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명랑
명랑(明朗: fl. 668)은 7세기 경 신라의 승려로 자(字)는 국육(國育)이.
보다 백고좌와 명랑
경주 황룡사지
황룡사(皇龍寺)는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었던 사찰로서, 경주에서 가장 컸던 사찰로 알려져 있으나,한국사 > 고대사회의 발전 > 삼국의 성립과 발전 > 고대문화의 발전 > 황룡사,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현재는 터만 남아 있.
보다 백고좌와 경주 황룡사지
정강왕
신라 정강왕(新羅 定康王, ? ~ 887년, 재위: 886년 ~ 887년)은 신라의 제50대 왕이.
보다 백고좌와 정강왕
팔관회
회(八關會)는 신라 때 시작되어 고려 때까지 이어진 불교 의식(儀式)이.
보다 백고좌와 팔관회
호국 불교 사상
호국 불교 사상(護國佛敎思想) 또는 호국 사상(護國思想)은 진호국가(鎭護國家), 즉 불교의 교법(敎法)으로 난리와 외세를 진압하고 나라를 지킨다는 불교 사상으로 다른 불교 국가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은 한국 특유의 불교 사상이.
혜량
혜량(惠亮: fl. 551)은 6세기 경의 신라의 승려이.
보다 백고좌와 혜량
삼국 시대의 문화
삼국 시대의 문화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초기의 부족 연맹체적 특징과 함께 한자 문화권에 편입되었다는 점과 고분 및 유물과 벽화로써 전해졌고, 불교 색채를 띤 유물과 유적이 많다는 점이.
삼국 시대의 불교
이 문서는 한국 역사에서 고구려백제신라의 삼국 시대에 전개된 불교를 설명.
한국 불교의 역사
국 불교의 역사 또는 한국 불교사는 한국에서 전개된 불교의 역사이.
한국의 불교 사상
본 문서 한국의 불교 사상은, 한국에 전래된 불교에서 전개된 사상을 설명.
신라의 불교
신라의 불교에 대한 전래 기록으로는, 제13대 미추왕(味鄒王) 2년(263)에 고구려의 승려아도(阿道)가 와서 불교를 전했다는 설, 19대 눌지왕(訥祗王: 재위 417∼458) 때 고구려의 승려 묵호자(墨胡子)가 모례(毛禮)의 집에 머물러 불교를 선양했다는 설, 21대 소지왕(炤知王: 재위 479∼500) 때 승려 아도(我道)가 시자(侍者) 3인과 같이 모례(毛禮)의 집에 있다가 아도는 먼저 가고 시자들은 포교했다는 설 등이 있으나 어느 것이 맞는지 알 수 없.
보다 백고좌와 신라의 불교
원광
원광(圓光, 542년 ~ 640년)은 신라 진평왕 시대의 유명한 승려이자 학자이.
보다 백고좌와 원광
또한 백고강좌, 백고강좌회, 백고좌 강회, 백고좌인왕도장, 백좌인왕도장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