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327 처지: 독서자, 동방 정교회, 동정 마리아의 집, 라틴어, 레오나르도 도나토, 레퀴엠, 로랑조제프마리위스 앵베르, 로마 미사 성가집, 로마 가톨릭 성인 달력, 로마 가톨릭교회,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 로마 보편 전례력, 로마 전례, 로빈 후드, 루르드의 성모, 루치아노 파바로티, 르네상스 음악, 리마 증후군, 마르탱 뤼크 위앵, 마르셀 르페브르, 마르틴 루터, 마리니콜라앙투안 다블뤼, 마리아 파우스티나 코발스카, 메리 매컬리스, 모테트, 무치오 클레멘티, 미사 (동음이의), 미사곡, 미사통상문, 민극가, 감사성찬례, 감실 (기독교), 반종교 개혁, 바오로 6세 미사, 박봉손, 박큰아기, 박희순 루치아, 박종원 (종교인), 박아기, 박후재, 강완숙, 가대복, 가슴 십자가, 가성직제도, 가톨릭 워싱턴 대교구, 가톨릭대학교, 가시나무새, 거룩한 무덤 성당, 베르나르 루이 볼리외, 베르나쿨라, ...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277 더) »
독서자
러시아 정교회 독서자의 초상화(1878). 독서자(讀書者)는 기독교의 전례에서 읽기를 담당하는 봉사자를 말. 로마 가톨릭교회의 미사와 시간 전례에서 독서자의 가장 중요한 임무는 복음을 제외한 성경을 봉독하는 임무이.
보다 미사와 독서자
동방 정교회
이콘 동방 정교회(東方正敎會,)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교세가 큰 기독교로 약 2억 5천만 명 이상의 인구가 믿고 있.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종교 중의 하나로 (아나톨리아를 포함한) 그리스와 동유럽, 캅카스, 근동의 역사와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왔.
보다 미사와 동방 정교회
동정 마리아의 집
동정 마리아의 집 경당의 외관 동정 마리아의 집()은 터키 셀주크에서 7킬로미터 떨어진 에페소 인근의 코레소스 산에 자리한 기독교와 이슬람교의 공동 순례지이.
라틴어
어(Lingua Latīna)는 이탈리아 반도의 중부에 있는 고대 로마와 그 주변 지역 라티움(Latium)에 정착하여 살던 라티움 사람들이 쓰던 언어이.
보다 미사와 라틴어
레오나르도 도나토
오나르도 도나토 레오나르도 도나 (Leonardo Donà) 또는 도나토 (Donato, 1536년 2월 12일 베네치아 – 1612년 7월 16일 베네치아)는 1606년 1월 10일부터 사망할때까지의 제90대 베네치아 공화국의 도제이.
레퀴엠
엠(Requiem)은 기독교에서 ‘죽은 이를 위한 미사(위령미사)’에 연주되는 전례 음악이.
보다 미사와 레퀴엠
로랑조제프마리위스 앵베르
랑조제프마리위스 앵베르(Laurent-Joseph-Marius Imbert, 1797년 4월 15일 ~ 1839년 9월 21일)은 로마 가톨릭교회의 사제이며, 한국어명은 범세형(范世亨)이.
로마 미사 성가집
사본 전례서인 폴란드 국왕 요한 알베르토의 로마 미사 성가집 로마 미사 성가집(Graduale Romanum)은 기독교 라틴 전례의 미사에서 사용하는 고유문과 미사통상문 노래의 본문(가사)와 선율을 모아 놓은 전례서이.
로마 가톨릭 성인 달력
1340-60년경, 중세 성인 달력 필사본의 일부. 도미니코 수도회에서 사용하였다(투르쿠 지역). 이 문서는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인정하는 그리스도교의 성인(聖人) 축일을 표시한 달력이.
로마 가톨릭교회
마 가톨릭교회(), 천주교(天主敎) 또는 가톨릭교회()는 전 세계적으로 약 12억 명의 신자를 가진 세계 최대 규모의 기독교 교파이.
보다 미사와 로마 가톨릭교회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
마 가톨릭교회와 동방 가톨릭교회에서, 교계제도()는 교회의 우두머리인 교황을 중심으로 하는 기독교 성직자들의 제도적인 질서이며, 더 나아가서는 평신도까지 포함하는 교회 조직의 위계이.
로마 보편 전례력
마 보편 전례력(Calendarium Romanum Generale)은 주로 로마 가톨릭교회의 라틴 전례 영역에서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기독교 전례력이.
로마 전례
바티칸 성 베드로 대성전의 중앙 제대 로마 전례()는 기독교 전례 양식 중 하나로, 로마 가톨릭교회의 로마 교구에서 거행하는 전례 양식이.
보다 미사와 로마 전례
로빈 후드
팅엄의 로빈 후드 상 로빈 후드()는 여러 잉글랜드 민담에 등장하는 가공의 인물이.
보다 미사와 로빈 후드
루르드의 성모
르드의 성모상 루르드의 성모 대성당 루르드의 성모()는 18회에 걸쳐 나타났다고 보고된 성모 마리아를 가리키는 말이.
보다 미사와 루르드의 성모
루치아노 파바로티
아노 파바로티(Cavaliere di Gran Croce OMRI, 1935년 10월 12일 ~ 2007년 9월 6일)는 이탈리아의 성악가였.
르네상스 음악
르네상스 음악(Renaissance music)이란 르네상스 시대의 서양 음악으로, 대략 1400년대에서 1600년대 사이의 음악이.
보다 미사와 르네상스 음악
리마 증후군
리마 증후군(Lima Syndrome)은 인질범이 자신의 인질에게 정신적으로 동화되어 폭력성이 저하되는 이상현상을 일컫는 심리학 용어이.
보다 미사와 리마 증후군
마르탱 뤼크 위앵
마르탱 뤼크 위앵(Martin Luc Huin, 1836년 10월 20일 ~ 1866년 3월 30일) 또는 위앵 마르티노 루카는 프랑스의 가톨릭 선교사로서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마르셀 르페브르
마르셀 르페브르 대주교 마르셀 프랑수아 마리에 조제프 르페브르(1905년 11월 29일 - 1991년 3월 25일)는 프랑스인 로마 가톨릭교회 대주교이.
보다 미사와 마르셀 르페브르
마르틴 루터
마르틴 루터(1483년 11월 10일~1546년 2월 18일)는 독일의 종교개혁가이.
보다 미사와 마르틴 루터
마리니콜라앙투안 다블뤼
마리니콜라앙투안 다블뤼(1818년 3월 16일 프랑스 아미앵 ~ 1866년 3월 30일(음력 2월 14일), 충청남도 보령)은 프랑스 파리 외방전교회의 선교사이며 천주교 조선교구의 제5대 교구장이.
마리아 파우스티나 코발스카
성녀 마리아 파우스티나 코발스카(1905년 8월 25일 - 1938년 10월 5일)는 폴란드의 로마 가톨릭교회 수녀이자 신비가, 시현자이.
메리 매컬리스
메리 패트리샤 매컬리스(1951년 6월 27일 ~)는 아일랜드의 여성 정치인이.
보다 미사와 메리 매컬리스
모테트
모테트(Motet)는 중세 르네상스 시대에 유행했던 성악곡의 하나이.
보다 미사와 모테트
무치오 클레멘티
무치오 클레멘티 무치오 클레멘티(1752년 1월 24일 - 1832년 3월 10일)는 이탈리아의 피아니스트이며 작곡가이.
보다 미사와 무치오 클레멘티
미사 (동음이의)
미사는 다음을 뜻.
미사곡
리에(kyrie)는 흔히 미사곡(missa곡), 예전곡, 예배곡으로 번역되는 노래로 고대 그리스어, 또는 헬라어 주님이 다스리신다 뜻을 가진 단어 "퀴리유오(κὐριεύω)"에서 유래한 용어의 음악이.
보다 미사와 미사곡
미사통상문
미사통상문()은 기독교에서 로마 전례 미사를 거행할 때 간략한 지시나 규범과 더불어 고정된 기도문과 노래에 대한 일련의 양식 전문이.
보다 미사와 미사통상문
민극가
민극가(閔克可, 1788년 ~ 1840년 1월 30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민극가
감사성찬례
사성찬례(Eucharist)는 성공회에서 행하는 기독교 전례를 말. 1965년판 성공회 공동기도문(공도문)에서는 미사라고 했으나, 2004년 성공회 기도서가 개정되면서 Eucharist를 번역한 감사성찬례를 성찬례를 뜻하는 전례용어로 사용하고 있.
보다 미사와 감사성찬례
감실 (기독교)
오스트리아의 성 니콜라오 본당에 있는 감실 감실(龕室)은 기독교 등의 성당 내부에 고정되어 있는 상자 형태의 용기로, 그 안에 성찬례를 위해 축성한 제병인 성체를 넣어 모셔.
보다 미사와 감실 (기독교)
반종교 개혁
반종교개혁()은 종교개혁에 대응하기 위하여 가톨릭 교회에서 벌였던 일련의 개혁을 일컫는 말이.
보다 미사와 반종교 개혁
바오로 6세 미사
200px 바오로 6세 미사는 기독교 전례 양식의 하나로,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인 1969년에 교황 바오로 6세가 공표한 로마 전례 미사 양식이.
