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밀턴 프리드먼

색인 밀턴 프리드먼

밀턴 프리드먼 (1912년 7월 31일 ~ 2006년 11월 16일)은 미국의 경제학자이자 대중적인 지식인이.

43 처지: 럿거스 대학교, 로버트 루카스 주니어, 몽페를랭회, 개인주의, 거시경제학, 경제학, 게리 베커, 과학사, 기본소득, 대공황, 나라별 노벨상 수상자 목록,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목록, 노벨상 수상자 목록, 뉴딜, 다케나카 헤이조, 자본주의, 재정보수주의, 음의 소득세, 조지 스티글러, 존 메이너드 케인스, 칼 포퍼, 컬럼비아 대학교, 생애주기가설, 새케인스학파, 예브게니 슬루츠키, 에스토니아, 사이먼 쿠즈네츠, 프랑코 모딜리아니,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통화주의, 해리 마코위츠, 필립스 곡선, 신자유주의, 실물적 경기변동이론, 시카고 대학교, 시카고 학파 (경제학), 홍콩, NAIRU, 11월 16일, 1912년, 1976년, 2006년, 7월 31일.

럿거스 대학교

럿거스 대학교(Rutgers University)는 미국 뉴저지 주에 위치 해 있으며, 뉴저지 주에서는 그 규모면에서 가장 큰 고등 교육기관이.

새로운!!: 밀턴 프리드먼와 럿거스 대학교 · 더보기 »

로버트 루카스 주니어

버트 에머슨 루카스 주니어(1937년 9월 15일 ~)는 미국의 경제학자이.

새로운!!: 밀턴 프리드먼와 로버트 루카스 주니어 · 더보기 »

몽페를랭회

몽페를랭회(Mont Pelerin Society, MPS)는 경제학자들과 기업가들, 그리고 고전적 자유주의에 우호적인 이들이 만든 국제 단체이.

새로운!!: 밀턴 프리드먼와 몽페를랭회 · 더보기 »

개인주의

인주의(個人主義, Individualism)는 개인의 도덕적 가치를 중시하는 도덕적 입장, 이데올로기, 정치철학, 사회적 시각등을 의미.

새로운!!: 밀턴 프리드먼와 개인주의 · 더보기 »

거시경제학

시경제적 순환 거시경제학(巨視經濟學)은 크게 봤을때 미시경제학과 더불어 경제학을 이루는 분야중 하나로, 모든 개별경제주체들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인해 나타나는 한 나라의 경제전체 현상에 대한 분석을 통해 국민소득, 물가, 실업, 환율, 국제수지등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결정요인과 이러한 변수들간의 상호관련성, 국민소득의 변화를 설명하는 경제성장이론과 단기적으로 실업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는 경기변동이론을 연구하는 분야이.

새로운!!: 밀턴 프리드먼와 거시경제학 · 더보기 »

경제학

경제학(經濟學)은 재화나 용역의 생산과 분배, 그리고 소비와 같은 경제현상을 연구하는 사회과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밀턴 프리드먼와 경제학 · 더보기 »

게리 베커

리 베커(Gary Becker, 1930-2014)는 미국의 경제학자이.

새로운!!: 밀턴 프리드먼와 게리 베커 · 더보기 »

과학사

학사(History of science)는 자연세계에서 인류의 역사적 발전을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밀턴 프리드먼와 과학사 · 더보기 »

기본소득

본소득(基本所得)은 재산이나 소득의 많고 적음, 노동 여부나 노동 의사와 상관없이 개별적으로 모든 사회 구성원에게 균등하게 지급되는 소득이.

새로운!!: 밀턴 프리드먼와 기본소득 · 더보기 »

대공황

어 랭의 사진 작품, 1936년 3월 캘리포니아 니포모에서 7살 된 딸을 데리고 배급권을 기다리는 32세 여성 모습. 대공황(大恐慌)은 1928년에 일부 국가에서 야기된 경제공황이 1929년 10월 24일, 뉴욕 주식시장 대폭락, 즉 ‘검은 목요일’로 촉발되어 전 세계로 확대된 경제공황을 뜻.

새로운!!: 밀턴 프리드먼와 대공황 · 더보기 »

나라별 노벨상 수상자 목록

국가별 노벨상 수상자 목록은 1901년 부터 수여되고 있는 노벨상의 나라별 수상자 및 단체의 목록이.

