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민암

색인 민암

민암(閔黯, 1636년 ~ 1694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33 처지: 목내선, 명의죄인, 민점, 민종도, 갑술환국, 권상하, 우의정, 장희빈 (1995년 드라마), 장희빈 (2002년 드라마), 장형 (조선), 희빈 장씨, 이담명, 이인좌, 이의징, 이서우 (1633년), 인현왕후, 인현왕후의 남자, 좌의정, 유명현, 윤휴, 윤선도, 윤선거, 숙안공주, 영빈 김씨, 최익현, 여흥 민씨, 허목, 허적, 삼복의 옥, 삼정승, 한효순, 한성부판윤, 심재.

목내선

목내선(睦來善, 1617년 ~ 1704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민암와 목내선 · 더보기 »

명의죄인

명의죄인(名義罪人)은 조선 중기 이후에 탄생한 용어로, 고려시대부터 존재하던 사문난적, 사세난적, 삼대민취와 함께 양반 사대부 사이에서 상대방을 폄하, 멸시하는 용어로 쓰인 용어이.

새로운!!: 민암와 명의죄인 · 더보기 »

민점

민점(閔點, 1614년 ~ 1680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민암와 민점 · 더보기 »

민종도

민종도(1633 ~ 1693)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민암와 민종도 · 더보기 »

갑술환국

갑술환국(甲戌換局)은 1694년(숙종 20년) 4월 1일에 발생한 숙종 시대의 3차 환국으로, 기사환국이 발생한 1689년 2월 2일 이후로 정권을 집권해온 남인이 몰락하고, 기사환국 때 몰락했던 서인(노론·소론)이 재집권한 사건이.

새로운!!: 민암와 갑술환국 · 더보기 »

권상하

수암 권상하 권상하(權尙夏, 1641년 - 1721년 9월 2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학자, 교육자로 효종, 현종, 숙종 때의 성리학자였.

새로운!!: 민암와 권상하 · 더보기 »

우의정

우의정(右議政)은 의정부 3의정 가운데 하나로 조선시대 정1품 관직이.

새로운!!: 민암와 우의정 · 더보기 »

장희빈 (1995년 드라마)

《장희빈》은 SBS에서 1995년 2월 20일부터 9월 26일까지 매주 월, 화 밤에 방영한 드라마이.

새로운!!: 민암와 장희빈 (1995년 드라마) · 더보기 »

장희빈 (2002년 드라마)

《장희빈》(張禧嬪)은 2002년 11월 6일부터 2003년 10월 23일까지 KBS 2TV에서 방영한 특별기획 드라마이.

새로운!!: 민암와 장희빈 (2002년 드라마) · 더보기 »

장형 (조선)

장형(張烱烱은 炯(빛날 형)의 속자로 "경"이라는 음이 없다. 2001년 대법원 인명용 한자를 정해서 시행할 때 이 한자의 음을 "경"으로 잡았기에 이러한 오류가 발생한 것이다., 1623년 2월 25일 ~ 1669년 1월 12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통역관이.

새로운!!: 민암와 장형 (조선) · 더보기 »

희빈 장씨

희빈 장씨(禧嬪 張氏, 1659년 11월 3일 (음력 9월 19일) ~ 1701년 11월 7일 (음력 10월 8일)), 장희빈(張禧嬪) 또는 옥산부대빈 장씨(玉山府大嬪 張氏)는 조선의 제19대 왕 숙종의 빈(嬪)으로, 제20대 왕 경종(景宗)의 어머니이.

새로운!!: 민암와 희빈 장씨 · 더보기 »

이담명

이담명(李聃命, 1646년 ~ 1701년)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정치인, 성리학자, 실학자이자 시인이며 청백리이.

새로운!!: 민암와 이담명 · 더보기 »

이인좌

이인좌(李麟佐, 1694 ~ 1728)는 조선 영조 때의 역신(逆臣)이.

새로운!!: 민암와 이인좌 · 더보기 »

이의징

이의징(李義徵, ? ~ 1695)은 조선 후기의 무신이.

새로운!!: 민암와 이의징 · 더보기 »

이서우 (1633년)

이서우(李瑞雨, 1633년 3월 1일 ~ 1709년 10월 14일)는 조선 후기의 문신, 시인, 작가, 서예가이.

