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부여

색인 부여

부여(扶餘, 기원전 2세기 ~ 494년)는 한민족의 고대국가로 여겨지는 초기 국가(연맹 왕국)들 중 하나로, 지금의 쑹화강 유역을 중심으로 지금의 만주 일대(하얼빈, 아청, 위수, 눙안, 창춘, 솽양, 지린, 옌지, 훈춘, 치치하얼, 룽장)를 지배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 고구려에 의해 부여는 병합되었.

215 처지: 도 (행정 구역), 도장, 도절, 동명, 동명성왕, 동명왕, 동부여, 동남리사지, 동이, 동이교위, 동옥저, 동사 (이종휘), 동사강목, 동아시아의 역사, 만주, 만주원류고, 마려, 마여왕, 모용각, 모용황, 모용외, 무속신앙, 문자명왕, 물길, 백두산, 백제, 백제 건국 설화, 백제 금동대향로, 백제문화제, 개천절, 발해 선왕, 발해고, 발해의 행정 구역, 갈사국, 갈사왕, 바람의 나라 (드라마), 간도, 간위거왕, 박제가, 박영희 (1896년), 가 (칭호), 가축, 가섭원, 견초, 고려도경, 고구려, 고구려-위 전쟁, 고구려어, 공산성, 공손도, ..., 공손역, 병합, 괴유, 광개토왕릉비, 북옥저, 부루, 부루 (고조선), 부태왕, 부여, 부여 (동음이의), 부여 왕흥사지, 부여의 건국 신화, 부여의 역대 국왕, 부여어족, 부여성, 기마민족설, 기원전 6년, 금강, 금와왕, 비류, 비파형동검, 김갑순, 김영갑, 김신배, 대무신왕, 대소왕, 대한민국, 눙안 현, 국립중앙박물관, 국새, 국호, 두막루, 남북국 시대, 남해 차차웅, 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 (텔레비전 프로그램), 내륙국,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낙 (성씨), 단군세가, 담로, 횡성 고씨, 우창 시, 우태, 요동군, 장만, 잔왕, 임천 백씨, 임천면, 평안도, 읍루, 이경한, 이광복, 이익 (1681년), 이종휘, 의라왕, 의려왕, 의령 여씨, 제가, 조대현, 조선족, 진서, 지린성, 창춘 시, 철기의 한국 전래, 충주 박씨, 카이위안 시 (톄링 시), 유리명왕, 유지나 (가수), 유화 (부여), 윤세겸, 윷놀이, 팔두령, 위구태왕, 태조대왕, 태종무열왕, 숭배, 순장, 숙신, 혁거세 거서간, 영해별신굿, 옥저, 온조왕, 옌볜 조선족 자치주, 예맥, 예맥어, 예씨 부인, 협보, , 현진건, 현왕, 옛 나라 목록, 에가미 나미오, 헤이룽장성, 여 (성씨), 여울 (부여), 역사 연표, 연맹왕국, 연개소문, 연타발, 쑹위안 시, 사랑의 가족의 에피소드 목록, 사찬 (관직), 사출도, 산경전, 산성 (건축), 삼국, 삼국 시대, 삼국 시대 이전의 교육, 삼국지, 삼국유사, 삼한, 성 (성씨), 성진 즙씨, 성왕 (백제), 서울특별시의 역사, 서천왕, , 소서노, 해 (성씨), 해루, 해모수왕, 해부루왕, 한민족, 한민족종교회담, 한반도, 한국, 한국 무용, 한국 고대의 교육, 한국 불교의 역사, 한국 전쟁, 한국음악, 한국의 미술, 한국의 민속놀이, 한국의 제천 행사, 한국의 제사, 한국의 상고시대 문화, 한국의 수도, 한국의 역사, 한국의 역사에 대한 오해 목록, 한국의 연극, 한국의 선교, 한국의 성씨와 이름, 한국의 왕자와 왕녀 목록, 한국제 한자, 한국조폐공사, 한국사 연표, 한국사기, 한국사의 시대 구분, 한나라, 한중 관계, 한원, 하호, 하얼빈 시, 신동엽 (시인), 신명 (신령), 신단민사, 실위, 원삼국 시대, 후한서, 웅진, 환단고기, 13년, 1책 12법, 2007년 10월, 9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65 더) »

도 (행정 구역)

(道)는 행정 구역의 이름이.

새로운!!: 부여와 도 (행정 구역) · 더보기 »

도장

으로 제작된 도장 대한제국 황제의 칙명지보 '참! 잘했어요' 도장 도장(圖章)은 개인이나 단체의 이름을 새겨 찍도록 된 도구이.

새로운!!: 부여와 도장 · 더보기 »

도절

절(都切, 생년 미상 ~ 1년)은 유리명왕의 장남으로 고구려의 태자였으나 왕이 되기 전에 죽었.

새로운!!: 부여와 도절 · 더보기 »

동명

동명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부여와 동명 · 더보기 »

동명성왕

평양에 있는 동명성왕의 무덤 동명성왕(東明聖王) 또는 추모왕(鄒牟王, 기원전 58년 ~ 기원전 19년 음력 9월)은 고구려의 초대 태왕이.

새로운!!: 부여와 동명성왕 · 더보기 »

동명왕

동명왕(東明王, 생몰년 미상)은 부여를 건국한 초대 왕(재위년 미상)이.

새로운!!: 부여와 동명왕 · 더보기 »

동부여

동부여의 세력권 (3세기경) 동부여(東夫餘)는 부여의 일부 세력이 동쪽으로 이동해 세운 나라이.

새로운!!: 부여와 동부여 · 더보기 »

동남리사지

동남리사지(東南里寺址)는 충청남도 부여의 남쪽 성산(城山) 기슭에 있는 무명 사지로 1938년에 조사된 것이.

새로운!!: 부여와 동남리사지 · 더보기 »

동이

사이의 명칭 동이(東夷)는 중국 역사에서 동쪽에 사는 이민족을 일컬어 부르는 말이.

새로운!!: 부여와 동이 · 더보기 »

동이교위

동이교위(東夷校尉)는 중국 위진남북조 시기에 요동 지방에 설치되었던 관직이.

새로운!!: 부여와 동이교위 · 더보기 »

동옥저

동옥저(東沃沮)는 개마산 동쪽에 있었던 한국의 옛 나라이.

새로운!!: 부여와 동옥저 · 더보기 »

동사 (이종휘)

《동사》(東史)는 조선 후기 이종휘(1731년 ~ 1797년)가 지은 역사 책이.

새로운!!: 부여와 동사 (이종휘) · 더보기 »

동사강목

《동사강목》(東史綱目)은, 조선의 학자 안정복(安鼎福)이 저술한 강목체(綱目體) · 편년체(編年體) 역사서이.