새로운!!: 밀턴 프리드먼와 나라별 노벨상 수상자 목록 · 더보기 »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목록

음은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사람 목록이.

새로운!!: 밀턴 프리드먼와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목록 · 더보기 »

노벨상 수상자 목록

아래는 노벨상 수상자 목록이.

새로운!!: 밀턴 프리드먼와 노벨상 수상자 목록 · 더보기 »

뉴딜

'''왼쪽 위''': 1933년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이 테네시강 유역 개발 공사(TVA) 설립 법안에 서명하는 모습'''오른쪽 위''': 뉴딜 정책을 추진한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아래''': 공공사업진흥국(WPA)에 고용된 미술가가 그린 공공 벽화 뉴 딜(New Deal)은 실업자에게 일자리를 만들어 주고, 경제 구조와 관행을 개혁해, 대공황으로 침체된 경제를 되살리기 위해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미국 제32대 대통령이 1933년~1936년에 추진하기 시작한 경제 정책이.

새로운!!: 밀턴 프리드먼와 뉴딜 · 더보기 »

다케나카 헤이조

헤이조. (2006년 브라질에서) 다케나카 헤이조(1951년 3월 3일 ~) 는 일본의 경제학자이자 전직 정치인이.

새로운!!: 밀턴 프리드먼와 다케나카 헤이조 · 더보기 »

자본주의

자본주의(資本主義)는 재화의 사적 소유권을 사회 구성원의 양도 불가능한 기본권으로 인정하는 사회 구성체이.

새로운!!: 밀턴 프리드먼와 자본주의 · 더보기 »

재정보수주의

재정보수주의(Fiscal conservatism)는 재정 정책과 관련하여 재정 책임의 옹호의 정치 철학이.

새로운!!: 밀턴 프리드먼와 재정보수주의 · 더보기 »

음의 소득세

음의 소득세(Negative income tax) 또는 부(負)의 소득세는 경제학에서 고소득자에게는 세금을 징수하고 저소득자에게는 보조금을 주는 소득세 또는 그 제도를 말. 특정 수준 이하의 소득이 있는 사람은 정부에게 세금을 내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정부로부터 보조금을 지급 받는 세금 체계이.

새로운!!: 밀턴 프리드먼와 음의 소득세 · 더보기 »

조지 스티글러

조지 스티글러 (1911년 1월 17일 ~ 1991년 12월 1일)는 미국의 경제학자였.

새로운!!: 밀턴 프리드먼와 조지 스티글러 · 더보기 »

존 메이너드 케인스

존 메이너드 케인스 남작(John Maynard Keynes, 1st Baron Keynes of Tilton in the Country of Sussex, CB, 1883년 6월 5일 ~ 1946년 4월 21일)은 영국경제학의 대표자이.

새로운!!: 밀턴 프리드먼와 존 메이너드 케인스 · 더보기 »

칼 포퍼

이먼드 포퍼 경(CH, FRS, 1902년 7월 28일 ~ 1994년 9월 17일)은 오스트리아에서 태어난 영국의 철학자 로, 런던 정치경제대학교(LSE)의 교수를 역임하였.

새로운!!: 밀턴 프리드먼와 칼 포퍼 · 더보기 »

컬럼비아 대학교

우 메모리얼 도서관 (Low Memorial Library) 캠퍼스 전경 컬럼비아 대학교(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는 미국 뉴욕 주 뉴욕 시에 있는 아이비 리그 사립 대학이.

새로운!!: 밀턴 프리드먼와 컬럼비아 대학교 · 더보기 »

생애주기가설

생애주기가설() 또는 평생소득가설은 현재소비가 현재소득 뿐만 아니라 평생소득에 달려있다고 주장하는 가설이.

새로운!!: 밀턴 프리드먼와 생애주기가설 · 더보기 »

새케인스학파

새케인스학파(New Keynesian economics)는 통화주의나 신고전파에 대응해 발전해온 경제학 학파이.

새로운!!: 밀턴 프리드먼와 새케인스학파 · 더보기 »

예브게니 슬루츠키

예브게니 예브게니예비치 슬루츠키(1880년 4월 19일 ~ 1948년 3월 10일)는 소비에트 연방의 수학자, 통계학자이자 경제학자이.

새로운!!: 밀턴 프리드먼와 예브게니 슬루츠키 · 더보기 »

에스토니아

에스토니아()는 북유럽에 위치하며 북쪽과 서쪽은 발트 해, 동쪽은 러시아, 남쪽은 라트비아와 닿아 있. 수도는 탈린이.

