년3월 5일)은 일제 강점기의 은행원, 기업인이자 대한민국의 기업인, 정치이, 언론인이.
박범집
박범집(朴範集, 일본식 이름: 東林益範 도하야시 에키모토, 1917년 ~ 1950년 11월 12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이.
보다 미 군정와 박범집
박노태
박노태(朴魯泰, 일본식 이름: 大井茂生 또는 大井魯泰, 1897년 ~ ?)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대한민국의 기업인이.
보다 미 군정와 박노태
강용옥 (1918년)
강용옥(康龍玉, 일본식 이름: 永島望, 1918년 9월 23일 ~ ?)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대한민국의 공무원이.
박승관 (1912년)
박승관(朴承琯, 1912년 ~ ?)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경찰이.
박승준 (1896년)
박승준(朴承俊, 1896년 8월 13일 ~ 1967년 7월 24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법조인이.
박흥식 (1903년)
박흥식(朴興植, 1903년 9월 26일 ~ 1994년 5월 10일)은 일제 강점기의 대표적인 기업인이.
박이순 (1905년)
박이순(朴彛淳, 일본식 이름: 新井彛淳(신이 이준) 또는 新居 廣(신쿄 히로시), 1905년 7월 18일 ~ ?)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대한민국의 법조인이.
박인덕
박인덕(朴仁德, 일본식 이름: 永河仁德, 1896년 9월 24일 ~ 1980년 4월 3일)은 한국의 여성주의 운동가, 초등, 중학교 교사이자 대학 교수이고, 사상가, 언론인, 작가이며 사회사업가이.
보다 미 군정와 박인덕
강제 해산
강제해산(強制解散)은 모인 사람, 조직, 단체를 그 의사와는 상관없이 강제로 흩어지게 하거나 없애는 일이.
보다 미 군정와 강제 해산
박종근 (1920년)
박종근(1920년 ~ 1952년 2월 17일)은 일제 강점기와 미군정 시기의 사회주의 운동가이며 한국 전쟁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군인으로 참전.
강중인
강중인(姜仲仁, 일본식 이름: 德田仲仁, 1908년 ~ ?)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건국 초기의 법조인이.
보다 미 군정와 강중인
박중양
박중양(朴重陽, 일본식 이름: 朴忠重陽 호추 시게요, 1872년 5월 3일 ~ 1959년 4월 23일)은 일본과 대한제국의 관료, 외교관이며, 일제시대의 관료, 사상가이.
보다 미 군정와 박중양
박진목
박진목(朴進穆, 1918년 8월 ~ 2010년 7월 13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언론인, 통일운동가이.
보다 미 군정와 박진목
강창희 (1894년)
강창희(姜昌熙, 1894년 12월 6일 ~ 1976년)는 일제 강점기부터 활동한 대한민국의 기업가이.
박창암
박창암(朴蒼巖, 1923년 5월 15일 ~ 2003년 11월 10일)은 만주군 간도특설대 하사관 출신의 대한민국 육군 군인·정치가·역사가·언론인·저술가이.
보다 미 군정와 박창암
박춘식 (1921년)
박춘식(朴春植, 1921년 3월 20일 ~)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이며 관료이.
박영발
박영발(朴榮發, 1913년 ~ 1954년)은 일제 강점기와 미군정 시기의 사회주의 운동가이며 한국 전쟁 중에는 유격전을 지휘.
보다 미 군정와 박영발
박오창
박오창(朴午昌, ? - ?)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자 미군정기의 관료이.
보다 미 군정와 박오창
강호 (1908년)
강호(姜湖, 1908년 8월 6일 ~ 1984년 7월 3일)는 일제 강점기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예술인이.
박헌영
박헌영(朴憲永, 1900년 5월 28일? 충청남도 예산 ~ 1956년 12월 5일?)은 조선의 공산주의 독립운동가, 언론인, 노동운동.
보다 미 군정와 박헌영
박석윤
박석윤(朴錫胤, 1898년 10월 26일 ~ 1950년 10월 20일)은 일제 강점기의 언론인 겸 공작원이자 만주국 관료로, 만주에서 활동했던 일본 제국의 정보, 첩보공작 조직인 민생단을 조직한 것으로 유명.
보다 미 군정와 박석윤
강해승
강해승(姜海昇, 1896년 ~ 1958년)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자, 미군정기와 대한민국 초기의 공무원이었.
보다 미 군정와 강해승
박암 (1905년)
박암(朴巖, 1905년 10월 10일 ~ ?)은 일제 강점기에 만주국 관리를 지낸 대한민국의 공무원이.
박원석 (1923년)
박원석(朴元錫, 일본식 이름: 德田元敎 도쿠타 모토쿄, 1923년 3월 27일 ~ 2015년 11월 30일)은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가, 기업가이.
가평군
평군(加平郡)은 대한민국 경기도 동북부에 있는 군이.
보다 미 군정와 가평군
건국준비위원회
국준비위원회의 깃발 건국준비위원회(建國準備委員會)는 1945년 8월 15일부터 9월 7일까지 한국의 군정기에 여운형, 안재홍 등을 주축으로 일본으로부터 행정권(총독부에 5개 항을 요구하며, 치안권 요구)을 인수받기 위하여 만든 조직이.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보다 미 군정와 경기도
경향신문
1982년의 경향신문사 건물.당시 문화방송과 공동으로 사용하였다. 《경향신문》(京鄕新聞)은 대한민국에서 발매하는 일간 조간 신문이.
보다 미 군정와 경향신문
경성방송국
경성방송국(京城放送局)은 대한민국 최초의 무선 방송을 시작했던 방송국으로 현재의 한국방송공사의 전신이.
보다 미 군정와 경성방송국
고광만
광만(高光萬, 일본식 이름: 高峰啓光, 1904년 ~ ?)은 제3공화국 문교부장관과 부산대학교 총장을 지낸 대한민국의 교육인이.
보다 미 군정와 고광만
고황경
황경(高凰京, 1909년 3월 6일 ~ 2000년 11월 2일)은 한국의 사회학자이며 대학교수이.
보다 미 군정와 고황경
계정식
정식(桂貞植, 1904년 ~ 1974년 10월 3일)은 한국의 바이올리니스트이.
보다 미 군정와 계정식
변기종
변기종(卞基鍾, 1895년 7월 29일 ~ 1977년 5월 1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배우이.
보다 미 군정와 변기종
변기엽
변기엽(邊基燁, 일본식 이름: 原邊基燁, 1913년 12월 20일 ~ ?)은 일제 강점기부터 활동한 대한민국의 법조인이.
보다 미 군정와 변기엽
북위 38도
북위 38도(北緯三十八度)는 적도를 기준으로 북쪽으로 38도를 지나는 위선이.
보다 미 군정와 북위 38도
권동진
이승만 귀국환영식에 참석(맨 오른쪽 테이블에 선 이가 권동진) 권동진(權東鎭, 1861년 12월 15일 ~ 1947년 3월 9일)는 조선 말기의 무신, 군인이며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며 정치인이.
보다 미 군정와 권동진
권태술
술(權泰述, 일본식 이름: 安東正祐, 1903년 ~ ?)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대한민국 건국 초기의 공무원이.
보다 미 군정와 권태술
부군면협의회
부군면협의회(府郡面協議會)는 일제 강점기의 지방 의회로 기초 의회였.
보다 미 군정와 부군면협의회
부사관
부사관(副士官)은 군대내 장교와 병 중간의 신분으로 병을 통솔, 전문적인 기술 및 지식을 견비한 간부, 즉 직업 군인이다.
보다 미 군정와 부사관
부완혁
부완혁(夫琓爀, 일본식 이름: 大山丈夫, 1919년 ~ 1984년 12월 31일)은 대한민국의 관료, 언론인, 기업인이.
보다 미 군정와 부완혁
귀속농지불하
속농지불하란, 해방 후 미군정청이 실시한 일본인 소유의 농지분배를 말.
보다 미 군정와 귀속농지불하
기독교 근본주의
독교 근본주의()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부터 영국과 미국의 보수적 복음주의 신학자들이 자유주의 신학에 반대하면서 주창한 기독교 신학사조를 말. 최근에는 이슬람 근본주의처럼 신학이나 종교에서 전통적 교리를 고수하며 다른 종교는 물론 개혁적인 변화에 반대하는 사조를 나타내는 말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
김동인
동인(金東仁, 일본식 이름: 東 文仁 히가시 후미히토 / 金東文仁 가네히가시 후미히토, 1900년 10월 2일 ~ 1951년 1월 5일)은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친일 문학가이자 대한민국의 소설가, 문학평론가, 시인, 언론인이.
보다 미 군정와 김동인
김동진 (1902년)
동진(金東進, 일본식 이름: 金本東進, 1902년 ~ ?)은 일제 강점기에 주로 활동한 언론인이며 친일 공산주의 운동가이.
김동선 (1905년)
동선(金東善, 일본식 이름: 松岡義明, 1905년 1월 5일 ~ ?)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대한민국의 행정공무원이.
김동성 (1890년)
동성(金東成, 1890년 4월 25일 개성 ~ 1969년 8월 18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언론인·만화가이.
김동원 (1884년)
동원(金東元, 일본식 이름: 金岡東元 가네오카 히가시모토, 1884년 2월 1일 ~ 1951년 3월 20일)은 구한말기 애국계몽운동가, 일제강점기 교육인, 사업가이자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김문희 (제주도)
문희(金水+文熙, 1886년 4월 28일 - ?)는 대한제국 말기의 문신이자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공무원이.
김백일
경상남도 거제도 포로수용소의 김백일 동상 경상남도 거제도 포로수용소의 김백일 동상 김백일(金白一, 1917년 1월 30일 ~ 1951년 3월 28일)은 만주국과 대한민국의 군인이.
보다 미 군정와 김백일
김법린
법린(金法麟, 1899년 9월 27일(음력 8월 23일) ~ 1964년 3월 14일)은 일제 강점기의 승려이자 독립운동가, 대한민국의 정무직 공무원이었.
보다 미 군정와 김법린
김복진
복진(金復鎭, 1901년 ~ 1940년 8월 18일)은 일제 강점기의 조각가이며, 사회주의 계파의 진보 성향 문예운동을 이끈 지도자였.
보다 미 군정와 김복진
김붕준
1945년 12월 3일. 임시정부요인 귀국기념 사진.두 번째 줄 오른쪽에 있는 이가 성주식 이시영, 차이석두 번째 줄 맨 왼쪽 성주식, 오른쪽 김붕준맨 뒷줄 왼쪽부터 조성환, 조소앙, 이청천, 이범석, 이름 미상 1947년 12월, 좌우합작위원회 해단식.
보다 미 군정와 김붕준
김규식
식(金奎植, 1881년 2월 28일 ~ 1950년 12월 10일)은 대한제국의 종교가, 교육자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 운동가, 통일운동가, 정치가, 학자, 시인, 사회운동가, 교육자였다 언더우드 선교사의 비서, 경신학교의 교수와 학감 등을 지내고 미국에 유학하였.
보다 미 군정와 김규식
김대우 (1900년)
우(金大羽, 1900년 7월 10일 ~ 1976년 4월 22일)는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출신 관료로, 평안남도 강동군 출신이며 본적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동이.
김구
(金九, 1876년 8월 29일 ~ 1949년 6월 26일)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종교인, 교육자, 통일운동가, 정치인이.
보다 미 군정와 김구
김두한
(金斗漢, 1918년 5월 15일 ~ 1972년 11월 21일)은 일제강점기 조선의 건달이자, 대한민국의 정치가이며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상사이.
보다 미 군정와 김두한
김남천
(金南天, 1911년 3월 16일 ~ 1953년 8월?)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소설가 겸 문학평론가이며 아명(兒名)은 김효식(金孝植)이.
