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민영휘

색인 민영휘

민영휘(閔泳徽, 1852년 양력 5월 15일 ~ 1935년 양력 12월 30일)는 조선 말기의 정치인으로, 초명은 영준(泳駿)이며, 자는 군팔(君八), 호는 하정(荷汀)이.

52 처지: 동아찬영회, 동학 농민 운동, 명성황후, 민겸호, 민병도 (1916년), 민규식, 민대식, 민두호,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수작/습작, 민치구, 민형식, 민형식 (1859년), 민형식 (1875년), 민원식, 부빈객, 김옥균, 대정실업친목회, 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 정치, 대훈위 이화대수장, 국민동지찬성회, 국민협성회, 이병도, 이용익, 이조, 이준용 (1870년), 이해창 (1865년), 정우회 (1910년), 정재학 (1856년), 정종원, 조선공로자명감, 조선귀족, 조선의 과거 제도, 조선의 대외 관계, 종로도서관, 춘천 민성기 가옥, 친러파, 친일반민족행위 195인 명단, 친일파 708인 명단 - 조선귀족, 친일파 708인 명단 - 친일단체, 친청파, 윤치성, 휘문고등학교, 여흥 민씨, 한국평화협회, 한성부민회, 안경수 (1853년), 신궁봉경회, 신축진연도병, 원덕상, 1924년 전국체육대회, ..., 1924년 전국체육대회 육상, 2007년 8월.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2 더) »

동아찬영회

동아찬영회(東亞讚英會)는 이토 히로부미가 안중근에게 살해된 후 그의 공덕을 기리기 위해 동상을 세우고 표창을 만든다는 목적으로 조직된 단체이.

새로운!!: 민영휘와 동아찬영회 · 더보기 »

동학 농민 운동

동학 농민 혁명(東學農民革命), 동학 혁명(東學革命), 동학 농민 운동(東學農民運動) 또는 동학 농민 전쟁(東學農民戰爭)은 1894년 동학 지도자들과 동학 교도 및 농민들에 의해 일어난 민중의 무장 봉기를 가리.

새로운!!: 민영휘와 동학 농민 운동 · 더보기 »

명성황후

쪽.

새로운!!: 민영휘와 명성황후 · 더보기 »

민겸호

민겸호(閔謙鎬, 1838년 ~ 1882년 6월 10일)는 조선 시대의 문신이자 외척이.

새로운!!: 민영휘와 민겸호 · 더보기 »

민병도 (1916년)

민병도(閔丙燾, 1916년 1월 9일 ~ 2006년 3월 5일)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은행가이.

새로운!!: 민영휘와 민병도 (1916년) · 더보기 »

민규식

민규식(閔奎植, 1888년 9월 30일 ~ ?)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금융인 겸 기업인으로, 민영휘의 차남이며, 본관은 여흥, 본적은 경성부 삼청정이.

새로운!!: 민영휘와 민규식 · 더보기 »

민대식

민대식(閔大植, 1882년 ~ ?)은 일제 강점기의 은행가이.

새로운!!: 민영휘와 민대식 · 더보기 »

민두호

민두호(閔斗鎬, ?~?)는 민영휘의 아버지로, 명성황후의 친척 오라버니이.

새로운!!: 민영휘와 민두호 · 더보기 »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수작/습작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수작/습작은 2009년 11월 8일에 민족문제연구소가 발간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중 조선귀족 작위를 수작했거나 습작한 이들의 명단이.

새로운!!: 민영휘와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수작/습작 · 더보기 »

민치구

민치구(閔致久, 1795년~1874년 12월 14일)는 조선 시대의 문신이자 척신으로 흥선대원군의 장인이며 여흥부대부인의 친정아버지이고, 고종, 이재면의 외할아버지이.

새로운!!: 민영휘와 민치구 · 더보기 »

민형식

민형식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민영휘와 민형식 · 더보기 »

민형식 (1859년)

민형식(閔炯植, 1859년 양력 12월 6일 ~ 1931년 양력 8월 1일)은 조선 시대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새로운!!: 민영휘와 민형식 (1859년) · 더보기 »

민형식 (1875년)

민형식(閔衡植, 1875년 1월 6일 ~ 1947년 5월 11일)은 일제 강점기의 조선귀족이.

새로운!!: 민영휘와 민형식 (1875년) · 더보기 »

민원식

민원식(閔元植, 1886년 7월 12일 ~ 1921년 2월 17일)은 대한제국의 관료, 사회 운동가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 언론인, 사상가이.

새로운!!: 민영휘와 민원식 · 더보기 »

부빈객

부빈객(副賓客)은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에 속한 종2품직으로, 좌부빈객(左副賓客)과 우부빈객(右副賓客)으.

