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민진원

색인 민진원

민진원(閔鎭遠, 1664년 ~ 1736년)은 조선 후기의 척신으로 민유중의 아들이며, 민진후의 남동생, 인현왕후의 작은오빠이.

42 처지: 민백상, 민광훈, 민규호, 민승호, 민응식 (1844년), 민정중, 민진후, 민치구, 민유중, 민태호 (1834년), 민영목, 민원식, 갑술환국, 변승업, 괴산 화양구곡, 김흥경 (조선), 김창집, 우의정, 장형 (조선), 희빈 장씨, 이명좌, 이관명, 이재 (1680년), 이은 (1722년), 이정영, 이조, 이언강, 인현왕후, 조태억, 조선 경종, 좌의정, 종묘, 영빈 김씨, 여흥 민씨, 여흥부대부인, 연령군, 헌경왕후, 삼정승, 서종태, 송준길, 송상기, 홍수헌.

민백상

민백상(閔百祥, 1711년 ~ 1761년)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로, 자는 이지(履之), 시호는 정헌(正獻)이.

새로운!!: 민진원와 민백상 · 더보기 »

민광훈

민광훈(閔光勳, 1595년 ~ 1659년)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이자 외척이.

새로운!!: 민진원와 민광훈 · 더보기 »

민규호

민규호(閔奎鎬, 1836년 8월 20일 ~ 1878년 10월 15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이자 척신으로, 민유중의 아들 민진원의 5대손이.

새로운!!: 민진원와 민규호 · 더보기 »

민승호

민승호(閔升鎬, 1830년 ~ 1874년 음력 11월 28일)는 조선 시대의 문신으로, 민치록의 양자이며, 명성황후의 양오라버니이.

새로운!!: 민진원와 민승호 · 더보기 »

민응식 (1844년)

민응식(閔應植, 1844년 ~ 1903년 3월 22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 외척이.

새로운!!: 민진원와 민응식 (1844년) · 더보기 »

민정중

민정중(閔鼎重, 1628년 ~ 1692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민진원와 민정중 · 더보기 »

민진후

민진후(閔鎭厚, 1659년 ~ 1720년)는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이자 외척으로 인현왕후의 오빠이자 민진원과 민진영(閔鎭永)의 형이.

새로운!!: 민진원와 민진후 · 더보기 »

민치구

민치구(閔致久, 1795년~1874년 12월 14일)는 조선 시대의 문신이자 척신으로 흥선대원군의 장인이며 여흥부대부인의 친정아버지이고, 고종, 이재면의 외할아버지이.

새로운!!: 민진원와 민치구 · 더보기 »

민유중

민유중(閔維重, 1630년~1687년)은 조선후기의 문신, 척신, 정치인으로 인현왕후의 친정아버지, 곧 숙종의 장인이.

새로운!!: 민진원와 민유중 · 더보기 »

민태호 (1834년)

민태호(閔台鎬, 1834년~1884년 10월 18일)는 조선 시대의 문신, 서예가이.

새로운!!: 민진원와 민태호 (1834년) · 더보기 »

민영목

민영목(閔泳穆, 1826년~ 1884년 10월 18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으로, 민씨 척족세력의 거두의 한사람이었.

새로운!!: 민진원와 민영목 · 더보기 »

민원식

민원식(閔元植, 1886년 7월 12일 ~ 1921년 2월 17일)은 대한제국의 관료, 사회 운동가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 언론인, 사상가이.

새로운!!: 민진원와 민원식 · 더보기 »

갑술환국

갑술환국(甲戌換局)은 1694년(숙종 20년) 4월 1일에 발생한 숙종 시대의 3차 환국으로, 기사환국이 발생한 1689년 2월 2일 이후로 정권을 집권해온 남인이 몰락하고, 기사환국 때 몰락했던 서인(노론·소론)이 재집권한 사건이.

새로운!!: 민진원와 갑술환국 · 더보기 »

변승업

변승업(卞承業, 1623년 ∼ 1709년)은 조선 후기 사역원 소속 일본어 역관이.

새로운!!: 민진원와 변승업 · 더보기 »

괴산 화양구곡

산 화양구곡(槐山 華陽九曲)은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에 있는 계곡이.

새로운!!: 민진원와 괴산 화양구곡 · 더보기 »

김흥경 (조선)

흥경(金興慶, 1677년 ~ 1750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민진원와 김흥경 (조선) · 더보기 »

김창집

몽와 김창집 영정(영의정 재직 무렵) 김창집 (金昌集, 1648년(인조 26년) ∼ 1722년 5월 2일(경종 2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 작가이.

새로운!!: 민진원와 김창집 · 더보기 »

우의정

우의정(右議政)은 의정부 3의정 가운데 하나로 조선시대 정1품 관직이.

새로운!!: 민진원와 우의정 · 더보기 »

장형 (조선)

장형(張烱烱은 炯(빛날 형)의 속자로 "경"이라는 음이 없다. 2001년 대법원 인명용 한자를 정해서 시행할 때 이 한자의 음을 "경"으로 잡았기에 이러한 오류가 발생한 것이다., 1623년 2월 25일 ~ 1669년 1월 12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통역관이.