박봉손
박봉손(朴鳳孫, 1796년 ~ 1839년 9월 26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박봉손
박큰아기
박큰아기(朴大阿只, 1786년 ~ 1839년 9월 3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박큰아기
박희순 루치아
박희순(朴喜順, 1801년 ~ 1839년 5월 24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박희순 루치아
박종원 (종교인)
박종원(朴宗源, 1793년 ~ 1840년 1월 31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박아기
박아기(朴阿只, 1783년 ~ 1839년 5월 24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박아기
박후재
박후재(朴厚載, 1799년 ~ 1839년 9월 3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박후재
강완숙
강완숙(姜完淑, 1760년 ~ 1801년 7월 2일(음력 5월 22일))은 1801년 신유박해 때 순교한 천주교 순교자이.
보다 미사와 강완숙
가대복
복을 입은 추기경들 가대복(歌臺服)은 기독교의 성직자와 신학생의 복장이.
보다 미사와 가대복
가슴 십자가
6세기 말~7세기 경 이탈리아 또는 알프스 산록 지역의 것으로 보이는 금제 가슴 십자가 가슴 십자가() 또는 펙토랄레(Pectorale)는 보통 끈이나 고리 줄로 목에 걸어 가슴에 다는 커다란 십자.
보다 미사와 가슴 십자가
가성직제도
성직제도(假聖職制度)는 초기 한국천주교회에서 평신도들이 선교사(성직자)가 없는 상황에서 약 2년간 미사와 성사(성체성사,고해성사)의 집전을 대신한 제도를 일컫.
보다 미사와 가성직제도
가톨릭 워싱턴 대교구
릭 워싱턴 대교구()는 미국 워싱턴 D.C.에 있는 로마 가톨릭교회 대교구이.
가톨릭대학교
릭대학교(가톨릭大學校,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는 1855년에 개교한 대한민국의 천주교 계통 사립 대학으로, 한국 최초의 로마 가톨릭교회 신학교이자 고등교육기관이.
보다 미사와 가톨릭대학교
가시나무새
《가시나무새》()는 오스트레일리아의 작가 콜린 매컬로의 소설이.
보다 미사와 가시나무새
거룩한 무덤 성당
룩한 무덤 교회의 주요 출입구 에디큘 (그리스도의 무덤), 위에 로툰다의 돔이 보인다. 거룩한 무덤 성당(), 또는 성묘교회는 성벽으로 둘러싸인 예루살렘의 옛 도시 안에 있는 기독교 성당이.
베르나르 루이 볼리외
베르나르 루이 볼리외(Bernard Louis Beaulieu, 1840년 10월 8일 ~ 1866년 3월 7일)는 프랑스인 선교사로서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베르나쿨라
베르나쿨라()는 한 나라 또는 지역에서 사용하는 언어를 가리.
보다 미사와 베르나쿨라
베니스의 개성상인
《베니스의 개성상인》은 사업가이자 작가인 오세영의 역사소설이.
베니토 무솔리니
베니토 안드레아 아밀카레 무솔리니(1883년 7월 29일 ~ 1945년 4월 28일)는 파시즘을 주도한 이탈리아의 정치인이.
보다 미사와 베니토 무솔리니
베스트팔렌 조약
베스트팔렌 조약의 비준 베스트팔렌 조약(-條約)이란 오스나브뤼크와 뮌스터(각각 1648년 5월 15일과 10월 24일)에서 체결되어 프랑스어로 조문이 쓰인 평화 조약을 일컫.
보다 미사와 베스트팔렌 조약
게오르크 스테르진스키
오르크 막시밀리안 스테르진스키(1936년 2월 9일 ~ 2011년 6월 30일)는 독일 가톨릭교회의 추기경이자 베를린 대교구장이.
고백 기도
백 기도는 기독교의 기도 중 한 종류로,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로마 전례 양식 미사에서 참회 예식을 할 때 바치는 기도이.
보다 미사와 고백 기도
고우영
우영(高羽榮, 1938년 9월 27일 ~ 2005년 4월 25일)은 대한민국의 만화가이.
보다 미사와 고우영
고유문
림 제1주일을 위한 고유문으로 첫 페이지를 시작하는 옛 미사 경본(Missale Slesvicense, 1486). 고유문(proprium)은 기독교 전례에서 미사의 일부분(미사 고유문)과 성무일도의 일부분(성무일도 고유문)을 한꺼번에 일컫는 말로, 전례 주년이나 성인의 기념이나 어떤 특별한 거행에 따라 바뀌는 기도문과 전례문을 가리.
보다 미사와 고유문
고순이
순이(高順伊, 1798년 ~ 1839년 12월 29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고순이
본기도
본기도(本祈禱, collect)는 성공회와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미사를 집전하는 성직자가 미사의 성격을 설명하기 위해서 드리는 기도를 말.
보다 미사와 본기도
과달루페의 성모
의 성모 과달루페의 성모()는 16세기 멕시코에서 발현했다고 전해지는 성모 마리아를 일컫는 호칭이.
보다 미사와 과달루페의 성모
복음집
복음집 (Evangeliario di Enrico il Leone). 복음집(Evangeliarium)은 복음의 내용을 담고있지만, 복음서와 구별되는 기독교의 전례서의 하나이.
보다 미사와 복음집
복사 (동음이의)
복사에는 다음과 같은 동음이의어가 있.
복사 (기독교)
복사(服事, Altar server)는 로마 가톨릭교회와 성공회 등에서 사제의 예식집전을 보조하는 평신도를 말. 복사는 예식 중에 식을 집행하는 자의 곁에 위치하여, 물건을 나르거나, 종을 울리거나 하는 행위를.
보다 미사와 복사 (기독교)
공소예절
공소 예절()은, 로마 가톨릭교회 등 기독교에서 사제가 상주하지 않는 경당이나 기도소 등의 장소에서 공소 회장을 중심하여 평신도들끼리 집전할 수 있는 예전으로, 성찬이 생략된 일종의 미사 형식이.
보다 미사와 공소예절
권득인
득인(權得仁, 1805년 ~ 1839년 5월 24일(음력 4월 12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권득인
권희
희(權喜, 1794년 ~ 1839년 9월 3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권희
권진이
이(權珍伊, 1819년 ~ 1840년 1월 31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권진이
분향
향로 봉사자가 분향하는 모습 분향(焚香, incensare), 곧 향을 피우는 것은 기독교에서 시편 141편 2절과 요한 묵시록 8장 3절에서 뜻하는 것처럼 공경과 기도를 표현.
보다 미사와 분향
부제 (기독교)
부제(副祭)는 기독교에서 사제를 보좌하는 성직자를 말. 단, 동방 정교회에서는 보제(補祭)라고 하는데, 부제와 어원은 같. 개신교에서는 집사로 번역하는데 보통 평신도직으로 되어 있.
보다 미사와 부제 (기독교)
부속가
사본 전례서 부속가 "Lauda Sion". 부속가(Sequentia)는 기독교의 전례에서 사용되는 시적 음악적 요소를 가리키며, 장엄하게 거행하도록 지정된 미사의 복음 선포에 앞서 노래하거나 낭송.
보다 미사와 부속가
부활절
부활절에 찬양하는 모습 수원 사명의 교회 부활절(復活節, Easter) 또는 부활절기(復活節氣)는 십자가에 달려 사망한 예수가 사흘(3일)만에 부활했음을 기념하는, 기독교의 가장 중요한 축일 가운데 하나이.
보다 미사와 부활절
그레고리오 성가
입당송 - Gaudeamus omnes(모두 함께 기뻐하세) 그레고리오 성가(Gregorian chant)는 천주교의 전통적인 단선율 전례 성가의 한 축을 이루는 성가로서 로마 전례 양식 때 사용하는 무반주의 종교 음악이.
보다 미사와 그레고리오 성가
그리스도 왕 대축일
리스도 왕 대축일()은 1925년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황 비오 11세가 ‘그리스도 왕’의 의미를 성대히 기리기 위해 제정한 기독교의 대축일이.
그리스도의 몸
리스도의 몸()은 기독교 신학의 용어로서, 최후의 만찬에서 예수 그리스도가 “이것은 내 몸이.”라고 말한 것에서 유래되었으며(루카 22,19-20), 사도 바오로에 의해 명시되었다(1코린 12,12-14).
보다 미사와 그리스도의 몸
그리스도의 피
리스도의 피()는 십자가상에서 예수 그리스도가 실제로 흘렸던 육체의 피를 말하며, 기독교에서 가르치는 인류 구원은 바로 이 피를 흘림으로써 이루어졌.
보다 미사와 그리스도의 피
글로리아
리아(Gloria)에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보다 미사와 글로리아
김 로사
사(金--, 1784년 ~ 1839년 7월 20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김 로사
김 루치아
아(金---, 1818년 ~ 1839년 7월 20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김 루치아
김 루치아 (곱추)
아(金---, 1769년 ~ 1839년 9월)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인 기해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김 바르바라
바르바라(金----, 1805년 ~ 1839년 5월 27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김 바르바라
김 율리에타
율리에타(金----, 1784년 ~ 1839년 9월 26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김 율리에타
김 테레사
사(金---, 1797년 ~ 1840년 1월 9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김 테레사
김대건
(金大建, 1821년 8월 21일 ~ 1846년 9월 16일, 세례명: 안드레아)은 한국인으로서 최초의 로마 가톨릭교회 사제이자, 순교자이.