새로운!!: 민영휘와 부빈객 · 더보기 »

김옥균

옥균(金玉均, 1851년 2월 23일 ~ 1894년 3월 28일)은 조선 말기의 정치가, 사상가, 급진개화파이.

새로운!!: 민영휘와 김옥균 · 더보기 »

대정실업친목회

정실업친목회(大正實業親睦會)는 일제 강점기 초기에 결성된 경제인 단체이.

새로운!!: 민영휘와 대정실업친목회 · 더보기 »

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 정치

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 정치는 대한민국의 대통령 소속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을 적용, 조사하여 공식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중 정치 부문에 분류된 이들의 명단이.

새로운!!: 민영휘와 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 정치 · 더보기 »

대훈위 이화대수장

이화대수장과 서성대수장, 태극대수장을 패용한 민병석 대훈위이화대수장(大勳位李花大綬章)은 대한제국의 훈장 가운데 하나이며 7종류의 훈장 중에서 세 번째 훈격의 훈장이.

새로운!!: 민영휘와 대훈위 이화대수장 · 더보기 »

국민동지찬성회

국민동지찬성회(國民同志贊成會)는 대한제국 말기에 일진회의 한일 병합 청원에 지지 의사를 표명하고 지지 여론을 확산시키기 위해 조직된 단체이.

새로운!!: 민영휘와 국민동지찬성회 · 더보기 »

국민협성회

국민협성회(國民協成會)는 대한제국 말기인 1910년에 일진회의 한일 병합 청원에 지지를 표명하면서 병합을 추진하기 위해 결성된 단체이.

새로운!!: 민영휘와 국민협성회 · 더보기 »

이병도

이병도(李丙燾, 1896년 9월 20일(음력 8월 14일) ~ 1989년 8월 14일)는 대한민국의 역사학자, 대학 교수, 저술가이며, 본관은 우봉(牛峰)이고, 호(號)는 두계(斗溪, 杜溪)이.

새로운!!: 민영휘와 이병도 · 더보기 »

이용익

이용익(李容翊, 1854년 ~ 1907년 2월)은 조선 말기, 대한제국의 정치인·관료·외교관이며 고려대학교의 전신인 보성학교의 설립자이.

새로운!!: 민영휘와 이용익 · 더보기 »

이조

이조(吏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민영휘와 이조 · 더보기 »

이준용 (1870년)

영선군 이준용 신도비 영선군 이준용(永宣君 李埈鎔, 1870년 7월 23일(음력 6월 25일) ~ 1917년 3월 22일 (양력))은 조선의 왕족, 문신, 군인, 친일파이자, 대한제국의 황족, 군인, 교육인으로, 고종황제의 형 흥친왕 이재면의 아들이자, 흥선대원군의 적장손이.

새로운!!: 민영휘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이해창 (1865년)

이해창(李海昌, 1865년 10월 15일 ~ 1945년 3월 2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으로, 민족계몽운동과 교육사업에 힘썼.

새로운!!: 민영휘와 이해창 (1865년) · 더보기 »

정우회 (1910년)

정우회(政友會)는 한일 병합 조약 체결에 적극적으로 나선 대표적인 친일 단체로 1910년 3월 설립되었.

새로운!!: 민영휘와 정우회 (1910년) · 더보기 »

정재학 (1856년)

정재학 (鄭在學, 1858~1940)은 대한민국 금융업계에 거대한 족적을 남긴 민족자본은행의 개척자이자 일제 강점기 한국은행산업의 대부.

새로운!!: 민영휘와 정재학 (1856년) · 더보기 »

정종원

정종원 (1896년 5월 22일 ~ 1977년 3월12일)은 조흥은행 5대 행장이.

새로운!!: 민영휘와 정종원 · 더보기 »

조선공로자명감

조선공로자명감(朝鮮功勞者銘鑑)은 조선총독부가 1935년에 출간한 1910년부터 1935년까지 25년 간 일제통치에 협력한 민관 공로자를 직접 선정한 명단이.

새로운!!: 민영휘와 조선공로자명감 · 더보기 »

조선귀족

조선귀족(朝鮮貴族)은 1910년에 대한제국과 일본 제국 사이에 〈한일 병합 조약〉이 체결됨에 따라 일본 제국 정부가 일본의 화족 제도를 준용하여 대한제국의 고위급 인사들에게 봉작하고자 창출한 특수 계급이.

새로운!!: 민영휘와 조선귀족 · 더보기 »

조선의 과거 제도

이 문서는 조선 시대(朝鮮時代)의 과거 제도(科擧制度)를.

새로운!!: 민영휘와 조선의 과거 제도 · 더보기 »

조선의 대외 관계

조선 시대의 대외 관계에서, 조선은 건국 초부터 대명(對明) 외교에서 사대적인 정책을 취함으로써 왕조의 권위를 보장받으려고 하였.

