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부원군

색인 부원군

부원군(府院君)은 고려 충렬왕 이후 조선시대까지 사용한 작호(爵號)이.

81 처지: 류량, 류중영, 류순정, 마 (성씨), 마승 (1393년), 마응방, 마천목, 마하수, 민제 (조선), 갈문왕, 경복흥, 경주 설씨, 고려 태조, 곡산 연씨, 공작 (작위), 변이 (1360년), 변상복, 기철, 김명원, 김수온, 김석연 (1648년), 김시묵, 뿌리깊은 나무 (1983년 드라마), 대군, 대원군, 구니노미야 구니요시 왕, 구조 미치타카, 군 (작위), 단양 우씨, 우현보, 우홍강, 회인 홍씨, 장흥 마씨, 장형 (조선), 작위, 평강 채씨, 이량 (1519년), 이무, 이헌국, 이산해, 전성군 (1545년), 정난종, 조석문, 진천 임씨, 지 (성씨), 지계최, 지달하, 지유용, 청주 경씨, 천방지축마골피, ..., 충주 지씨, 윤번, 윤근수, 윤원형, 파주 염씨, 태인 박씨, 영돈녕부사, 오 (성씨), 오명항, 최명길 (1586년), 어 (성씨), 어효첨, 어세겸, 연 (성씨), 연사종, 연안 송씨, 염 (성씨), 염정수, 설 (성씨), 성봉조, 송현수, 소혜왕후, 함종 어씨, 해주 오씨, 한명회, 하륜, 홍 (성씨), 홍규, 홍재룡, 홍윤성, 외척.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31 더) »

류량

량(柳亮, 1354년 ~ 1416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새로운!!: 부원군와 류량 · 더보기 »

류중영

중영(柳仲郢, 1515년 ~ 1573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부원군와 류중영 · 더보기 »

류순정

순정 영정 류순정 (柳順汀, 1459년 ~ 1512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 성리학자이자 사림파 정치인의 한사람으로 1506년의 중종 반정에 참여하였.

새로운!!: 부원군와 류순정 · 더보기 »

마 (성씨)

마(馬, 麻)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부원군와 마 (성씨) · 더보기 »

마승 (1393년)

마승(馬勝, 1393년 ~ 1463년)은 조선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부원군와 마승 (1393년) · 더보기 »

마응방

마응방(馬應房, ? ~ 1597년)은 진안 현감(鎭安縣監)을 역임한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부원군와 마응방 · 더보기 »

마천목

마천목(馬天牧, 1358년~1431년 3월 14일 (음력 2월 1일))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신, 정치가이.

새로운!!: 부원군와 마천목 · 더보기 »

마하수

마하수(馬河秀, ? ~ 1597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부원군와 마하수 · 더보기 »

민제 (조선)

민제(閔霽, 1339년 ~ 1408년)는 고려 말기와 조선 초기의 문신이자 외척으로 민변의 아들이며 태종의 비 원경왕후와 민무구·민무질·민무회·민무휼의 아버.

새로운!!: 부원군와 민제 (조선) · 더보기 »

갈문왕

문왕(葛文王)은 신라 때 왕실에서 왕위에 오르지 못하고 죽은 왕족 및 왕의 근친 귀족에게 추봉하던 왕명이.

새로운!!: 부원군와 갈문왕 · 더보기 »

경복흥

경복흥(慶復興, ? ~ 1380년(우왕 6년))은 고려 말기의 문관(文官), 무관(武官), 재상(宰相), 정치가(政治家)이.

새로운!!: 부원군와 경복흥 · 더보기 »

경주 설씨

경주 설씨(慶州 薛氏 / 慶州 偰氏)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부원군와 경주 설씨 · 더보기 »

고려 태조

조(高麗 太祖, 877년 1월 31일 (음력 1월 14일)《고려사절요》 제1권 태조 신성대왕〈고려사절요/제1권/태조 신성대왕〉"신라 헌강왕(憲康王) 3년 정유(877) 정월 14일 병술에 태조를 송악 남쪽 사제(私第)에서 낳으니" ~ 943년 7월 4일 (음력 5월 29일))는 후삼국 시대(後三國 時代) 후고구려(後高句麗)의 장군(將軍)이자 고려(高麗)의 초대 황제(재위:918년 7월 25일~943년 7월 4일)이.