새로운!!: 부여와 동사강목 · 더보기 »

동아시아의 역사

동아시아 지역 동아시아의 역사는 한국과 일본, 중국 등을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의 역사이.

새로운!!: 부여와 동아시아의 역사 · 더보기 »

만주

붉은색은 둥베이(랴오닝 성, 지린 성, 헤이룽장 성) 지방이고, 조금 연한 부분은 내몽골 자치구 동부 지역, 가장 연한 부분은 외만주이다. 만주()는 동북아시아 압록강 북쪽의 광활한 지역을 일컫.

새로운!!: 부여와 만주 · 더보기 »

만주원류고

《흠정만주원류고》(欽定滿洲源流考)는 청 제국 때 내각대학사 아계(阿桂), 군기대신 우민중(于敏中), 수석군기대신 화신(和珅), 동각대학사 동고(董詁)가 건륭제의 재가를 받아 편찬한 만주의 원류 및 지명, 문화 등을 고찰하는 총 20권으로 이루어진 관찬서이.

새로운!!: 부여와 만주원류고 · 더보기 »

마려

마려(馬黎)는 백제의 개국공신이.

새로운!!: 부여와 마려 · 더보기 »

마여왕

마여왕(麻余王, ? ~ ?)은 부여의 왕으로, 이름은 마여(麻余)이.

새로운!!: 부여와 마여왕 · 더보기 »

모용각

모용각(慕容恪, 4세기? ~ 367년)은 중국 오호십육국 시대 전연(前燕)의 황족이자 재상으로, 모용황(慕容皝)의 넷째 아들이자 모용준(慕容儁)의 동생이.

새로운!!: 부여와 모용각 · 더보기 »

모용황

연 태조 문명황제 모용황(燕 太祖 文明皇帝 慕容皝, 297년 ~ 348년, 재위: 337년 ~ 348년)은 오호십육국시대 전연의 제1대(초대) 황제로, 자는 원진(元眞)이.

새로운!!: 부여와 모용황 · 더보기 »

모용외

모용외(慕容廆, 269년 ~ 333년) 오호십육국시대 선비족(鮮卑族) 모용부(慕容部)의 수장으로 훗날 전연(前燕)을 세운 모용황(慕容皝)의 아버지이.

새로운!!: 부여와 모용외 · 더보기 »

무속신앙

무속신앙(巫俗信仰), 또는 간단히 무속(巫俗), 무(巫)는 한국의 전통적인 샤머니즘(Shamanism) 즉, 무당으로 불리는 중재자가 신령과 인간을 중재하는 종교이.

새로운!!: 부여와 무속신앙 · 더보기 »

문자명왕

문자명왕(文咨明王, ? ~ 519년, 재위: 491년 ~ 519년)은 고구려의 제21대 왕이.

새로운!!: 부여와 문자명왕 · 더보기 »

물길

물길(勿吉)은 쑹화강 유역에 거주하였던 부족이.

새로운!!: 부여와 물길 · 더보기 »

백두산

백두(白頭山)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남도 함경북도 혜산군 무산군 과 중화인민공화국 지린 성 연변 조선족 자치주에 걸쳐있는 화산이.

새로운!!: 부여와 백두산 · 더보기 »

백제

백제(百濟, 기원전 18년 ~ 660년 8월 29일)는 한국의 고대 국가 중 하나로, 고구려, 신라와 함께 삼국 시대를 구성하였.

새로운!!: 부여와 백제 · 더보기 »

백제 건국 설화

백제 건국 설화란, 삼국 시대의 고대 국가 백제의 건국에 관해 전해내려오는 설화를 말. 현재까지 전해지는 백제 건국 이야기는 모두 3가지로서, 그 중 2가지는 《삼국사기》에 전하며 나머지 한 가지는 《수서》와 《북사》에 전. 《삼국사기》에 전하는 설화가 각각 온조 설화와 비류 설화이고, 《수서》에 전하는 설화는 구태설화로 불린.

새로운!!: 부여와 백제 건국 설화 · 더보기 »

백제 금동대향로

백제 금동대향로(百濟金銅大香盧)는 백제에서 520~534년 사이에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 금동 향로이.

새로운!!: 부여와 백제 금동대향로 · 더보기 »

백제문화제

백제문화제는 매년 충청남도 공주시와 부여군이 합동 개최하는 종합예술제 성격의 문화제이.

새로운!!: 부여와 백제문화제 · 더보기 »

개천절

절(開天節)은 대한민국의 국경일의 하나로, 날짜는 10월 3일이.

새로운!!: 부여와 개천절 · 더보기 »

발해 선왕

발해 선왕 대인수(渤海 宣王 大仁秀, ? ~ 830년, 재위: 818년 ~ 830년)는 발해의 제10대 왕으로, 대야발 계통의 첫 왕이.

새로운!!: 부여와 발해 선왕 · 더보기 »

발해고

《발해고》(渤海考)는 조선 정조 8년(1784년)에 규장각검서로 일하던 실학자 류득공유득공(柳得恭)은 '유득공'이.

새로운!!: 부여와 발해고 · 더보기 »

발해의 행정 구역

발해의 행정 구역은 5경, 15부, 62주로 조직되었.

새로운!!: 부여와 발해의 행정 구역 · 더보기 »

갈사국

사부여(曷思夫餘, 22년~68년)는 부여 대소왕의 막내동생인 갈사왕이 갈사수 가에 세운 나라이.

새로운!!: 부여와 갈사국 · 더보기 »

갈사왕

사왕(曷思王, 생몰년 미상, 재위: 22년 ~ ?)은 갈사부여의 왕으로, 성은 해(解)이고, 이름은 전하지 않. 부여의 유민을 이끌고 갈사수 가에 갈사국을 세웠기 때문에 갈사왕이라 불린.

새로운!!: 부여와 갈사왕 · 더보기 »

바람의 나라 (드라마)

《바람의 나라》는 2008년 9월 10일부터 2009년 1월 15일까지 방영한, 한국방송공사의 특별기획드라마이.

새로운!!: 부여와 바람의 나라 (드라마) · 더보기 »

간도

(間島)는 압록강 상류와 두만강 북쪽의 조선인 거주 지역을 일컫는 말로, 간도의 범위에 관하여는 여러 이견이 있. 일반적으로 간도라 하면 현재의 연변 조선족 자치주 지역을 가리키며, 두만강 북쪽인 연변 지역을 '북간도'(또는 '동간도'), 그 서쪽인 압록강 북쪽 지역을 '서간도'라 부르.

새로운!!: 부여와 간도 · 더보기 »

간위거왕

위거왕(簡位居王, 생몰년 및 재위년 미상)은 부여의 왕으로, 이름은 간위거(簡位居)이.