새로운!!: 민영휘와 조선의 대외 관계 · 더보기 »

종로도서관

종로도서관은 1920년 11월 5일 종로구 가회동 취운정에 경성도서관이란 이름으로 설립된 서울 최초의 근대적 도서관이.

새로운!!: 민영휘와 종로도서관 · 더보기 »

춘천 민성기 가옥

민성기 가옥(春川 閔聖基 家屋)은 강원도 춘천시 동면 장학리에 있는 건축물이.

새로운!!: 민영휘와 춘천 민성기 가옥 · 더보기 »

친러파

시아를 중심으로 러시아를 중요시하는 외교 정책을 펼치는 것으로, 친서방식 외교의 반대 정책이.

새로운!!: 민영휘와 친러파 · 더보기 »

친일반민족행위 195인 명단

일반민족행위 195인 명단(親日反民族行爲195人名單)은 2007년 12월 6일 대한민국의 대통령 소속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반민규명위, 위원장 성대경)가 노무현 대통령과 국회에 보고한 일제 강점기 중기 친일반민족행위 관련자 195명에 관한 명단이.

새로운!!: 민영휘와 친일반민족행위 195인 명단 · 더보기 »

친일파 708인 명단 - 조선귀족

일파 708인 명단 - 조선귀족은 2002년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모임에서 발표한 친일파 708인 명단 가운데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거나 물려받은 115명의 명단이.

새로운!!: 민영휘와 친일파 708인 명단 - 조선귀족 · 더보기 »

친일파 708인 명단 - 친일단체

일파 708인 명단 - 친일단체는 2002년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모임에서 발표한 친일파 708인 명단 가운데 친일단체 관련자 21명의 명단이.

새로운!!: 민영휘와 친일파 708인 명단 - 친일단체 · 더보기 »

친청파

청파(親淸派)는 청나라에 협조하거나 병자호란 때 청나라에 귀순한 사람이.

새로운!!: 민영휘와 친청파 · 더보기 »

윤치성

윤치성(尹致晟, 1875년 음력 3월 2일 - 1936년 양력 8월 11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군인, 관료,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민영휘와 윤치성 · 더보기 »

휘문고등학교

휘문고등학교(徽文高等學校)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있는 자율형 사립 고등학교이.

새로운!!: 민영휘와 휘문고등학교 · 더보기 »

여흥 민씨

여흥 민씨(驪興 閔氏)는 경기도 여주시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민영휘와 여흥 민씨 · 더보기 »

한국평화협회

국평화협회(韓國平和協會)는 대한제국 말기인 1910년에 조직된 단체이.

새로운!!: 민영휘와 한국평화협회 · 더보기 »

한성부민회

성부민회(漢城府民會)는 1907년(융희 2년) 9월 유길준 등에 의해 자치단체를 지향하면서 한성부에서 결성된 대한제국의 정치 단체이.

새로운!!: 민영휘와 한성부민회 · 더보기 »

안경수 (1853년)

안경수(安駉壽, 1853년 ~ 1900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 개화파 정치인으로 독립협회의 초대 회장이.

새로운!!: 민영휘와 안경수 (1853년) · 더보기 »

신궁봉경회

신궁봉경회(神宮奉敬會)는 대한제국 말기에 조직되었던 신토 단체이.

새로운!!: 민영휘와 신궁봉경회 · 더보기 »

신축진연도병

신축진연도병(辛丑進宴圖屛)은 1901년 7월 고종황제의 오순을 기념하여 거행된 진연을 그린 8폭의 병풍이.

새로운!!: 민영휘와 신축진연도병 · 더보기 »

원덕상

원덕상(元悳常, 일본식 이름: 元村肇, 1883년 11월 7일 ~ 1961년 3월 15일)은 일제 강점기의 의사 겸 금융인, 기업인이며 일제 강점기 중반 경기도 도평의회 의원과 경성부 부협의회 의원에 출마하여 당선되었고,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새로운!!: 민영휘와 원덕상 · 더보기 »

1924년 전국체육대회

1924년 전국체육대회는 1924년 5월 16일부터 11월 1일까지 일제강점기 조선 경성부에서 개최된 전국체육대회이.

새로운!!: 민영휘와 1924년 전국체육대회 · 더보기 »

1924년 전국체육대회 육상

1924년 전국체육대회 육상은 일제강점기 조선 경성부에서 개최된 1924년 전국체육대회의 경기 종목이.

새로운!!: 민영휘와 1924년 전국체육대회 육상 · 더보기 »

2007년 8월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민영휘와 2007년 8월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민영준, 하정 민영휘.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