보다 미사와 김대건
김효임
효임(金孝任, 1814년 ~ 1839년 9월 26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김효임
김효주 (종교인)
효주(金孝珠, 1816년 ~ 1839년 9월 3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김장금
장금(金長金, 1789년 ~ 1839년 7월 20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김장금
김임이
임이(金任伊, 1811년 ~ 1846년 9월 20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김임이
김제준
제준(金濟俊, 1796년 ~ 1839년 9월 26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김제준
김업이
업이(金業伊, 1774년 ~ 1839년 5월 24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김업이
김성우
성우(金星禹, 1795년 ~ 1841년 4월 29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김성우
김성임
성임(金成任, 1787년 ~ 1839년 7월 20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김성임
김아기
아기(金阿只, 1787년 ~ 1839년 5월 24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김아기
대주교
른 대주교 페르디난트 아우구스트 폰 슈피겔. 대주교(大主敎,,, 또는)는 기독교에서 대교구라고 불리는 교구를 관리하는 직위에 있는 고위 성직자이.
보다 미사와 대주교
대천덕
덕(Rev. 루번 아처 토리 3세,1918년 ~ 2002년) 신부는 성공회 사제이자, 성공회 수도원인 예수원의 설립자이.
보다 미사와 대천덕
대영광송
영광송(大榮光頌, Gloria)은 로마 가톨릭교회의 미사와 정교회의 주일조과(主日朝果), 성공회의 감사성찬례, 루터교 주일예배 때 신의 영광을 찬미하는 기독교 찬미가이.
보다 미사와 대영광송
교구 (기독교)
(敎區, diocese)는 기독교에서 신자의 효율적인 관리 등을 위해서 지역적으로 편의상 분할한 구역을 일컫.
보다 미사와 교구 (기독교)
교황 루치오 2세
황 루치오 2세(라틴어: Lucius PP. II, 이탈리아어: Papa Lucio II)는 제166대 교황(재위: 1144년 3월 12일 - 1145년 2월 15일)이.
교황 베네딕토 16세
황 베네딕토 16세(1927년 4월 16일 ~)는 제265대 교황(재위: 2005년 4월 24일 ~ 2013년 2월 27일)이.
교황 그레고리오 1세
황 그레고리오 1세(라틴어: Gregorius PP. I, 이탈리아어: Papa Gregorio I)는 제64대 교황(재위: 590년 9월 3일 - 604년 3월 12일)이.
교황 비탈리아노
황 비탈리아노(라틴어: Vitalianus PP., 이탈리아어: Papa Vitaliano)는 제76대 교황(재위: 657년 7월 30일 - 672년 1월 27일Kirsch, Johann Peter (1912). "Pope St. Vitalian" in The Catholic Encyclopedia. Vol. 15. New York: Robert Appleton Company.)이.
보다 미사와 교황 비탈리아노
교황 비오 10세
황 비오 10세(라틴어: Pius PP. X, 이탈리아어: Papa Pio X)는 제257대 교황(재위: 1903년 8월 4일 ~ 1914년 8월 20일)이.
교황 스테파노 1세
황 스테파노 1세()는 제23대 교황(재위: 254년 5월 12일 ~ 257년 8월 2일Mann, Horace (1912). "Pope St. Stephen I" in The Catholic Encyclopedia. Vol. 14. New York: Robert Appleton Company.)이.
교황 우르바노 1세
황 우르바노 1세(라틴어: Urbanus I, 이탈리아어: Urbano I)는 제17대 교황(재위: 222년 - 230년 5월 23일Kirsch, Johann Peter (1912). "Pope Urban I" in The Catholic Encyclopedia. Vol. 15. New York: Robert Appleton Company.)이.
교황 요한 1세
황 요한 1세(470년 ~ 526년)는 제53대 교황(재위: 523년 8월 13일 ~ 526년 5월 18일)이.
보다 미사와 교황 요한 1세
교황 요한 2세
황 요한 2세()는 제56대 교황(재위: 533년 1월 2일 ~ 535년 5월 8일)이.
보다 미사와 교황 요한 2세
교황 펠릭스 1세
황 펠릭스 1세(라틴어: Felix I, 이탈리아어: Felice I)는 제26대 교황(재위: 269년 1월 5일 - 274년 12월 30일)이.
교황 클레멘스 1세
황 클레멘스 1세()는 제4대 교황(재위: 88년 ~ 99년)이.
교황 즉위식
황 즉위식은 교황직의 인증을 위한 가톨릭교회의 로마 전례로 집전되지만 비잔티움 전례 요소도 포함된 미사로 진행.
보다 미사와 교황 즉위식
교황 에우티키아노
황 에우티키아노(라틴어: Eutychianus, 이탈리아어: Eutichiano)는 제27대 교황(재위: 275년 1월 4일 - 283년 12월 7일Kirsch, Johann Peter (1909). "Pope St. Eutychianus" in The Catholic Encyclopedia. Vol. 5. New York: Robert Appleton Company.)이.
교황 사비니아노
황 사비니아노(라틴어: Sabinianus PP., 이탈리아어: Papa Sabiniano)는 제65대 교황(재위: 604년 9월 13일 - 606년 2월 22일)이.
보다 미사와 교황 사비니아노
교황 프란치스코
황 프란치스코(1936년 12월 17일 ~)는 제266대 교황(재위: 2013년 3월 19일 ~)이.
보다 미사와 교황 프란치스코
교황 아가피토 1세
황 아가피토 1세(라틴어: Agapetus PP. I, 이탈리아어: Papa Agapito I)는 제57대 교황(재위: 535년 5월 13일 - 536년 4월 22일)이.
교황 아나스타시오 1세
황 아나스타시오 1세(라틴어: Anastasius PP. I, 이탈리아어: Papa Anastasio I)는 제39대 교황(재위: 399년 11월 27일 - 401년 12월 19일 Retrieved 2012-03-04.)이.
교황 아나스타시오 2세
황 아나스타시오 2세(라틴어: Anastasius PP. II, 이탈리아어: Papa Anastasio II)는 제50대 교황(재위: 496년 11월 24일 - 498년 11월 19일)이.
교황 텔레스포로
황 텔레스포로(라틴어: Telesphorus, 이탈리아어: Telesforo)는 제8대 교황(재위: 125년 - 137년)이.
보다 미사와 교황 텔레스포로
교황 식스토 1세
황 식스토 1세(라틴어: Sixtus I, 이탈리아어: Sisto I)는 제7대 교황(재위: 117년 - 126년)이.
국제여단
국제여단(國際旅團, 1936년-1939년)은 스페인 내전당시 스페인 제2공화국측의 군사이.
보다 미사와 국제여단
군종 (종교)
종(軍宗)은 군대에서 종교와 관련된 병과이.
보다 미사와 군종 (종교)
남명혁
명혁(南明赫, 1802년 ~ 1839년 5월 24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남명혁
남경문 (1796년)
경문(南景文, 1796년 ~ 1846년 9월 20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남이관
이관(南履灌, 1780년 ~ 1839년 9월 26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남이관
남종삼
종삼(南鍾三, 1817년 ~ 1866년 3월 7일)은 조선의 문신이며,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남종삼
나자렛의 요셉
자렛의 요셉은 신약성서에 등장하는 성모 마리아의 남편이자 예수 그리스도를 키운 양부.
보다 미사와 나자렛의 요셉
노기남
200px 노기남(盧基南, 1902년 1월 22일(음력 1901년 12월 13일) ~ 1984년 6월 25일)은 한국의 가톨릭 성직자이며 한국천주교 최초의 한국인 주교이.
보다 미사와 노기남
노트르담 대성당
르담 대성당: 서쪽 입면 노트르담 대성당: 후진의 외부 모습 노트르담 대성당: 벽날개 프랑스 파리 시테 섬에 있는 노트르담 대성당의 야경 파리의 노트르담 대성당()은 프랑스 파리의 시테 섬의 동쪽 반쪽에 있는 프랑스후기고딕 양식의 성당이.
보다 미사와 노트르담 대성당
다미앵 신부
미앙 또는 다미앵 신부(Pater Damiaan, 1840년 ∼ 1889년)는 벨기에의 로마 가톨릭 신부로 본명은 요제프 데 뵈스터(Jozef De Veuster)이.
보다 미사와 다미앵 신부
다카타 사부로
사부로(1913년 12월 18일 ~ 2000년 10월 22일)는 일본의 작곡가이자 지휘자이.
보다 미사와 다카타 사부로
달마티카
마티카를 입은 로마 가톨릭의 부제 화려하게 장식한 달마티카 달마티카()는 소매가 길고 폭이 넓으며 양옆이 터져 있고 길이가 무릎까지 오는 겉옷으로 로마 가톨릭과 성공회, 감리교에서 사용하는 기독교의 전례 의상이.
보다 미사와 달마티카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
아-콘스탄티노폴시스 신경 (또는)은 니케아 신경을 기초로 381년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서 채택된 그리스도교 신앙 고백문이.
FC 샬케 04
FC 겔젠키르헨-샬케 04 e. V. 혹은 흔히 약칭으로 FC 샬케 04 (FC Schalke 04) 나 샬케 (Schalke) 는 독일의 축구단으로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겔젠키르헨의 샬케 지구에서 비롯된 클럽이.