새로운!!: 부여와 간위거왕 · 더보기 »

박제가

박제가 박제가(朴齊家, 1750년 11월 5일 ~ 1815년 4월 25일)는 조선 후기의 정치가, 외교관, 통역관, 실학자로 북학파의 거두이.

새로운!!: 부여와 박제가 · 더보기 »

박영희 (1896년)

박영희 (朴寧熙, 1896년 ~ 1930년)는 한국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부여와 박영희 (1896년) · 더보기 »

가 (칭호)

(加)는 부여 사회의 중심적 지배 계급을 형성한 부족장의 칭호이.

새로운!!: 부여와 가 (칭호) · 더보기 »

가축

아프리카의 양과 소 가축(家畜) 또는 집짐승은 인간이 이용하기 위하여 기르는 동물을 말.

새로운!!: 부여와 가축 · 더보기 »

가섭원

섭원(迦葉原)은 해부루가 건국한 동부여의 수도로 위치미상이.

새로운!!: 부여와 가섭원 · 더보기 »

견초

(牽招, ? ~ ?)는 중국 후한 말 ~ 삼국시대의 무장이자 정치가로, 자는 자경(子經)이며 기주(冀州) 안평군(安平郡) 관진현(觀津縣) 사람이.

새로운!!: 부여와 견초 · 더보기 »

고려도경

선화봉사고려도경 《고려도경》(高麗圖經)은 송나라의 사신 서긍(徐兢, 1091년 ~ 1153년)이 1123년에 고려를 방문하여 보고 들은 것을 기록한 보고서.

새로운!!: 부여와 고려도경 · 더보기 »

고구려

(高句麗, 기원전 37년 ~ 668년)는 한국의 고대 국가 중 하나로, 백제 및 신라와 함께 삼국 시대를 구성한 주요 국가이.

새로운!!: 부여와 고구려 · 더보기 »

고구려-위 전쟁

-위 전쟁은 242년, 244년, 245년, 259년에 고구려와 위사이에 벌어진 전쟁이.

새로운!!: 부여와 고구려-위 전쟁 · 더보기 »

고구려어

어(高句麗語)는 고구려에서 쓰인 언어를 지칭.

새로운!!: 부여와 고구려어 · 더보기 »

공산성

공산성 정문 공주 공산성(公州 公山城)은 사적 제12호로, 충청남도 공주시에 소재하고 있는 성이.

새로운!!: 부여와 공산성 · 더보기 »

공손도

공손 도(公孫度, ? ~ 204년) 또는 공손 탁은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승제(升濟)이며 유주 요동군 양평현(襄平縣) 사람이.

새로운!!: 부여와 공손도 · 더보기 »

공손역

공손역(公孫域, 公孫琙, ? ~ ?)은 후한 후기의 관료이.

새로운!!: 부여와 공손역 · 더보기 »

병합

병합(倂合, Annexation)은 외국 영토의 일부 또는 전체를 자국 영토에 편입하여 주권을 넘겨받는 것을 말. 주권을 완전히 이양하지 않는 점령이나 조차지, 보호국, 보호령과는 구별.

새로운!!: 부여와 병합 · 더보기 »

괴유

유(怪由, 미상~22년)는 고구려의 장수이.

새로운!!: 부여와 괴유 · 더보기 »

광개토왕릉비

광개토왕릉비 광개토왕릉비 광개토왕릉비의 탁본 광개토왕릉비 복제품 광개토왕릉비(廣開土王陵碑)는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지린 성 지안 시(集安市) 태왕진(太王鎭)에 있는 고구려 제19대 광개토왕의 능비이.

새로운!!: 부여와 광개토왕릉비 · 더보기 »

북옥저

북옥저(北沃沮)는 개마산 동쪽에 있었던 한국의 옛 나라이.

새로운!!: 부여와 북옥저 · 더보기 »

부루

부루는 다음을 의미.

새로운!!: 부여와 부루 · 더보기 »

부루 (고조선)

부루(夫婁 또는 扶婁)는 고조선을 건국한 단군왕검의 아들로 전해지는 인물이.

새로운!!: 부여와 부루 (고조선) · 더보기 »

부태왕

부태왕(夫台王, ? ~ ?)은 부여의 왕으로, 이름은 부태(夫台)이.

새로운!!: 부여와 부태왕 · 더보기 »

부여

부여(扶餘, 기원전 2세기 ~ 494년)는 한민족의 고대국가로 여겨지는 초기 국가(연맹 왕국)들 중 하나로, 지금의 쑹화강 유역을 중심으로 지금의 만주 일대(하얼빈, 아청, 위수, 눙안, 창춘, 솽양, 지린, 옌지, 훈춘, 치치하얼, 룽장)를 지배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 고구려에 의해 부여는 병합되었.

새로운!!: 부여와 부여 · 더보기 »

부여 (동음이의)

부여는 다음 뜻이 있.

새로운!!: 부여와 부여 (동음이의) · 더보기 »

부여 왕흥사지

왕흥사(王興寺)는 백제 부여에 있던 사찰로 577년에 세워졌으나, 660년 백제 멸망 후에 폐허가 되어 현재는 절 터만 남아 있. 2001년 2월 5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427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부여와 부여 왕흥사지 · 더보기 »

부여의 건국 신화

부여의 건국 신화는 동명이 탁리국(고리국, 색리국)을 벗어나 부여를 건국하는 과정에 대한 설화이.

새로운!!: 부여와 부여의 건국 신화 · 더보기 »

부여의 역대 국왕

음은 부여를 다스린 역대 임금의 연대표이.

새로운!!: 부여와 부여의 역대 국왕 · 더보기 »

부여어족

부여어족(夫餘語族)은 고구려어, 백제어와 일본어족이 속한다는 가설상의 어족이.

새로운!!: 부여와 부여어족 · 더보기 »

부여성

부여성(扶餘城)은 부여와 고구려의 성으로 현재의 중화인민공화국 지린 성 눙안(농안)으로 비정.

새로운!!: 부여와 부여성 · 더보기 »

기마민족설

마민족 정복왕조설(騎馬民族征服王朝説), 또는 기마민족설(騎馬民族說)이라 불리는 이 학설은, 동북유라시아계 기마민족이 한반도 남부를 지배했고 변한(弁韓) 땅을 기반으로 일본 열도에 진출해 들어와, 4세기 후반부터 5세기에 걸쳐 야마토 지방의 재래의 왕조와 합작 지배했거나 또는 야마토 조정을 세웠다는 설. 기마민족 일본정복론(騎馬民族日本征服論)이.