새로운!!: 부원군와 고려 태조 · 더보기 »

곡산 연씨

곡산 연씨(谷山 延氏)는 황해도 곡산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부원군와 곡산 연씨 · 더보기 »

공작 (작위)

공작(公爵, Duke, 여성형: 여공작(女公爵, Duchess))은 귀족의 작위 중 하나로 오등작 중 최고위 작위이.

새로운!!: 부원군와 공작 (작위) · 더보기 »

변이 (1360년)

변이(邊頤, 1360년 ∼ 1439년)는 조선의 무신이.

새로운!!: 부원군와 변이 (1360년) · 더보기 »

변상복

변상복(邊尙服, ? ∼ 1455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부원군와 변상복 · 더보기 »

기철

(奇轍, ?~1356년)은 고려 후기의 문신, 정치인으로 친원파 권문세족의 일원이었.

새로운!!: 부원군와 기철 · 더보기 »

김명원

명원(金命元, 1534년 ~ 1602년 12월 13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자는 응순, 호는 주은, 시호는 충익, 본관은 경주이.

새로운!!: 부원군와 김명원 · 더보기 »

김수온

수온(金守溫, 1410년 ∼ 1481년)은 조선 초기의 문신·학자이.

새로운!!: 부원군와 김수온 · 더보기 »

김석연 (1648년)

석연(金錫衍, 1648년~1723년 8월 17일)은 조선후기의 문신이자 외척이.

새로운!!: 부원군와 김석연 (1648년) · 더보기 »

김시묵

시묵(金時默, 1722년 ~ 1772년 음력 7월 29일)은 조선의 문신이자 국구이.

새로운!!: 부원군와 김시묵 · 더보기 »

뿌리깊은 나무 (1983년 드라마)

《뿌리깊은 나무》는 MBC 정통 사극 조선왕조 오백년 시리즈의 두 번째 작품으로, 1983년 7월 8일부터 12월 12일까지 방영되었.

새로운!!: 부원군와 뿌리깊은 나무 (1983년 드라마) · 더보기 »

대군

(大君)은 고려 시대 및 조선 시대에 왕자들에게 내려진 작호의 일종이.

새로운!!: 부원군와 대군 · 더보기 »

대원군

원군(大院君)은 조선 시대 적통인 임금의 자손이나 전임 임금의 대가 끊겨 방계(傍系)인 종친 중에서 왕위를 이어받을 때, 그 임금의 친아버지에게 주는 칭호 및 관직으로서, 군호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부원군와 대원군 · 더보기 »

구니노미야 구니요시 왕

미야 구니요시(1873년 7월 23일 ~ 1929년 1월 27일)는 일본 제국의 국구이자 쇼와 시대 초기에 활약한 일본 제국의 황족이자 일본 제국 육군군인이.

새로운!!: 부원군와 구니노미야 구니요시 왕 · 더보기 »

구조 미치타카

조 미치타카 구조 미치타카(1839년 6월 11일 ~ 1906년 1월 4일)는 일본 메이지 시대의 공가, 정치가(귀족원의원)이.

새로운!!: 부원군와 구조 미치타카 · 더보기 »

군 (작위)

(君)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왕실의 종실, 외척 또는 공신에게 주었던 작호(爵號)로서 군작이라고도 부른.

새로운!!: 부원군와 군 (작위) · 더보기 »

단양 우씨

양 우씨(丹陽 禹氏)는 충청북도 단양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부원군와 단양 우씨 · 더보기 »

우현보

우현보(禹玄寶, 1333년 ~ 1400년)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새로운!!: 부원군와 우현보 · 더보기 »

우홍강

우홍강(禹洪康, 1357년 ~ 1423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새로운!!: 부원군와 우홍강 · 더보기 »

회인 홍씨

회인 홍씨(懷仁 洪氏)는 충청북도 보은군 회인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부원군와 회인 홍씨 · 더보기 »

장흥 마씨

장흥 마씨(長興馬氏)는 전라남도 장흥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부원군와 장흥 마씨 · 더보기 »

장형 (조선)

장형(張烱烱은 炯(빛날 형)의 속자로 "경"이라는 음이 없다. 2001년 대법원 인명용 한자를 정해서 시행할 때 이 한자의 음을 "경"으로 잡았기에 이러한 오류가 발생한 것이다., 1623년 2월 25일 ~ 1669년 1월 12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통역관이.

