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법치주의

색인 법치주의

법치주의(法治主義)는 사람이나 폭력이 아닌 법이 지배하는 국가원리, 헌법원리이.

65 처지: 로베르트 폰 몰, 마그나 카르타, 미국, 미국의 종말, 민국당 (중화민국), 민사조정, 민원식, 반란죄, 가토 다쓰야 (저널리스트), 경찰국가, , 법률 (플라톤), 법가, 법치국가의 원리, 고데스베르크 강령, 고전적 자유주의, 변호인선임권, 권리청원, 대체적 분쟁 해결, 대한민국 민법 제3조, 대한민국 헌법, 대한민국 헌법 제75조, 내란죄, 놀리 프로시콰이, 트라야누스, 자유민주주의, 자유주의, 자유주의연대, 입헌주의, 이데올로기 목록, 이그 노벨상, 이사 (진나라), 일본의 정치, 일본제국 헌법, 적법절차, 적형법, 제자백가, 전체주의, 조정 (법률), 죄형법정주의, 춘추 전국 시대, 취약국가지수, 코펜하겐 기준, 유럽 연합 회원국, 유럽의 날, 상앙, 투자자 국가 분쟁 해결, 영미법, 영국 대법원장, 오쓰 사건, ..., 행정의 법률적합성의 원칙, 에드워드 코크, 헤이키 리타부오리, 사법 (국가 작용), 사회정의, 사이버 모욕죄, 서경 (책), 서굿 마셜, 통일한국당, 앨버트 다이시, 한비, 신아제르바이잔당, 1552년, 1791년 5월 3일 헌법, 7가지 사회악.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5 더) »

로베르트 폰 몰

베르트 폰 몰 (크리스토프 프리드리히 되르의 강판화, 1830년대) 로베르트 폰 몰(Robert von Mohl, 1799년 8월 17일 슈투트가르트 ~ 1875년 11월 5일 베를린)은 독일의 법학자이자 정치가였.

새로운!!: 법치주의와 로베르트 폰 몰 · 더보기 »

마그나 카르타

마그나 카르타 오스트레일리아 의회의사당에 마그나 카르타 1297년판이 전시되어 있다 마그나 카르타 혹은 대헌장()은 1215년 6월 15일에 영국의 존 왕이 귀족들의 강요에 의하여 서명한 문서로, 국왕의 권리를 문서로 명시한 것이.

새로운!!: 법치주의와 마그나 카르타 · 더보기 »

미국

미합중국(美合衆國,, U.S.A.), 약칭 합중국(U.S.) 또는 미국(美國)은 주 50개와 특별구 1개로 이루어진 연방제 공화국이.

새로운!!: 법치주의와 미국 · 더보기 »

미국의 종말

미국의 종말: 젊은 애국주의자에게 보내는 경고 편지 는 나오미 울프가 최근에 발표한 책으로 '10개의 단계에 있는 미국의 집단주의자들'이라는 제목으로 2007년 4월 가디언에 소개되었.

새로운!!: 법치주의와 미국의 종말 · 더보기 »

민국당 (중화민국)

민국당()은 중화민국의 정당이.

새로운!!: 법치주의와 민국당 (중화민국) · 더보기 »

민사조정

민사조정(民事調停, civil mediation)은 민사상의 분쟁을 법원의 판결에 의하지 않고 법관이나 조정위원의 권유에 의하여 양 당사자가 서로 양보하여 당사자의 합의로서 해결하는 자주적 분쟁해결제도이.

새로운!!: 법치주의와 민사조정 · 더보기 »

민원식

민원식(閔元植, 1886년 7월 12일 ~ 1921년 2월 17일)은 대한제국의 관료, 사회 운동가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 언론인, 사상가이.

새로운!!: 법치주의와 민원식 · 더보기 »

반란죄

반란죄(反乱罪)는 작당(作黨)하여 병기를 휴대하고 반란을 일으킨 군인에 대한 죄이.