새로운!!: 부여와 기마민족설 · 더보기 »

기원전 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부여와 기원전 6년 · 더보기 »

금강

thumb 공주의 금강철교 백제대교위에서 바라본 금강 금강(錦江)은 한반도 금남호남정맥 전라북도 장수군 신무산(897m)의 뜬봉샘에서 발원하여 호서 지방을 거치며 논산시 강경읍에서부터 충청남도와 전라북도의 도계를 이루면서 황해로 흘러들어가는 392km의 강이.

새로운!!: 부여와 금강 · 더보기 »

금와왕

와왕(金蛙王, 기원전 89년? ~기원전 24년 재위:기원전 60년경~기원전 24년경)은 부여의 왕으로 성은 해(解), 이름은 금와(金蛙)이.

새로운!!: 부여와 금와왕 · 더보기 »

비류

비류(沸流)는 우태의 장남 혹은 고구려의 시조 동명성왕의 차남으로, 백제 온조왕의 형이.

새로운!!: 부여와 비류 · 더보기 »

비파형동검

비파형동검(琵琶形銅劍,  Lute-shaped Bronze Dagger)은 청동기 시대의 칼의 일종으로 만주에서 한반도, 랴오닝에 걸쳐 출토되고 있는 동검이.

새로운!!: 부여와 비파형동검 · 더보기 »

김갑순

갑순, 1910년 무렵 김갑순(金甲淳, 일본식 이름: 金井甲淳, 1872년 5월 22일 ~ 1961년 6월)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자,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기업인, 자본가이.

새로운!!: 부여와 김갑순 · 더보기 »

김영갑

영갑(1957년 - 2005년 5월 29일)은 대한민국의 사진 작가이.

새로운!!: 부여와 김영갑 · 더보기 »

김신배

신배(金信培, 1954년 10월 15일, 대한민국 충청남도 부여 ~)는 대한민국의 기업인으로 SK그룹 부회장이.

새로운!!: 부여와 김신배 · 더보기 »

대무신왕

무신왕(大武神王, 4년~44년)은 고구려의 제3대 왕(재위: 18년~44년)이.

새로운!!: 부여와 대무신왕 · 더보기 »

대소왕

소왕(帶素王, 기원전 73년? ~ 22년 2월, 재위: 기원전 24년경 ~ 서기 22년 2월)은 부여의 왕으로 성은 해(解)이고 이름은 대소(帶素)이.

새로운!!: 부여와 대소왕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부여와 대한민국 · 더보기 »

눙안 현

눙안 현() 은 중화 인민 공화국 지린 성 창춘 시의 행정구역이.

새로운!!: 부여와 눙안 현 · 더보기 »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國立中央博物館, National Museum of Korea)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번지에 위치한 국립박물관이.

새로운!!: 부여와 국립중앙박물관 · 더보기 »

국새

국새(國璽)는 국가의 권리와 정통성을 상징하며, 왕위 계승 또는 국가 권력 이양의 징표로서 사용되는 도장이.

새로운!!: 부여와 국새 · 더보기 »

국호

이름 또는 국호(國號)는 나라의 칭호이.

새로운!!: 부여와 국호 · 더보기 »

두막루

막루(豆莫婁, 서기 410년? ~ 726년)는 부여의 유민들이 나하를 건너가 건국한 나라이.

새로운!!: 부여와 두막루 · 더보기 »

남북국 시대

북국 시대(南北國時代)는 698년는 1784년에 유득공에 의해 창조된 북부의 만주와 연해주를 중심으로 한 발해의 건국 이후 남부의 한반도에 있는 신라와 공존하던 시대를 일컫는 역사 용어이.

새로운!!: 부여와 남북국 시대 · 더보기 »

남해 차차웅

웅(南解次次雄, 남해 이사금, 기원전 50년~24년, 재위 4년~24년)은 신라의 2대 국왕으로, 혁거세왕과 알영부인의 적자이.

새로운!!: 부여와 남해 차차웅 · 더보기 »

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 (텔레비전 프로그램)

《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는 《비정상회담》에 출연하거나 출연했었던 멤버들의 나라를 찾아가 여행하며 겪는 JTBC의 세계 문화 체험 예능 프로그램이.

새로운!!: 부여와 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 (텔레비전 프로그램) · 더보기 »

내륙국

세계의 내륙국 내륙국(內陸國, landlocked country)은 육지 안쪽에 위치하여 외곽에 바다를 접하지 않는 나라를 말. 준내륙국과 회랑을 가진 나라는 내륙국으로 분류하지 않.

새로운!!: 부여와 내륙국 · 더보기 »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의 문화유산답사기는 대한민국의 미술평론가이자 미술사학자 유홍준이 대한민국과 일본의 문화유산을 답사하며 관련된 다양한 인문학적 지식을 소개하고 현대적인 의의를 설명한 기행문이.

새로운!!: 부여와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 더보기 »

낙 (성씨)

낙씨(諾氏)는 한국의 사라진 성씨이.

새로운!!: 부여와 낙 (성씨) · 더보기 »

단군세가

《단군세가》(檀君世家)는 조선 시대 우의정을 지낸 허목(許穆, 1595년~1682년 4월 27일)이 편찬한 책이.

새로운!!: 부여와 단군세가 · 더보기 »

담로

(擔魯)는 백제의 지방 행정 조직이.

새로운!!: 부여와 담로 · 더보기 »

횡성 고씨

횡성 고씨(橫城 高氏)는 고구려를 건국한 추모성왕(聖王)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부여와 횡성 고씨 · 더보기 »

우창 시

우창(오상)은 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장 성 하얼빈 시에 속해있는 현급시이.

새로운!!: 부여와 우창 시 · 더보기 »

우태

우태(優台)는 백제 건국신화에 나오는 인물이.

새로운!!: 부여와 우태 · 더보기 »

요동군

요동군(遼東郡)은 고대 중국의 왕조들이 랴오닝 성 동부에 설치한 행정구역이.

새로운!!: 부여와 요동군 · 더보기 »

장만

장만(張晩, 1566년 ~ 1629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부여와 장만 · 더보기 »

잔왕

잔왕(孱王, 재위기간 ? ~ 494년)은 고대 부여의 군주로, 부여의 마지막 왕으로 기록된 인물이.

새로운!!: 부여와 잔왕 · 더보기 »

임천 백씨

임천 백씨(林川 白氏)는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을 본거지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부여와 임천 백씨 · 더보기 »

임천면

임천면(林川面)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부여군의 면이.

새로운!!: 부여와 임천면 · 더보기 »

평안도

조선후기 평안도 평안도(平安道)는 조선 시대의 행정 구역이.

새로운!!: 부여와 평안도 · 더보기 »

읍루

읍루(挹婁)는 숙신(肅愼)의 후예이자 말갈(靺鞨)의 전신이.

