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백의사

색인 백의사

백의사(白衣社)는 일제 강점기와 해방정국의 우익 테러단체이.

35 처지: 강량욱, 극우, 김규식, 김구, 김두한, 김일성, 김책, 대동청년단, 대구 10·1 사건, 대한민국 임시 정부, 남의사, 낙산장, 장덕수, 장덕수 피살 사건, 장택상, 평양청년회, 이제는 말할 수 있다, 조만식, 조선민족청년단, 유진산, 현준혁, 옛 나라 목록, 최용건, 여명의 눈동자, 여운형, 염동진, 허정, 사회 운동, 서북청년회, 송진우 피살 사건, 한지근, 한현우, 안두희, 신익희, 신탁 통치 반대 운동.

강량욱

강량욱(康良煜,, 1902년 12월 7일 ~ 1983년 1월 9일)은 일제침략기의 장로교 목사, 교육자였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교육자, 정치인이.

새로운!!: 백의사와 강량욱 · 더보기 »

극우

오나치 운동 당원 극우() (極右) 또는 급진우파(急進右派)는 극단적으로 우익적인 생각, 사람, 당파 세력을 가리.

새로운!!: 백의사와 극우 · 더보기 »

김규식

식(金奎植, 1881년 2월 28일 ~ 1950년 12월 10일)은 대한제국의 종교가, 교육자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 운동가, 통일운동가, 정치가, 학자, 시인, 사회운동가, 교육자였다 언더우드 선교사의 비서, 경신학교의 교수와 학감 등을 지내고 미국에 유학하였.

새로운!!: 백의사와 김규식 · 더보기 »

김구

(金九, 1876년 8월 29일 ~ 1949년 6월 26일)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종교인, 교육자, 통일운동가, 정치인이.

새로운!!: 백의사와 김구 · 더보기 »

김두한

(金斗漢, 1918년 5월 15일 ~ 1972년 11월 21일)은 일제강점기 조선의 건달이자, 대한민국의 정치가이며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상사이.

새로운!!: 백의사와 김두한 · 더보기 »

김일성

일성(金日成, 1912년 4월 15일 ~ 1994년 7월 8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독재자.

새로운!!: 백의사와 김일성 · 더보기 »

김책

책 김책(金策, 1903년 8월 14일 ~ 1951년 1월 31일)은 일제 강점기 조선의 공산주의 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 소련의 군인이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인, 정치인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초대 내각 산업상 겸 민족보위성 부상, 외무성 부상(1948년 9월 2일-1951년 1월)과 내각 부수상을 겸직.

새로운!!: 백의사와 김책 · 더보기 »

대동청년단

동청년단은 1947년 9월 21일에 지청천을 중심으로 창설되었던 반공주의 우익 청년단체이.

새로운!!: 백의사와 대동청년단 · 더보기 »

대구 10·1 사건

10·1 사건은 1946년 10월 1일에 미군정하의 대구에서 발발, 이후 남한 전역으로 확산된 일련의 운동을 지칭.

새로운!!: 백의사와 대구 10·1 사건 · 더보기 »

대한민국 임시 정부

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 1919년 ~ 1948년)는 1919년 3월 1일 경성(京城)에서 선포된 3·1 독립선언에 기초하여 일본 제국의 대한제국 침탈과 식민 통치를 부인하고 한반도 내외의 항일 독립운동을 주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1919년 4월 11일 중화민국 상하이에서 설립된 대한민국의 망명정부이.

새로운!!: 백의사와 대한민국 임시 정부 · 더보기 »

남의사

의사()는 우익 정당 중국 국민당 산하의 파시즘 비밀조직으로 장제스의 지휘 아래 중화민국과 국민당을 군국주의 노선으로 이끌어간 일종의 정보기관이자 준군사조직이었.

새로운!!: 백의사와 남의사 · 더보기 »

낙산장

낙산장(駱山莊)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동숭동에 위치하던 기와집으로,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정치인인 조성환과 신익희의 자택이.

새로운!!: 백의사와 낙산장 · 더보기 »

장덕수

장덕수(張德秀, 1894년 12월 10일 ~ 1947년 12월 2일)는 한국의 친일파, 정치인, 교육자, 학자, 언론인이.

새로운!!: 백의사와 장덕수 · 더보기 »

장덕수 피살 사건

장덕수 피살 사건은 1947년 12월 2일 저녁 7시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제기동 청설장에서 한국민주당의 당수 장덕수가 미군정청 경찰관인 순경 박광옥(한국독립당 당원), 초등학교 교사 배희범(한국독립당의 당원) 외 5명의 권총 저격을 받고 암살된 사건이.

새로운!!: 백의사와 장덕수 피살 사건 · 더보기 »

장택상

장택상(張澤相, 1893년 10월 22일 ~ 1969년 8월 1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 작가이.

새로운!!: 백의사와 장택상 · 더보기 »

평양청년회

평양청년회(平壤靑年會)는 일제강점기와 미군정기, 대한민국 초기에 활동한 시민단체였고, 해방 뒤에는 조선민주당 계열의 청년단체로 활동.