보다 미사와 FC 샬케 04
스페인
스페인 왕국()은 유럽 남서부 이베리아 반도에 있는 나라로, 북쪽으로는 안도라와 프랑스, 서쪽으로는 포르투갈과 마주하고 있으며, 유럽 연합 회원국 가운데 프랑스에 이어서 두 번째로 영토가 넓은.
보다 미사와 스페인
스코틀랜드의 역사
스코틀랜드의 역사는 영국의 홈 네이션스 중 하나인 스코틀랜드의 역사이.
스타드 드 라 메노
스타드 드 라 메노()는 프랑스 스트라스부르에 있는 축구 경기장으로, 흔히 라 메노(La Meinau)라는 이름으로 부르.
우술임
우술임(禹述任, 1803년 ~ 1846년 9월 20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우술임
우세영
우세영(禹世英, 1845년 ~ 1866년 3월 11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우세영
울리히 츠빙글리
울리히 츠빙글리 울리히 츠빙글리(Ulrich Zwingli, 1484년 1월 1일 - 1531년 10월 11일)는 스위스의 종교개혁자가이.
보다 미사와 울리히 츠빙글리
트리엔트 미사
리덴티노 양식에 따른 장엄 미사 중에 집전 사제의 성체 거양 트리엔트 미사()는 1570년부터 1962년까지 발행된 로마 미사 경본에 따른 로마 전례 미사이.
보다 미사와 트리엔트 미사
트리엔트 공의회
당시 트렌토(트리엔트)의 산타 마리아 마조레 성당에 소집된 트리엔트 공의회를 묘사한 17세기 그림. 트리엔트 공의회()는 1545년부터 1563년까지 이탈리아 북부 트렌토(트리엔트)와 볼로냐에 소집된 로마 가톨릭교회의 세계 공의회이.
보다 미사와 트리엔트 공의회
튜닉
닉(tunic)은 허리 밑까지 내려오는 여성용의 낙낙한 블라우스 또는 코트이.
보다 미사와 튜닉
회중석 (건축)
성당의 회중석 주교좌 성당의 회중석, (Cattedrale di Amiens) 성당의 제단에서 바라본 회중석과 오르간, (Stadtkirche Glarus, 스위스) 회중석(會衆席, Aula)은 성당의 내부에서 성당 정면(파사드)과 제단 사이에 있는 공간으로, 전례 회중이 자리하는 공간이.
보다 미사와 회중석 (건축)
요한 마리아 비안네
성 요한 마리아 비안네(1786년 5월 8일 - 1859년 8월 4일) 또는 장 마리 비앙네()는 프랑스 가톨릭교회의 사제로서 전 세계 모든 본당 신부의 수호성인으로 유명.
자크 샤스탕
자크 오노레 샤스탕(Jacques Honor Chastan, 한국명: 정아각백(鄭牙各伯), 1803년 7월 10일 ~ 1839년 9월 21일)은 프랑스인 사제로서,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자크 샤스탕
자살
오파트라의 자살 십만 명당 자살률 자살(自殺)은 여러 가지 죽음의 형태 중 하나로, 스스로 삶을 중단시키는 행위이.
보다 미사와 자살
장주기
장주기(張周基, 1803년 ~ 1866년 3월 30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장주기
장성집
장성집(張--, 1786년 ~ 1839년 5월 26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장성집
재의 수요일
재의 수요일(Ash Wednesday)은 기독교에서 사순절의 시작을 알리는 교회력의 절기를 말. 기독교인들은 재를 이마에 바르고 죄를 고백하여 그리스도의 고난을 40일간 묵상하는 사순절 의미를 생각.
보다 미사와 재의 수요일
펄리시티 존스
리시티 로즈 해들리 존스(1983년 10월 17일 ~)는 간단히 펠리시티 존스(로 잘 알려진 잉글랜드의 배우이다. 그녀는 만 12세에 출연한 영화 《보물 사냥》(1996)에서 아역으로 그녀의 전문적인 연기 경력을 시작했다. 그녀는 TV 시리즈 《꼴찌마녀 밀드레드》의 시즌 1과 그 속편 《위어드시스터 대학교》에서 에설 핼로 역할을 연기했다.
보다 미사와 펄리시티 존스
임치백
임치백(林致百, 1803년 ~ 1846년 9월 20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임치백
입당송
15세기 양피지 필사본 미사경본의 입당송. 가사는 Laetabitur iustus in Domino: 시편 64(63),11 이다. 입당송(入堂頌, introitus, antiphona ad introitum)은 기독교에서 미사 전례의 시작 예식에서 주례 사제가 전례 봉사자들과 함께 입당 행렬을 이루어 제대로 나아갈 때 동반하는 전례문이.
보다 미사와 입당송
입을 열어 구세주의 영광을 찬미하세
입을 열어 구세주의 영광을 찬미하세 또는 판제 링구아 글로리오시 코르포리스 미스테리움()은 성 토마스 아퀴나스(1225-1274)가 성체 축일(지금의 성체성혈 대축일)을 위해 작곡한 찬미가이.
크리스마스
리스마스()는 대부분의 기독교가 종교적, 문화적으로 기념하는 최대 축일로서 예수의 탄생을 기리는 날이.
보다 미사와 크리스마스
포도주
주(葡萄酒) 또는 와인() 혹은 뱅()은 포도를 으깨서 나온 즙을 발효시킨 술을 말. 제조 방법상 양조주 중 과실주에 해당.
보다 미사와 포도주
흠숭지례
흠숭지례(欽崇之禮)는 로마 가톨릭교회와 동방 정교회 등의 기독교 교파에서 오직 삼위일체 하느님에게만 바치는 최고의 흠모와 숭배의 예(禮)를 가리키는 말이.
보다 미사와 흠숭지례
이 바르바라
이 바르바라(李----, 1825년 ~ 1839년 5월 27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이 바르바라
이 가타리나
이 가타리나(李~, 1783년 - 1839년 10월)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이 가타리나
이 아가타
이 아가타(李---, 1824년 ~ 1840년 1월 9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이 아가타
이매임
이매임(李梅任, 1788년 ~ 1839년 7월 20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이매임
이명서
이명서(李--, 1821년 ~ 1866년 12월 13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이명서
이문우
이문우(李文祐, 1810년 ~ 1840년 2월 1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이문우
이간난
이간난(李干蘭, 1814년 ~ 1846년 9월 20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이간난
이경이
이경이(李瓊伊, 1814년 ~ 1840년 1월 31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이경이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이고리 스트라빈스키 이고리 표도로비치 스트라빈스키(1882년 6월 17일 ~ 1971년 4월 6일)은 러시아의 작곡가이.
이광렬
이광렬(李光烈, 1795년 ~ 1839년 7월 20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이광렬
이광헌
이광헌(李光獻, 1787년 ~ 1839년 5월 24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이광헌
이승훈 (1756년)
이승훈(李承薰, 1756년 ~ 1801년 4월 8일)은 조선 말기의 천주교 순교자이.
이인덕
이인덕(李仁德, 1818년 ~ 1840년 1월 31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이인덕
이정희 (종교인)
이정희(李貞喜, 1799년 ~ 1839년 9월 3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이윤일
이윤일(李--, 1823년 ~ 1867년 1월 21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이윤일
이영덕 (종교인)
이영덕(李榮德, 1811년 ~ 1839년 12월 29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이영희 막달레나
이영희(李英喜, 1809년 ~ 1839년 7월 20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이영희 막달레나
이호영 베드로
이호영(李--, 1803년 ~ 1838년 11월 2일)은 조선 말기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회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이호영 베드로
이연희 (종교인)
이연희(李連熙, 1804년 ~ 1839년 9월 3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이소사
이소사(李召史, 1784년 ~ 1839년 5월 24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이소사
일본 로마가톨릭의 역사
일본 기독교인들이 사용한 책 나가사키에서 죽은 26명의 순교자 기념비 아래는 일본 로마가톨릭의 역사에 대한 설명이.
일요일
일요일(日曜日)은 토요일 뒤의 날, 월요일 앞의 날이.
보다 미사와 일요일
음악의 역사
음악의 탄생과 발전에 대한 역사이.
보다 미사와 음악의 역사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1962년부터 1965년까지 열린 로마 가톨릭교회의 공의회이.
제병
서방 기독교 교회에서 성찬전례 때 사용하는 누룩이 들어있지 않은 제병 제병을 만들 때 사용하는 도구들 제병(祭餅)은 기독교 교회에서 성직자가 신자들에게 떼어 나누어주는 성찬례에 사용하는 빵을 일컫는 말이.
보다 미사와 제병
제대포
제대 위를 덮은 하얀색 제대포. 제대포(祭臺布)는 제대 위에 까는 아마포나 대마포로 만들어진 세 장의 하얀색 천을 말하는데, 양쪽이 땅에 닿도록 하는 제일 위에 것과 그 밑의 두 장이 바로 제대포이.
보다 미사와 제대포
제단
제단(祭壇)은 제사 등을 올리던 단을 말. 여러 종교에서 제물을 바치거나 종교 행사를 펼치는 장소로 사용.
보다 미사와 제단
제단 (건축)
제단 제단의 주요 구성, 뒤쪽부터 시계방향으로, 사제석, 감실, 제대, 독서대. 제단()은 주로 가톨릭교회의 성당 건축 일부분으로, 익랑을 중심으로 신자들이 머무르는 공간인 회중석과 마주보고 있는 영역을 가리.