새로운!!: 부여와 읍루 · 더보기 »

이경한

이경한(李經漢, 1620년 - 1668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부여와 이경한 · 더보기 »

이광복

이광복(1951년 6월 4일~)은 대한민국 소설가이.

새로운!!: 부여와 이광복 · 더보기 »

이익 (1681년)

이익(李瀷, 1681년 10월 18일 ~ 1763년 12월 1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사상가, 철학자, 실학자, 역사가, 교육자로 조선 영조 때의 남인(南人) 실학자이.

새로운!!: 부여와 이익 (1681년) · 더보기 »

이종휘

이종휘(李鍾徽, 1731년 ~ 1797년)는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덕숙(德叔), 호는 수산(修山), 아버지는 병조참판을 지낸 이정철(李廷喆)이.

새로운!!: 부여와 이종휘 · 더보기 »

의라왕

의라왕(依羅王, 생몰년 미상, 재위 286년 ~ ?)은 부여(夫餘)의 왕으로, 이름은 의라(依羅)이.

새로운!!: 부여와 의라왕 · 더보기 »

의려왕

의려왕(依慮王, 생몰년 미상, ? ~ 285년)은 부여(夫餘)의 왕으로 이름은 의려이.

새로운!!: 부여와 의려왕 · 더보기 »

의령 여씨

의령 여씨(宜寧 余氏)는 백제에서 유래한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부여와 의령 여씨 · 더보기 »

제가

제가(諸加)와 제가회의(諸加會議)는 부여의 귀족과 고구려의 귀족회의 제도였.

새로운!!: 부여와 제가 · 더보기 »

조대현

조대현(曺大鉉, 1951년 2월 11일 ~)는 대한민국의 법조인이.

새로운!!: 부여와 조대현 · 더보기 »

조선족

조선족(朝鮮族)은 주로 1945년 이전 만주의 간도 지역으로 이주해 거주해온 한민족들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민족이름으로 한민족(韓民族)이라는 표현은 잘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한민족 전체를 일컫는 용어로 ‘조선족’이라는 용어를 사용.

새로운!!: 부여와 조선족 · 더보기 »

진서

서(晉書)는 중국 진나라(晉)의 기록을 담은 역사서이.

새로운!!: 부여와 진서 · 더보기 »

지린성

림성()은 중화인민공화국 동북부의 성이.

새로운!!: 부여와 지린성 · 더보기 »

창춘 시

창춘()은 중화인민공화국 지린 성에 있는 부성급시이.

새로운!!: 부여와 창춘 시 · 더보기 »

철기의 한국 전래

의 한국 전래(鐵器-韓國傳來)는 대륙으로부터 철기가 고대 한국으로 전래된 사건을 가리키며, 이는 고대 한국의 문화 발전에 영향을 끼친 중요한 사건으로 여.

새로운!!: 부여와 철기의 한국 전래 · 더보기 »

충주 박씨

충주 박씨(忠州 朴氏)는 충청북도 충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부여와 충주 박씨 · 더보기 »

카이위안 시 (톄링 시)

이위안 시() 는 중화 인민 공화국 랴오닝 성 톄링 시의 행정구역이.

새로운!!: 부여와 카이위안 시 (톄링 시) · 더보기 »

유리명왕

유리명왕(瑠璃明王, 기원전 38년 ~ 18년)은 고구려의 제2대 태왕(재위: 기원전 19년 나이 20세 - 기원후 18년 나이 56세)으로 휘는 유리(榴璃 또는 類利) 또는 유류(孺留)이.

새로운!!: 부여와 유리명왕 · 더보기 »

유지나 (가수)

유지나(1968년 8월 22일 ~)는 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이.

새로운!!: 부여와 유지나 (가수) · 더보기 »

유화 (부여)

유화부인(柳花夫人, ? ~ 기원전 24년 음력 8월)은 고구려 동명성왕의 어머니이.

새로운!!: 부여와 유화 (부여) · 더보기 »

윤세겸

윤세겸(尹世謙, 1668년 6월 18일 - 1749년 9월 24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부여와 윤세겸 · 더보기 »

윷놀이

윷놀이 윷가락 윷놀이는 박달나무 또는 통싸리나무로 윷을 만들어 여러 사람이 편을 갈라 즐기는 놀이이.

새로운!!: 부여와 윷놀이 · 더보기 »

팔두령

령(八頭鈴)은 청동기 시대의 방울의 일종이.

새로운!!: 부여와 팔두령 · 더보기 »

위구태왕

위구태왕(尉仇台王, ? ~ ?)은 부여의 왕으로 이름은 위구태(尉仇台)이.

새로운!!: 부여와 위구태왕 · 더보기 »

태조대왕

조대왕(太祖大王, 47년 ~ 165년)은 고구려의 제6대 국왕(재위 53년 ~ 146년)이.

새로운!!: 부여와 태조대왕 · 더보기 »

태종무열왕

종무열왕(太宗武烈王, 603년~661년 음력 6월)은 신라(新羅)의 제29대 임금(재위: 654년~661년)이.

새로운!!: 부여와 태종무열왕 · 더보기 »

숭배

숭배(崇拜)란 어느 신이나 사람, 또는 물체 등을 섬기는 것을 의미.

새로운!!: 부여와 숭배 · 더보기 »

순장

순장(殉葬)은 고대에 왕이나 귀족 등 고위층이 사망하였을 경우 처자와 노비(때때로 가축)를 장례식에서 함께 매장하던 일이.

새로운!!: 부여와 순장 · 더보기 »

숙신

숙신(肅愼 영어: Sushen, 중국어: 肃慎, 병음: Sùshèn)은 주대(周代)에 중국의 동북 지방에 살던 동이인 퉁구스계 민족을 일컫던 말이.

새로운!!: 부여와 숙신 · 더보기 »

혁거세 거서간

혁거세 거서간(赫(爀)居世 居西干, 기원전 69년~기원후 4년, 재위: 기원전 57년~기원후 4년)은 신라의 초대 국왕이.

새로운!!: 부여와 혁거세 거서간 · 더보기 »

영해별신굿

영해별신굿(寧海別神굿)은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지역에서 행해지는 동해안별신굿의 한 종류로 음력 3월에 행. 1980년 12월 30일 경상북도의 무형문화재 제3호 영해별신굿놀이로 지정되었으나, 2015년 2월 2일 영해별신굿으로 명칭이 변경되었.

새로운!!: 부여와 영해별신굿 · 더보기 »

옥저

옥저(沃沮)는 함경남도 영흥 이북에서 두만강 유역 일대에 걸쳐 있었던 종족과 읍락 집단을 가리.

새로운!!: 부여와 옥저 · 더보기 »

온조왕

온조왕(溫祚王, ? ~ 28년, 재위: 기원전 18년 ~ 28년 음력 2월)은 백제의 건국자이.