새로운!!: 민암와 이서우 (1633년) · 더보기 »

인현왕후

인현왕후 민씨(仁顯王后 閔氏, 1667년 5월 15일(음력 4월 23일) ~ 1701년 9월 16일(음력 8월 14일))는 조선 제19대 임금인 숙종의 2번째 왕후(王后)이.

새로운!!: 민암와 인현왕후 · 더보기 »

인현왕후의 남자

《인현왕후의 남자》는 2012년 4월 18일부터 2012년 6월 7일까지 tvN에서 방영한 드라마이.

새로운!!: 민암와 인현왕후의 남자 · 더보기 »

좌의정

좌의정(左議政)은 의정부 3의정의 하나인 정 1품 관직이.

새로운!!: 민암와 좌의정 · 더보기 »

유명현

유명현(1643년 ~ 1703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민암와 유명현 · 더보기 »

윤휴

윤휴(尹鑴, 1617년 10월 14일 ~ 1680년 5월 20일)는 조선의 문신, 성리학자이.

새로운!!: 민암와 윤휴 · 더보기 »

윤선도

윤선도(尹善道, 1587년 7월 27일(음력 6월 22일) ~ 1671년 7월 16일(음력 6월 11일))는 조선시대 중기, 후기의 시인·문신·작가·정치인이자 음악가이.

새로운!!: 민암와 윤선도 · 더보기 »

윤선거

윤선거(尹宣擧, 1610년 ∼ 1669년 4월 21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유학자, 시인, 정치인이.

새로운!!: 민암와 윤선거 · 더보기 »

숙안공주

숙안공주(淑安公主, 1636년 ~ 1697년 음력 12월 22일)는 조선의 공주로 제17대 왕 효종(孝宗, 1619~1659, 재위: 1649~1659)과 인선왕후 장씨(仁宣王后 張氏, 1618~1674) 사이의 차녀이.

새로운!!: 민암와 숙안공주 · 더보기 »

영빈 김씨

영빈 김씨(寧嬪 金氏, 1669년 ~ 1735년 음력 1월 12일)는 조선 제19대 왕 숙종의 후궁이.

새로운!!: 민암와 영빈 김씨 · 더보기 »

최익현

익현(崔益鉉, 양력 1834년 1월 14일 / 1833년 음력 12월 5일 ~ 1907년 1월 1일)은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의 정치인이며 독립운동가이자, 1905년 을사늑약에 저항한 대표적 의병장이었.

새로운!!: 민암와 최익현 · 더보기 »

여흥 민씨

여흥 민씨(驪興 閔氏)는 경기도 여주시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민암와 여흥 민씨 · 더보기 »

허목

목(許穆, 1595년 12월 11일 ~ 1682년 4월 2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및 유학자, 역사가이자 교육자, 정치인이며, 화가, 작가, 서예가, 사상가이.

새로운!!: 민암와 허목 · 더보기 »

허적

적(許積, 1610년 ~ 1680년 5월 11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민암와 허적 · 더보기 »

삼복의 옥

삼복의 옥(三福-獄)은 조선 숙종때의 정승 허적(許積)의 서자 허견이 종실 복창군(福昌君), 복선군(福善君), 복평군(福平君)의 3형제와 역모를 꾸민다고 고변하면서 발생한 사건이.

새로운!!: 민암와 삼복의 옥 · 더보기 »

삼정승

삼정승(三政丞)은 의정부의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을 지칭하는 말로 조선시대에 쓰였으며, 의정부의 정승들을 지칭하는 말이.

새로운!!: 민암와 삼정승 · 더보기 »

한효순

효순(韓孝純, 1543년 ~ 1621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이자 임진왜란 당시 의병장이.

새로운!!: 민암와 한효순 · 더보기 »

한성부판윤

성부판윤(漢城府判尹)은 조선 시대 한성부를 다스리던 정2품의 관직으로서, 품계는 자헌대부 이상의 품계에 해당되었.

새로운!!: 민암와 한성부판윤 · 더보기 »

심재

심재(1624년 ~ 1693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민암와 심재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