새로운!!: 법치주의와 반란죄 · 더보기 »

가토 다쓰야 (저널리스트)

쓰야(1966년 ~)는 일본의 저널리스트, 기자이.

새로운!!: 법치주의와 가토 다쓰야 (저널리스트) · 더보기 »

경찰국가

경찰국가(警察國家)는 국가가 경찰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국가주의이.

새로운!!: 법치주의와 경찰국가 · 더보기 »

정의의 의인화 유스티티아. 법(法)은 질서를 유지하고 사회가 유지되기 위해 정의를 실현함을 직접 목적으로 하는 국가의 강제력을 수반하는 사회적 규범 또는 관습을 말. 넓은 뜻으로는 자연법(自然法), 헌법(憲法), 관습법(慣習法), 명령, 규칙, 판례까지를 포함하지만 좁은 뜻에서는 일정한 조직과 절차 밑에서 제정된 법률을 가리.

새로운!!: 법치주의와 법 · 더보기 »

법률 (플라톤)

법률(法律, Laws)은 플라톤의 가장 긴 저작이자 최후의 저작으로 여. 플라톤의 후기 대화편에 속. 플라톤의 저서에 자주 등장하던 소크라테스가 등장하지 않으며, 'Phillip of opus'가 마무리 했다는 설이 있. 소크라테스는 없으나 책에는 다수의 장로가 등장하여 대화를 통해 내용을 전개하고 있어 초기 대화편과의 연속성을 보여주.

새로운!!: 법치주의와 법률 (플라톤) · 더보기 »

법가

법가(法家)는 중국의 역사에서 춘추전국시대(770~221 BC)의 제자백가 가운데에서도 주요 유파 넷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법치주의와 법가 · 더보기 »

법치국가의 원리

법치국가의 원리란 비정치적인 원리로서 국가권력으로부터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법기술적, 소극적인 원리이.

새로운!!: 법치주의와 법치국가의 원리 · 더보기 »

고데스베르크 강령

스베르크 강령(Godesberger Programm)은 1959년에서 1989년까지 독일사회민주당의 강령을 말. 1959년 11월 15일 본 근처에 위치한 바드 고데스베르크시에서 개최된 독일사회민주당 임시 당대회에서 324대 16으로 채택되었.

새로운!!: 법치주의와 고데스베르크 강령 · 더보기 »

고전적 자유주의

전적 자유주의(古典的自由主義)는 경제적 자유에 중점을 두고 법치주의 아래에서 시민자유를 옹호하는 정치 이데올로기이자 자유주의의 분파이.

새로운!!: 법치주의와 고전적 자유주의 · 더보기 »

변호인선임권

변호인선임권은 형사소송에서 피의자나 피고인이 변호인을 선임할 권리를 말. 형사소송법에도 규정되어 있으나, 헌법상의 기본권이.

새로운!!: 법치주의와 변호인선임권 · 더보기 »

권리청원

리청원(權利請願, 영어: Petition of Rights)이란 1628년에 영국의회가 찰스 1세의 승인을 얻은 국민의 인권에 관한 선언으로 권리장전이 명예혁명의 결과에 의한 인권선언의 성격을 띤 데 반해, 권리청원은 청교도 혁명과 관련된 인권선언이.

새로운!!: 법치주의와 권리청원 · 더보기 »

대체적 분쟁 해결

적 분쟁 해결(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ADR)이란 법원의 소송 이외의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분쟁해결방식을 말. 미국에서 ADR이 가장 다양하게 논의가 진행되어왔고, 실제로 다양한 활용이 이루어져 왔. ADR이란 형식적으로는 법원의 소송 이외의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분쟁해결방식을 말하며, 실질적으로는 법원의 판결 형태가 아니라 협상, 화해, 조정, 중재와 같이 제3자의 관여나 직접 당사자간에 교섭과 타협으로 이루어지는 분쟁해결방식을 말. 대체적 분쟁 해결은 판결에서 발생하게 되는 감정대립의 문제를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당사자의 임의 변제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집행법상의 문제를 수반하지 않으므로 채권의 종국적 만족이 용이한 장점이 있. 또한 법원의 업무도 크게 경감하여 법원으로 하여금 나머지 소송사건에 진력할 수 있게 해준.