새로운!!: 부여와 온조왕 · 더보기 »

옌볜 조선족 자치주

연변조선족자치주()는 중화인민공화국 동북 지역 지린 성(吉林省)의 자치주이.

새로운!!: 부여와 옌볜 조선족 자치주 · 더보기 »

예맥

예맥(濊貊)은 고대 한민족의 종족명으로, 한반도 북부와 중국의 동북부에 살던 한민족(韓民族)의 근간이 되는 민족 중 하나로 보는 게 일반적이.

새로운!!: 부여와 예맥 · 더보기 »

예맥어

예맥어(濊貊語)는 기원전 수세기에 만주, 한반도 북동부에 거주하고 있던 예맥이 사용하던 언어이.

새로운!!: 부여와 예맥어 · 더보기 »

예씨 부인

예씨부인(禮氏夫人, 생몰년 미상)은 고구려 동명성왕의 왕비이자 유리명왕의 어머니이.

새로운!!: 부여와 예씨 부인 · 더보기 »

협보

협보(陜父, ? ~ ?)는 고구려의 건국공신이.

새로운!!: 부여와 협보 · 더보기 »

현은 다음을 일컫는 말이.

새로운!!: 부여와 현 · 더보기 »

현진건

현진건(玄鎭健, 1900년 8월 9일 ~ 1943년 4월 25일)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 조선(朝鮮)의 작가, 소설가 겸 언론인,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부여와 현진건 · 더보기 »

현왕

현왕(玄王, 생몰년 미상, 재위 ? ~ 346년)은 부여의 실질적인 마지막 왕이.

새로운!!: 부여와 현왕 · 더보기 »

옛 나라 목록

옛 나라 목록에서는 인류 역사상 과거에 존재했던 국가, 국제 기구 또는 영토를 점유한 게릴라, 정부, 정권, 테러 조직, 망명 정부, 부대 그리고 무장단체 등을 기술하였습.

새로운!!: 부여와 옛 나라 목록 · 더보기 »

에가미 나미오

에가미 나미오(江上波夫, 1906년 11월 6일 - 2002년 11월 11일)는, 일본의 고고학자, 도쿄 대학(東京大学) 명예 교수이.

새로운!!: 부여와 에가미 나미오 · 더보기 »

헤이룽장성

헤이룽장 성(흑룡강성)은 중화인민공화국 동북부에 있는 성이.

새로운!!: 부여와 헤이룽장성 · 더보기 »

여 (성씨)

(呂) 또는 여(余, 汝)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부여와 여 (성씨) · 더보기 »

여울 (부여)

여울(餘蔚, 생몰년 미상)은 오호 십육국 시대 전연과 후연에서 활동한 부여계 유민으로 전연에서 벼슬하다가, 전진에게 항복해 전연 멸망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고 모용수가 후연을 건국하자 그의 휘하에 들어가 측근으로 활동.

새로운!!: 부여와 여울 (부여) · 더보기 »

역사 연표

역사 연표는 세계사를 적은 연표로 한국사도 포함되어 있.

새로운!!: 부여와 역사 연표 · 더보기 »

연맹왕국

국사에서, 연맹왕국(聯盟王國)은 한국의 고대 국가발전 과정 중의 하나로, 고조선 멸망 후 건국된 여러 나라의 공통된 통치형태를 말. 부여, 가야, 초기 고구려, 백제, 신라 등이 이에 해당.

새로운!!: 부여와 연맹왕국 · 더보기 »

연개소문

연개소문(淵蓋蘇文, 617년 ~ 666년 5월)은 고구려 말기의 장군이자 정치가이.

새로운!!: 부여와 연개소문 · 더보기 »

연타발

연타발(延陀勃)은 비류를 시조로 하는 백제 건국 설화에서 나오는 백제 시조인 온조왕의 외할아버지이.

새로운!!: 부여와 연타발 · 더보기 »

쑹위안 시

쑹위안 시(송원시)는 지린 성 중서부에 위치하는 지급시이.

새로운!!: 부여와 쑹위안 시 · 더보기 »

사랑의 가족의 에피소드 목록

아래는 KBS 1TV의 장애인 전문 텔레비전 프로그램인 《사랑의 가족》의 에피소드 목록이.

새로운!!: 부여와 사랑의 가족의 에피소드 목록 · 더보기 »

사찬 (관직)

사찬(沙飡)은 520년(법흥왕 7년)에 시행한 신라의 관등이.

새로운!!: 부여와 사찬 (관직) · 더보기 »

사출도

사출도(四出道)는 부여의 지방 자치 조직이.

새로운!!: 부여와 사출도 · 더보기 »

산경전

산경전(山景塼)은 부여에서 발견된 백제 시대의 벽돌이.

새로운!!: 부여와 산경전 · 더보기 »

산성 (건축)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정산성 산성(山城)은 산정(山頂)이나 능선을 따라 적의 습격에 대비해 축조한 성곽을 말.

새로운!!: 부여와 산성 (건축) · 더보기 »

삼국

삼국(三國, "세 나라")는 맥락에 따라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부여와 삼국 · 더보기 »

삼국 시대

삼국 시대(三國時代)는 기원전 1세기부터 중앙집권적 국가로 발전한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과 그 판도에 영향을 끼친 가야 연맹을 포함한 4개 국가가 한반도와 만주 일대에 세워지면서부터 7세기에 신라에 의해 통일되기까지의 시대를 가리.

새로운!!: 부여와 삼국 시대 · 더보기 »

삼국 시대 이전의 교육

삼국 시대 이전의 교육은 원시사회에서 삼국이 건국되기 이전까지 이루어졌던 교육을 의미하며, 역사 시대 이전의 교육.

새로운!!: 부여와 삼국 시대 이전의 교육 · 더보기 »

삼국지

《삼국지》(三國志)는 서진의 진수가 쓰고 송나라의 배송지가 내용을 보충한 중국 삼국시대의 사찬(私撰) 역사서이.

새로운!!: 부여와 삼국지 · 더보기 »

삼국유사

《삼국유사》(三國遺事)는 고려의 승려인 일연(一然)이 고려 충렬왕 7년(1281년) 에 인각사(麟角寺)에서 편찬한 삼국 시대의 역사서이.

새로운!!: 부여와 삼국유사 · 더보기 »

삼한

3세기 초 삼한의 형세 삼한(三韓)은 삼국 시대 이전 한반도 중남부에 자리 잡고 있던 연맹왕국인 마한(馬韓), 변한(弁韓), 진한(辰韓)을 통칭하는 말로, 청동기 시대에 한반도 중남부 지역에 성립하였던 진국에 기원을 둔 것이.