보다 미 군정와 김남천
김남식 (1925년)
식(金南植, 1925년 ~ 2005년 1월 7일)은 대한민국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전문가이며 통일 운동가이.
김용무
용무(金用茂, 1891년 ~ ?)는 대한민국의 법조인, 정치인이.
보다 미 군정와 김용무
김용식 (법조인)
용식(金龍式, 1896년 ~ 1963년 5월 18일)은 대한민국의 법조인이.
김장섭 (정치인)
장섭(金長涉, 일본식 이름: 金山長涉 또는 金山博信, 1910년 8월 17일 ~ 1993년 12월 21일, 경북 포항)은 일제 강점기부터 활동한 법조인이며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김익렬
익렬(金益烈, 1921년 ~ 1988년)은 대한민국의 군인이.
보다 미 군정와 김익렬
김익진 (1930년)
익진(1930년 7월 13일 ~ 2008년 7월 8일)은 대한민국의 비전향 장기수이.
김정배 (1902년)
정배(金政培, 1902년 7월 22일 ~ ?)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관료이.
김정호 (1909년)
정호(金正晧, 1909년 1월 19일 ~ ?)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으로,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김종대 (목회자)
종대(金鍾大, 일본식 이름: 金子鍾大, 1909년 ~ 1989년)는 한국의 장로교 목사이.
김종석 (1918년)
종석(金鍾碩, 일본식 이름: 日原正人 니치하라 마사히토, 1918년 ~ 1949년?)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건국 초기의 군인이.
김준연
준연(金俊淵, 1895년 3월 14일 ∼ 1971년 12월 31일)은 일제 강점기의 언론인이자 독립운동가였고, 대한민국의 정치가이.
보다 미 군정와 김준연
김지회
회(金智會, ? ~ 1949년 4월 9일)는 대한민국 건국 초기의 육군 장교로 여순 14연대 반란사건의 주동자이.
보다 미 군정와 김지회
김지환 (1892년)
환(金智煥, 1892년 2월 22일 ~ 1972년 4월 9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
김창영 (1890년)
창영(金昌永, 일본식 이름: 金光昌永, 1890년 10월 ~ 1967년 4월 2일)은 일제 강점기의 교육자이자 일제 강점기와 군정기의 관료 겸 경찰 간부이.
김윤근 (법조인)
윤근(金潤根, 일본식 이름: 金村潤根, 1909년 1월 26일 ~ 1996년 10월은26일) 일제 강점기부터 활동한 대한민국의 법조인이.
김상용 (시인)
상용(金尙鎔, 1902년 9월 28일(음력 8월 27일) ~ 1951년 6월 22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시인이.
김생려
생려(金生麗, 일본식 이름: 金山生麗, 1912년 11월 25일 ~ 1995년 12월 18일)는 한국의 바이올리니스트이며 지휘자이.
보다 미 군정와 김생려
김수임
수임(金壽任, 1911년 ~ 1950년 6월 15일?)은 일제 강점기와 군정시대의 공산주의자이며 대한민국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간첩 혐의로 사형당한 여성이.
보다 미 군정와 김수임
김영팔 (1904년)
영팔(金永八, 1904년 ~ 1950년)은 일제 강점기에 주로 활동한 예술인이.
김연실 (배우)
연실(金蓮實, 1911년 ~ 1997년 8월)은 일제 강점기에 주로 활동한 영화배우, 연극배우 겸 가수이.
김삼룡 (1908년)
1950년 4월 1일자 동아일보. 남로당 핵심간부인 김삼룡과 이주하가 검거되었다고 보도된 기사. 김삼룡(1908년 ~ 1950년)은 일제강점기에 활약했던 공산주의계열 독립운동가이자 미군정기 남로당 주요 간부로 활약한 공산주의자,노동운동가이.
김석범 (군인)
석범(金錫範, 일본식 이름: 金山 照 가네야마 미쓰시, 1915년 11월 2일 ~ 1998년 2월 18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이.
김선명
선명(金善明, 1925년 2월 20일 ~ 2011년 1월 15일)은 1995년 광복절 특별사면으로 대전교도소에서 석방될 때 까지 45년동안 0.75평 독방에서 비전향 장기수 신분으로 구속되었던 사람이.
보다 미 군정와 김선명
김선기 (1907년)
선기(金善琪, 1907년 3월 21일 ~ 1992년 11월 11일)는 대한민국의 언어학자, 한글학자이며 교육자이.
김선우 (1918년)
선우(金善佑, 1918년 ~ 1954년 4월 5일)는 일제 강점기의 사회주의 운동가이며 한국 전쟁 중에는 유격전 지휘관이었.
김성균 (1908년)
성균(金聲均, 1908년 ~ 1983년)은 일제 강점기에 검열관을 지낸 대한민국의 역사학자이.
김성춘
성춘(金聖春, 1903년 8월 1일 ~ 1977년)은 일제 강점기부터 활동한 한국의 영화 조명기사이.
보다 미 군정와 김성춘
김성수 (1891년)
성수(金性洙, 1891년 10월 11일 ~ 1955년 2월 18일)는 대한제국의 교육인 겸 언론인·기업인·근대주의 운동가였으며, 일제 강점기 말기에 친일 행적 논란이 있. 대한민국 초기 정치인, 언론인, 교육인, 서예가였.
김성숙 (1898년)
성숙(金星淑, 1898년 3월 10일 ~ 1969년 4월 12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자 불교 승려 겸 정치가이.
김성환 (1910년)
성환(金聖煥, 1910년 8월 20일 ~ ?)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관료이.
김원근 (1886년)
원근(金元根, 일본식 이름: 金海元根, 1886년 10월 10일 ~ 1965년 12월 23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교육자, 사회 사업가이며 대성보통학교, 공주고등학교, 조치원 보통학교 등을 건립하였.
김원태 (정치인)
원태(金元泰, 일본식 이름: 駕川元泰 가카와 모토타이, 1909년 8월 29일 ~ 1997년 12월 22일, 충북 괴산)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행정관료이며 정치가이.
김활란
활란(金活蘭, 일본식 이름: 天城活蘭(아마기 가쓰란), 1899년 1월 18일 ~ 1970년 2월 10일)은 일제 강점기 친일파이며 아호는 '우월'(又月)이.
보다 미 군정와 김활란
김화준 (1890년)
화준(金化俊, 일본식 이름: 金海化俊, 1890년 ~ ?)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대마초
삼 대마초(大麻草)는 삼(대마) 등 대마속(大麻屬) 식물을 말려 향정신성 효과를 얻는 것들을 일컫.
보다 미 군정와 대마초
대구 10·1 사건
10·1 사건은 1946년 10월 1일에 미군정하의 대구에서 발발, 이후 남한 전역으로 확산된 일련의 운동을 지칭.
대구고등법원
등법원(大邱高等法院)은 대한민국의 고등법원 1심 판결에 대한 항소 사건, 1심 결정·명령에 대한 항고 사건, 선거 소송 등을 심. 대구광역시, 경상북도를.
보다 미 군정와 대구고등법원
대한독립촉성농민총연맹
독립촉성농민총연맹(大韓獨立促成農民總聯盟)은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 산하의 농민총국이 확대·발전되어 1947년 8월 31일 결성된 우익 농민운동 조직이.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보다 미 군정와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군
민국 국군(大韓民國 國軍)은 1948년 8월 15일에 창설된 대한민국의 군대이.
대한민국 임시 의정원
민국 임시 의정원(大韓民國臨時議政院)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의회이며 임시정부의 입법부의 역할을 맡았.
대한민국 임시 정부
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 1919년 ~ 1948년)는 1919년 3월 1일 경성(京城)에서 선포된 3·1 독립선언에 기초하여 일본 제국의 대한제국 침탈과 식민 통치를 부인하고 한반도 내외의 항일 독립운동을 주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1919년 4월 11일 중화민국 상하이에서 설립된 대한민국의 망명정부이.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1948년 5월 10일에 실시된 남한 총선거의 벽보용 선거 홍보물. 낱장 칼라본. 전면에 태극기를 가로질러 건 독립문과 당시 군정청 건물로 선거하러 가는 인물들이 그려지고, 상단에 총선거 일시(5월 10일)가 표시됨. 중앙에 ‘총선거로 독립문이 열린다’, ‘중앙정부수립’, 좌우로 ‘기권은 국민의 수치’, ‘투표는 애국민의 의무’라는 표어가 인쇄됨.
대한민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중앙선거관리위원회(中央選擧管理委員會,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NEC)는 대한민국의 선거와 국민투표의 공정한 관리, 정당 및 정치자금에 관한 사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설치된 국가기관으로 국회·정부·법원·헌법재판소와 같은 지위를 갖는 독립된 합의제 헌법기관이.
대한민국 육군
3사단 수색부대 대한민국 육군(大韓民國 陸軍)은 대한민국의 지상군 전력으로서 대한민국 국군(國軍)의 3군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예산도 가장 많. 2017년 12월 기준으로 대한민국 육군에는 39개 사단(기계화 보병 사단 6개수도, 8, 11, 20, 26, 30, 보병 사단 16개, 향토 방위 사단 12개, 동원 보병 사단 5개)으로 이루어져 있.
대한민국 형법
민국 형법(大韓民國刑法)은 대한민국에서 적용되고 있는 형법을 말. 한국에서 시행된 최초의 근대적 의미의 형법은 1912년 일제의 조선형사령(朝鮮刑事令)을 통해 적용된 일본 형법이.
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
민국의 민주당계 정당은 대한민국 정당사에서 여기저기 흩어져 있던 자유주의, 사회자유주의, 진보주의, 자유보수주의, 민주주의, 운동권 세력 등이 서로 이합집산하면서 수차례 정계개편을 통해 이어져 온 대한민국의 자유주의 정당 계통이.
대한민국의 교육
민국의 교육은 대한민국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종류의 교육 활동을 총칭.
대한민국의 교육 제도
학제(學制)상 대한민국의 교육 제도는 6·3·3·4제로, 모든 학생이 크게 하나의 학교 계통을 밟을 수 있게끔 하는 단선형 학제를 택하고 있.
대한민국의 초등학교
민국의 초등학교(初等學校) 교육은 3월 1일에 시작하여 이듬 해 2월 말일에 끝. 다만, 3월 1일이 삼일절로 공휴일이기 때문에 실제로는 그 후 첫번째 평일에 입학식과 함께 교육 과정이 시작.
대한민국의 역대 정당
이 문서에서는 대한민국의 역대 주요 정당들을 주로 다루고 있.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의 보수정당, 민주당계 정당, 진보정당 등에서 확인할 수 있.
대한민국의 역사
민국은 해방이후 3년간의 미국, 소련의 신탁통치 중 신탁통치 후 정권을 잡으려는 세력간의 치열한 항쟁을 거쳐 김구, 이승만을 중심으로 하는 "임시정부" 세력이 주도권을 잡으면서 시작.
대한민주청년동맹
민주청년동맹(大韓民主靑年同盟)은 1945년 12월 창립된 청년단체였.
대한변호사협회
변호사협회(大韓辯護士協會, Korean Bar Association, 약칭: 대한변협 또는 변협)는 대한민국의 법조인 단체이.
대한기독교교육협회
독교교육협회(大韓基督敎敎育協會)는 대한민국의 개신교 연합 단체이.
대한여자기독교청년회연합회
국YWCA연합회(Young Women's Christian Association of Korea)는 대한민국에서 조직된 기독교 민간단체 기독교여자청년회를 망라한 청년운동 및 여성운동 단체이.
교육심의회
육심의회란, 1946년 3월 7일 미군정에 의해 설치된 교육 자문기관을 말. 안재홍을 위원장으로 한 10개의 분과위원회로 구성되었.
