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박제가

색인 박제가

박제가 박제가(朴齊家, 1750년 11월 5일 ~ 1815년 4월 25일)는 조선 후기의 정치가, 외교관, 통역관, 실학자로 북학파의 거두이.

51 처지: 무예, 무예도보통지, 백동수, 발해고, 갑신정변, 박 (성씨), 박규수, 박지원 (1737년), 박지원 연보, 강위, 박사유, 밀양 박씨, 봉은사 판전 현판, 북학, 북학의, 김정희, 김종수 (1728년), 이 달의 문화 인물, 이덕무, 이재선 추대 사건, 이이명, 이익 (1681년), 이중환, 이산 (드라마), 이서구 (조선), 정재곤, 정유, 조수삼, 조선 정조, 조선 통신사, 조선 후기의 문학, 조선의 학문, 종두, 진북학의소, 채제공, 유길준, 유득공, 수도, 오경석, 오주연문장전산고, 최한기, 여유당전서, 허준, 서울특별시, 실학, 실학파 문학, 십팔기, 시파, 홍대용, 11월 5일, ..., 4월 25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 더) »

무예

무예(武藝)는 근대 이전의 전통적인 전투 기술에서 발전한, 심신 (心身)의 단련을 위한 체계적인 수련 방법을 말. 무술(武術), 무도(武道), 격투기(格鬪技) 등으로 부르.

새로운!!: 박제가와 무예 · 더보기 »

무예도보통지

무예도보통지의 한 장면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는 규장각 검서관인 이덕무, 박제가와 장용영 장교인 백동수 등이 정조의 명으로 1790년(정조 14년)에 편찬한 훈련용 병서이.

새로운!!: 박제가와 무예도보통지 · 더보기 »

백동수

백동수(白東脩, 1743년 ~ 1816년)은 조선 후기의 무신으로 이덕무, 박제가와 함께 《무예도보통지》의 편찬에 참여하였.

새로운!!: 박제가와 백동수 · 더보기 »

발해고

《발해고》(渤海考)는 조선 정조 8년(1784년)에 규장각검서로 일하던 실학자 류득공유득공(柳得恭)은 '유득공'이.

새로운!!: 박제가와 발해고 · 더보기 »

갑신정변

김옥균 홍영식 갑신정변(甲申政變) 또는 갑신혁명(甲申革命)은 1884년 12월 4일(음력 10월 17일) 김옥균·박영효·서재필·서광범·홍영식 등 개화당이 청나라에 의존하려는 척족 중심의 수구당을 몰아내고 개화정권을 수립하려 한 무력 정변(쿠데타)이.

새로운!!: 박제가와 갑신정변 · 더보기 »

박 (성씨)

외 박(朴)씨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박제가와 박 (성씨) · 더보기 »

박규수

박규수(朴珪壽, 1807년 10월 27일 ~ 1877년 2월 9일)는 조선 말기의 문신이.

새로운!!: 박제가와 박규수 · 더보기 »

박지원 (1737년)

박지원(朴趾源, 1737년 3월 5일(음력 2월 5일) ~ 1805년 12월 10일(음력 10월 20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실학자이자 사상가, 외교관, 소설가이.

새로운!!: 박제가와 박지원 (1737년) · 더보기 »

박지원 연보

이 문서는 연암 박지원의 연보이.

새로운!!: 박제가와 박지원 연보 · 더보기 »

강위

강위(姜瑋, 1820년 5월 2일 ~ 1884년 4월 5일)는 조선 말기의 한학자, 개화 사상가, 시인이자 금석학자.

새로운!!: 박제가와 강위 · 더보기 »

박사유

박사유(朴師愈, 1703년 - 1767년 6월 2일)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박제가와 박사유 · 더보기 »

밀양 박씨

밀양 박씨(密陽 朴氏)는 경상남도 밀양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박제가와 밀양 박씨 · 더보기 »

봉은사 판전 현판

봉은사 판전 현판 또는 봉은사 김정희서판전현판(奉恩寺金正喜書板殿懸板)은 조선 19세기 전반의 대표적 문인서화가 김정희가 만년에 쓴 봉은사 판전의 현판 필적이.