새로운!!: 부원군와 장형 (조선) · 더보기 »

작위

작위(爵位)는 왕족이나 공적이 뛰어난 귀족에게 수여하던 명예의 칭호 또는 그 계급을 가리.

새로운!!: 부원군와 작위 · 더보기 »

평강 채씨

평강 채씨(平康 蔡氏)는 강원도 평강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부원군와 평강 채씨 · 더보기 »

이량 (1519년)

이량(李樑, 1519년 11월 17일 ~ 1563년 3월 8일)은 조선 중기의 왕족이자 문신, 외척이었.

새로운!!: 부원군와 이량 (1519년) · 더보기 »

이무

이무(李茂, 1355년 ~ 1409년)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새로운!!: 부원군와 이무 · 더보기 »

이헌국

이헌국 (1525~1602)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부원군와 이헌국 · 더보기 »

이산해

이산해(李山海, 1539년 7월 20일 ~ 1609년 음력 8월 23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 정치인, 시인이며 성리학자, 교육자, 화가이.

새로운!!: 부원군와 이산해 · 더보기 »

전성군 (1545년)

전성부원군 숙헌공 이준 전성부원군 이준(全城府院君 李準, 1545∼1624)은 조선 왕족이며, 자는 평숙(平叔), 호는 뇌진재(懶眞齋)·서파(西坡)·삼귀(三鬼)이고 시호(諡)는 숙헌(肅憲)이.

새로운!!: 부원군와 전성군 (1545년) · 더보기 »

정난종

정난종(鄭蘭宗, 1433 ~ 1489)은 조선의 문신·서예가이.

새로운!!: 부원군와 정난종 · 더보기 »

조석문

조석문(曺錫文, 1413년 ~ 1477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부원군와 조석문 · 더보기 »

진천 임씨

임씨(鎭川 林氏)는 충청북도 진천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부원군와 진천 임씨 · 더보기 »

지 (성씨)

(池, 智)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부원군와 지 (성씨) · 더보기 »

지계최

(池繼催, 아명(兒名)은 池繼說(지계설)·池繼崔(지계최), 1593년 ~ 1637년)는 조선의 무신이.

새로운!!: 부원군와 지계최 · 더보기 »

지달하

(池達河)는 조선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부원군와 지달하 · 더보기 »

지유용

유용(池有容, 1363년 ~ 1437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부원군와 지유용 · 더보기 »

청주 경씨

청주 경씨(淸州 慶氏)는 충청북도 청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부원군와 청주 경씨 · 더보기 »

천방지축마골피

방지축마골피 혹은 천방지추마골피는 역사 문헌 기록이 없어 출처와 유래를 알 수 없는 대한민국의 도시전설이.

새로운!!: 부원군와 천방지축마골피 · 더보기 »

충주 지씨

충주 지씨(忠州 池氏)는 충청북도 충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부원군와 충주 지씨 · 더보기 »

윤번

윤번(尹璠, 1384년~1448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며 세조의 국구이.

새로운!!: 부원군와 윤번 · 더보기 »

윤근수

윤근수(尹根壽, 1537년~1616년 8월 17일)는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文臣)·시인·화가이며, 서인(西人)의 일원이.

새로운!!: 부원군와 윤근수 · 더보기 »

윤원형

윤원형(尹元衡, 1503년 ∼ 1565년 11월 18일)은 조선 중기의 외척이자 문신으로, 파산부원군 윤지임과 전성부대부인 전의 이씨(全城府夫人 全義李氏)의 넷째 아들이자 문정왕후의 남동생이며, 윤원량·윤원로의 동생이며 소윤(小尹)의 영수이.

새로운!!: 부원군와 윤원형 · 더보기 »

파주 염씨

주 염씨(坡州 廉氏)는 경기도 파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부원군와 파주 염씨 · 더보기 »

태인 박씨

인 박씨(泰仁 朴氏)는 전라북도 태인(泰仁)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부원군와 태인 박씨 · 더보기 »

영돈녕부사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는 조선 시대 돈녕부의 장관이었.