보다 미사와 제단 (건축)
전례복
전례복(Vestments)또는 예복(禮服)은 기독교에서 성직자가 예전과 성사집전을 위해 입는 옷을 말.
보다 미사와 전례복
전경협
전경협(全敬俠, 1790년 ~ 1839년 9월 26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전경협
전장운
전장운(全長雲, 1811년 ~ 1866년 3월 9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전장운
정문호
정문호(鄭--, 1801년 ~ 1866년 12월 13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정문호
정의배
정의배(丁義培, 1795년 ~ 1866년 3월 11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정의배
정정혜
정정혜(丁情惠, 1797년 ~ 1839년 12월 29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정정혜
정철염
정철염(鄭鐵艶, 1817년 ~ 1846년 9월 20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정철염
정원지 (종교인)
정원지(鄭--, 1846년 ~ 1866년 12월 13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정화경
정화경(鄭--, 1807년 ~ 1840년 1월 23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정화경
조 막달레나
조 막달레나(趙~, 1806년 - 1839년 10월)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조 막달레나
조증이
조증이(趙曾伊, 1781년 ~ 1839년 12월 29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조증이
조윤호 (종교인)
조윤호(趙--, 1848년 ~ 1866년 12월 23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조신철
조신철(趙信喆, 1795년 ~ 1839년 9월 26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조신철
조시 더멜
조슈아 데이비드 "조시" 더멜(1972년 11월 14일 ~)은 미국의 배우 및 패션 모델이.
보다 미사와 조시 더멜
조화서
조화서(趙--, 1815년 ~ 1866년 12월 31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조화서
종 (악기)
덕수궁에 소재한 흥덕사 범종 종(鐘)은 간단한 형태의 악기이.
보다 미사와 종 (악기)
종교 개혁
95개조 반박문 종교 개혁(宗敎 改革)은 1517년 10월 31일 종교 개혁가 마르틴 루터가 당시 로마 가톨릭 교회의 대사부(면벌부) 판매, 연옥에 대한 교황권 주장, 그리고 공로사상을 비판한 내용의 95개조 반박문을 발표로 시작된 사건으로, 부패한 교회를 오직 성경의 권위와 오직 은혜(sola gratia)와 오직 믿음(sola fide)을 강조함으로써 교회와 교회의 제도를 새롭게 개혁시키고자 했던 교회 개혁 운동이.
보다 미사와 종교 개혁
주문모
주문모(1752년 ~ 1801년 5월 31일)사제는 조선에서 순교한 중국인 로마 가톨릭교회 사제이.
보다 미사와 주문모
주교관
주교관(主敎冠)은 그리스어로 ‘μίτρα(‘머리띠’ 또는 ‘두건’)’라는 뜻으로, 기독교에서 주교품 이상의 고위 성직자들이 전례용으로 머리에 쓰는 전통적인 모자를 말.
보다 미사와 주교관
주님 만찬 미사
제자들의 발을 씻기는 그리스도, 1475, 베를린. 주님 만찬 미사(Missa in Cena Domini)는 성목요일 오후나 저녁에 드리게 되는 기독교의 둘째 전례로서(첫째 전례는 오전의 성유 축성 미사), 로마 가톨릭교회 라틴 전례에 따르면 주님 만찬 미사로 파스카 성삼일을 성대하게 시작.
보다 미사와 주님 만찬 미사
주케토
황 전용의 하얀색 주케토 주케토를 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주케토()는 이탈리아어로 “작은 바가지”라는 뜻으로 라틴어인 필레올루스(pileolus)라고도 부른.
보다 미사와 주케토
중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중국에서도 한국과 같이 로마 가톨릭교회를 천주교(天主教)라고도 부른.
진노의 날
심판의 날. 〈진노의 날〉()은 프란치스코회 수도사 첼라노 사람 토마소 또는 산타 사비나 성당의 라티노 말라브란카 오르시니가 지었다고 하는 라틴어 찬송.
보다 미사와 진노의 날
진손왕
백제 진손왕(百濟 辰孫王, 356년 ~ ?)은 백제의 왕자·왕족이며 근구수왕의 손자이고, 백제 진사왕(辰斯王)의 아들이.
보다 미사와 진손왕
지학순
학순(池學淳, 1921년 9월 9일 ~ 1993년 3월 12일)은 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주교이며 세례명은 다니엘이.
보다 미사와 지학순
차부제
부제(次副祭)는 기독교의 성직 중 하나이.
보다 미사와 차부제
첫 금요일 신심
첫 금요일 신심은 예수 성심을 위로하고 지은 죄를 보속하려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신심 행위이.
보다 미사와 첫 금요일 신심
첫 토요일 신심
첫 토요일 신심은 몇몇 성모 발현, 그중에서도 특히 파티마의 성모가 발현 목격자들을 몇 차례 방문하면서 제시한 기독교의 관습이.
보다 미사와 첫 토요일 신심
천주의 성모 마리아 대축일
주의 성모 마리아 대축일()은 기독교에서 예수 그리스도가 참 하느님이며 참 사람임을 선언하고, 이런 의미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낳은 성모 마리아를 테오토코스(하느님의 어머니)로 공경하는 대축일이.
추석
석(秋夕)은 한가위, 중추(仲秋), 중추절(仲秋節), 가배일(嘉俳日)로 부르기도 하며, 음력 8월 15일에 치르는 명절로서 설날과 더불어 한국인에게 전통적으로 가장 중요한 명절이.
보다 미사와 추석
카노사의 굴욕
사의 하인리히 (1862) 카노사(카노사르)의 굴욕 혹은 카노사 사건은 1077년 1월 28일, 신성로마제국의 하인리히 4세가 자신을 파문한 교황 그레고리오 7세를 만나기 위해 이탈리아 북부의 카노사 성으로 가서 관용을 구한 사건을 말. 교회의 성직자 임명권인 서임권을 둘러싸고 분쟁하던 신성 로마 제국 황제와 교황의 대립의 정점에 있었던 사건으로 이후 기독교에 세속 권력이 굴복한 대표적인 사건으로 지칭.
보다 미사와 카노사의 굴욕
콘클라베
베가 행해지는 장소인 시스티나 성당. 콘클라베()는 ‘열쇠가 있어야 들어갈 수 있는 방’, ‘걸쇠로 문을 잠근 방’을 의미하는 단어로,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교황을 선출하는 선거 시스템이.
보다 미사와 콘클라베
쾰른 대성당
른 대성당(정식 명칭: Hohe Domkirche St. Peter)은 독일 쾰른에 있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성당이.
보다 미사와 쾰른 대성당
판테온 (로마)
온의 정면 판테온()은 그리스어 ‘판테이온(Πάνθειον)’에서 유래한 말로, “모든 신을 위한 신전”이라는 뜻이.
보다 미사와 판테온 (로마)
유대철
유대철(劉大喆, 1826년 - 1839년 10월 31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으로, 그들 중 가장 나이 어린 성인이.
보다 미사와 유대철
유정률
유정률(劉正律, 1837년 ~ 1866년 2월 19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유정률
유진길
유진길(劉進吉, 1791년 ~ 1839년 9월 22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유진길
유소사
유소사(柳召史, 1761년 ~ 1839년 11월 23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유소사
파스카의 희생을 찬미하라
스카의 희생을 찬미하라(Victimae Paschali Laudes)는 로마 가톨릭교회 부활절 낮 미사에 혹은 개신교의 성찬식 때 부르는 부속가로, 11세기 부르고뉴의 사제 위포의 작품으로 추정되며, 모두 8행으로 구성되어 있. 분류:11세기 작품.
파치 음모사건
1479년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스캐치한 교수형 당하는 공모자 베르나르도 디 반디노 바론첼리 파치 음모(Congiura dei Pazzi)는 파치 가문과 다른 이들이 르네상스 시기 피렌체의 통치자로 있던 메디치 가문을 전복시키기 위해 벌였던 사건이.
보다 미사와 파치 음모사건
샤를 앙리 상송
Eugène Lampsonius에 의한 초상화 샤를 앙리 상송 (Charles-Henri Sanson, 1739년 2월 15일 - 1806년 7월 4일)은, 프랑스 혁명기의 사형 집행인으로, 파리의 사형집행인 상송 가의 4대째 당주 루이 16세나 마리 앙투아네트, 에베르, 데물랭, 당통, 라부아지에, 로베스피에르, 생쥐스트, 쿠통등 저명인의 처형을 거의 집행하였.
보다 미사와 샤를 앙리 상송
새 미국 성경
새 미국 성경(약칭 NAB)은 1970년에 출판된 미국식 영어로 번역된 로마 가톨릭교회의 성경이.
보다 미사와 새 미국 성경
수도원
브로디 수도원. 수도원(修道院)은 기독교의 수도사나 수녀들이 생활하는 장소이.
보다 미사와 수도원
영대
식 영대와 수대 영대(領帶)는 기독교 성직자들이 예식을 수행할 때 입는 제복 중의 하나이.
보다 미사와 영대
오르간
오르간(Organ)은 피아노와 비슷한 악기로, 건반 악기의 일종이.
보다 미사와 오르간
오르가니스트
독일 뢰타 게오르겐교회 질버만오르간 1721년 제작 오르가니스트(organist) 또는 오르간 연주자는 오르간을 직업으로 연주하는 사람이.