새로운!!: 박제가와 봉은사 판전 현판 · 더보기 »

북학

북학(北學)은 조선 후기 실학의 한 유파이.

새로운!!: 박제가와 북학 · 더보기 »

북학의

《북학의》(北學議)는 조선 정조 때 북학파인 박제가가 쓴 책이.

새로운!!: 박제가와 북학의 · 더보기 »

김정희

정희가 그린 불이선란도(不二禪蘭圖) 김정희(金正喜, 정조 10년(1786년) 6월 3일(1786년 6월 28일) ~ 철종 7년(1856년) 10월 10일(1856년 11월 7일))는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서예가, 금석학자, 고증학자, 화가, 실학자이.

새로운!!: 박제가와 김정희 · 더보기 »

김종수 (1728년)

종수(金鍾秀, 1728년 ~ 1799년 1월 7일)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박제가와 김종수 (1728년) · 더보기 »

이 달의 문화 인물

이 달의 문화 인물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가 1990년 7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재발굴하는 기회로 만들기 위해 선정했던 인물들이.

새로운!!: 박제가와 이 달의 문화 인물 · 더보기 »

이덕무

이덕무(李德懋, 1741년 6월 11일 ~ 1793년 1월 25일)은 조선 후기의 북학파 실학자이.

새로운!!: 박제가와 이덕무 · 더보기 »

이재선 추대 사건

이재선 역모 사건 또는 이재선 모역 사건, 이재선 쿠데타 사건은 조선 말기의 군사 쿠데타로, 쿠데타 기도 10일 전에 사전 적발되었.

새로운!!: 박제가와 이재선 추대 사건 · 더보기 »

이이명

이이명(李頤命, 1658년 ~ 1722년 4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출신 문신·정치인·학자로 노론 4대신의 한사람이.

새로운!!: 박제가와 이이명 · 더보기 »

이익 (1681년)

이익(李瀷, 1681년 10월 18일 ~ 1763년 12월 1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사상가, 철학자, 실학자, 역사가, 교육자로 조선 영조 때의 남인(南人) 실학자이.

새로운!!: 박제가와 이익 (1681년) · 더보기 »

이중환

이중환(李重煥, 1691년 1월 23일(음력 1690년 12월 25일)~1756년 2월 1일(음력 1월 2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실학자, 사상가, 철학자이.

새로운!!: 박제가와 이중환 · 더보기 »

이산 (드라마)

《이산》(李祘)은 조중현 기획, 이병훈·김근홍 연출, 김이영 극본으로 문화방송에서 방영한 드라마이.

새로운!!: 박제가와 이산 (드라마) · 더보기 »

이서구 (조선)

이서구(李書九, 1754년∼1825년)는 조선의 문신·학자이.

새로운!!: 박제가와 이서구 (조선) · 더보기 »

정재곤

정재곤(1969년 1월 8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박제가와 정재곤 · 더보기 »

정유

정유는 다음을 가리.

새로운!!: 박제가와 정유 · 더보기 »

조수삼

조수삼(趙秀三, 1762년 ~ 1849년)은 조선 후기의 여항 시인이.

새로운!!: 박제가와 조수삼 · 더보기 »

조선 정조

정조 (正祖, 1752년 10월 28일(음력 9월 22일) ~ 1800년 8월 18일(음력 6월 28일))는 조선의 제22대 왕이며, 대한제국의 추존 황제이.

새로운!!: 박제가와 조선 정조 · 더보기 »

조선 통신사

조선통신사 행렬도 (대영 박물관 소장) 조선 통신사(朝鮮通信使)는 일반적으로 개화기 이전까지 조선이 에도 막부에 파견한 대규모 사절단을 지칭하는 명칭이.

새로운!!: 박제가와 조선 통신사 · 더보기 »

조선 후기의 문학

조선 후기의 문학(朝鮮後期-文學) 문서에서는 조선시대 후기의 문학에 관해 설명.

새로운!!: 박제가와 조선 후기의 문학 · 더보기 »

조선의 학문

조선시대의 학문은 조선 시대 전반에 걸쳐 유학의 일파인 성리학이 융성하였고, 중기부터 도교가 도학이라는 이름으로 퍼지기 시작.