보다 미 군정와 교육심의회
구자옥
자옥(具滋玉, 일본식 이름: 具家滋玉(구쓰이에 치다마), 1887년 3월 30일 ~ 1950년 11월)은 시인 활약을 한 바 있는 일제 강점기의 종교인이자 독립운동가이며 대한민국의 정치가로, 본관은 능성(綾城)이.
보다 미 군정와 구자옥
구연직
연직(具然直, 일본식 이름: 具道信夫, 1891년 7월 9일 ~ 1967년)은 일제 강점기 한국과 대한민국의 장로교 목사이.
보다 미 군정와 구연직
구황실재산사무총국
황실재산사무총국은 미군정과 대한민국의 행정 기관으로, 1945년 11월 8일 이왕직을 개조하여 구황실사무청으로 설립하였으며, 구 대한제국 황실의 재산 및 서울특별시내와 주변의 각종 궁궐 전각 등의 관리 업무를 맡았.
국대안 파동
국대안 파동(國大案波動)은 군정기인 1946년 미군정청 학무국이 일제시대의 여러 단과대학들을 통폐합하여 단일 종합대학인 국립서울대학교를 설립하겠다는 안을 발표하자 1948년까지 2년간 통폐합 대상 학교들의 교수, 학생들이 격렬히 반대한 사건이.
보다 미 군정와 국대안 파동
남도부
부(南到釜, 1921년 ~ 1955년)는 한국 전쟁을 전후하여 조선인민유격대 지휘관을.
보다 미 군정와 남도부
남북통일
통일된 한반도의 상징인 한반도기 2018년 3월 대북특사로 임명된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이 김정은에게 문재인 대통령의 친서를 전달하고 있다. 6·15 남북 공동선언을 기념하는 조국통일3대헌장기념탑 남북통일(南北統一) 또는 한국의 재통일()은 한반도에 존재하는 두 국가인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하나의 국가로 통일하는 것을 의미.
보다 미 군정와 남북통일
남승민 (1911년)
승민(南承民, 1911년 ~ ?)은 한국의 영화 배우이.
남흥우
흥우(南興祐, 일본식 이름: 南煒, 영문명:Nam Heung-woo, 1913년 6월 7일 ~ 2012년 10월 6일)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법조인·법학자, 한국화가이.
보다 미 군정와 남흥우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조선과도입법의원(南朝鮮過渡立法議院) 또는 남조선과도입법위원회(南朝鮮過渡立法委員會)는 1946년 12월 12일 미 군정 한국에서 개원한 미군정 시대의 입법기관으로서 1946년 5월 미소공동위원회가 무기한 휴회(休會)하자 미군정에서 구성한 과도입법의원이었.
남조선과도정부
조선과도정부(南朝鮮過渡政府)는, 대한민국의 정부 수립 전에 존재한 임시 정부로, 1947년 2월 5일 서울에서 발족하여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 및 정권이양기까지의 과도정부를 말. 과도정부의 수반은 안재홍이었고, 과도정부의 의회는 남조선과도입법의원이었.
남조선대한국민대표민주의원
조선대한국민대표민주의원(南朝鮮大韓國民代表民主議院) 또는 민주의원이란, 미군정기 1946년 2월 14일에 설립된 미군정청의 의회 형식의 입법, 자문기관을 말. 미군정은 민주의원을 군정 하의 입법 기관의 형태로 구성하려 하였으나 실패하였.
남조선해안경비대
조선해안경비대(朝鮮海岸警備隊) 또는 남조선해안경비대(南朝鮮海岸警備隊)는 1946년 창설된 통위부 예하의 해군 조직으로 대한민국 해군의 모. 해방병단과 미군정청 예하 남조선해안경비국이 6월 15일에 통합하여 발족하였으며 남조선국방경비대의 지휘를 받았.
남천우
우(南天祐, 1895년 3월 24일 ~ 1969년 6월 30일)는 한국의 독립운동가, 감리교 목사이.
보다 미 군정와 남천우
남상익 (1878년)
상익(南相翊, 1878년 12월 5일(음력 11월 12일) ~ ?)은 대한제국 무관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의 유교 계열 인물이며, 대한민국 관료이.
나항윤
항윤(羅恒潤, 일본식 이름: 富田恒滿, 1918년 ~ 1997년 8월 30일)은 일제 강점기부터 활동한 법조인으로 대한민국의 대법관을.
보다 미 군정와 나항윤
노기남
200px 노기남(盧基南, 1902년 1월 22일(음력 1901년 12월 13일) ~ 1984년 6월 25일)은 한국의 가톨릭 성직자이며 한국천주교 최초의 한국인 주교이.
보다 미 군정와 노기남
노기주
주(魯璣柱, 일본식 이름: 江本正明, 1896년 2월 1일 ~ 1959년 7월 7일 평양 출생)는 일제 강점기의 친일 고등계 경찰이.
보다 미 군정와 노기주
노용호
용호(盧龍鎬, 일본식 이름: 岡村龍鎬, 1904년 8월 7일 ~ 1970년 7월 14일)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법조인이.
보다 미 군정와 노용호
노주봉
주봉(盧周鳳, 일본식 이름: 豊川守弘, 1900년 7월 25일 ~ 1945년 9월 10일)은 일제 강점기의 경찰로, 아명(兒名)은 노주현(盧周鉉)이며 본관은 풍천(豊川)이.
보다 미 군정와 노주봉
노진설
설(盧鎭卨, 1900년 ~ 1967년)은 대한민국의 제2대 감찰위원장을 역임.
보다 미 군정와 노진설
노창성
창성(盧昌成, 일본식 이름: 八幡昌成, 1896년 3월 25일 ~ 1955년 1월 9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방송인이.
보다 미 군정와 노창성
장덕수
장덕수(張德秀, 1894년 12월 10일 ~ 1947년 12월 2일)는 한국의 친일파, 정치인, 교육자, 학자, 언론인이.
보다 미 군정와 장덕수
장면
장면(張勉 1899년 8월 28일 ~ 1966년 6월 4일)은 일제 강점기의 교육자·종교가·번역가·출판인·문인·저술가이자 대한민국의 종교가·외교관·교육자·정치인이.
보다 미 군정와 장면
장건상
장건상(張建相, 1882년 12월 19일 ~ 1974년 5월 14일)은 대한민국의 정치가이자 독립운동가, 통일운동가이.
보다 미 군정와 장건상
장경근
장경근(張暻根, 일본식 이름: 長山暻根 나가야마 게이네, 1911년 5월 18일 평안북도 용천 ~ 1978년 7월 25일)은 판사 출신의 대한민국 정치인, 법조인이.
보다 미 군정와 장경근
장단군
장단군(長湍郡)은 경기도 북서부에 있었던 군이.
보다 미 군정와 장단군
장제스
자유중화민국 타이완 국부천대 사태 이후 1950년대 후반 시절의 장제스 장제스(), 창카이섹() 또는 장중정(1887년 10월 31일 ~ 1975년 4월 5일)은 중화민국의 군인, 정치·군사 지도자이자, 중화민국 국민정부의 제2, 4대 총통 및 국부천대 이후 제1, 3대 총통(재임: 1925년 3월 18일 ~ 1975년 4월 5일)이었.
보다 미 군정와 장제스
장택상
장택상(張澤相, 1893년 10월 22일 ~ 1969년 8월 1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 작가이.
보다 미 군정와 장택상
장헌식
장헌식(張憲植, 1869년 음력 9월 21일 ~ 1950년 양력 8월 20일)은 대한제국 말기부터 일제 강점기 동안 관료를.
보다 미 군정와 장헌식
장후영
장후영(張厚永, 1909년 3월 6일 ~ 1985년 11월 7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법조인이.
보다 미 군정와 장후영
임영신
임영신(任永信, 1899년 11월 20일 ~ 1977년 2월 17일)은 한국의 교육자 및 정치인이.
보다 미 군정와 임영신
임선규
임선규(林仙圭, 1912년 2월 5일 ~ 1970년?)는 일제강점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연극인, 극작가이.
보다 미 군정와 임선규
임화
임화(林和, 문화어: 림화, 1908년 10월 13일 ~ 1953년 8월 6일)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시인이며 문학평론가, 정치가이.
보다 미 군정와 임화
포천시
시(抱川市)는 대한민국 경기도의 북동부에 위치하고 있는 시이.
보다 미 군정와 포천시
읍면의회
읍면의회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보다 미 군정와 읍면의회
이만준 (1905년)
이만준(李萬濬, 일본식 이름: 牧山萬濬, 1905년 ~ ?)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건국 초기의 법조인이.
이명우 (영화 감독)
이명우(李明雨, 일본식 이름: 瀨戶明, 1903년 ~ ?)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건국 초기의 영화 감독이.
이명섭 (1886년)
이명섭(李明燮, 일본식 이름: 李宮明燮, 1886년 12월 28일 ~ ?)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건국 초기의 법조인이.
이묘묵
이묘묵(李卯默, 일본식 이름: 李宮卯默, 1902년 12월 9일 ~ 1957년 2월 27일)은 일제 강점기의 교육인으로, 본관은 전주이며 평안남도 중화군 상원면 출신이.
보다 미 군정와 이묘묵
이갑성
이갑성(李甲成, 일본식 이름: 이와모토 마사이치(岩本正一), 1889년 10월 23일 ~ 1981년 3월 25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정치가, 사회운동가이.
보다 미 군정와 이갑성
이경희 (1880년)
이경희(李慶熙, 1880년 6월 11일 ~ 1949년 12월 4일)는 대한제국의 교육자이자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구한 말 신민회의 회원이자, 일제 강점기 당시 의열단과 신간회의 주요 멤버의 한 사람이.
이범교
이범교(李範敎, 1887년 7월 27일 영천 ~ 1951년 12월 29일)는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이.
보다 미 군정와 이범교
이범승
이범승(李範昇, 1887년 음력 8월 29일 ~ 1976년 9월 3일, 세종)은 일제 강점기와 미 군정기의 관료 출신으로 제2대 국회의원과 참의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관료, 정치인이.
보다 미 군정와 이범승
이범석 (1900년)
이범석(李範奭, 1900년 10월 20일 ~ 1972년 5월 11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겸 군인이자 대한민국의 정치가 겸 저술가이.
이병숙
이병숙(李炳璹, ? ~ ?)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관료였.
보다 미 군정와 이병숙
이계록 (1906년)
이계록(李季祿, 1906년 ~ ?)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건국 초기의 관료로, 기업인으로도 활동.
이광수
이광수(李光洙), 1892년 3월 4일 평안북도 정주군 ~ 1950년 10월 25일)는 조선,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소설가, 언론인, 시인, 문학평론가, 작가, 반민족행위자이다. 본관은 전주이며, 조선 목조의 장남 안원대군의 후손이다.
보다 미 군정와 이광수
이근직 (1903년)
이근직(李根直, 1903년 1월 12일 ~ 1964년 3월 16일, 경북 김천)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관료이.
이근창 (1913년)
이근창(李根昌, 일본식 이름: 丹山根昌, 1913년 3월 16일 ~ ?)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건국 초기의 법조인이.
이근상 (1916년)
이근상(李根祥, 일본식 이름: 大山淸吾, 1916년 11월 7일 ~ 1990년 6월 28일)은 일제 강점기와 군정기의 법조인이며, 대한민국 감사원의 원장 직무대행을.
이기붕
이기붕(李起鵬, 1896년 12월 20일 ~ 1960년 4월 28일)은 대한민국의 정치가이.
보다 미 군정와 이기붕
이기홍 (관료)
이기홍(李氣鴻)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관료이.
이용 (1923년)
이용(李龍, 이룡, 1923년 8월 4일 ~)은 대한민국의 군인이.
이우익
이우익(李愚益, 1890년 4월 15일 ~ 1982년 3월 16일, 경북 칠곡)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법조인이.
보다 미 군정와 이우익
이우식 (1901년)
이우식(李愚軾, 1901년 11월 26일 ~ 1985년 8월 13일)은 일제 강점기부터 활동한 법조인으로 대한민국의 대법관을.