새로운!!: 밀턴 프리드먼와 에스토니아 · 더보기 »

사이먼 쿠즈네츠

사이먼 쿠즈네츠(Simon Smith Kuznets, 1901.4.30 ~ 1985.7.8)는 러시아계 미국인 경제학자이.

새로운!!: 밀턴 프리드먼와 사이먼 쿠즈네츠 · 더보기 »

프랑코 모딜리아니

랑코 모딜리아니(Franco Modigliani, 1918년 6월 18일 ~ 2003년 9월 25일)는 이탈리아계 미국인 경제학자로서 1985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이.

새로운!!: 밀턴 프리드먼와 프랑코 모딜리아니 · 더보기 »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리드리히 하이에크(Friedrich Hayek, CH, 1899년 5월 8일 ~ 1992년 3월 23일)는 오스트리아에서 태어난 영국의 경제학자이자 정치철학자이.

새로운!!: 밀턴 프리드먼와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 더보기 »

통화주의

통화주의(通貨主義, monetarism)는 거시 경제의 변동에 화폐 공급량(통화 공급량) 및 화폐를 공급하는 중앙 은행의 역할을 중시하는 경제학 일파와 그 주장을 하는 경제학자를 말. 이들은 통화량을 조절하는 정부의 정책 역할을 중요시.

새로운!!: 밀턴 프리드먼와 통화주의 · 더보기 »

해리 마코위츠

리 맥스 마코위츠(Harry Max Markowitz, 1927년 8월 24일 ~)는 미국의 경제학자이.

새로운!!: 밀턴 프리드먼와 해리 마코위츠 · 더보기 »

필립스 곡선

립스 곡선()은 인플레이션율과 실업률 간에 상충관계(역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나타내는 곡선이.

새로운!!: 밀턴 프리드먼와 필립스 곡선 · 더보기 »

신자유주의

신자유주의(新自由主義)는 1970년대부터 부각하기 시작한 '자본의 세계화'(globalization of capital) 흐름에 기반한 경제적 자유주의 중 하나로 19세기의 자유방임적인 자유주의의 결함에 대하여 국가에 의한 사회 정책의 필요를 인정하면서도, 자본주의의 자유 기업의 전통을 지키고 사회주의에 대항하려는 사상이.

새로운!!: 밀턴 프리드먼와 신자유주의 · 더보기 »

실물적 경기변동이론

실물적 경기변동이론(RBC, Real Business Cycle Theory)은 경기변동이 생산성의 임의적 변동에 의하여 야기된다고 생각하는, 거시경제학파의 이론이.

새로운!!: 밀턴 프리드먼와 실물적 경기변동이론 · 더보기 »

시카고 대학교

시카고 대학교()은 미국 일리노이 주 시카고에 있는 석유 재벌 존 D. 록펠러의 기부금으로 1890년에 설립된 명문의 연구 중심 사립 대학이며, 그 학업적 명성은 컬럼비아와 프린스턴 등의 아이비리그의 상위권 대학들과 어깨를 나란히.

새로운!!: 밀턴 프리드먼와 시카고 대학교 · 더보기 »

시카고 학파 (경제학)

시카고 학파 는 시카고 대학의 학생들과 교수진들의 연구와 관련된 신고전파 경제학 학파이.

새로운!!: 밀턴 프리드먼와 시카고 학파 (경제학) · 더보기 »

홍콩

홍콩()은 중화인민공화국의 남동부에 있는 특별행정구이.

새로운!!: 밀턴 프리드먼와 홍콩 · 더보기 »

NAIRU

NAIRU(Non-Accelerating Inflation Rate of Unemployment)는 통화주의 경제학에서 밀턴 프리드먼이 제기하였으며,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지 않고 안정적일 때의 실업률을 가리.

새로운!!: 밀턴 프리드먼와 NAIRU · 더보기 »

11월 16일

11월 1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20번째(윤년일 경우 32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밀턴 프리드먼와 11월 16일 · 더보기 »

1912년

1912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밀턴 프리드먼와 1912년 · 더보기 »

1976년

1976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밀턴 프리드먼와 1976년 · 더보기 »

2006년

2006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밀턴 프리드먼와 2006년 · 더보기 »

7월 31일

7월 3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12번째(윤년일 경우 21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밀턴 프리드먼와 7월 31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밀턴 프리드만.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