보다 미사와 오르가니스트
오를란도 디 라소
볼로냐의 Civico Museo Bibliografia Musicale가 소장한 오를란도 디 라소의 초상화. 오를란도 디 라소(Orlando di Lasso, 1532년 경 ~ 1594년)는 벨기에의 음악가이.
오를레앙 대성당
오를레앙 대성당 오를레앙 대성당 또는 오를레앙 주교좌 성당은 프랑스 오를레앙에 있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고딕 양식 대성당이.
보다 미사와 오를레앙 대성당
오스카르 로메로
메로의 1979 오스카르 아르눌포 로메로(Óscar Arnulfo Romero y Galdámez, 1917년 8월 15일 ~ 1980년 3월 24일)는 엘살바도르의 해방신학자이자, 로마 가톨릭 교회의 대주교이.
보다 미사와 오스카르 로메로
혼인성사
혼인성사(婚姻聖事)는 기독교의 성사 중 하나로, 결혼을 의미.
보다 미사와 혼인성사
예루살렘 성경
150px 예루살렘 성경(Jerusalem Bible, JB 또는 TJB)은 1966년 영어권에 처음으로 소개된 영어로 번역된 성경이며, Darton, Longman & Todd에서 출판되었.
보다 미사와 예루살렘 성경
예배
예배(禮拜)는 문자적으로는 ‘예를 갖추어 절한다’ 라는 뜻으로, 종교에서 신앙의 대상에게 존경과 숭앙하는 마음을 표현하는 것을 말. 각 종교마다 예배의 구체적 의미와 형식은 차이를 보일 수 있.
보다 미사와 예배
예수회
예수회(S.J., SJ, SI)는 로마 가톨릭교회 소속 수도회이.
보다 미사와 예수회
현경련
현경련(玄敬連, 1794년 ~ 1839년 12월 29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현경련
현석문
현석문(玄錫文, 1797년 ~ 1846년 9월 19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현석문
최경환 (종교인)
경환(崔京煥, 1805년 ~ 1839년 9월 12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최창흡
창흡(崔昌洽, 1786년 ~ 1839년 12월 29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최창흡
최영이 (종교인)
영이(崔榮伊, 1818년 ~ 1840년 2월 1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최형
형(崔炯, 1814년 ~ 1866년 3월 9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최형
최양업
양업(崔良業, 1821년 3월 1일 ~ 1861년 6월 15일)은 조선 후기의 가톨릭 사제이.
보다 미사와 최양업
향
향 향은 향내를 풍기는 물건, 또는 제전에 피우는 향내가 나는 물건의 통칭이.
보다 미사와 향
어부의 반지
오 13세의 반지 인장 어부의 반지()는 반지 형태를 띤 교황의 공식 도장으로, 국새에 해당하며, 베드로를 의미하는 기독교 상징물 가운.
보다 미사와 어부의 반지
에스토니아의 로마 가톨릭교회
역사적으로 에스토니아에 기독교 신앙이 전해진 것은 13세기 초, 독일의 튜튼 기사단을 통해서였.
여흥부대부인
여흥부대부인 민씨(驪興府大夫人 閔氏, 1818년 2월 3일 ~ 1898년 1월 8일/1897년 음력 12월 16일)는 조선의 왕족이며, 대한제국 고종황제의 어머니이.
보다 미사와 여흥부대부인
헬프타의 제르트루다
헬프타의 성녀 제르트루다 또는 대(大)제르투르다(1256년 1월 6일 - 1302년 11월 16일)는 독일 가톨릭교회의 베네딕토회 수녀이자 신비가, 신학자, 성녀이.
연중 시기
연중 시기()는 기독교의 절기로서,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회력에서 대림 시기, 성탄 시기, 사순 시기, 부활 시기를 제외한 특별한 그리스도의 신비를 기념하지는 않는 날들이.
보다 미사와 연중 시기
연송
연송 "Absolve, Domine", 죽은 이를 위한 미사에 쓰는 악보. 연송(延頌,連誦, Tractus)은 주로 가톨릭 교회의 로마 전례의 미사 전례에서 독서 사이에 쓰는 전례 노래이.
보다 미사와 연송
허계임
임(許季任, 1773년 ~ 1839년 9월 26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허계임
허협
협(許-, 1796년 ~ 1840년 1월 31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허협
사도좌 공석
성좌의 문장 사도좌 공석(使徒座空席)은 라틴어로 ‘주교좌가 비어 있는 상태’를 의미하며,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교황직이 공석 상태일 경우를 일컫는 교회법 용어이.
보다 미사와 사도좌 공석
사도신경
사도신경(使徒信經) 또는 사도신조는 기독교에서 사용되는 신앙고백의 하나로 주로 서방교회에서 기도문으로 활용.
보다 미사와 사도신경
사제
신부(神父) 또는 사제(司祭)는 흔히 로마 카톨릭교회의 성직자를 가리키는 말이.
보다 미사와 사제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당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당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당()은 이탈리아 로마에 있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대성당이.
삼중 기보 미사 성가집
《삼중 기보 미사 성가집》의 알렐루야 'Laudate pueri'. 네우마 음표 위, 아래에 검은색 선율 표기와 빨간색 선율 표기가 되어 동일한 노래에 대한 3개의 전승을 비교해서 볼 수 있다. 《삼중 기보 미사 성가집》의 한 쪽 삼중 기보 미사 성가집(Graduale Triplex)는 주로 로마 가톨릭교회 라틴 전례의 미사에서 사용하는 고유문 그레고리오 성가의 본문(가사)과 선율을 모아 놓은 전례서인 미사 성가집(Graduale)의 한 종류이.
삼성송
안드레이 루블료프의 삼위일체 이콘 삼성송(三聖誦)은 동방 정교회와 오리엔트 정교회, 동방 가톨릭교회의 성찬예배에서 부르는 성가이.
보다 미사와 삼성송
피에르 모방
에르 필리베르 모방(한국명: 나백다록(羅伯多祿), 1803년 9월 20일 ~ 1839년 9월 21일(음력 8월 14일)) 신부는 파리 외방 전교회의 회원이며, 한국교회사 최초의 서양인 천주교 선교사로 여. 그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로 인해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피에르 모방
피에르 오메트르
에르 오메트르(Pierre Aumaître, 1837년 4월 8일 ~ 1866년 3월 30일) 또는 오메트르 베드로는 프랑스의 선교사로서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피에르 오메트르
피에르앙리 도리
에르앙리 도리(Pierre-Henri Dorie, 1839년 9월 23일 ~ 1866년 3월 7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피에르앙리 도리
피에트렐치나의 비오
에트렐치나의 성 비오(1887년 5월 25일 - 1968년 9월 23일)는 이탈리아의 카푸친 작은형제회 사제이며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성인으로 공경받고 있. 그의 원래 이름은 프란체스코 포르지오네()이며, 비오라는 이름은 카푸친 작은형제회에 입회할 때 받은 이름이.
프랑수아 1세 (프랑스)
랑수아 1세(1494년 9월 12일 - 1547년 3월 31일)는 프랑스의 국왕으로 1515년 랭스 대성당에서 대관식을 치른 뒤, 1547년까지 통치하였.
성 베드로 사제 형제회
성 베드로 사제 형제회(약칭 FSSP)는 교황과 일치해 있는 전통 가톨릭 성향의 로마 가톨릭교회 사도 생활단이.
성모 영보 성당
성모 영보 성당() 또는 성모 영보 성전은 이스라엘 북부 나사렛에 있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성당이.
보다 미사와 성모 영보 성당
성무일도 노래집
성무일도 노래집, 베네치아에서 1748년 인쇄 성무일도 노래집(Antiphonarium, Antiphonale)은 기독교의 성무일도 전례에서 사용하는 전례서의 하나이.
보다 미사와 성무일도 노래집
성반
브레멘 성당 미술관에 전시된 1400년경의 성작과 성반 성반(聖盤)은 기독교에서 거행하는 성찬 때에 쓰이는 제구(祭具)의 하나로 제병을 올려놓는 용도로 쓰인.
보다 미사와 성반
성가대
성가대(聖歌隊)는 교회 등에서 예배나 미사에서 성가를 부르기 위하여 조직된 합창단이.
보다 미사와 성가대
성광
전통적인 ‘태양’ 형태의 성광. 성광(聖光)은 로마 가톨릭교회, 구 가톨릭교회, 성공회 등의 기독교에서 성시간, 성체 강복, 성체 거동 때 성체 현시에 사용되는 전례 용구이.
보다 미사와 성광
성당
성당(聖堂)은 기독교의 교회당 중에서, 성만찬에 쓰이는 성체와 성혈을 모시는 감실이 있는 경당을 특별히 일컫는 말이.
보다 미사와 성당
성작
바로크 양식의 성작과 성반 성작(聖爵, 은 기독교에서 사용하는 제구(祭具) 중의 하나로 성찬 전례(영성체)를 거행할 때에 성찬용 포도주를 담는 잔이다. 일반적으로 값비싼 합금을 재료로 만들어지며, 때때로 에나멜이나 보석으로 화려하게 치장하기도 한다.
보다 미사와 성작
성작 덮개
성작 덮개로 덮어 놓은 성작과 성작 수건 성작 덮개(Palla)는 기독교의 전례에서, 특히 가톨릭교회 미사에서 성찬 전례를 거행하는 동안에 성작 안에 먼지나 벌레가 들어가지 못하게 덮어 놓는 전례용품이.