새로운!!: 부여와 삼한 · 더보기 »

성 (성씨)

성(成, 星)씨는 성씨의 하나이.

새로운!!: 부여와 성 (성씨) · 더보기 »

성진 즙씨

성진 즙씨(城津 汁氏) 또는 성진 십씨(城津 辻氏)는 함경북도 성진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부여와 성진 즙씨 · 더보기 »

성왕 (백제)

성왕(聖王, ? ~ 554년, 재위: 523년 ~ 554년 음력 12월)은 백제의 제26대 국왕이며, 성은 부여(扶餘), 이름은 명농(明禯)이고, 삼국유사에는 명농(明穠), 중국 측 기록인 양서(梁書)에는 이름이 명(明)으로 기록되었.

새로운!!: 부여와 성왕 (백제) · 더보기 »

서울특별시의 역사

서울특별시는 대한민국의 수도이며, 과거 백제, 조선의 수도였.

새로운!!: 부여와 서울특별시의 역사 · 더보기 »

서천왕

서천왕(西川王, ?~292년, 재위: 270년~292년)은 고구려의 제13대 군주이.

새로운!!: 부여와 서천왕 · 더보기 »

소(Bos taurus)는 소속에 속한 초식동물로, 집짐승의 하나이.

새로운!!: 부여와 소 · 더보기 »

소서노

소서노(召西奴, 기원전 66년~기원전 6년)는 비류를 시조로 하는 백제 건국 설화에서 나오는 비류와 온조왕의 어머니이자 고구려 동명성왕의 두 번째 부인이.

새로운!!: 부여와 소서노 · 더보기 »

해 (성씨)

(解, 海)씨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부여와 해 (성씨) · 더보기 »

해루

(解婁, 기원전 55년~기원후 34년)는 백제의 신하로, 백제의 건국 공신 10명 중 한 명으로써 초기 백제의 발전에 큰 공헌을 하였.

새로운!!: 부여와 해루 · 더보기 »

해모수왕

모수왕(解慕漱王, 생몰년 미상)은 부여 및 고구려의 건국신화에 등장하는 천신(天神) 또는 천신의 아들이.

새로운!!: 부여와 해모수왕 · 더보기 »

해부루왕

부루왕(解夫婁王, ? ~기원전 60년경)는 부여의 국왕으로 해모수왕의 아들이며, 금와왕의 아버지이.

새로운!!: 부여와 해부루왕 · 더보기 »

한민족

민족(韓民族)은 한반도와 그 주변의 만주, 연해주 등지에 살면서 공동 문화권을 형성하고 한국어를 사용하는 아시아계 민족이.

새로운!!: 부여와 한민족 · 더보기 »

한민족종교회담

민족종교회담(韓民族宗敎會談)은 민족종교의 통합과 음력 개천절의 부활로써 한국의 하느님사상을 되찾는 목적으로, 재단법인 선교(仙敎)가 주최하고 선교종단보존회(仙敎宗團保存會)에서 주관하여 2016년 11월 2일(1차 회담) 세종문화회관 예인홀에서 개최되었.

새로운!!: 부여와 한민족종교회담 · 더보기 »

한반도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한반도의 모양 한반도(韓半島)는 정치지리학적으로 동아시아에 위치해 있으며, 지형학적으로 유라시아 대륙의 동북쪽 끝에 있는 반도이.

새로운!!: 부여와 한반도 · 더보기 »

한국

국(韓國) 또는 조선(朝鮮)은 한민족의 나라를 말. 현대사에서 한국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

새로운!!: 부여와 한국 · 더보기 »

한국 무용

국 무용(韓國舞踊)은 한국의 전통 문화를 바탕으로 하여 만들어진 모든 종류의 무용을 말. 한국무용은 크게 궁중무용·민속무용·가면무용·의식무용·창작무용 등으로 나눌 수 있. 한국 가면무용중의 하나인 봉산탈춤 한국 민속무용의 하나인 진도북.

새로운!!: 부여와 한국 무용 · 더보기 »

한국 고대의 교육

국 고대의 교육은 한민족이 살던 지역의 원시사회의 교육 활동과 고조선 및 원삼국 시대의 교육 활동, 삼국 시대의 교육, 통일신라의 교육을.

새로운!!: 부여와 한국 고대의 교육 · 더보기 »

한국 불교의 역사

국 불교의 역사 또는 한국 불교사는 한국에서 전개된 불교의 역사이.

새로운!!: 부여와 한국 불교의 역사 · 더보기 »

한국 전쟁

국 전쟁(韓國戰爭)은 1950년 6월 25일 새벽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대한민국을 침공하여 발발한 전쟁이.

새로운!!: 부여와 한국 전쟁 · 더보기 »

한국음악

조선시대『악학궤범』 향부악기도설에 나오는 향비파와 당비파 한국음악(韓國音樂)의 기반이 된 음계는 한반도 및 중국 동북부 등과 교류하여 고대시대부터 전래되어오는 것과 근대화와 산업화에 의한 빠른 문화유입에 의한 음악적 반응을 포함하여 한민족(韓民族)의 음악을 총칭.

새로운!!: 부여와 한국음악 · 더보기 »

한국의 미술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국보 제83호). 한국의 미술은 한반도 및 주변 지역에서 발생했던 미술을 말. 고분벽화, 불화, 문인화, 산수화 같은 평면 시각매체 예술과, 불상, 석탑, 도자기 같은 입체 시각매체 예술을.

새로운!!: 부여와 한국의 미술 · 더보기 »

한국의 민속놀이

국의 민속놀이(韓國-民俗-)는 한국의 전통적인 놀이를 말. 예로부터 주로 서민층에서 명절이나 혹은 특별한 일이 있을 경우에 예식의 하나로서 여흥을 돋구고자, 또는 어린이들 사이에서 교육과 유희를 위해 행하여졌.

새로운!!: 부여와 한국의 민속놀이 · 더보기 »

한국의 제천 행사

국의 제천 행사(韓國의 祭天 行事)란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행사라는 뜻으로, 나아가 하늘을 숭배하고 제사하는 의식이.

새로운!!: 부여와 한국의 제천 행사 · 더보기 »

한국의 제사

제사 지내는 모습 한국의 제사(韓國의 祭祀)는 크게 천지신명을 비롯한 자연물에 드리는 제사와 조상에게 드리는 제사.

새로운!!: 부여와 한국의 제사 · 더보기 »

한국의 상고시대 문화

국의 상고시대 문화는 한민족이 민족 문화를 처음으로 형성해 가는 시기의 문화를 일컫.

새로운!!: 부여와 한국의 상고시대 문화 · 더보기 »

한국의 수도

음은 한국사에 존재했던 여러 나라들의 수도이.

