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벽동군

색인 벽동군

벽동군(碧潼郡)은 평안북도 최북단에 있는 군이.

32 처지: 동창군, 리원암군, 공병우, 부군면 통폐합, 김동운 (1892년), 김명신 (황해도), 김포 공씨,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 국도 제10호선, 군면리 대폐합, 남하리, 노봉익, 우시군, 평안북도, 평안북도 (일제 강점기), 이건창, 이광 (1541년), 이영수 (경찰), 이십삼부, 제1차 청천강 전투, 전주 김씨, 조정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차인태, 창성군, 초산 전투, 충주 김씨, 유진순 (1881년), 온정리 전투, 한국의 호수 목록, 신증동국여지승람, 십삼도.

동창군

동창군(東倉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북도의 군이.

새로운!!: 벽동군와 동창군 · 더보기 »

리원암군

리원암군은 마천령지구, 두만강 상류, 압록강 하구 등에 분포하고 있는 하부원생대 관입암체이.

새로운!!: 벽동군와 리원암군 · 더보기 »

공병우

공병우(公炳禹, 아명(兒名)은 公丙禹, 1907년 1월 24일(1906년 음력 12월 30일) ~ 1995년 3월 7일)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안과 의사이자 국어국문학자로, 한글 전용과 한글 기계화 및 전산화에 공헌하였.

새로운!!: 벽동군와 공병우 · 더보기 »

부군면 통폐합

부군면 통폐합(府郡面 統廢合)은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가 시행한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도의 위치·관할 구역 변경 및 부·군의 명칭·위치·관할 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1913년 12월 29일 공포)에 의하여 대대적인 행정 구역 개편을 단행(13도 12부 220군)한 것이.

새로운!!: 벽동군와 부군면 통폐합 · 더보기 »

김동운 (1892년)

동운(金東運, 1892년 ~ ?)은 일제 강점기의 지방행정 관료이.

새로운!!: 벽동군와 김동운 (1892년) · 더보기 »

김명신 (황해도)

명신(金明信, ? ~ ?)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교육자로 3.1 만세 운동 당시 해주군의 만세 시위에 참여했다가 투옥, 후에 석방되었.

새로운!!: 벽동군와 김명신 (황해도) · 더보기 »

김포 공씨

공씨(金浦 公氏)는 경기도 김포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벽동군와 김포 공씨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

민국의 일반 국도(大韓民國의 一般 國道)는 고속도로 이외의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를 가리키는 말로, 일반적으로 국. 중요도시·지정항만, 중요비행장, 국가산업단지 또는 관광지 등을 연결하며 고속도로와 함께 국가기간도로망을 이루는 도로로, 과거에는 대통령령으로 그 노선이 지정되었으나 2014년 1월 21일에 전면 개정된 《도로법》이 같은 해 7월 14일부터 시행되면서 더이상 대통령령으로 노선 지정을 하지 않고 국토교통부령에 의해 지정·고시하고 있. 각 지방자치단체에 있는 지방국토관리청에서 관리하며, 시내동지역에서는 원활한 관리를 위해 시장이 관리.

새로운!!: 벽동군와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 · 더보기 »

국도 제10호선

국도 제10호선 (신의주 ~ 온성선, 國道第十號 木浦新義州線)은 대한민국 평안북도 용천군 용암포읍에서 함경북도 온성군 온성면을 잇는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이.

새로운!!: 벽동군와 국도 제10호선 · 더보기 »

군면리 대폐합

면리 대폐합(郡面里 大廢合)은 1952년 12월 22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반부 지역에 있어서의 행정 체계 중 면을 폐지함에 관하여》라는 정령에 의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시행한 행정 구역 개편이.

새로운!!: 벽동군와 군면리 대폐합 · 더보기 »

남하리

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벽동군와 남하리 · 더보기 »

노봉익

봉익(盧鳳翼, 일본식 이름: 玉浦義明, 1894년 ~ ?)은 일제 강점기의 지방행정 관료이.

새로운!!: 벽동군와 노봉익 · 더보기 »

우시군

우시군(雩時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자강도 서쪽 끝에 위치한 군이.

새로운!!: 벽동군와 우시군 · 더보기 »

평안북도

평안북도(平安北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서북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벽동군와 평안북도 · 더보기 »

평안북도 (일제 강점기)

일제 강점기 시대의 평안북도청 청사 평안북도(平安北道)는 일제 강점기 시대였던 1910년부터 1945년까지 존재했던 행정 구역 가운데 하나로 도청 소재지는 신의주부이며 면적은 28,444.50km2(1940년 당시 기준), 인구는 1,768,265명(1940년 당시 기준), 인구 밀도는 62.2명/km2이.