이승만
이승만(李承晩, 1875년 5월 1일(음력 3월 26일) ~ 1965년 7월 19일) 또는 리승만은 조선과 대한제국 및 대한민국의 개화파, 언론인, 정치인이며,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대통령, 대한민국의 제1·2·3대 대통령이.
보다 미 군정와 이승만
이승정 (1906년)
이승정(李承鼎, 일본식 이름: 李承鼎, 1906년 ~ 1974년 2월 13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세무 관료이.
이재학 (1904년)
이재학(李在鶴, 일본식 이름: 大原郁生, 1904년 5월 31일 홍천 ~ 1973년 11월 23일)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자 대한민국의 공무원이며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이인
이인(李仁, 1896년 10월 26일 ~ 1979년 4월 5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며 법률가, 정치인이.
보다 미 군정와 이인
이응준 (군인)
이응준(李應俊, 1890년 8월 12일 ∼ 1985년 7월 8일)는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이다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중장.
이종형
이종형(李鍾馨, 1895년 4월 20일 ~ 1954년 2월, 강원 정선)은 대한민국의 언론인,정치인이.
보다 미 군정와 이종형
이종환 (1922년)
이종환(李鐘煥, 1922년 음력 10월 7일 ~ 2001년 4월 30일)은 대한민국의 비전향 장기수이.
이진영 (일제 강점기)
이진영 (李珍榮, ? - ?)은 일제 강점기의 교육자이자 해방 후의 관료였.
이창용 (영화인)
이창용(李創用, 일본식 이름: 廣川創用, 1907년 ~ 1961년 8월 27일)은 일제 강점기에 주로 활동한 영화 촬영기사이며 영화 제작자이.
이상기 (1898년)
이상기(李相基, 일본식 이름: 佐川相基, 1902년 ~ ?)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법조인이.
이상협 (1893년)
이상협(李相協, 1893년 ~ 1957년 1월 14일)은 일제 강점기부터 활동한 대한민국의 언론인 겸 소설가이.
이태희 (1911년)
이태희(李太熙, 일본식 이름: 三江太熙 또는 三江達夫, 1911년 11월 8일 ~ 1999년 10월 27일)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법조인이.
이태영
이태영(李兌榮, 1914년 8월 10일 ~ 1998년 12월 17일)은 대한민국의 변호사이자 사회운동가이.
보다 미 군정와 이태영
이호제
이호제(李昊濟, ? ~ 1950년 4월)는 일제 강점기와 미군정 시기의 사회주의 운동가이.
보다 미 군정와 이호제
이석구 (1897년)
이석구(李奭求, 일본식 이름: 李山奭求 또는 李山奭, 1897년 ~ ?)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관료이.
이소선
이소선(李小仙, 1929년 12월 30일 ~ 2011년 9월 3일)은 대한민국의 노동운동가이자 민주화 운동가이.
보다 미 군정와 이소선
이한림
이한림(李翰林, 1921년 2월 10일 ~ 2012년 4월 29일)은 대한민국의 군인, 기업가, 정치가, 외교관이.
보다 미 군정와 이한림
이필우 (영화 감독)
이필우(李弼雨, 1897년 11월 27일 ~ 1978년 10월 20일)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영화 기술인이.
이시영 (1868년)
이시영(李始榮, 문화어: 리시영, 1868년 12월 3일 한성부 ~ 1953년 4월 17일)은 조선, 대한제국의 관료이자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며 교육자, 정치인이.
이원찬 (1893년)
이원찬(李源讚, 1893년 5월 14일 ~ ?)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 기업인이자 대한민국의 공무원, 정치인이.
이왕직
이왕직(李王職)은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에서 대한제국 황족의 의전 및 대한제국 황족과 관련된 사무를 담당하던 기구로, 대한제국 시기에 황실 업무를 담당하던 궁내부를 형식적으로 계승한 기구이.
보다 미 군정와 이왕직
인민위원회
인민위원회(人民委員會)란, 1945년 일제패망, 광복 직후 전국적으로 조직된 민간자치기구를 말.
보다 미 군정와 인민위원회
인제군
인제군(麟蹄郡)은 대한민국 강원도 북부에 있는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한 영서북부지역에 위치한 군이.
보다 미 군정와 인제군
인제군의 행정 구역
인제군의 행정 구역은 1읍 5면이며, 인제군의 면적은 1646.33km2로 전국의 1.7%, 강원도의 9.9% 이. 전면적의 90% 이상이 임야로 구성되며, 해발 800m이상의 준령이 20여개 있. 인구는 3만여명으로 면적에 비해 인구밀도가 낮으나 귀농 인구, 전원생활을 위한 도시인구 전입으로 증가 추세에 있.
인천광역시의 역사
대동여지도에 그려진 인천 부근 인천광역시의 역사는 선사시대인 구석기 시대로 거슬러 올. 원삼국시대에 미추홀이 있었다고 추정되며, 삼국 시대에 고구려의 영토가 된 뒤로는 매소홀현(買召䑸䎱)으로 불리다가 다시 신라의 영토가 되었고 경덕왕이 소성(邵城)이라 이름지었.
인천구치소
인천구치소(仁川拘置所)는 대한민국의 구치소이.
보다 미 군정와 인천구치소
일제 강점기
일제강점기(1910년 8월 29일 ~ 1945년 8월 15일)는 한국의 역사에서 한국의 근현대사를 시대별로 나누었을 때 주요 시대 중 하나로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가 일본 제국의 식민 지배 아래 놓였던 시기이.
보다 미 군정와 일제 강점기
일제 강점기의 형무소
일제 강점기의 형무소(日帝強占期의 刑務所)는 일제 강점기 동안 조선총독부 산하에서 운영된 형무소이.
의민태자
의민태자(懿愍太子, 1897년 10월 20일 ~ 1970년 5월 1일)는 대한제국의 황태자이자 일본 제국의 군인이.
보다 미 군정와 의민태자
적성면 (파주시)
적성면(積城面)은 대한민국 경기도 파주시의 면이.
제2차 세계 대전의 연합국
녹색이 연합국, 하늘색이 추축국의 최대 세력 범위, 노란색이 중립국 처칠. 장제스, 루즈벨트와 처칠. 루즈벨트와 처칠은 팔꿈치를 마주 대고 같이 앉아 있다. 태평양 전쟁의 연합군 지도자가 1943년 카이로 회담에서 참석하였다. 카사블랑카 회담에 참석한 미국의 대통령 프랭클린 D.
제주 4·3 사건
제주 4·3 사건(濟州四三事件)은 1947년 3월 1일 경찰의 발포사건을 기점으로 하여 1948년 4월 3일 발생한 봉기로부터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 충돌과 진압 과정에서 민간인들이 희생당한 사건이.
전봉덕
전봉덕(田鳳德, 일본식 이름: 田中鳳德, 아호 남헌(南軒), 평안남도 강서군, 1910년 12월 12일 ~ 1998년 5월 18일)은 일제 강점기의 경찰 간부이며 대한민국의 군인, 변호사이.
보다 미 군정와 전봉덕
전주교도소
전주교도소(全州矯導所)는 일제 강점기부터 이어져 온 대한민국의 교도소이.
보다 미 군정와 전주교도소
전숙희
전숙희(田淑禧, 1919년 3월 15일 ~ 2010년 8월 1일)는 일제 강점기와 군정기, 대한민국의 작가, 수필가이.
보다 미 군정와 전숙희
전예용
전예용(全禮鎔, 일본식 이름: 江原禮三, 1910년 1월 3일 한성부 ~ 1994년 7월 4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관료이.
보다 미 군정와 전예용
정광현
정광현(鄭光鉉, 1902년~ 1980년 12월 7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법학자이.
보다 미 군정와 정광현
정교원
정교원(鄭僑源, 일본식 이름: 烏川僑源, 1887년 음력 4월 24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보다 미 군정와 정교원
정재학 (1856년)
정재학 (鄭在學, 1858~1940)은 대한민국 금융업계에 거대한 족적을 남긴 민족자본은행의 개척자이자 일제 강점기 한국은행산업의 대부.
정일형
정일형(鄭一亨, 1904년 2월 23일 ~ 1982년 4월 25일)은 대한민국의 관료이며 정치인이다. 미군정기 때 미군정청 인사행정처장과 물자행정처장을 지냈으며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야당에서 활약하였다. 제2공화국의 두 번째 외무부 장관이었으며, 5·16 군사 정변 이후 실각하였다.
보다 미 군정와 정일형
정일사
정일사(鄭日史 또는 鄭一史, 1881년 ~ 1948년 8월 19일)는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의 군인이자 일제 강점기의 의학자, 교육자였.
보다 미 군정와 정일사
정정화
정정화(鄭靖和, 1900년 8월 3일 ~ 1991년 11월 2일)는 한국의 독립운동가이.
보다 미 군정와 정정화
정칠성
죽 정칠성 정칠성(丁七星, 1897년 ~ 1958년?)은 대한제국의 기녀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사회주의 계열에서 활동한 항일 독립 운동가, 페미니스트, 언론인이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 페미니스트이.
보다 미 군정와 정칠성
정판사 위조지폐 사건
정판사 위조지폐 사건은 1946년 서울에서 일어난 위폐 범죄 적발 사건으로, 정치적인 파장이 커서 남한의 공산주의 운동 세력과 미군정의 정면 충돌을 불러오는 결과를 낳았.
정수창
정수창(鄭壽昌, 1919년 경북 영덕 ~ 1999년 10월 24일)은 대한민국의 기업인이.
보다 미 군정와 정수창
정연기 (1891년)
정연기(鄭然基, 일본식 이름: 草本然基, 1891년 5월 2일 ~ ?)는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조만식
조만식(曺晩植, 1883년 2월 1일(1882년 음력 12월 24일) ~ 1950년 10월 18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일제 강점기의 교육자·종교인·언론인·시민사회단체인·정치인이.
보다 미 군정와 조만식
조병옥
조병옥(趙炳玉, 1894년 5월 21일 충청남도 천안 ~ 1960년 2월 15일 미국)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교육자, 경찰관, 정치가이.
보다 미 군정와 조병옥
조봉암
조봉암(曺奉岩, 1898년 9월 25일 ~ 1959년 7월 31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보다 미 군정와 조봉암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祖國統一民主主義戰線)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 단체이.
조일명
조일명(趙一明, 1903년 12월 1일 ~ 1953년?)은 일제 강점기의 친일 공산주의 운동가이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가이.
보다 미 군정와 조일명
조종춘
조종춘(趙鍾春, 일본식 이름: 白川元藏, 1896년 2월 6일 ~ 1955년 3월 5일)은 일제 강점기의 경찰 겸 관료로, 원적지는 경기도 김포군 고촌면이.
보다 미 군정와 조종춘
조지 오웰
조지 오웰(George Orwell)이라는 필명으로 널리 알려진 에릭 아서 블레어(Eric Arthur Blair, 1903년 6월 25일 ~ 1950년 1월 21일)는 인도에서 태어난 영국 작가이자 언론인이.
보다 미 군정와 조지 오웰
조선문학건설본부
조선문학건설본부(朝鮮文學建設本部)는 태평양 전쟁 종전 직후인 1945년 8월 16일에 미군정 지역인 서울에서 결성된 문학인 단체이.
조선문화건설중앙협의회
조선문화건설중앙협의회(朝鮮文化建設中央協議會)는 태평양 전쟁 종전 직후인 1945년 8월 16일에 미군정 지역인 서울에서 결성된 예술인 연합 단체이.
조선미술동맹
조선미술동맹(朝鮮美術同盟)은 1945년 10월과 1946년 11월에 미군정 지역에서 각각 결성된 미술인 단체이.