새로운!!: 박제가와 조선의 학문 · 더보기 »

종두

종두(種痘)는 천연두를 예방할 목적으로 백신을 인체의 피부에 접종하는 일을 가리.

새로운!!: 박제가와 종두 · 더보기 »

진북학의소

북학의소(進北學議疏) 또는 진소본북학의(進疏本北學議)는 1799년에 박제가가 정조에게 올린 상소문 형태의 저술이.

새로운!!: 박제가와 진북학의소 · 더보기 »

채제공

제공(蔡濟恭, 1720년 ~ 1799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박제가와 채제공 · 더보기 »

유길준

유길준(兪吉濬, 1856년 양력 11월 21일(음력 10월 24일) ~ 1914년 양력 9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외교관, 작가이며 대한제국의 정치가·개화 사상가·계몽운동가이.

새로운!!: 박제가와 유길준 · 더보기 »

유득공

유득공(柳得恭, 류득공, 1748년 12월 24일(음력 11월 5일) ~ 1807년 10월 1일(음력 9월 1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실학자, 문신, 시인이며 조선 정조 당시의 실학자, 시인이.

새로운!!: 박제가와 유득공 · 더보기 »

수도

수도(首都)는 한 국가의 정치, 행정의 중심이 되는 도시를 말. 수도에는 대부분 중앙 정부가 소재해, 국가원수 등 국가의 최고 지도자가 거점으로 두는 도시이.

새로운!!: 박제가와 수도 · 더보기 »

오경석

오경석(吳慶錫, 1831년(순조 31년) 3월 5일(음력 1월 21일) ~ 1879년(고종 16년) 10월 7일(음력 8월 22일))은 조선 후기의 역관, 외교관이자 정치인, 사상가이.

새로운!!: 박제가와 오경석 · 더보기 »

오주연문장전산고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는 조선 후기 헌종 때, 이규경이 우리나라ㆍ중국(中國)을 비롯한 여러 나라 고금(古今)의 사물에 대하여 고증하고 해설한 책이.

새로운!!: 박제가와 오주연문장전산고 · 더보기 »

최한기

(崔漢綺, 1803년 10월 26일 ~ 1879년 6월 21일)는 조선 후기의 실학자이자 지리학자, 철학자, 사상가, 저술가이.

새로운!!: 박제가와 최한기 · 더보기 »

여유당전서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는 조선 후기의 학자 정약용의 저술을 총정리한 문집이.

새로운!!: 박제가와 여유당전서 · 더보기 »

허준

준(許浚, 1539년~1615년)은 조선 중기의 의관·의학자이.

새로운!!: 박제가와 허준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박제가와 서울특별시 · 더보기 »

실학

실학(實學)은 17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전반에 걸쳐 대두된 일련의 현실개혁적 조선 유학의 학풍을 말. 한편 실학에 반해 기존의 유학을 “성명의리지학”이라고도 부른.

새로운!!: 박제가와 실학 · 더보기 »

실학파 문학

실학파 문학(實學派文學)은 조선시대에 유학 이외의 실생활에 유익한 것을 목표로 한 학문을 하는 사람들의 문학이.

새로운!!: 박제가와 실학파 문학 · 더보기 »

십팔기

십팔기(十八技, 18기)는 조선 영조 25년(1749년), 사도세자가 정리해 《무예신보》(武藝新譜)에 수록한 18가지 보병무예의 총칭이.

새로운!!: 박제가와 십팔기 · 더보기 »

시파

시파(時派)는 조선 정조 시기 정조의 탕평책을 지지한 세력이.

새로운!!: 박제가와 시파 · 더보기 »

홍대용

홍대용(洪大容, 1731년 5월 12일 ~ 1783년 11월 17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실학자이자 과학 사상가이.

새로운!!: 박제가와 홍대용 · 더보기 »

11월 5일

11월 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9번째(윤년일 경우 31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박제가와 11월 5일 · 더보기 »

4월 25일

4월 2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5번째(윤년일 경우 11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박제가와 4월 25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정유 박제가, 초정 박제가, 위항도인 박제가, 재선 박제가.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