새로운!!: 법치주의와 대체적 분쟁 해결 · 더보기 »

대한민국 민법 제3조

민국 민법 제3조는 권리능력의 존속기간에 대한 민법 총칙상 조문이.

새로운!!: 법치주의와 대한민국 민법 제3조 · 더보기 »

대한민국 헌법

전쟁기념관에 전시 중인 제헌 헌법. 사진은 첫 장이다. 대한민국 헌법(大韓民國憲法)은 대한민국의 최고 기본법으로, 인적으로는 대한민국의 국민에게 적용되고, 장소적으로는 대한민국의 영역내에서 적용되는 헌법을 말. 1919년 3.1운동으로 설립된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서 처음으로 대한민국 임시 헌법을 제정하였.

새로운!!: 법치주의와 대한민국 헌법 · 더보기 »

대한민국 헌법 제75조

민국 헌법 제75조는 대한민국 헌법의 조항이.

새로운!!: 법치주의와 대한민국 헌법 제75조 · 더보기 »

내란죄

죄(內亂罪)는 국토의 참절 또는 국헌문란(國憲紊亂)을 목적으로 하여 폭동하는 죄(형법 제87조)를 말. 내란죄는 외환죄(外患罪)와 같이 국가의 존립에 관한 범죄이지만, 외환죄가 외부로부터 국가의 존립을 위태롭게 하는 것인 데 반해 이 죄는 국가의 내부에서 그 기본적 질서를 공격하는 것이.

새로운!!: 법치주의와 내란죄 · 더보기 »

놀리 프로시콰이

리 프로시콰이(Nolle prosequi)는 국가원수 대권으로서, 영구적인 불기소처분, 불기소 특별사면권을 말. 기소하지 않는다(do not prosecute)는 뜻의 라틴어이.

새로운!!: 법치주의와 놀리 프로시콰이 · 더보기 »

트라야누스

이아누스(Traianus)는 로마 제국의 제13대 황제(53년 9월 18일 - 117년 8월 7일)이.

새로운!!: 법치주의와 트라야누스 · 더보기 »

자유민주주의

자유민주주의(自由民主主義) 또는 정치적 민주주의는 자유주의와 민주주의가 결합된 정치원리 및 공화제 입헌 정부형태이.

새로운!!: 법치주의와 자유민주주의 · 더보기 »

자유주의

자유주의(自由主義, Liberalism)는 자유 사상을 최상의 정치·사회적 가치로 삼는 역사적 전통이며, 사회철학적 관점이자 이데올로기이.

새로운!!: 법치주의와 자유주의 · 더보기 »

자유주의연대

자유주의연대는 2004년에 대한민국에서 창립되어 뉴라이트 운동을 전개하고 있는 우파 단체이.

새로운!!: 법치주의와 자유주의연대 · 더보기 »

입헌주의

입헌주의(立憲主義)는 국민의 기본적 인권을 보장하기 위하여 통치 및 공동체의 모든 생활이 헌법에 따라서 영위되어야 한다는 정치원리를 말.

새로운!!: 법치주의와 입헌주의 · 더보기 »

이데올로기 목록

음은 정치적, 경제적 이데올로기를 보기 쉽게 분류한 문서이.

새로운!!: 법치주의와 이데올로기 목록 · 더보기 »

이그 노벨상

마이클 베리는 살아있는 개구리를 자기 부상시키는 실험에 대한 공로로 2000년도 이그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이그 노벨상(Ig Nobel Prize)은 노벨상을 패러디하여 만들어진 상이.