새로운!!: 벽동군와 평안북도 (일제 강점기) · 더보기 »

이건창

영재 이건창(寧齋 李建昌, 1852년~1898년)의 아명은 송열(松悅), 자는 봉조(鳳朝·鳳藻), 호는 영재(寧齋)이고, 당호(堂號)는 명미당(明美堂)이며, 조선 제2대왕 정종대왕(定宗)의 열째 왕자인 덕천군(德泉君)의 15대 후손으로 병인양요(고종 3년, 1866) 때 순국한 전(前) 개성부유수·이조판서 충정공(忠貞公) 사기 이시원(沙磯 李是遠)의 손자이.

새로운!!: 벽동군와 이건창 · 더보기 »

이광 (1541년)

이광(李洸, 1541년 ~ 1607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벽동군와 이광 (1541년) · 더보기 »

이영수 (경찰)

이영수(李榮洙, 1906년 3월 4일 ~ ?)는 일제 강점기의 경찰로, 본적은 평안북도 벽동군 성남면이.

새로운!!: 벽동군와 이영수 (경찰) · 더보기 »

이십삼부

23부제 이십삼부제(二十三府制, 23부제)는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에 시행된 조선의 지방 제도로, 최상위 행정 구역을 부(府)로 개편하고 그 하위 행정 구역을 군(郡) 으로 명칭을 통일하여 부군제(府郡制)라고도 부른.

새로운!!: 벽동군와 이십삼부 · 더보기 »

제1차 청천강 전투

제1차 청천강 전투는 한국 전쟁 중기 11월 초 북부로 진격하던 국군이 중공군과 조우하여 격전을 벌인 전투로 수적 열세 속에서 격전을 치른 국군은 인해전술로 침공하는 중공군에 맞서 급박한 상황 속에서 전투를 벌였.

새로운!!: 벽동군와 제1차 청천강 전투 · 더보기 »

전주 김씨

전주 김씨(全州 金氏)는 전라북도 전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벽동군와 전주 김씨 · 더보기 »

조정만

조정만(趙正萬, 1654년 ~ 1739년 4월 13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이.

새로운!!: 벽동군와 조정만 · 더보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은 1직할시 2특별시 9도로 이루어져 있. 기초 행정 구역으로는 시, 군, 구역이 있는데, 직할시와 특별시의 아래에는 구역, 군을 두고, 도의 아래에는 시, 군을.

새로운!!: 벽동군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더보기 »

차인태

인태(車仁泰, 1944년 8월 11일 ~)는 대한민국의 방송MC, 대학 교수, 행정관료이며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중위이.

새로운!!: 벽동군와 차인태 · 더보기 »

창성군

창성군(昌城郡)은 평안북도 북부 지역의 압록강 중류에 있는 군이.

새로운!!: 벽동군와 창성군 · 더보기 »

초산 전투

산 전투(楚山戰鬪)는 인천상륙작전 이후 북한 중부 전선의 험준한 산악지대를 따라 계속 북진한 국군 제2군단의 제6사단이 청천강 계곡을 진격해 초산 지역까지 점령한 전투로서 압록강변까지 진격할 수 있는 기초를 닦은 전투이자 처음으로 중공군이 개입한 전투이.

새로운!!: 벽동군와 초산 전투 · 더보기 »

충주 김씨

충주 김씨(忠州 金氏)는 충청북도 충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벽동군와 충주 김씨 · 더보기 »

유진순 (1881년)

유진순(劉鎭淳, 일본식 이름: 玉川鎭淳, 1881년 ~ 1945년 12월 10일)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새로운!!: 벽동군와 유진순 (1881년) · 더보기 »

온정리 전투

온정리 전투(溫井里戰鬪)는 한국 전쟁 중기 북한 동부전선에서 국군의 제일 선봉으로 진격하던 김종오 준장이 이끄는 제6사단이 한중 국경선까지 밀고 올라갔다가 비밀리에 압록강을 건넌 중공군에 패한 전투이자, 한국전쟁에서 대한민국 국군이 중공군과 첫번째로 치른 전투이.

새로운!!: 벽동군와 온정리 전투 · 더보기 »

한국의 호수 목록

음은 한반도에 존재하는 호수 목록이.

새로운!!: 벽동군와 한국의 호수 목록 · 더보기 »

신증동국여지승람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은 조선 성종 때의 지리서이.

새로운!!: 벽동군와 신증동국여지승람 · 더보기 »

십삼도

십삼도 십삼도제(十三道制, 13도제)는 1896년 8월 4일에 시행된 조선의 지방 제도로, 직전년도인 1895년 6월 23일부터 시행된 23부제를 폐지하고 종전의 조선 팔도 중 남부(충청·전라·경상)와 북부(평안·함경)의 5개 도를 남·북도로 나누었.

새로운!!: 벽동군와 십삼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벽동.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