보다 미 군정와 조선미술동맹
조선미술건설본부
조선미술건설본부(朝鮮美術建設本部)는 태평양 전쟁 종전 직후인 1945년 8월에 미군정 지역인 서울에서 결성된 미술인 단체이.
조선부녀총동맹
조선부녀총동맹(朝鮮婦女摠同盟)란, 1945년 12월 조직된 전국적 규모의 여성대중조직을 말. 약칭은 부총.
조선교육심의회
조선교육심의회는 미군정 시기 미군정청의 문교 정책 자문기구이.
조선국군준비대
조선국군준비대(朝鮮國軍準備隊)는 한국의 군정기 1945년 12월 16일 조선공산당의 광범위한 조직 계획에 의거하여 장차 편성될 군의 모체가 될 의도에서 결성된 좌익 계열 군사 단체이.
조선인민유격대
조선인민유격대(朝鮮人民遊擊隊)는 한국 전쟁을 전후하여 대한민국 영역에서 유격전을 수행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파르티잔 부대이.
조선음악건설본부
조선음악건설본부(朝鮮音樂建設本部)는 태평양 전쟁 종전 직후인 1945년 8월에 미군정 지역인 서울에서 결성된 음악인 단체이.
조선총독부
조선총독부의 휘장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 거버먼트 제네럴 오브 코리아)는 일본 제국이 1910년 10월 1일 한일 병합 조약 체결일부터 1945년 9월 2일까지 한반도에 대한 통치를 위해 운영하던 직속기관이었.
보다 미 군정와 조선총독부
조선총독부 중추원
조선총독부 중추원(中樞院)은 일제 강점기 당시 조선총독부의 자문기관으로 존재한 기관이.
조선영화동맹
조선영화동맹(朝鮮映畵同盟)은 1945년 12월에 미군정 지역에서 결성된 영화인 단체이.
보다 미 군정와 조선영화동맹
조선영화건설본부
조선영화건설본부(朝鮮映畵建設本部)는 태평양 전쟁 종전 직후인 1945년 8월에 미군정 지역인 서울에서 결성된 영화인 단체이.
조선연극동맹
조선연극동맹(朝鮮演劇同盟)은 1945년 12월에 미군정 지역에서 결성된 연극인 단체이.
보다 미 군정와 조선연극동맹
조선연극건설본부
조선연극건설본부(朝鮮演劇建設本部)는 태평양 전쟁 종전 직후인 1945년 8월에 미군정 지역인 서울에서 결성된 미술인 단체이.
조소앙
조소앙(趙素昻, 1887년 4월 30일 ~ 1958년 9월 10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 교육자이.
보다 미 군정와 조소앙
존 하지
존 리드 하지(1893년 6월 12일 ~ 1963년 11월 12일)는 미국의 군인 겸 정치가이.
보다 미 군정와 존 하지
좌우합작운동
좌우합작운동(左右合作運動) 혹은 좌우합작위원회(左右合作委員會)는 1946년에 일제 강점기 이후의 정부를 수립하기 위한, 조선의 좌우 세력이 합작하여 연대를 추진하였던 운동을 말. 이 운동에는 중도파 세력 인사들이 주축으로 구성되어 전개되었.
보다 미 군정와 좌우합작운동
지청천
청천(池靑天, 1888년 2월 15일 ~ 1957년 1월 15일)은 일제 강점기 조선의 항일 독립운동가 겸 군인이었으며, 만주에서 독립군 활동을 지휘하다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광복군 창설에 참여하여 광복군사령관·광복군 총사령관 등을 역임하였고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는 정치가 겸 정당인으로 활동하였.
보다 미 군정와 지청천
차미리사
미리사 (1940년경) 차미리사(車美理士, 1878년 8월 21일 ~ 1955년 6월 1일)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교육자, 기독교 운동가, 여성운동가 및 사회사업가이.
보다 미 군정와 차미리사
차사백
사백(車士伯, 1899년 ~ ?)은 한국의 교육인이.
보다 미 군정와 차사백
창씨개명
와 한글이 혼용되어 있다. 일본식 성명 강요() 또는 창씨개명()은 1940년 2월부터 1945년 8월 광복 직전까지 일본 제국이 조선인에게 일본식 성씨를 정하여 쓰도록 강요한 것을 말. 1939년 11월 10일, 조선총독부는 '조선민사령(朝鮮民事令)'을 개정(제령 제19호)하여 조선에서도 일본식 씨명제(氏名制)를 따르도록 규정하고, 1940년 2월 11일부터 8월 10일까지 '씨(氏)'를 정해서 제출할 것을 명령하였.
보다 미 군정와 창씨개명
창원시의 시내버스
창원시의 시내버스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의 핵심적인 대중 교통으로, 1922년 마산부에서 버스 운행을 시작한 것을 시초로 하고 있. 현재 창원 관내의 운수업체 아홉 곳이 주축이 된 창원시내버스협의회와 협의회에 소속되지 않은 동아여객, 진해공영버스, 신흥여객이 운행하고 있.
채규엽
엽(蔡奎燁, 일본식 이름: 長谷川一郎 하세가와 이치로, 1906년? ~ 1949년 12월)는 일제 강점기에 주로 활동한 성악가 겸 대중가요 가수이.
보다 미 군정와 채규엽
춘천교도소
소(春川矯導所)는 일제 강점기부터 사용된 대한민국의 교도소이.
보다 미 군정와 춘천교도소
춘천시
시(春川市)는 대한민국 강원도 중서부에 있는 시이자, 강원도청 소재지이.
보다 미 군정와 춘천시
추자군도
자군도(楸子群島)는 제주시에서 가장 북쪽 제주해협에 위치한 군도로, 행정구역상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추자면에 속. 주 섬인 상추자도와 하추자도가 추자대교로 서로 연결되어 있고, 횡간도, 추포도를 포함한 4개의 유인도, 38개의 무인도로 이루어져 있.
보다 미 군정와 추자군도
유동열
유동열 (柳東說, 1879년 3월 26일 ~ 1950년 10월 18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
보다 미 군정와 유동열
유병덕 (공무원)
유병덕(兪炳德, 1932년 - 2000년 6월 20일)은 대한민국의 공무원, 정치인, 기업인이.
유재흥
유재흥(劉載興, 1921년 8월 3일 ~ 2011년 11월 26일)은 일제 강점기의 일본군 장교이자 대한민국의 친일파 군인이.
보다 미 군정와 유재흥
유진희
유진희(兪鎭熙, 1893년 2월 11일 ~ 1949년 8월 31일)은 일제 강점기의 사회주의 운동가이.
보다 미 군정와 유진희
유진오
유진오(兪鎭午, 1906년 5월 13일 ~ 1987년 8월 30일)는 일제 강점기의 친일반민족행위자, 대한민국의 소설가, 법학자, 교육자, 정치가이.
보다 미 군정와 유진오
유진산
유진산(柳珍山, 1905년 10월 18일 ~ 1974년 4월 28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청년운동가이자 7선 의원을 지낸 정치인으로 전라북도 진산군에서 태어났으며, 본관은 문화이고 해방 정국에서는 우익청년단체를 운용하였.
보다 미 군정와 유진산
유태설
유태설(劉泰卨, 일본식 이름: 邦本泰卨, 1890년 2월 19일 ~ 1968년 12월 1일)은 일제 강점기의 법조인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보다 미 군정와 유태설
유태훈 (1908년)
유태훈(劉泰勳, 일본식 이름: 楡泰明, 1908년 ~ ?)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관료이.
유영준 (1902년)
유영준(兪永濬, 1902년 6월 4일 ~ ?)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건국 초기의 세무 관료이.
유형기
유형기(柳瀅基, 일본식 이름: 柳川瀅基, 1897년 11월 17일 ~ 1989년 6월 28일)는 한국의 감리교 목사이.
보다 미 군정와 유형기
유억겸
유억겸 (1947년) 유억겸(兪億兼, 1896년 10월 23일 ~ 1947년 11월 8일)은 일제강점기 한국의 계몽운동가이자 법조인, 교육인이.
보다 미 군정와 유억겸
유시민
유시민(柳時敏, 1959년 7월 28일 ~)은 대한민국의 작가, 전 정치인이.
보다 미 군정와 유시민
유원식 (군인)
유원식(柳原植, 1914년? ~ 1987년 1월 31일)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이.
윤명선 피습 사건
윤명선 피습 사건은 1946년 2월 21일 저녁 서울특별자유시 중구 황금정(을지로)에서 만주국 관료였던 윤명선(尹明善), 안익조(安益祚) 등이 강도 홍성우(洪性禹, 별명 꺽쇠), 김필순(金弼淳, 별명 떼부), 유정석(兪政奭, 별명 청수(淸水)), 김지양(金智陽, 땅딸보) 등에게 살해된 사건이.
윤병현
윤병현(尹昞賢, 1920년 10월 5일 ∼ 2006년 12월 7일)은 대한민국의 육군참모차장과 육군 제2군사령관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군인이.
보다 미 군정와 윤병현
윤광선
윤광선, 1935년 윤광선(尹光善, 1898년 11월 17일 ~ 1950년)은 일제 강점기의 낙농, 경영인이자, 미군정기의 통역관이었.
보다 미 군정와 윤광선
윤기정
윤기정(尹基鼎, 1903년 ~ 1955년 3월 1일)은 일제 강점기에 주로 활동한 소설가 겸 평론가, 영화제작자이.
보다 미 군정와 윤기정
윤기섭
1943년 5월 중경에서 열린 '재중 한인대회'에서. 사진 왼 쪽이 우사 김규식. 그 옆에 안경을 쓴 사람이 윤기섭 윤기섭(尹琦燮, 1887년 ~ 1959년)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이.
보다 미 군정와 윤기섭
윤용기 (1926년)
윤용기(1926년 8월 2일 ~ 2001년 6월 13일)는 대한민국의 비전향 장기수이.
윤승선
윤승선(尹昇善, 1904년 8월 7일 - 1966년 7월 20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이며, 대한민국의 해군, 해병대 창설에 참여하였.
보다 미 군정와 윤승선
윤인구 (1903년)
윤인구(尹仁駒, 1903년 11월 1일 ~ 1986년 1월 25일)는 경상남도 부산 출신의 대한민국의 종교인이자 교육자이.
윤일선
윤일선(尹日善, 1896년 10월 5일 ~ 1987년 6월 22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의사, 대학교수, 대학총장, 사회 운동가이.
보다 미 군정와 윤일선
윤철균
윤철균(尹轍均, 1902년 12월 18일 ~ ?)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법조인이.
보다 미 군정와 윤철균
윤치창
윤치창 (1961년 이전) 윤치창(尹致昌, 1899년 3월 5일 ~ 1973년 10월 1일)은 일제 강점기의 상인이자 기업인이자 미군정의 관료, 대한민국의 은행원, 공무원, 외교관이.
보다 미 군정와 윤치창
윤치영
윤치영(尹致暎, 1898년 2월 10일 ~ 1996년 2월 9일)은 대한민국의 친일파겸 사상가, 정치인, 언론인이.
보다 미 군정와 윤치영
윤치호
윤치호(尹致昊, 일본식 이름:, 1865년 1월 23일 ~ 1945년 12월 9일)는 조선, 대한제국의 개혁, 민권운동가·문신이자 외교관·언론인·교육자, 한국의 정치가·교육자·사상가·언론인·종교가이며 기독교운동가였.
보다 미 군정와 윤치호
윤유선 (의사)
윤유선 박사, 1956년 윤유선(尹裕善, 1910년 9월 3일 - 1987년)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피부과, 비뇨기과, 나병과의사, 대학 교수, 연구인이.
윤상구 (1904년)
윤상구(尹相求, 일본식 이름: 伊東相求, 1904년 ~ ?)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관료이.