보다 미사와 성작 덮개
성작 수건
성작 위에 놓인 성작 수건 성작 수건(聖爵手巾, purificatorium)은 주로 가톨릭교회의 전례에서 사용하는 기독교 전례용품이.
보다 미사와 성작 수건
성지주일
성지주일(), 주님 수난 성지주일, 또는 종려주일은 그리스도교에서, 예수가 십자가형을 앞두고 예루살렘으로 입성할 때, 군중들의 환영을 받은 일을 기념하는 날을 말. 매년 부활절 일주일을 앞둔 일요일로, 이 날부터 7일간은 성(聖)주간으로 그리스도의 고난을 기념하는 고난주간으.
보다 미사와 성지주일
성찬예배 (동방 교회)
성찬예배(聖餐禮拜)는 일반적으로 비잔티움 전통 계열 기독교의 성찬 전례를 일컫는 용어이.
성체포
성체포 성체포(聖體布)는 가로 세로 50cm 정도의 사각형 하얀색 아마포 천으로, 기독교에서 미사(성찬 예식)를 거행하는 동안 제대 위에 성작과 성반, 성합 등을 놓을 때 그 밑에 깔아 놓는 용도로 사용.
보다 미사와 성체포
성체함
축성된 제병(성체)을 넣고 가져갈 때 쓰는 작은 성체함. 성체함(聖體函)은 작고 둥근 휴대용 그릇 형태로 된 기독교의 제구 중 하나로, 주로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병이 들거나 병약한 사람 또는 미사에 참례하지 못한 사람을 위해 성체를 영해주기 위한 용도로 사용.
보다 미사와 성체함
성유 축성 미사
황 요한 바오로 2세가 집전하는 성유 축성 미사 초대장. 성유 축성 미사(Missa Chrismatis)는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성주간 목요일 오전에 거행하는 기독교의 미사 형태이.
보다 미사와 성유 축성 미사
성수 예식
성수 예식(聖水禮式)은 기독교, 특히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정화하거나 축복하기 위하여 여러 사람 위에 성수를 뿌리는 예식이.
보다 미사와 성수 예식
성사집
젤라시오 성사집, 약 750년. 성사집(Sacramentarium)은 전례서의 하나로, 주로 가톨릭교회의 미사 전례와 성사 전례에서 사용하는 기도문들을 모아 놓은 책이며, 이는 집전자들, 곧 주교와 신부들이 사용하는 책이.
보다 미사와 성사집
성서정과
독서집(Lectionary) 또는 성서일과(聖書日課)는 기독교에서 교회력에 따라 배치한 전례 성서를 말. 대림절(Advent), 성탄절(Christmas),공현절(Epiphany),사순절(Lent),성 주간(Holy Week), 부활절(Easter), 연중주일(Season after), 성령강림절(Pentecost)등의 교회력 절기에 맞추어 성서 말씀이 배치되어 있.
보다 미사와 성서정과
성토요일
리스도의 죽음과 슬퍼하는 세 여인(Andrea Mantegna), 밀라노 성토요일(Holy Saturday, 聖土曜日)은 부활절 전날인 안식일(토요일)을 가리.
보다 미사와 성토요일
성합
성합 성합(聖盒) 또는 성반은 기독교에서 성찬 전례를 거행할 때에 쓰는 제구(祭具)의 하나이.
보다 미사와 성합
세계 청년 대회
'''세계 청년 대회 2000''', 로마 세계 청년 대회(World Youth Day, 약칭 WYD)는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젊은이들 위주로 주최하는 행사이.
보다 미사와 세계 청년 대회
서양 중세 연극
서양 중세의 연극은 기독교적 종교극과 넌센스 코믹을 위주로 하는 세속극으로 크게 나눌 수 있. 그러나 세속극이 제대로 된 형태로 나타나기 시작한 것은 후기에 와서이며 그 비중도 종교극보다는 훨씬 작. 따라서 중세사회가 대체로 교회를 정점으로 하는 공동체 사회였듯이, 그 연극은 교회적인 종교극이 태반을 이룬다 해도 과언이 아.
보다 미사와 서양 중세 연극
서산 해미읍성
미읍성(海美邑城)은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에 있는 옛 읍성이.
보다 미사와 서산 해미읍성
손자선
손자선(孫--, 1844년 ~ 1866년 5월 18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손자선
손선지
손선지(孫--, 1820년 ~ 1866년 12월 13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손선지
손소벽
손소벽(孫小碧, 1801년 ~ 1840년 1월 31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사람이.
보다 미사와 손소벽
토요일
요일(土曜日)은 금요일 뒤의 날, 일요일 앞의 날이.
보다 미사와 토요일
소금
소금 소금(common salt)은 염화 나트륨(NaCl, sodium chloride)을 주성분으로 하는 짠 맛의 물질이.
보다 미사와 소금
통회 기도
통회 기도()는 하느님에게 자신이 죄를 지었음을 인정하고 고백하면서 잘못을 뉘우치고 죄를 피하기로 결심하며, 하느님의 자비와 용서를 청하는 기독교의 기도이.
보다 미사와 통회 기도
통합 성가집
통합 성가집에 실린 'Asperges Me'의 시작부 통합 성가집(Liber Usualis)는 '미사와 성무일도에 사용하는 노래를 통합한 성가집'(Liber usualis Missae et Officii)이며, 줄여서 '통합 성가집'이라고 부른.
보다 미사와 통합 성가집
야고보 (알패오의 아들)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 ※ 62년)는 사도, 특히 예수 그리스도의 열두 제자 가운데 한 사람이.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우스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우스(296/298년? ~ 373년 5월 2일)는 4세기에 활동했던 알렉산드리아의 총대주교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또는 한국의 천주교회는 조선 중엽에서 말기 사이에 마테오 리치의 《천주실의》(天主實義)를 통해 ‘서학’(西學)이라는 학문으로서 전래되었으며, 이후 점차 신도가 늘어 외부의 선교 활동 없이 자치 교회를 세우는 데에 이르.
한재권
재권 또는 한원서(韓--, 1836년 ~ 1866년 12월 13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한재권
한이형
이형(韓履亨, 1799년 ~ 1846년 9월 20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한이형
한영이
영이(韓榮伊, 1784년 ~ 1839년 12월 29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한영이
알프레도 오타비아니
thumb 알프레도 오타비아니(1890년 10월 29일 - 1979년 8월 3일)는 이탈리아의 로마 가톨릭교회 추기경이.
한아기
아기(韓阿只, 1739년 ~ 1839년 5월 24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한아기
안중근
안중근(安重根, 1879년 9월 2일 ~ 1910년 3월 26일) 의사는 대한제국의 항일 의병장 겸 정치 사상가이.
보다 미사와 안중근
안톤 브루크너
요제프 안톤 브루크너(Joseph Anton Bruckner, 1824년 9월 4일 ~ 1896년 10월 11일)는 오스트리아의 작곡가이자 오르가니스트이.
보다 미사와 안톤 브루크너
하느님, 왕을 지켜 주소서
, 왕을 지켜 주소서는 프랑스 왕국에서 사용한 왕실 국가로서, 왕정 시대 때에는 매 미사 때마다 쁘띠뜨 모테트 형식으로 불. 왕정 시대 때는 제1신분이었던 성직자와 제2신분이었던 귀족 사이에서 라틴어가 꽤 사용되었는데, 이 곡 역시 가사가 라틴어로 쓰여졌.
하느님의 어린 양
의 어린양, 즉 아뉴스 데이은 라틴어로 하느님(Dei)의 어린 양(Agnus)이라는 직역의 의미를.
아르메니아 전례
아르메니아 전례는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아르메니아 가톨릭교회가 사용하는 독립적인 예배 형식이.
보다 미사와 아르메니아 전례
필리오케 문제
리오케 문제 또는 필리오케 논쟁은 기독교의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에 수록된 삼위일체에 관한 교리 논쟁으로, 기독교 신학의 주요 쟁점 가운데 하나이.
보다 미사와 필리오케 문제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해설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해설(아우크스부르크 信仰告白 解說)은 필리프 멜란히톤에 의해 1530년 작성된 해설서이. 1530년 6월 25일 카를 5세와 로마 가톨릭 교회에 대응하기 위해 발표되었.
앙리에타 마리 드 프랑스 왕녀
앙리에타 마리(1609년 11월 25일 - 1669년 9월 10일)는 프랑스의 공주로, 잉글랜드 왕 찰스 1세(Charles I)의 비(妃)이.
앙드레 캉프라
앙드레 캉프라 앙드레 캉프라(André Campra, 1660년 12월 4일~1744년 6월 29일)는 프랑스의 작곡가 겸 지휘자이.
보다 미사와 앙드레 캉프라
시메옹프랑수아 베르뇌
시메옹프랑수아 베르뇌(Siméon-François Berneux, 1814년 5월 14일 ~ 1866년 3월 7일)는 파리 외방전교회 소속의 프랑스인 선교사로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시몽 마리 앙투안 쥐스트 랑페르 드 브르트니에르
시몽 마리 앙투안 쥐스트 랑페르 드 브르트니에르(Simon Marie Antoine Just Ranfer de Bretenieres, 1838년 2월 28일 ~ 1866년 3월 7일)는 파리 외방전교회 소속의 프랑스인 선교사로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시몽 마리 앙투안 쥐스트 랑페르 드 브르트니에르
시간 전례
시간 전례(時間典禮) 또는 성무일도(聖務日禱)는 천주교 의 성직자, 수도자, 평신도 등이 매일 정해진 시간에 하느님을 찬미하는 공적이고 공통적인 일련의 기도를 말. 미사와 마찬가지로, 시간 전례의 내용은 교회에서 공인받은 생활 기도로 구성되어 있는데, 주로 찬미가와 시편 기도, 짧은 독서 등으로 엮여 있.