새로운!!: 백의사와 평양청년회 · 더보기 »

이제는 말할 수 있다

《이제는 말할 수 있다》는 1999년 9월 12일부터 2005년 6월 26일까지 문화방송에서 방영된 총 100부작의 역사 다큐멘터리이.

새로운!!: 백의사와 이제는 말할 수 있다 · 더보기 »

조만식

조만식(曺晩植, 1883년 2월 1일(1882년 음력 12월 24일) ~ 1950년 10월 18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일제 강점기의 교육자·종교인·언론인·시민사회단체인·정치인이.

새로운!!: 백의사와 조만식 · 더보기 »

조선민족청년단

이범석의 사진 조선민족청년단(朝鮮民族靑年團), 약칭 족청(族靑)은 이범석을 중심으로 1946년 10월 9일 ‘국가지상, 민족지상’이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내걸고 창설한 반공주의적 우파 단체이.

새로운!!: 백의사와 조선민족청년단 · 더보기 »

유진산

유진산(柳珍山, 1905년 10월 18일 ~ 1974년 4월 28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청년운동가이자 7선 의원을 지낸 정치인으로 전라북도 진산군에서 태어났으며, 본관은 문화이고 해방 정국에서는 우익청년단체를 운용하였.

새로운!!: 백의사와 유진산 · 더보기 »

현준혁

현준혁(玄俊赫, 1906년 5월 13일 ~ 1945년 9월 3일)은 조선의 공산주의계열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백의사와 현준혁 · 더보기 »

옛 나라 목록

옛 나라 목록에서는 인류 역사상 과거에 존재했던 국가, 국제 기구 또는 영토를 점유한 게릴라, 정부, 정권, 테러 조직, 망명 정부, 부대 그리고 무장단체 등을 기술하였습.

새로운!!: 백의사와 옛 나라 목록 · 더보기 »

최용건

용건(崔庸健, 1900년 6월 21일 ~ 1976년 9월 19일)은 조선의 공산주의 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 중국, 소련의 군인이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인, 정치인이.

새로운!!: 백의사와 최용건 · 더보기 »

여명의 눈동자

《여명의 눈동자》(黎明의 눈瞳子)는 1991년 10월 7일부터 1992년 2월 6일까지 MBC에서 방영된 특별기획 드라마로, 소설가 김성종의 《여명의 눈동자》를 원작으로 제작되었.

새로운!!: 백의사와 여명의 눈동자 · 더보기 »

여운형

여운형(呂運亨, 1886년 5월 25일 ~ 1947년 7월 19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겸 저술가이.

새로운!!: 백의사와 여운형 · 더보기 »

염동진

염동진(廉東振, 1902년 2월 14일 ~ 몰년 미상)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해방정국의 극우성향의 비밀결사 백의사의 총사령이.

새로운!!: 백의사와 염동진 · 더보기 »

허정

정(許政, 1896년 4월 8일 ~ 1988년 9월 18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며 정치인이.

새로운!!: 백의사와 허정 · 더보기 »

사회 운동

사회 운동(社會運動) 또는 시민 운동(市民運動)은 기존의 사회 구조와 제도를 변화·개선시키기 위하여 대중과 시민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조직적이고 집합적이며 연속적인 다양한 행동을 의미.

새로운!!: 백의사와 사회 운동 · 더보기 »

서북청년회

1948년 5월 31일 대한민국 국회 개원식 날 국회 의사당 앞에서 소련군 철수 집회를 벌이는 서북청년회원들‎ 서북청년회(西北靑年會) 또는 서북청년단(西北靑年團, 약칭: 서청)는 미군정 당시 조직된 대한민국의 극우 반공주의 청년 단체로 반공주의 청년단체였.

새로운!!: 백의사와 서북청년회 · 더보기 »

송진우 피살 사건

1945년 12월 31일자 동아일보. 송진우 암살을 보도 송진우 피살 사건은 1945년 12월 30일 새벽 6시 한국민주당 당수 송진우가 서울 원서동 자택에서 한현우 등 자객들의 피습을 받고 사망한 사건이.

새로운!!: 백의사와 송진우 피살 사건 · 더보기 »

한지근

(韓智根, 본명: 이필형(李弼炯), 1927년 ~ ?)은 몽양 여운형을 저격한 암살범이.

새로운!!: 백의사와 한지근 · 더보기 »

한현우

현우(韓賢宇, 1919년 ~ 2007년)은 대한민국의 우익단체 활동가로 송진우를 저격, 암살한 범죄자이.

새로운!!: 백의사와 한현우 · 더보기 »

안두희

안두희(安斗熙, 1917년 3월 24일 ~ 1996년 10월 23일)는 대한민국의 군인, 기업가이.

새로운!!: 백의사와 안두희 · 더보기 »

신익희

신익희(申翼熙, 1892년 6월 9일 ~ 1956년 5월 5일)는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며, 교육자, 정치인이.

새로운!!: 백의사와 신익희 · 더보기 »

신탁 통치 반대 운동

신탁 통치 반대 운동(信託統治反對運動)은 1945년 12월 모스크바 3상회의의 결과가 알려지자 신탁 통치에 반대하여 일어난 국민운동이.

새로운!!: 백의사와 신탁 통치 반대 운동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