윤상희 (1899년)
윤상희(尹相曦, 일본식 이름: 平井相曦, 1899년 3월 ~ ?)는 일제 강점기와 미 군정 초기 한국의 관료이.
윤태일 (1918년)
윤태일(尹泰日, 1918년 6월 18일 ~ 1982년 12월 10일)은 일제 강점기의 군인이며,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이.
윤영선 (1896년)
윤영선(尹永善, 1896년 12월 25일 ~ 1988년 2월 6일)은 일제 강점기의 기업인이자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윤하영 (도지사)
윤하영(尹夏榮, ? - ?)은 미군정기와 대한민국의 관료, 기독교운동가이.
윤원선
윤원선(尹源善, 1910년 10월 27일 - 1971년 12월 16일)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자 대한민국의 행정공무원, 정치인, 기업인이었.
보다 미 군정와 윤원선
윤웅렬
윤웅렬(尹雄烈, 1840년 5월 18일(음력 4월 17일) ~ 1911년 양력 9월 22일)은 조선 말기의 무신, 군인이며 개화파 정치인, 대한제국의 계몽운동가이.
보다 미 군정와 윤웅렬
태백산맥 (소설)
벌교읍 태백산맥 문학관, 2015년 《태백산맥》은 소설가이자 동국대학교 연구교수인 조정래가 쓴 대하소설이.
탈군국주의화
국주의화는 전쟁에 패망한 일본을 점령한 미군정(CHQ)가 일본의 전쟁도발을 뿌리뽑기 위해 시행한 정책들을 말.
보다 미 군정와 탈군국주의화
오건일 (1913년)
오건일(吳健一, 1913년 ~ ?)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건국 초기의 법조인이.
오긍선
오긍선(吳兢善, 일본식 이름: 吳兢善, 1878년 10월 4일 ~ 1963년 5월 18일)은 구한 말의 계몽사상가이자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의학자, 사회사업가이.
보다 미 군정와 오긍선
오승근 (1908년)
오승근(吳承根, 1908년 1월 15일 ~ 2002년 1월 29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법조인이.
오위영
오위영(吳緯泳, 1901년 5월 5일 ~ 1978년 10월 2일, 울산)은 일제 강점기의 금융인이자 대한민국의 금융인, 정치인으로 제2·4·5대 국회의원이었.
보다 미 군정와 오위영
오성덕
오성덕(吳聖德, 일본식 이름: 平賀右作, 1911년 1월 15일 ~ ?)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법조인이.
보다 미 군정와 오성덕
오화영
오화영(吳華英, 1880년 4월 5일 ~ 1960년 9월 2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며 정치인이.
보다 미 군정와 오화영
오완수 (1898년)
오완수(吳完洙, 일본식 이름: 吳完一, 1898년 2월 ~ 1985년 12월 21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법조인이.
호러스 호턴 언더우드
양화진 언더우드 일가의 묘 호러스 호턴 언더우드((元漢慶), 1890년 9월 6일 ~ 1951년 2월 20일)는 미국의 장로교 선교사이자 교육자이.
옹진군
옹진군(甕津郡)은 1945년 11월 3일까지 황해도 남서부에 있던 군으로 옹진반도의 대부분과 인근 도서를 관할로 하였으며 옹진읍·부민면·용연면·봉구면·흥미면·동남면·북면·서면·용천면·교정면·가천면의 1읍 10면으로 구성되었.
보다 미 군정와 옹진군
옹진군 (인천광역시)
옹진군(甕津郡)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에 속한 군이.
옹진군 (인천광역시)의 행정 구역
옹진군의 행정 구역은 7면 2출장소 75리 272반로 구성되어 있으며, 면적은 171.9 km2이고 인구는 2015년 5월 말 주민등록을 기준으로 2만767 명, 1만1157 세대이.
옹진군 (황해남도)
옹진군(甕津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 남부에 있는 군이.
현북면
현북면(縣北面)은 강원도 양양군의 면이.
보다 미 군정와 현북면
현남면
현남면(縣南面)은 강원도 양양군의 면이.
보다 미 군정와 현남면
현상윤
현상윤(玄相允, 1893년 6월 14일~ 1950년 9월 15일)은 일제 강점기와 한국의 교육인, 철학자이.
보다 미 군정와 현상윤
현석호
현석호(玄錫虎, 1907년 5월 23일 ~ 1988년 12월 2일)는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대한민국의 외교관, 정치가이.
보다 미 군정와 현석호
최능진
능진(崔能鎭, 1899년 ~ 1951년)은 일제강점기 친일 청산을 위해 일생을바친 한국의 독립운동가, 통일운동가,민족주의자이자 대한민국의 경찰이.
보다 미 군정와 최능진
최동
동(崔棟, 일본식 이름: 山佳棟, 1896년 2월 16일 ~ 1973년 7월 30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의학자이.
보다 미 군정와 최동
최경진
경진(崔慶進, 1908년 ~ ?,創氏名:江東慶進)은 일제 강점기 조선총독부의 경찰 관료이자, 대한민국의 공무원이었.
보다 미 군정와 최경진
최규하
(崔圭夏, 1919년 7월 16일 ~ 2006년 10월 22일)는 대한민국의 제10대 대통령이.
보다 미 군정와 최규하
최기산
산(崔基山, 1948년 5월 16일 ~ 2016년 5월 30일)은 대한민국의 가톨릭 성직자.
보다 미 군정와 최기산
최두선
선(崔斗善, 1894년 11월 1일 ~ 1974년 9월 9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겸 정치가이.
보다 미 군정와 최두선
최용덕 (1898년)
용덕(崔用德, 1898년 9월 19일 ∼ 1969년 8월 15일)은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 외교관이.
최용건
용건(崔庸健, 1900년 6월 21일 ~ 1976년 9월 19일)은 조선의 공산주의 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 중국, 소련의 군인이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인, 정치인이.
보다 미 군정와 최용건
최운하
운하(崔雲霞, ? ~ ?)은 일제 강점기 및 대한민국의 경찰 간부이었.
보다 미 군정와 최운하
최주종
주종(崔周鍾, 1922년 ~ 1998년 3월 3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이.
보다 미 군정와 최주종
최지희
희(崔智姬, 본명(本名)은 김경자(金璟子), 1940년 1월 22일 ~)는 대한민국의 여성 영화배우, 영화 의상감독, 패션 디자이너, 텔레비전 연기자이.
보다 미 군정와 최지희
최탁 (1892년)
탁(崔卓 또는 崔鐸, 일본식 이름: 三和卓, 1892년 9월 17일 ~ ?)은 일제 강점기에 경찰 간부와 관료를.
최태호 (1915년)
호(崔台鎬, 1915년 ~ 1987년)는 대한민국의 아동문학가 겸 수필가이며 한때 초등교원과 중등교원을 지낸 대학 교수이.
최영욱
영욱(崔泳旭, 1891년 ~ 1950년)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의사이며 대한민국의 정치인, 언론인이.
보다 미 군정와 최영욱
최연 (1897년)
연(崔燕, 일본식 이름: 高山淸只, 1897년 3월 6일 ~ 1958년 11월 14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경찰로, 본명은 최령(崔鈴)이며 본적은 함경남도 함흥시 복부동이.
양근환
양근환(梁槿煥, 1894년 5월 9일 ~ 1950년 9월)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보다 미 군정와 양근환
양국진 (1916년)
양국진(楊國鎭, 1916년 ~ 1981년)는 만주국과 대한민국의 군인으로, 예편 후에는 기업인으로 활동.
양양군
양양군(襄陽郡)은 대한민국 강원도 동해안 중부에 있는 군이.
보다 미 군정와 양양군
양양군의 행정 구역
양양군의 행정 구역은 1읍 5면으로 법정리 124개, 436개 반이.
양홍기 (1894년)
양홍기(梁洪基, 1894년 ~ 1974년)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법조인이.
여운형
여운형(呂運亨, 1886년 5월 25일 ~ 1947년 7월 19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겸 저술가이.
보다 미 군정와 여운형
여수·순천 사건
여수·순천 사건(麗水順天事件) 또는 여순 사건(麗順事件)은 1948년 10월 19일부터 10월 27일까지 당시 전라남도 여수시에 주둔하고 있던 14연대의 군인 2,000여 명이 중위 김지회, 상사 지창수 등 남로당 계열 군인을 중심으로 제주 4·3 사건 진압 명령을 거부하고 무장 반란을 일으켜 이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전라남도 동부 지역의 많은 민간인이 희생된 사건을 말.
연백군
연백군(延白郡)은 1952년까지 황해도에 있던 군(郡)이.
보다 미 군정와 연백군
연천군
연천군(漣川郡)은 대한민국 경기도의 북부에 위치하고 있는 군이.
보다 미 군정와 연천군
허정
정(許政, 1896년 4월 8일 ~ 1988년 9월 18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며 정치인이.
보다 미 군정와 허정
허정숙
정숙(許貞淑, 1902년 7월 16일 ~ 1991년 6월 5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며 여성운동가, 사회주의자이.
보다 미 군정와 허정숙
허영만
영만(許英萬, 1947년 6월 26일 ~)은 대한민국의 만화가이.
보다 미 군정와 허영만
허영철 (1920년)
영철(許英喆, 1920년 11월 5일 ~ 2010년 6월 16일)은 대한민국의 비전향 장기수이.
허헌
(許憲, 1885년 7월 22일 함경북도 명천군 ~ 1951년 8월)은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법조인 출신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치가이.
보다 미 군정와 허헌
엄주완
엄주완(嚴柱完, 일본식 이름: 光原裕勝, 1894년 ~ ?)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지방행정 관료이.
보다 미 군정와 엄주완
엄항섭
엄항섭, 여운형, 장면1947년 미소공동위원회 회의장에서(앞줄 왼쪽 선글라스를 낀 남자가 엄항섭, 바로 옆은 여운형, 엄항섭의 뒷쪽 왼편에 흰 양복에 흰 중절모를 쓴 이는 장면 엄항섭(嚴恒燮, 1898년 음력 9월 1일 ~ 1962년 7월 30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중화민국의 공무원이며,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보다 미 군정와 엄항섭
사광욱
사광욱(史光郁, 일본식 이름: 史村光郁, 1909년 10월 7일 ~ 1983년 1월 2일)는 일제 강점기부터 활동한 법조인으로 대한민국의 대법관을.
보다 미 군정와 사광욱
석주암
석주암(石主岩,1916년 6월 9일 ~ 1999년 7월 19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이.
보다 미 군정와 석주암
선우렴
선우렴(鮮于濂, 일본식 이름: 大原廉三, 1902년 12월 24일 ~ ?)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관료이.
보다 미 군정와 선우렴
설정식
설정식(薛貞植, 1912년 9월 18일 ~ 1953년 8월 30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시인, 번역문학가, 영문학자, 정치가이.
보다 미 군정와 설정식
성매매
암스테르담에 위치한 성매매 안내소. 성매매(性賣買)란 일정한 대가를 주고받기로 하고 성교나 이에 준하는 행위를 하는 일을 말. 성 매수자는 대가를 주는 쪽을 일컫고, 성 매도자는 대가를 받는 쪽을 일컫.
보다 미 군정와 성매매
성원경
성원경(成元慶, 1894년 2월 14일 ~ 1975년 7월 30일)은 한국의 기업인 겸 정치인이.
보다 미 군정와 성원경
서광제
서광제(徐光霽, 1901년 ~ ?)는 일제 강점기에 주로 활동한 한국의 영화 감독이자 각본가, 평론가이.
보다 미 군정와 서광제
서규용
서규용(徐圭龍, 1948년 1월 9일 ~)은 대한민국의 농림수산식품부 장관을 역임한 공무원이.
보다 미 군정와 서규용
서대문형무소
서대문 형무소(西大門刑務所), 서대문 감옥(西大門監獄)은 1907년(융희 원년) 대한제국을 점령한 한국통감부가 서울에 건설한 형무소이.