새로운!!: 부여와 한국의 수도 · 더보기 »

한국의 역사

국의 역사(韓國-歷史) 또는 한국사는 구석기 시대 이후 주로 한반도와 만주, 연해주, 넓게는 동아시아 지역을 바탕으로 발전되어 온 한민족의 역사이.

새로운!!: 부여와 한국의 역사 · 더보기 »

한국의 역사에 대한 오해 목록

국사 상식의 오류와 진실은 한국사에서 그동안 잘못 알려진 상식을 모아놓은 문서이.

새로운!!: 부여와 한국의 역사에 대한 오해 목록 · 더보기 »

한국의 연극

국 연극(韓國_演劇)의 장르는 가면극, 인형극, 판소리, 창극, 신파극, 신극의 여섯으로 크게 나눌 수 있.梁在淵, 문화·민속/한국의 연극/한국의 연극[서설], 《글로벌 세계 대백과》.

새로운!!: 부여와 한국의 연극 · 더보기 »

한국의 선교

국의 선교(仙敎)는 한반도의 고유 종교이.

새로운!!: 부여와 한국의 선교 · 더보기 »

한국의 성씨와 이름

국의 이름은 성(姓)과 명(名)으로 구성되며, 이를 합하여 성명이.

새로운!!: 부여와 한국의 성씨와 이름 · 더보기 »

한국의 왕자와 왕녀 목록

이 문서는 현재까지 알려진 한국의 왕자(황자)와 왕녀(공주, 궁주, 옹주)의 목록을 담고 있.

새로운!!: 부여와 한국의 왕자와 왕녀 목록 · 더보기 »

한국제 한자

국제 한자 보기: 이세돌(인명), 전답(논밭), 시댁, 대지 한국에서만 쓰이는 한자가 있으며, 이를 한국제 한자(韓國製 漢字), 한국 한자(韓國 漢字), 한국고유한자(韓國固有漢字), 조선 한자(朝鮮 漢字), 국자(國字) 등으로 부른.

새로운!!: 부여와 한국제 한자 · 더보기 »

한국조폐공사

국조폐공사(韓國造幣公社, Korea Minting, Security Printing & ID Card Operating Corp, KOMSCO)는 은행권·주화·국채·공채·각종 유가증권 및 정부·지방자치단체 등이 사용할 특수 제품의 제조, 기타 이와 관련된 사업을 수행함으로써 국민 경제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설립된 대한민국의 공기업이.

새로운!!: 부여와 한국조폐공사 · 더보기 »

한국사 연표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부여와 한국사 연표 · 더보기 »

한국사기

국사기(韓國史記)는 2017년 1월 1일부터 2017년 3월 19일까지 매주 일요일 밤 9시 40분에 KBS 1TV에서 방송되는 10부작 팩추얼 다큐드라마이.

새로운!!: 부여와 한국사기 · 더보기 »

한국사의 시대 구분

국의 역사는 일정한 기준에 따라 여러 시기로 나누게 되는데, 이러한 시대 구분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 한국의 역사를 시대별로 구분하는 이유는 각 시대가 가지는 특징에 따라 여러 시기로 분류하여 지나간 시대에 대한 특성을 명확히 하여 역사 연구의 편의와 여러 가지 학문적 이점을 얻고자 하는 것이.

새로운!!: 부여와 한국사의 시대 구분 · 더보기 »

한나라

(漢, 기원전 206년 ~ 220년)은 진 이후의 중국의 통일 왕조로서 후에 삼국으로 갈라졌다(220년 ~ 280년).

새로운!!: 부여와 한나라 · 더보기 »

한중 관계

국과 중국 사이에서 관계의 역사는 매우 깊은데, 과거부터 고구려와 백제, 신라는 양나라, 당나라 등과 문화, 무역 교류를 하였.

새로운!!: 부여와 한중 관계 · 더보기 »

한원

원(翰苑)은, 당 고종 현경5년(660년) 이전에 장초금(張楚金)이 저술하고, 송대에 옹공예(雍公叡)가 주석을 붙인 유서(類書)이.

새로운!!: 부여와 한원 · 더보기 »

하호

호(下戶)는 고대 한국의 사회 계급으로 부여에서 유래하며, 국가의 생산 활동에 종사하였.

새로운!!: 부여와 하호 · 더보기 »

하얼빈 시

얼빈(합이빈,,, 문화어·중국조선말: 할빈)은 부성급시이자 중국 헤이룽장 성의 성도이.

새로운!!: 부여와 하얼빈 시 · 더보기 »

신동엽 (시인)

신동엽(申東曄, 1930년 8월 18일 ~ 1969년 4월 7일)은 대한민국의 시인이.

새로운!!: 부여와 신동엽 (시인) · 더보기 »

신명 (신령)

신명은 천왕, 별신, 신인 등을 이르는 말이.

새로운!!: 부여와 신명 (신령) · 더보기 »

신단민사

《신단민사》(神檀民史)는 1904년 김교헌이 저술한 책으로, 단군조선부터 고종황제까지의 역사가 기록되어 있.

새로운!!: 부여와 신단민사 · 더보기 »

실위

실위(室韋, 병음:Shìwéi)는 6세기에서 10세기까지 중국 동북부의 넌장 강, 아르군 강, 흑룡강 유역에 존재했던 민족이.

새로운!!: 부여와 실위 · 더보기 »

원삼국 시대

원삼국 시대(原三國時代)는 기원 전후로부터 기원후 2세기 중반까지의 초기 철기 시대 이후를 말하며, 역사적으로는 고조선이 멸망 또는 쇠퇴하고 부여가 건국되는 시기부터 삼국이 건립된 이후의 2세기에서 3세기에 걸친 시기에 해당.

새로운!!: 부여와 원삼국 시대 · 더보기 »

후한서

《후한서》(後漢書)는 중국 이십사사 중의 하나로 후한의 역사를 남북조 시대 송나라의 범엽(398년 ~ 445년)이 정리한 책이.

새로운!!: 부여와 후한서 · 더보기 »

웅진

웅진(熊津)은 곰나루, 고마나루 또는 고마나리로도 불리며 475년부터 538년까지 백제의 수도였.

새로운!!: 부여와 웅진 · 더보기 »

환단고기

《환단고기》(桓檀古記)는 이유립이 1979년에 출간한 책이.

새로운!!: 부여와 환단고기 · 더보기 »

1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부여와 13년 · 더보기 »

1책 12법

1책 12법(一責十二法)은 부여의 법률로 남의 물건을 훔쳤을 때는 물건 값의 12배를 배상하도록 한 것이.

새로운!!: 부여와 1책 12법 · 더보기 »

2007년 10월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부여와 2007년 10월 · 더보기 »

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부여와 9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북부여, 부여국.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