새로운!!: 법치주의와 이그 노벨상 · 더보기 »

이사 (진나라)

이사(李斯, 기원전 284년 ~ 기원전 208년)는 중국 전국시대 ~ 진나라의 철학자·정치가로, 자는 통고(通古)이며 초나라 상채(上蔡) 사람이.

새로운!!: 법치주의와 이사 (진나라) · 더보기 »

일본의 정치

일본의 정치는 일본국 헌법에서 정한 내용에 의해 이루어.

새로운!!: 법치주의와 일본의 정치 · 더보기 »

일본제국 헌법

1889년(메이지 22년) 헌법반포약도 대일본제국 헌법() 또는 대일본 제국 헌법(大日本帝國憲法)은 1889년 2월 11일에 공포되어 1890년 11월 29일에 시행된 근대 입헌주의에 기초한 일본 제국의 헌법이.

새로운!!: 법치주의와 일본제국 헌법 · 더보기 »

적법절차

적법절차(適法節次, due process of law)는 개인의 권리보호를 위해 정해진 일련의 법적 절차를 말. 적법 절차에서 적(適)은 적정한(due)이란 뜻이고 절차는 권리의 실질적인 내용을 실현하기 위하여 택하여야 할 수단적, 기술적 방법을 말. 적법에서의 법은 불문법을.

새로운!!: 법치주의와 적법절차 · 더보기 »

적형법

적형법(Feindstrafrecht)은 1985년에 귄터 야콥스에 의해 제안된 형법에서의 개념이며, 지배층으로부터 사회 또는 국가의 적으로 인정되어 사회의 법의 외부에 있게 되는 사람들에 대하여 적용되는 특별형법을 가리.

새로운!!: 법치주의와 적형법 · 더보기 »

제자백가

제자백가(諸子百家) 또는 현상적 표현인 백가쟁명(百家爭鳴)는 춘추전국시대(기원전 770~221)의 여러 사상가와 그 학파들을 말. 주나라(周)가 동으로 천도한 후의 동주(東周: 기원전 771~256) 시대에서는 종주권이 쇠약해짐에 따라 제후들이 세력을 추구하면서 거리낌이 없어져서 약육강식이 잇달아 일어나자 중국 천하는 소란하게 되었.

새로운!!: 법치주의와 제자백가 · 더보기 »

전체주의

전체주의()는 국가나 집단의 전체를 개인보다도 우위에 두고, 개인은 전체의 존립과 발전을 위한 수단으로 여기는 사상이며, 극우와 권위적 극좌의 정치 성향에서 공통분모로 나타나는 성향이.

새로운!!: 법치주의와 전체주의 · 더보기 »

조정 (법률)

조정(調停, mediation)이란 분쟁을 법원의 판결에 의하지 않고 중립적인 위치에 있는 제3자(조정위원)의 권고에 의하여 양 당사자가 서로 양보하여 당사자의 합의로서 해결하는 대체적 분쟁 해결이.

새로운!!: 법치주의와 조정 (법률) · 더보기 »

죄형법정주의

죄형법정주의(罪刑法定主義)란 어떤 행위가 범죄로 처벌되기 위해서는 행위 이전에 미리 성문의 법률로 규정되어 있어야 한다는 원칙이.

새로운!!: 법치주의와 죄형법정주의 · 더보기 »

춘추 전국 시대

전국 시대(春秋戰國時代, 기원전 770년 ~ 기원전 221년)는 춘추 시대와 전국 시대를 아울러 부르는 말로, 기원전 770년 주(周)왕조의 천도 후부터 기원전 221년 시황제(始皇帝)의 통일까지에 해당.

새로운!!: 법치주의와 춘추 전국 시대 · 더보기 »

취약국가지수

정보 없음 / 의존 영토 취약국가지수(脆弱國家指數, Fragile States Index, FSI, 과거 명칭: 실패국가지수(失敗國家指數, Failed States Index))는 미국의 싱크탱크인 평화기금회와 미국의 잡지인 《포린 폴리시》가 2005년 이후로 한 해에 한 차례씩 출간하는 보고서이.

