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박세당

색인 박세당

박세당(朴世堂, 1629년 음력 8월 10일~1703년 음력 8월 21일)은 조선 후기의 학자이자 문신으로 소론의 지도자 중 한사람이며 박태보의 아버지이.

35 처지: 도덕경, 독도의 역사, 반남 박씨, 박태보, 박세채, 박필균, 권상유, 권상하, 김장생, 김주신, 김집 (1574년), 김수항, 남구만, 남지기로회도 (서울), 장희빈 (1995년 드라마), 이 달의 문화 인물, 이경석 (1595년), 이담명, 이이명, 이조, 조선의 과학과 기술, 조선후기의 과학기술, 청주 최명길 신도비, 윤증, 윤휴, 윤선거, 색경, 순언, 사문난적, 사변록, 서계 박세당 사랑채, 서계문화재단, 송시열, 한성부판윤, 실학.

도덕경

《도덕경》()은 노자(老子)가 지은 것으로 알려진 도가의 대표적인 경전으로 《노자(老子)》로도 불린.

새로운!!: 박세당와 도덕경 · 더보기 »

독도의 역사

이 문서에서는 독도의 역사에.

새로운!!: 박세당와 독도의 역사 · 더보기 »

반남 박씨

반남 박씨(潘南 朴氏)는 전라남도 나주시 반남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박세당와 반남 박씨 · 더보기 »

박태보

박태보(朴泰輔, 1654년 ~ 1689년)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으로, 자는 사원(士元), 호는 정재(定齋), 본관은 반남(潘南)이.

새로운!!: 박세당와 박태보 · 더보기 »

박세채

박세채(朴世采, 1631년 ~ 1695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박세당와 박세채 · 더보기 »

박필균

박필균(朴弼均, 1685년 1월 1일 ∼ 1760년 8월 2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정치인으로 영조의 탕평책에 반대하여 노론의 맹작으로 활동하였.

새로운!!: 박세당와 박필균 · 더보기 »

권상유

상유(權相游, 1656년 - 1724년)는 조선 시대 후기의 학자, 사상가, 문신이.

새로운!!: 박세당와 권상유 · 더보기 »

권상하

수암 권상하 권상하(權尙夏, 1641년 - 1721년 9월 2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학자, 교육자로 효종, 현종, 숙종 때의 성리학자였.

새로운!!: 박세당와 권상하 · 더보기 »

김장생

장생(金長生, 1548년 7월 8일 ~ 1631년 8월 3일)은 조선의 유학자, 정치인, 문신이.

새로운!!: 박세당와 김장생 · 더보기 »

김주신

주신(金柱臣, 1661년 음력 10월 4일 ~ 1721년 음력 7월 24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박세당와 김주신 · 더보기 »

김집 (1574년)

집(金集, 1574년 음력 6월 6일 ~ 1656년 음력 윤 5월 13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유학자, 작가이.

새로운!!: 박세당와 김집 (1574년) · 더보기 »

김수항

수항(金壽恒, 1629년(인조 7년) ∼ 1689년(숙종 15년) 4월 9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 본관은 (신)안동(安東)으로 좌의정 청음 김상헌(金尙憲)의 손자이며 인목대비는 그의 이모할머니였고 영창대군과 정명공주는 이종숙과 외종이모였.

새로운!!: 박세당와 김수항 · 더보기 »

남구만

만 초상 남구만(南九萬, 1629년 ~ 1711년)은 조선의 문신이자 정치가이.

새로운!!: 박세당와 남구만 · 더보기 »

남지기로회도 (서울)

회도(南池耆老會圖)는 기로회의 기신들과 연로한 임금과의 모임을 조선 중기의 도화서 화가 이기룡이 1629년에 그린 보물 제866호 〈이기룡필 남지기로회도〉를 본 떠 그린 계회도이.

새로운!!: 박세당와 남지기로회도 (서울) · 더보기 »

장희빈 (1995년 드라마)

《장희빈》은 SBS에서 1995년 2월 20일부터 9월 26일까지 매주 월, 화 밤에 방영한 드라마이.

새로운!!: 박세당와 장희빈 (1995년 드라마) · 더보기 »

이 달의 문화 인물

이 달의 문화 인물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가 1990년 7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재발굴하는 기회로 만들기 위해 선정했던 인물들이.

새로운!!: 박세당와 이 달의 문화 인물 · 더보기 »

이경석 (1595년)

이경석(李景奭, 1595년 12월 18일(음력 11월 18일) ~ 1671년 10월 26일(음력 9월 24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작가, 성리학자이자 서예가로, 자는 상보(尙輔), 호는 백헌(白軒)이.