보다 미 군정와 서대문형무소
서울 1945
《서울 1945》는 2006년 1월 7일부터 2006년 9월 10일까지 방영된 한국방송공사 대하드라마이.
서울구치소
서울구치소(-拘置所)는 대한민국의 구치소이.
보다 미 군정와 서울구치소
서울특별시장
서울특별시장(首爾特別市長)은 서울특별시의 행정 사무를 총괄하는 광역지방자치단체장이.
보다 미 군정와 서울특별시장
서울성남교회
서울성남교회는 대한민국의 장로교 교회이.
보다 미 군정와 서울성남교회
서재필
서재필(徐載弼, 1864년 1월 7일 ~ 1951년 1월 5일, 미국 귀화명은 필립 제이슨(Philip Jaisohn))은 조선의 무신, 대한제국의 정치인, 언론인이자 미국 국적의 한국 독립운동가, 의사였.
보다 미 군정와 서재필
서정국 (1896년)
서정국(徐廷國, 일본식 이름: 吉永圭佑, 1896년 7월 16일 ~ ?)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법조인이.
서중석 (독립운동가)
서중석(徐重錫, 1904년 ~ ?)은 한국의 사회주의계열 독립운동가이.
손동욱 (법조인)
손동욱(孫東頊, 일본식 이름: 永浦東頊, 1909년 5월 27일~1976년 11월 9일)은 일제 강점기부터 활동한 법조인으로 대한민국의 대법관을.
손재하
손재하(孫在廈, 일본식 이름: 廣川平成, 廣原平成, 1888년 11월 6일 ~ 1952년 6월 11일)는 충청북도 지역 유지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보다 미 군정와 손재하
손정규
손정규(孫貞圭, 일본식 이름: 伊原圭 또는 伊原貞圭, 1896년 ~ 1950년?)는 한국의 교육자이.
보다 미 군정와 손정규
손영목 (1888년)
손영목(孫永穆, 일본식 이름: 孫永穆, 1888년 11월 21일 ~ 1950년 5월 7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손석도
손석도(孫錫度, 일본식 이름: 孫田宗明, 1910년 1월 14일 ~ ?)는 일제 강점기의 관료 겸 경찰 간부이며, 대한민국의 법조인이.
보다 미 군정와 손석도
손홍원 (1893년)
손홍원(孫弘遠, 일본식 이름: 野村弘遠, 1893년 ~ ?)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건국 초기에 여러 사회단체에서 활동한 인물이.
토요타 랜드크루저
요타 랜드크루저(Toyota Land Cruiser)는 일본의 자동차 회사인 토요타 자동차가 1951년부터 현재까지 생산되고 있는 4륜구동 SUV이.
토지개혁
혁(土地改革)은 토지의 소유권과 관련하여 법, 제도, 관습의 변화를 수반.
보다 미 군정와 토지개혁
송문기
송문기 박사 (영어: Moon K. Song, 송문기 박사, 1931년 7월 9일 ~)는 재미교포 과학자로서 현재 미재향군인회 병원에서 수석연구원으로 근무하고 있는 인물이.
보다 미 군정와 송문기
송남헌
송남헌(宋南憲, 1914년 4월 11일~2001년 2월 20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교육인, 통일운동가, 근현대사 연구가이.
보다 미 군정와 송남헌
송진우 (1890년)
송진우(宋鎭禹, 1890년 5월 8일 ~ 1945년 12월 30일)는 한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이며 일제 강점기와 해방 직후에 언론인, 교육자, 사상가, 정치인으로 활동하였.
송진우 피살 사건
1945년 12월 31일자 동아일보. 송진우 암살을 보도 송진우 피살 사건은 1945년 12월 30일 새벽 6시 한국민주당 당수 송진우가 서울 원서동 자택에서 한현우 등 자객들의 피습을 받고 사망한 사건이.
송찬도
송찬도(宋燦道, 일본식 이름: 中原燦道, 中原祥博, 1893년 11월 7일 ~ ?)는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보다 미 군정와 송찬도
송석하 (1915년)
송석하(宋錫夏, 1915년 4월 6일 ~ 1999년 1월 14일)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으로, 대한민국의 행정 관료이.
송화식 (1898년)
송화식(宋和植, 일본식 이름: 大原和植, 1898년 1월 25일 ~ 1961년 5월 13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법조인이.
소작인
소작인(小作人)은 농지를 빌리고, 소득의 일부를 지주에게 바치는 농민을 말. 소작농이.
보다 미 군정와 소작인
소진섭 (1910년)
소진섭(蘇鎭燮, 일본식 이름: 蘇我鎭燮, 德平鎭燮, 德平雅彦, 1910년 ~ 2000년 12월 11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법조인이.
소선규
소선규(蘇宣奎, 1903년 11월 30일 ~ 1968년 8월 17일)는 대한민국의 정치인, 공무원이.
보다 미 군정와 소선규
소완규
소완규(蘇完奎, 일본식 이름: 小林英司, 1902년 8월 19일 ~ ?)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건국 초기의 법조인이.
보다 미 군정와 소완규
함대훈
훈(咸大勳, 1907년 8월 21일 ~ 1949년 3월 21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건국 초기의 연극인이자 소설가이.
보다 미 군정와 함대훈
함승호
승호(咸升鎬, 1894년 ?월 ?일 ~ 1981년 ?월 ?일)는 일제 강점기의 법관이자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법조인이.
보다 미 군정와 함승호
함인섭
인섭(咸仁燮, 1907년 5월 3일 ~ 1986년 9월 15일)은 일제 강점기의 전문학교 교수이며, 초대 강원대학교 학장, 제6대 농림부 장관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가이자 대학 교수이.
보다 미 군정와 함인섭
함상훈
상훈(咸尙勳, 1903년 10월 25일 ~ 1977년 1월 2일)은 일제 강점기의 언론인, 작가이며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보다 미 군정와 함상훈
함태영
영(咸台永, 1873년 10월 22일 ~ 1964년 10월 24일)은 대한제국의 법관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종교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보다 미 군정와 함태영
함화진
화진(咸和鎭, 1884년 ~ 1948년)은 일제 강점기에 주로 활동한 국악인이.
보다 미 군정와 함화진
해주시
주시(海州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 중남부에 있는 시이자 황해남도청 소재지 그리고 황해남도의 유일한 시이.
보다 미 군정와 해주시
한동석 (1909년)
동석(韓東錫, 일본식 이름: 朝川東錫, 1909년 4월 30일 ~ 1956년 8월 3일)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한국 법제의 역사
이 문서는 한국 법제의 역사(韓國 法制- 歷史)를 기술.
한국 광복군
광복군 성립 전례식에서의 김구(통수권자)와 지청천(총사령관) 해방 후 어느 광복군(1946년) 한국 광복군(韓國 光復軍)은 1940년 9월 17일 중화민국 충칭에서 조직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정규군이.
보다 미 군정와 한국 광복군
한국미술협회
국미술협회(韓國美術協會)는 1961년에 창립된 대한민국의 미술 단체이.
보다 미 군정와 한국미술협회
한국민주당
국민주당(韓國民主黨, Korea Democratic Party, 영문약칭 KDP)은 미군정기와 대한민국의 보수주의적, 부르주아적 자유주의 정치 정당의 하나이.
보다 미 군정와 한국민주당
한국의 수도
음은 한국사에 존재했던 여러 나라들의 수도이.
보다 미 군정와 한국의 수도
한국의 역사
국의 역사(韓國-歷史) 또는 한국사는 구석기 시대 이후 주로 한반도와 만주, 연해주, 넓게는 동아시아 지역을 바탕으로 발전되어 온 한민족의 역사이.
보다 미 군정와 한국의 역사
한국영화인협회
국영화인협회(韓國映畵人協會)는 대한민국의 영화인들이 조직한 사단법인이.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국표준질병사인분류(KCD)는 대한민국에서 의무기록자료 및 사망원인통계조사 등 질병이환 및 사망자료를 그 성질의 유사성에 따라 체계적으로 유형화한 것으로, 모든 형태의 보건 및 인구동태 기록에 기재되어 있는 질병 및 기타 보건문제를 분류하는데 이용하기 위하여 설정한 것이.
한현우
현우(韓賢宇, 1919년 ~ 2007년)은 대한민국의 우익단체 활동가로 송진우를 저격, 암살한 범죄자이.
보다 미 군정와 한현우
안동교회 (안동시)
안동교회(安東敎會)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안동시 화성동에 위치한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경안노회 소속의 교회이.
안광수 (1925년)
안광수(安光銖, 일본식 이름: 龜村正經, 1925년 ~ 1975년 1월 29일)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으로, 예편 후에는 외교관으로도 활동.
안회남
안회남(安懷南, 1909년 11월 15일 ~ ?)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소설가이며 문학평론가이.
보다 미 군정와 안회남
안재홍
안재홍(安在鴻, 1891년 12월 30일 ~ 1965년 3월 1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 통일운동가, 정치가이며 언론인, 역사가, 언어학자이.
보다 미 군정와 안재홍
안익조
안익조(安益祚, 1903년 ~ 1950년 11월 7일)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음악인, 의사 겸 군인이.
보다 미 군정와 안익조
아치볼드 빈센트 아널드
아치볼드 빈센트 아널드(Archibald Vincent Arnold, 1889년 2월 24일 - 1973년 1월 4일)는 2차 세계 대전 당시의 미군 소장이었.
신인영
신인영(辛仁永, 1929년 12월 6일 ~ 2002년 1월 7일)은 대한민국의 비전향 장기수이.
보다 미 군정와 신인영
신익희
신익희(申翼熙, 1892년 6월 9일 ~ 1956년 5월 5일)는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며, 교육자, 정치인이.
보다 미 군정와 신익희
신응균
신응균(申應均, 일본식 이름: 平山勝敏 히라야마 쇼빈, 1921년 1월 22일 경성부 ~ 1996년 3월 25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으로, 본관은 평산이.
보다 미 군정와 신응균
신탁 통치 반대 운동
신탁 통치 반대 운동(信託統治反對運動)은 1945년 12월 모스크바 3상회의의 결과가 알려지자 신탁 통치에 반대하여 일어난 국민운동이.
신상묵
신상묵(辛相默, 1916년 8월 ~ 1984년)은 일제 강점기의 일본 군인 이자 대한민국의 경찰이.
보다 미 군정와 신상묵
신상철 (1924년)
신상철(申尙澈, 충남 공주)은 일제시대와 대한민국의 군인으로, 대한민국 제10대 국회의원.
신석린
신석린(申錫麟, 일본식 이름: 平林麟四朗, 1865년 1월 9일 ~ 1948년 2월 14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보다 미 군정와 신석린
신한공사
신한공사(新韓公社, the New Korea Company)는 1945년 11월 10일에 설립한 미군정의 산하 기관이자 공기업으로"秘話한 世代 (284) 歸属財産, 新韓公社", 경향신문 1977년 12월 26일자, 5면 사회면, 토지 및 재산을 관리하던 기관이었.
보다 미 군정와 신한공사
신학진
신학진(申鶴鎭, 1911년 11월 6일 ~ 1995년 1월 27일)은 만주국과 대한민국의 군인이며, 예편 후에는 기업인으로서 사회 단체에서도 활동.
보다 미 군정와 신학진
심동구 (1917년)
심동구(沈同求, 일본식 이름: 靑木同求, 1917년 ~ ?)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정부 수립 초기의 법조인이.
심종석
심종석(沈宗錫, 일본식 이름: 靑木道明, 1908년 7월 13일 ~ 1988년 11월 26일)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법조인, 기업인이.