새로운!!: 민진원와 장형 (조선) · 더보기 »

희빈 장씨

희빈 장씨(禧嬪 張氏, 1659년 11월 3일 (음력 9월 19일) ~ 1701년 11월 7일 (음력 10월 8일)), 장희빈(張禧嬪) 또는 옥산부대빈 장씨(玉山府大嬪 張氏)는 조선의 제19대 왕 숙종의 빈(嬪)으로, 제20대 왕 경종(景宗)의 어머니이.

새로운!!: 민진원와 희빈 장씨 · 더보기 »

이명좌

이명좌(李明佐, 1681년 - 1722년)은 임인무옥(壬寅誣獄, 임인옥사)에 희생된 조선 후기의 종친이며, 도정궁(都正宮) 사손(嗣孫)이었.

새로운!!: 민진원와 이명좌 · 더보기 »

이관명

이관명(1661년 ~ 1736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민진원와 이관명 · 더보기 »

이재 (1680년)

이재(李縡, 1680년~1746년)은 조선의 학자이.

새로운!!: 민진원와 이재 (1680년) · 더보기 »

이은 (1722년)

이은(李溵, 1722년 ~ 1781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민진원와 이은 (1722년) · 더보기 »

이정영

이정영(李正英, 1616년 ~ 1686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서예가, 조각가이.

새로운!!: 민진원와 이정영 · 더보기 »

이조

이조(吏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민진원와 이조 · 더보기 »

이언강

이언강(1648년 ~ 1717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민진원와 이언강 · 더보기 »

인현왕후

인현왕후 민씨(仁顯王后 閔氏, 1667년 5월 15일(음력 4월 23일) ~ 1701년 9월 16일(음력 8월 14일))는 조선 제19대 임금인 숙종의 2번째 왕후(王后)이.

새로운!!: 민진원와 인현왕후 · 더보기 »

조태억

가노 츠네노부가 그린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태억 초상 조태억(趙泰億, 1675년 ~ 1728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민진원와 조태억 · 더보기 »

조선 경종

경종(景宗, 1688년 11월 20일(음력 10월 28일) ~ 1724년 10월 11일(음력 8월 25일))은 조선의 제20대 임금이.

새로운!!: 민진원와 조선 경종 · 더보기 »

좌의정

좌의정(左議政)은 의정부 3의정의 하나인 정 1품 관직이.

새로운!!: 민진원와 좌의정 · 더보기 »

종묘

종묘(宗廟)는 조선 왕조의 역대 국왕들과 왕후들의 신주를 모시고 제례를 봉행하는 유교 사당이.

새로운!!: 민진원와 종묘 · 더보기 »

영빈 김씨

영빈 김씨(寧嬪 金氏, 1669년 ~ 1735년 음력 1월 12일)는 조선 제19대 왕 숙종의 후궁이.

새로운!!: 민진원와 영빈 김씨 · 더보기 »

여흥 민씨

여흥 민씨(驪興 閔氏)는 경기도 여주시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민진원와 여흥 민씨 · 더보기 »

여흥부대부인

여흥부대부인 민씨(驪興府大夫人 閔氏, 1818년 2월 3일 ~ 1898년 1월 8일/1897년 음력 12월 16일)는 조선의 왕족이며, 대한제국 고종황제의 어머니이.

새로운!!: 민진원와 여흥부대부인 · 더보기 »

연령군

연령군 이훤(延齡君 李昍, 1699년 6월 13일 ~ 1719년 10월 2일 "연령군 이훤의 졸기")은 조선 시대 후기의 왕족 종실이.

새로운!!: 민진원와 연령군 · 더보기 »

헌경왕후

경왕후 홍씨(獻敬王后 洪氏, 1735년 8월 6일(음력 6월 18일) ~ 1816년 1월 13일(1815년 음력 12월 15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왕세자빈, 추존왕비로, 대한제국의 추존황후이.

새로운!!: 민진원와 헌경왕후 · 더보기 »

삼정승

삼정승(三政丞)은 의정부의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을 지칭하는 말로 조선시대에 쓰였으며, 의정부의 정승들을 지칭하는 말이.

새로운!!: 민진원와 삼정승 · 더보기 »

서종태

서종태(徐宗泰, 1652년 ~ 1719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민진원와 서종태 · 더보기 »

송준길

송준길(宋浚吉, 1606년 12월 28일 ~ 1672년 12월 2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성리학자·정치가로서 유교 주자학의 대가였.

새로운!!: 민진원와 송준길 · 더보기 »

송상기

송상기(宋相琦, 1657년 ~ 1723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민진원와 송상기 · 더보기 »

홍수헌

홍수헌(1640년 ~ 1711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남양이며, 노론의 핵심 인물로, 김창집, 이이명, 이유, 이여와 친분이 두터웠.

새로운!!: 민진원와 홍수헌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