새로운!!: 박세당와 이경석 (1595년) · 더보기 »

이담명

이담명(李聃命, 1646년 ~ 1701년)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정치인, 성리학자, 실학자이자 시인이며 청백리이.

새로운!!: 박세당와 이담명 · 더보기 »

이이명

이이명(李頤命, 1658년 ~ 1722년 4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출신 문신·정치인·학자로 노론 4대신의 한사람이.

새로운!!: 박세당와 이이명 · 더보기 »

이조

이조(吏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박세당와 이조 · 더보기 »

조선의 과학과 기술

조선시대의 과학과 기술은 조선 전기와 후기가 그 발전 양상에 차이가 있. 조선시대의 전기와 후기는 임진왜란을 경계로 나누어지는데, 전기에는 주로 활자, 의학, 천문학, 무기 제조 기술 등 실생활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과학 기술이 발전하였고, 후기에는 서양 문물의 전래로 인하여 그들의 문화를 연구하는 활동이 두드러졌.

새로운!!: 박세당와 조선의 과학과 기술 · 더보기 »

조선후기의 과학기술

조선 후기의 과학 기술은 왜란과 호란의 두 차례에 걸친 전란으로 조선후기 사회는 전면적으로 피폐하고 학문과 과학기술도 침체하였.

새로운!!: 박세당와 조선후기의 과학기술 · 더보기 »

청주 최명길 신도비

청주 최명길 신도비(淸州 崔鳴吉 神道碑)는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 대율리에 있는, 조선 중기의 문신인 최명길(1586∼1647) 선생의 공적을 기리는 비석이.

새로운!!: 박세당와 청주 최명길 신도비 · 더보기 »

윤증

윤증 초상 윤증 윤증(尹拯, 1629년 ~ 1714년 1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학자, 정치인, 사상가이.

새로운!!: 박세당와 윤증 · 더보기 »

윤휴

윤휴(尹鑴, 1617년 10월 14일 ~ 1680년 5월 20일)는 조선의 문신, 성리학자이.

새로운!!: 박세당와 윤휴 · 더보기 »

윤선거

윤선거(尹宣擧, 1610년 ∼ 1669년 4월 21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유학자, 시인, 정치인이.

새로운!!: 박세당와 윤선거 · 더보기 »

색경

색경(穡經)은 조선 숙종 때의 문신인 서계 박세당이 지은 농업책이.

새로운!!: 박세당와 색경 · 더보기 »

순언

《순언》(醇言)은 이이가 유학자의 입장에서 노자의 《도덕경》을 재편성한 책이.

새로운!!: 박세당와 순언 · 더보기 »

사문난적

사문난적(斯文亂賊)이란 고려와 조선시대에 성리학 또는 유교 이념에 반대하는 사람 또는 사상을 비난, 공격하는 용어였.

새로운!!: 박세당와 사문난적 · 더보기 »

사변록

사변록(思辨錄)은 박세당의 저서로, 유학경전 중 4서(四書)와 을 주해(註解)한 책이.

새로운!!: 박세당와 사변록 · 더보기 »

서계 박세당 사랑채

서계 박세당 사랑채(西溪 朴世堂 舍廊채)은 경기도 의정부시 장암동에 있는, 조선 후기 실학자 서계 박세당(1629∼1703) 선생이 저술 활동을 하던 건물이.

새로운!!: 박세당와 서계 박세당 사랑채 · 더보기 »

서계문화재단

서계문화재단은 서계 박세당선생에 대한 학술연구활동과 유물․유적보존과 복원 관리하기 위하여 2004년 1월 20일 설립된 문화체육관광부 소관의 재단법인이.

새로운!!: 박세당와 서계문화재단 · 더보기 »

송시열

송시열(宋時烈, 1607년 12월 30일(음력 11월 12일) ~ 1689년 7월 19일(음력 6월 3일))은 조선의 문신·성리학자이.

새로운!!: 박세당와 송시열 · 더보기 »

한성부판윤

성부판윤(漢城府判尹)은 조선 시대 한성부를 다스리던 정2품의 관직으로서, 품계는 자헌대부 이상의 품계에 해당되었.

새로운!!: 박세당와 한성부판윤 · 더보기 »

실학

실학(實學)은 17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전반에 걸쳐 대두된 일련의 현실개혁적 조선 유학의 학풍을 말. 한편 실학에 반해 기존의 유학을 “성명의리지학”이라고도 부른.

새로운!!: 박세당와 실학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