보다 미 군정와 심종석
원덕상
원덕상(元悳常, 일본식 이름: 元村肇, 1883년 11월 7일 ~ 1961년 3월 15일)은 일제 강점기의 의사 겸 금융인, 기업인이며 일제 강점기 중반 경기도 도평의회 의원과 경성부 부협의회 의원에 출마하여 당선되었고,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보다 미 군정와 원덕상
원용덕
원용덕(元容德, 1908년 ~ 1968년 2월 4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 겸 내과 의사 및 정치가로 제1공화국 정치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았.
보다 미 군정와 원용덕
원응상
원응상 원응상(元應常, 1869년 8월 20일 ~ 1958년 8월 20일)은 조선 말기,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 미군정기의 관료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보다 미 군정와 원응상
원세훈 (1951년)
원세훈(元世勳, 1951년 1월 31일 ~)은 대한민국의 공무원으로 이명박 정부에서 행정안전부 장관과 국가정보원장을.
홍경선 (1925년)
홍경선(洪慶善, 1925년 5월 21일 ~)은 대한민국의 비전향 장기수이.
홍찬
홍찬(洪燦, 1909년 ~ 1964년)은 영화 분야에서 주로 활동한 한국의 기업인이.
보다 미 군정와 홍찬
홍헌표
홍헌표(洪憲杓, 일본식 이름: 德山嘉一, 1907년 8월 23일 한성부 ~ 1966년 4월 20일)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관료이.
보다 미 군정와 홍헌표
황용갑 (1924년)
황용갑(1924년 5월 28일 ~ 2010년 9월 25일)은 대한민국의 비전향 장기수이.
황인식 (1889년)
황인식(黃寅植, 1889년 12월 23일 - 1965년 4월 12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교육자이자 미군정기, 대한민국의 정치인, 공무원, 교육자이.
황종률 (정치인)
황종률(黃鍾律, 일본식 이름: 光田矗顯, 1909년 ~ 1972년 1월 21일, 서울)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관료 겸 정치인이.
황철
황철(黃徹, 1912년 1월 11일 ~ 1961년 6월 9일)은 일제 강점기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연극 배우이.
보다 미 군정와 황철
황신덕
황신덕 황신덕(黃信德, 1898년 ~ 1983년 11월 22일)은 일제 강점기의 언론인, 교육자, 사회운동가, 여성운동가이며, 대한민국의 교육자, 여성운동가이.
보다 미 군정와 황신덕
10월 1일
10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74번째(윤년일 경우 275번째) 날에 해당.
보다 미 군정와 10월 1일
1946년
1946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미 군정와 1946년
1948년
194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보다 미 군정와 1948년
1948년 대한민국
이 문서는 1948년 미군정 시기 남한과 대한민국에서 일어난 사건을.
2·7 사건
2·7 사건은 1948년 2월 7일에 훗날의 대한민국 영역에서 일어난 파업 및 봉기 사건이.
보다 미 군정와 2·7 사건
2월 7일
2월 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8번째(윤년일 경우도 38번째) 날에 해당.
보다 미 군정와 2월 7일
6월 29일
6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80번째(윤년일 경우 181번째) 날에 해당.
보다 미 군정와 6월 29일
8월 16일
8월 1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28번째(윤년일 경우 229번째) 날에 해당.
보다 미 군정와 8월 16일
9월 12일
9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55번째(윤년일 경우 256번째) 날에 해당.
보다 미 군정와 9월 12일
9월 3일
9월 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46번째(윤년일 경우 247번째) 날에 해당.
보다 미 군정와 9월 3일
9월 총파업
9월 총파업이란, 미군정기에 1946년 조선공산당에서 주도하여 전국적으로 노동자들이 파업투쟁을 일으켰던 사건을 말. 1946년 9월 23일 부산지역 철도 노동자의 파업투쟁을 시작으로 9월 24일부터 조선전국노동조합평의회의 주도로 각 산업별 노동조합이 연대투쟁에 들어갔는데, 여기서 퍼져나아가 10월 1일 우발적으로 발생한 대구 10.1 사건으로 번져 나아.
보다 미 군정와 9월 총파업
또한 미국 군정, 미국군정, 미군정로 알려져 있다.
, 박승관 (1912년), 박승준 (1896년), 박흥식 (1903년), 박이순 (1905년), 박인덕, 강제 해산, 박종근 (1920년), 강중인, 박중양, 박진목, 강창희 (1894년), 박창암, 박춘식 (1921년), 박영발, 박오창, 강호 (1908년), 박헌영, 박석윤, 강해승, 박암 (1905년), 박원석 (1923년), 가평군, 건국준비위원회, 경기도, 경향신문, 경성방송국, 고광만, 고황경, 계정식, 변기종, 변기엽, 북위 38도, 권동진, 권태술, 부군면협의회, 부사관, 부완혁, 귀속농지불하, 기독교 근본주의, 김동인, 김동진 (1902년), 김동선 (1905년), 김동성 (1890년), 김동원 (1884년), 김문희 (제주도), 김백일, 김법린, 김복진, 김붕준, 김규식, 김대우 (1900년), 김구, 김두한, 김남천, 김남식 (1925년), 김용무, 김용식 (법조인), 김장섭 (정치인), 김익렬, 김익진 (1930년), 김정배 (1902년), 김정호 (1909년), 김종대 (목회자), 김종석 (1918년), 김준연, 김지회, 김지환 (1892년), 김창영 (1890년), 김윤근 (법조인), 김상용 (시인), 김생려, 김수임, 김영팔 (1904년), 김연실 (배우), 김삼룡 (1908년), 김석범 (군인), 김선명, 김선기 (1907년), 김선우 (1918년), 김성균 (1908년), 김성춘, 김성수 (1891년), 김성숙 (1898년), 김성환 (1910년), 김원근 (1886년), 김원태 (정치인), 김활란, 김화준 (1890년), 대마초, 대구 10·1 사건, 대구고등법원, 대한독립촉성농민총연맹,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군, 대한민국 임시 의정원, 대한민국 임시 정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대한민국 육군, 대한민국 형법, 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 대한민국의 교육, 대한민국의 교육 제도, 대한민국의 초등학교, 대한민국의 역대 정당, 대한민국의 역사, 대한민주청년동맹, 대한변호사협회, 대한기독교교육협회, 대한여자기독교청년회연합회, 교육심의회, 구자옥, 구연직, 구황실재산사무총국, 국대안 파동, 남도부, 남북통일, 남승민 (1911년), 남흥우, 남조선과도입법의원, 남조선과도정부, 남조선대한국민대표민주의원, 남조선해안경비대, 남천우, 남상익 (1878년), 나항윤, 노기남, 노기주, 노용호, 노주봉, 노진설, 노창성, 장덕수, 장면, 장건상, 장경근, 장단군, 장제스, 장택상, 장헌식, 장후영, 임영신, 임선규, 임화, 포천시, 읍면의회, 이만준 (1905년), 이명우 (영화 감독), 이명섭 (1886년), 이묘묵, 이갑성, 이경희 (1880년), 이범교, 이범승, 이범석 (1900년), 이병숙, 이계록 (1906년), 이광수, 이근직 (1903년), 이근창 (1913년), 이근상 (1916년), 이기붕, 이기홍 (관료), 이용 (1923년), 이우익, 이우식 (1901년), 이승만, 이승정 (1906년), 이재학 (1904년), 이인, 이응준 (군인), 이종형, 이종환 (1922년), 이진영 (일제 강점기), 이창용 (영화인), 이상기 (1898년), 이상협 (1893년), 이태희 (1911년), 이태영, 이호제, 이석구 (1897년), 이소선, 이한림, 이필우 (영화 감독), 이시영 (1868년), 이원찬 (1893년), 이왕직, 인민위원회, 인제군, 인제군의 행정 구역, 인천광역시의 역사, 인천구치소, 일제 강점기, 일제 강점기의 형무소, 의민태자, 적성면 (파주시), 제2차 세계 대전의 연합국, 제주 4·3 사건, 전봉덕, 전주교도소, 전숙희, 전예용, 정광현, 정교원, 정재학 (1856년), 정일형, 정일사, 정정화, 정칠성, 정판사 위조지폐 사건, 정수창, 정연기 (1891년), 조만식, 조병옥, 조봉암,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조일명, 조종춘, 조지 오웰, 조선문학건설본부, 조선문화건설중앙협의회, 조선미술동맹, 조선미술건설본부, 조선부녀총동맹, 조선교육심의회, 조선국군준비대, 조선인민유격대, 조선음악건설본부, 조선총독부, 조선총독부 중추원, 조선영화동맹, 조선영화건설본부, 조선연극동맹, 조선연극건설본부, 조소앙, 존 하지, 좌우합작운동, 지청천, 차미리사, 차사백, 창씨개명, 창원시의 시내버스, 채규엽, 춘천교도소, 춘천시, 추자군도, 유동열, 유병덕 (공무원), 유재흥, 유진희, 유진오, 유진산, 유태설, 유태훈 (1908년), 유영준 (1902년), 유형기, 유억겸, 유시민, 유원식 (군인), 윤명선 피습 사건, 윤병현, 윤광선, 윤기정, 윤기섭, 윤용기 (1926년), 윤승선, 윤인구 (1903년), 윤일선, 윤철균, 윤치창, 윤치영, 윤치호, 윤유선 (의사), 윤상구 (1904년), 윤상희 (1899년), 윤태일 (1918년), 윤영선 (1896년), 윤하영 (도지사), 윤원선, 윤웅렬, 태백산맥 (소설), 탈군국주의화, 오건일 (1913년), 오긍선, 오승근 (1908년), 오위영, 오성덕, 오화영, 오완수 (1898년), 호러스 호턴 언더우드, 옹진군, 옹진군 (인천광역시), 옹진군 (인천광역시)의 행정 구역, 옹진군 (황해남도), 현북면, 현남면, 현상윤, 현석호, 최능진, 최동, 최경진, 최규하, 최기산, 최두선, 최용덕 (1898년), 최용건, 최운하, 최주종, 최지희, 최탁 (1892년), 최태호 (1915년), 최영욱, 최연 (1897년), 양근환, 양국진 (1916년), 양양군, 양양군의 행정 구역, 양홍기 (1894년), 여운형, 여수·순천 사건, 연백군, 연천군, 허정, 허정숙, 허영만, 허영철 (1920년), 허헌, 엄주완, 엄항섭, 사광욱, 석주암, 선우렴, 설정식, 성매매, 성원경, 서광제, 서규용, 서대문형무소, 서울 1945, 서울구치소, 서울특별시장, 서울성남교회, 서재필, 서정국 (1896년), 서중석 (독립운동가), 손동욱 (법조인), 손재하, 손정규, 손영목 (1888년), 손석도, 손홍원 (1893년), 토요타 랜드크루저, 토지개혁, 송문기, 송남헌, 송진우 (1890년), 송진우 피살 사건, 송찬도, 송석하 (1915년), 송화식 (1898년), 소작인, 소진섭 (1910년), 소선규, 소완규, 함대훈, 함승호, 함인섭, 함상훈, 함태영, 함화진, 해주시, 한동석 (1909년), 한국 법제의 역사, 한국 광복군, 한국미술협회, 한국민주당, 한국의 수도, 한국의 역사, 한국영화인협회,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한현우, 안동교회 (안동시), 안광수 (1925년), 안회남, 안재홍, 안익조, 아치볼드 빈센트 아널드, 신인영, 신익희, 신응균, 신탁 통치 반대 운동, 신상묵, 신상철 (1924년), 신석린, 신한공사, 신학진, 심동구 (1917년), 심종석, 원덕상, 원용덕, 원응상, 원세훈 (1951년), 홍경선 (1925년), 홍찬, 홍헌표, 황용갑 (1924년), 황인식 (1889년), 황종률 (정치인), 황철, 황신덕, 10월 1일, 1946년, 1948년, 1948년 대한민국, 2·7 사건, 2월 7일, 6월 29일, 8월 16일, 9월 12일, 9월 3일, 9월 총파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