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민족사학

색인 민족사학

민족사학(民族史學)에는 두 가지 의미가 있. 첫째, 일제강점기 한민족의 우수성과 자율 주체적인 발전을 강조하고 민족사의 기원을 밝힌 국사학의 한 이념을 말. 역사관으로서의 성격과 함께 재야사학과 연결되는 경향이 있. 이는 근대적인 국민(nation) 개념에 입각한 역사관으로 단재 신채호 이래 독립운동기의 학자들과 20세기 중반 군사정권의 조국근대화 시기에 국민만들기(nation-building)에 동원된 학자들로 양분할 수 있. 두 번째로는 ethnohistory에 대한 번역술어로서 이는 독일 민족학(ethnology)과 독일 역사학이 결합하여 탄생한 분야로 미국의 역사인류학과 유사.

11 처지: 고조선 연구, 규원사화, 대륙사관, 일선동조론, 윤내현, 역사관, 한국의 역사학, 식민지 근대화론, 식민사관, 신채호, 신축민란.

고조선 연구

《고조선 연구》는 고조선 연구 분야의 대표적 학자인 윤내현(尹乃鉉, 1939넌 6월 11일~) 교수가 쓴 단행본 서적이.

새로운!!: 민족사학와 고조선 연구 · 더보기 »

규원사화

《규원사화(揆園史話)》는 1675년에 북애자(北崖子)가 저술하였다는 역사서 형식의 사화(史話)로, 상고시대와 단군조선의 임금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

새로운!!: 민족사학와 규원사화 · 더보기 »

대륙사관

륙사관(大陸史觀)은 한국사의 일부로 취급되는 국가와 한국인의 활동 영역을 한반도뿐만 아니라 만주, 또는 보하이 만 부근과 산둥 반도를 비롯한 중국 본토의 동쪽 해안까지 확장하는 역사관이.

새로운!!: 민족사학와 대륙사관 · 더보기 »

일선동조론

일선동조론() 또는 일한동조론()은 야마토 민족과 한민족(조선민족)이 같은 뿌리에서 나왔다는 이론이.

새로운!!: 민족사학와 일선동조론 · 더보기 »

윤내현

윤내현(尹乃鉉, 1939년 6월 11일 ~)은 대한민국 역사학자이.

새로운!!: 민족사학와 윤내현 · 더보기 »

역사관

역사관은 간단하게 정의하면 '역사의 발전 법칙에 대한 체계적인 견해' 로, 사관이라고도 하며 다양한 역사관이 존재.

새로운!!: 민족사학와 역사관 · 더보기 »

한국의 역사학

이 글은 한국의 역사학과 역사사상을.

새로운!!: 민족사학와 한국의 역사학 · 더보기 »

식민지 근대화론

식민지 근대화론(植民地近代化論)은 일본 제국 쇼와 천황의 한국 식민 지배가 결과적으로 한국의 산업화와 근대화에 기여했다는 주장이.

새로운!!: 민족사학와 식민지 근대화론 · 더보기 »

식민사관

식민사관(植民史觀)은 일제강점기 일제의 한국 식민 지배를 정당화하고 한국인에 대한 통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일제에 의해 정책적 · 조직적으로 조작된 역사관을 말. 대체로, 한민족을 역사적으로 다른 나라에 지배되어 왔고 자립 능력이 없는 정체된 민족으로 부각시켜 일본의 한국 병탄을 정당화하였.

새로운!!: 민족사학와 식민사관 · 더보기 »

신채호

신채호(申采浩, 1880년 12월 8일 ~ 1936년 2월 21일)는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사회주의적 아나키스트, 사학자이.

새로운!!: 민족사학와 신채호 · 더보기 »

신축민란

제주 관덕정. 당시 봉기를 지휘했던 이재수가 이곳 광장에서 천주교도를 처형하였다. 신축민란(辛丑民亂), 제주 신축교난, 제주 교난, 또는 이재수의 난은 구한말 봉세관(捧稅官)의 조세 수탈과 프랑스 선교사를 앞세운 천주교회의 폐단에 맞선 민중 항쟁이.

새로운!!: 민족사학와 신축민란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민족사관.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