보다 미사와 시간 전례
시드니 세인트 메리 대성당
세인트 메리 대성당 내부 세인트 메리 대성당(St. Mary's Cathedral)은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에 위치한 고딕 양식의 로마 가톨릭 대성당으로, 시드니 대교구 대성당이.
시스티나 성당
아담의 창조 (미켈란젤로) 시스티나 성당()은 바티칸 시국에 있는 교황의 관저인 사도 궁전 안에 있는 성당이.
보다 미사와 시스티나 성당
시성 (기독교)
성 치프리아노의 이콘. 그는 처음으로 성인 시성 단계 고안을 주창하였다. 시성(諡聖, 라틴어: canonizatio)이란 기독교에서 어떤 사람을 성인으로 선언하는 행위로, 그 선언에 따라 해당 인물은 성인 목록에 등재됨과 동시에 즉시 성인으로 인정받아 전 세계 교회에서 공식적으로 공경받을 수가 있.
보다 미사와 시성 (기독교)
원귀임
원귀임 마리아(元貴任, 1819년 ~ 1839년 7월 20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원귀임
원죄 없이 잉태되신 동정 마리아 대축일
원죄 없이 잉태되신 동정 마리아 대축일()은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성모 마리아의 원죄 없는 잉태, 즉 성모 마리아가 태중에서 원죄에 물들지 않고 잉태되었다는 기독교 전승을 기념하는 대축일이.
원죄 없이 잉태되신 성모 국립 대성당
원죄 없이 잉태되신 성모 국립 대성당() 또는 성모 무염시태 국립 대성당(聖母無染始胎國立大聖堂)은 미국 워싱턴 D.C.에 있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성당이.
후렴
후렴(Antiphona)는 짧은 문장으로 구성되어, 미사 전례 또는 성무일도 전례 거행에서, 전례 규정에 따라 시편 기도를 바치기 전이나 후에, 또는 시편 구절과 번갈아 가며 바치는 전례적 구절이.
보다 미사와 후렴
홍병주
홍병주(洪秉周, 1798년 ~ 1840년 1월 31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홍병주
홍금주
홍금주(洪今珠, 1804년 ~ 1839년 9월 26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홍금주
홍영주
홍영주(洪永周, 1801년 ~ 1840년 1월 31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명이.
보다 미사와 홍영주
홍필주
홍필주(1773년∼1801년 10월 4일)는 1801년 신유박해로 순교한 천주교 신자이.
보다 미사와 홍필주
황석두
황석두(黃錫斗, 1813년 ~ 1866년 3월 30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미사와 황석두
환호
환호는 널리 받아들이는 일반적인 의미에서 투표용지를 사용하지 않는 선거의 한 형태이.
보다 미사와 환호
화답송
11세기의 '미사성가집'(Graduale), 파스카 주일의 입당송 'Ressurrexi'와 화답송 'Haec dies'이 2선 악보에 그려져 있다. 화답송(Graduale)은 예전에는 층계송이라고 불렸던 기독교의 노래이며, 로마 가톨릭교회 라틴 전례의 미사에서는 제1독서 다음에 부르는 고유문이.
보다 미사와 화답송
1784년
178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보다 미사와 1784년
6월 항쟁
6월 민주 항쟁(六月民主抗爭)은 1987년 6월 10일부터 6월 29일까지 대한민국에서 전국적으로 벌어진 반독재, 민주화 운동이.
보다 미사와 6월 항쟁
또한 미사 전례, 미사성제로 알려져 있다.
, 베니스의 개성상인, 베니토 무솔리니, 베스트팔렌 조약, 게오르크 스테르진스키, 고백 기도, 고우영, 고유문, 고순이, 본기도, 과달루페의 성모, 복음집, 복사 (동음이의), 복사 (기독교), 공소예절, 권득인, 권희, 권진이, 분향, 부제 (기독교), 부속가, 부활절, 그레고리오 성가, 그리스도 왕 대축일, 그리스도의 몸, 그리스도의 피, 글로리아, 김 로사, 김 루치아, 김 루치아 (곱추), 김 바르바라, 김 율리에타, 김 테레사, 김대건, 김효임, 김효주 (종교인), 김장금, 김임이, 김제준, 김업이, 김성우, 김성임, 김아기, 대주교, 대천덕, 대영광송, 교구 (기독교), 교황 루치오 2세, 교황 베네딕토 16세, 교황 그레고리오 1세, 교황 비탈리아노, 교황 비오 10세, 교황 스테파노 1세, 교황 우르바노 1세, 교황 요한 1세, 교황 요한 2세, 교황 펠릭스 1세, 교황 클레멘스 1세, 교황 즉위식, 교황 에우티키아노, 교황 사비니아노, 교황 프란치스코, 교황 아가피토 1세, 교황 아나스타시오 1세, 교황 아나스타시오 2세, 교황 텔레스포로, 교황 식스토 1세, 국제여단, 군종 (종교), 남명혁, 남경문 (1796년), 남이관, 남종삼, 나자렛의 요셉, 노기남, 노트르담 대성당, 다미앵 신부, 다카타 사부로, 달마티카,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 FC 샬케 04, 스페인, 스코틀랜드의 역사, 스타드 드 라 메노, 우술임, 우세영, 울리히 츠빙글리, 트리엔트 미사, 트리엔트 공의회, 튜닉, 회중석 (건축), 요한 마리아 비안네, 자크 샤스탕, 자살, 장주기, 장성집, 재의 수요일, 펄리시티 존스, 임치백, 입당송, 입을 열어 구세주의 영광을 찬미하세, 크리스마스, 포도주, 흠숭지례, 이 바르바라, 이 가타리나, 이 아가타, 이매임, 이명서, 이문우, 이간난, 이경이,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이광렬, 이광헌, 이승훈 (1756년), 이인덕, 이정희 (종교인), 이윤일, 이영덕 (종교인), 이영희 막달레나, 이호영 베드로, 이연희 (종교인), 이소사, 일본 로마가톨릭의 역사, 일요일, 음악의 역사,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제병, 제대포, 제단, 제단 (건축), 전례복, 전경협, 전장운, 정문호, 정의배, 정정혜, 정철염, 정원지 (종교인), 정화경, 조 막달레나, 조증이, 조윤호 (종교인), 조신철, 조시 더멜, 조화서, 종 (악기), 종교 개혁, 주문모, 주교관, 주님 만찬 미사, 주케토, 중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진노의 날, 진손왕, 지학순, 차부제, 첫 금요일 신심, 첫 토요일 신심, 천주의 성모 마리아 대축일, 추석, 카노사의 굴욕, 콘클라베, 쾰른 대성당, 판테온 (로마), 유대철, 유정률, 유진길, 유소사, 파스카의 희생을 찬미하라, 파치 음모사건, 샤를 앙리 상송, 새 미국 성경, 수도원, 영대, 오르간, 오르가니스트, 오를란도 디 라소, 오를레앙 대성당, 오스카르 로메로, 혼인성사, 예루살렘 성경, 예배, 예수회, 현경련, 현석문, 최경환 (종교인), 최창흡, 최영이 (종교인), 최형, 최양업, 향, 어부의 반지, 에스토니아의 로마 가톨릭교회, 여흥부대부인, 헬프타의 제르트루다, 연중 시기, 연송, 허계임, 허협, 사도좌 공석, 사도신경, 사제,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당, 삼중 기보 미사 성가집, 삼성송, 피에르 모방, 피에르 오메트르, 피에르앙리 도리, 피에트렐치나의 비오, 프랑수아 1세 (프랑스), 성 베드로 사제 형제회, 성모 영보 성당, 성무일도 노래집, 성반, 성가대, 성광, 성당, 성작, 성작 덮개, 성작 수건, 성지주일, 성찬예배 (동방 교회), 성체포, 성체함, 성유 축성 미사, 성수 예식, 성사집, 성서정과, 성토요일, 성합, 세계 청년 대회, 서양 중세 연극, 서산 해미읍성, 손자선, 손선지, 손소벽, 토요일, 소금, 통회 기도, 통합 성가집, 야고보 (알패오의 아들),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우스,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한재권, 한이형, 한영이, 알프레도 오타비아니, 한아기, 안중근, 안톤 브루크너, 하느님, 왕을 지켜 주소서, 하느님의 어린 양, 아르메니아 전례, 필리오케 문제,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해설, 앙리에타 마리 드 프랑스 왕녀, 앙드레 캉프라, 시메옹프랑수아 베르뇌, 시몽 마리 앙투안 쥐스트 랑페르 드 브르트니에르, 시간 전례, 시드니 세인트 메리 대성당, 시스티나 성당, 시성 (기독교), 원귀임, 원죄 없이 잉태되신 동정 마리아 대축일, 원죄 없이 잉태되신 성모 국립 대성당, 후렴, 홍병주, 홍금주, 홍영주, 홍필주, 황석두, 환호, 화답송, 1784년, 6월 항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