새로운!!: 법치주의와 취약국가지수 · 더보기 »

코펜하겐 기준

준(Copenhagen criteria)은 유럽 연합 가입에 대한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새로운!!: 법치주의와 코펜하겐 기준 · 더보기 »

유럽 연합 회원국

유럽 연합 회원국은 1957년 유럽 경제 공동체(EEC)를 시초로 하여 유럽 연합(EU)에 가입한 국가들을 가리.

새로운!!: 법치주의와 유럽 연합 회원국 · 더보기 »

유럽의 날

브뤼셀에서 있었던 유럽의 날 기념 행사 유럽의 날은 유럽 위원회가 1964년 이후로 1949년 5월 5일을 기념하기 위해 제정한 행사이.

새로운!!: 법치주의와 유럽의 날 · 더보기 »

상앙

상앙(商鞅, 기원전 395년? ~ 기원전 338년)은 고대 중국의 전국시대 진나라의 법가를 대표하는 중요한 정치가였.

새로운!!: 법치주의와 상앙 · 더보기 »

투자자 국가 분쟁 해결

자자 국가 분쟁 해결(投資者 國家 分爭 解決) 조항 또는 투자자 국가 소송 제도는 국제 무역 조약에서 외국의 투자자가 상대방 국가의 법령이나 정책 등으로 인하여 이익을 침해당했을 때, 투자자에게 국제법에 따라 해당 국가를 상대로 세계은행 산하 국제 투자 분쟁 해결 센터(International Centre for Settlement of Investment Disputes, ICSID)나 유엔 국제 무역법 위원회(United Nations Commission on International Trade Law, UNCITRAL) 등 국제중재기관에 중재를 신청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는 규정이.

새로운!!: 법치주의와 투자자 국가 분쟁 해결 · 더보기 »

영미법

세계의 법체계 영미법(英美法, Anglo-American law)은 영국에서 발생해 영어를 쓰는 나라와 영국 식민지 국가로 퍼져 나간 법체계이.

새로운!!: 법치주의와 영미법 · 더보기 »

영국 대법원장

2010년 영국의 신설 대법원장인 로드 치프 저스티스 영국 대법원장 또는 로드 치프 저스티스(Lord Chief Justice)은 중세이래 로드 챈슬러(Lord Chancellor) 다음으로 사법부의 제2인자로서, 고위귀족인 대법관(lord chief justice)이 국가의 사법체계를 책임지고 그 아래로 각 주에 파견된 고등판사(justiciar)가 재판을 해왔.

새로운!!: 법치주의와 영국 대법원장 · 더보기 »

오쓰 사건

오쓰 사건 기념비 오쓰 사건()은 1891년 5월 11일 당시 일본 제국을 방문하고 있었던 러시아 제국의 황태자 니콜라이(후의 니콜라이 2세)가 시가현(滋賀縣) 오쓰 시(大津市)에서 경호를 맡고 있던 순사 쓰다 산조(津田三蔵)에게 갑작스럽게 칼을 맞은 사건을 말. 일본에서는 오쓰 사건이 행정부의 간섭으로부터 사법부의 독립을 확립하고, 3권 분립 의식을 널리 퍼뜨린 근대의 중요한 사건으로 인식되고 있지만, 보다 복잡한 문제가 얽혀져 있었.

새로운!!: 법치주의와 오쓰 사건 · 더보기 »

행정의 법률적합성의 원칙

행정의 법률적합성의 원칙이란 법치주의의 한 개념으로 행정은 법률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대통령이나 장관이 법률에 위반되게 15세 청소년에 대해 징병검사를 명하거나 근거 없이 국민들에게 세금이나 범칙금을 부과할 수 없.

