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박유전

색인 박유전

박유전(朴裕全, 1835년~1906년)은 조선 말기의 판소리 명창이.

13 처지: 발림, 강산제, 김세종, 흥선대원군, 이날치, 이창운, 정권진, 정재근 (국악인), 정응민, 정창업, 정학진, 판소리, 서편제.

발림

발림은 판소리 창자(唱者)가 소리의 가락에 따라 혹은 판소리 사설의 극적 내용에 따라 몸짓을 형용 동작(形容動作:mime) 하는 것을 말. 발림과 비슷한 말로 너름새와 ‘사체’라는 말이 쓰이는데 발림은 춤이나 형용 동작을 가리키는 말이고 너름새는 장면을 연출하는 시각적 기량을 가리키는 말이며 사체는 창우의 거동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박유전와 발림 · 더보기 »

강산제

강산제(江山制)는 서편제의 수령 박유전이 만년에 전남 보성군 강산리(岡山里)에서 여생을 보내며 창시한 판소리 유파이.

새로운!!: 박유전와 강산제 · 더보기 »

김세종

세종(金世宗)은 조선시대의 판소리 명창이.

새로운!!: 박유전와 김세종 · 더보기 »

흥선대원군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1820년 12월 21일(음력 11월 16일) ~ 1898년 2월 22일(음력 2월 2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정치가, 화가이며 조선의 추존왕이.

새로운!!: 박유전와 흥선대원군 · 더보기 »

이날치

이날치(李捺治, 1820년 ~ 1892년)는 조선시대의 명창이.

새로운!!: 박유전와 이날치 · 더보기 »

이창운

이창운(李昌雲)은 조선시대의 판소리 명창이.

새로운!!: 박유전와 이창운 · 더보기 »

정권진

정권진(鄭權鎭, 1927년 ~ 1986년)은 대한민국의 국악인이.

새로운!!: 박유전와 정권진 · 더보기 »

정재근 (국악인)

정재근(鄭在根)은 조선시대의 판소리 명창이.

새로운!!: 박유전와 정재근 (국악인) · 더보기 »

정응민

정응민(鄭應珉, 1896년 ~ 1964년)은 조선시대의 판소리 명창이.

새로운!!: 박유전와 정응민 · 더보기 »

정창업

정창업(丁昌業, 1847년 ~ 1919년)은 조선 말기 일제 강점기의 판소리 명창이.

새로운!!: 박유전와 정창업 · 더보기 »

정학진

정학진(丁學珍, 1863년 ~ 1912년)은 조선시대의 판소리 명창이.

새로운!!: 박유전와 정학진 · 더보기 »

판소리

소리(또는 소리)는 한 명의 소리꾼이 고수(북치는 사람)의 장단에 맞추어 소리(창), 아니리(말), 너름새(몸짓)을 섞어가며 구연(口演)하는 일종의 솔로 오. ‘판소리’는 ‘판’과 ‘소리’의 합성어로 ‘소리’는 ‘음악’을 말하고 ‘판’은 ‘여러 사람이 모인 곳’ 또는 ‘상황과 장면’을 뜻하는 것으로 ‘많은 청중들이 모인 놀이판에서 부르는 노래’라는 뜻으로 구광대가 병풍을 두르고 돗자리를 펼친 마당이나 공연장에서 짧게는 세 시간, 길게는 여섯 시간 정도 걸리는 긴 이야기를 몸짓을 섞어가며 고수의 북 반주에 맞춰 노래하는 한국 전통음악의 하나이.

새로운!!: 박유전와 판소리 · 더보기 »

서편제

서편제(西便制)는 철종 때의 명창인 박유전에 의해 창시된 판소리 유파의 하나이.

새로운!!: 박유전와 서편제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