새로운!!: 법치주의와 행정의 법률적합성의 원칙 · 더보기 »

에드워드 코크

에드워드 코크 경 에드워드 코크(Edward Coke, "Cook"으로 발음함) (1552년 2월 1일-1634년 9월 3일)는 17세기 영국의 식민지 사업가, 판사, 정치인이.

새로운!!: 법치주의와 에드워드 코크 · 더보기 »

헤이키 리타부오리

헤이키 리타부오리(Heikki Ritavuori: 1880년 3월 23일-1922년 2월 14일)는 핀란드의 법률가, 정치인이.

새로운!!: 법치주의와 헤이키 리타부오리 · 더보기 »

사법 (국가 작용)

사법(司法)은 구체적인 쟁송에 대해 법을 적용하고 선언함으로써 이것을 결정하는 국가 작용으로 입법·행정과 대등한 국가 작용의 하나이.

새로운!!: 법치주의와 사법 (국가 작용) · 더보기 »

사회정의

사회정의(한자: 社會正義)는 개인에게 정당한 몫을 부여하고 그 몫에 대한 권리, 책임의식, 이익을 정당하게 부여하는 것, 기회의 균등한 분배와 투명한 사회를 지향하는 것을 함축시킨 사회-철학 용어이.

새로운!!: 법치주의와 사회정의 · 더보기 »

사이버 모욕죄

사이버 모욕죄(Cyber 侮辱罪)란 인터넷과 같은 사이버 공간에서 사람을 모욕함으로써 성립하는 범죄를 말.

새로운!!: 법치주의와 사이버 모욕죄 · 더보기 »

서경 (책)

《서경(書經)》은 중국 유교의 5경(五經) 가운데 하나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서이.

새로운!!: 법치주의와 서경 (책) · 더보기 »

서굿 마셜

서굿 마셜(Thurgood Marshall, 1908년 7월 2일 - 1993년 1월 24일)은 미 대법원의 첫 번째 흑인 법학자이.

새로운!!: 법치주의와 서굿 마셜 · 더보기 »

통일한국당

통일한국당(統一韓國黨)은 대한민국의 국가주의, 보수주의, 반공주의 정당이.

새로운!!: 법치주의와 통일한국당 · 더보기 »

앨버트 다이시

앨버트 다이시(Albert Venn Dicey, 1835년 2월 4일 ~ 1922년 4월 7일)는 영국을 대표하는 헌법학자이.

새로운!!: 법치주의와 앨버트 다이시 · 더보기 »

한비

비(韓非, 기원전 280년? ~ 기원전 233년)는 《한비자》를 저술한 전국 시대 중국의 정치철학자, 사상가, 작가이.

새로운!!: 법치주의와 한비 · 더보기 »

신아제르바이잔당

바쿠에 있는 신 아제르바이잔당의 사무실 신아제르바이잔당 (Yeni Azərbaycan Partiyası, YAP)은 아제르바이잔의 정당이.

새로운!!: 법치주의와 신아제르바이잔당 · 더보기 »

155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법치주의와 1552년 · 더보기 »

1791년 5월 3일 헌법

바르샤바에서 《1791년 5월 3일 헌법》을 공포하고 있는 스타니스와프 아우구스트 포니아토프스키 국왕을 묘사한 얀 마테이코의 그림 (1891년 제작) 폴란드 바르샤바 왕궁에 전시된 《1791년 5월 3일 헌법》의 원본 《1791년 5월 3일 헌법》(1791年 5月 3日 憲法)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헌법이.

새로운!!: 법치주의와 1791년 5월 3일 헌법 · 더보기 »

7가지 사회악

7가지 사회악()은 인도의 사상가인 모한다스 간디가 암살되기 얼마전에 손자인 아룬 마닐랄 간디(Arun Manilal Gandhi)와 마지막으로 있었던 날에 남겨주었던 글에 있었던 사회악 리스트였.

새로운!!: 법치주의와 7가지 사회악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법의 지배, 법치, 법치 국가, 법치국 사상, 법치국가, 법치국가론, 법치국가원리.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