새로운!!: 부원군와 영돈녕부사 · 더보기 »

오 (성씨)

오(吳)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부원군와 오 (성씨) · 더보기 »

오명항

오명항(吳命恒, 1673년 5월 29일(음력 4월 14일) ~ 1728년 10월 12일(음력 9월 10일))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부원군와 오명항 · 더보기 »

최명길 (1586년)

명길(崔鳴吉, 1586년 10월 7일(음력 8월 25일)~ 1647년 6월 19일(음력 5월 17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 양명학자, 외교관, 정치가이.

새로운!!: 부원군와 최명길 (1586년) · 더보기 »

어 (성씨)

어(魚)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부원군와 어 (성씨) · 더보기 »

어효첨

어효첨(魚孝瞻, 1405년 ~ 1475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부원군와 어효첨 · 더보기 »

어세겸

어세겸(魚世謙, 1430년 ~ 1500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부원군와 어세겸 · 더보기 »

연 (성씨)

연(延, 燕, 淵) 또는 련(連)씨는 성씨의 하나이.

새로운!!: 부원군와 연 (성씨) · 더보기 »

연사종

연사종(延嗣宗, 1360년 ∼ 1434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신이.

새로운!!: 부원군와 연사종 · 더보기 »

연안 송씨

연안 송씨(延安宋氏)는 황해도 연안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부원군와 연안 송씨 · 더보기 »

염 (성씨)

염(廉, 閻)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부원군와 염 (성씨) · 더보기 »

염정수

염정수(廉廷秀, ? ~ 1388년)는 고려의 문신이.

새로운!!: 부원군와 염정수 · 더보기 »

설 (성씨)

설(薛, 偰)씨는 한국의 성씨 및 중국의 성씨.

새로운!!: 부원군와 설 (성씨) · 더보기 »

성봉조

성봉조(成奉祖, 1401년 ~ 1474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부원군와 성봉조 · 더보기 »

송현수

송현수(宋玹壽, ? ~ 1457년 음력 10월 21일)는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국구이.

새로운!!: 부원군와 송현수 · 더보기 »

소혜왕후

소혜왕후 한씨(昭惠王后 韓氏, 1437년 10월 7일(음력 9월 8일) ~ 1504년 5월 11일(음력 4월 27일)는 조선 초기의 세자빈이자 덕종(德宗, 추존왕)의 왕비이며 시호는 인수자숙휘숙명의소혜왕후(仁粹慈淑徽肅明懿昭惠王后)이다. 1450년(문종 즉위년)에 수양대군의 큰아들인 도원군(의경세자, 덕종)과 혼인하여 군부인에 봉작되었으며, 1455년(세조 즉위년)에 시아버지 수양대군이 왕위로 즉위하여 자신은 맏며느리로서 세자빈이 되어 궁궐에 들어갔으나, 1457년(세조 3년)에 남편 의경세자가 20세의 나이로 갑자기 죽어 사가로 물러났다. 그러나 1469년에 자신의 둘째 아들인 자을산군(성종)이 왕위에 등극하고, 자신도 궁궐에 다시 들어가 곧 왕비로 진봉되었다가 1475년(성종 6년) 왕대비에 올라 인수대비(仁粹大妃)가 되었다. 의정부좌의정을 지낸 서원부원군 양절공 한확(西城府院君 襄節公 韓確)과 남양부부인 홍씨(南陽府夫人 洪氏) 여섯째 딸로, 본관은 청주(淸州)이다. 당시 여성으로서는 드물게 한문과 유교 경전에 능통하여 《열녀》,《여교》,《명감》,《소학》등에서 발췌하여 엮어 《내훈》(內訓)을 편찬하였다. 내훈은 조선시대 사대부 여인들의 수신서이자 당시 여성교육의 기본서가 되었다. 또한 그녀는 불교 옹호론자로 불교 억압 정책에 강력히 반발하였으며, 이 때문에 당시 조정의 신하들과 4차례의 격한 논쟁을 벌였는데 대표적인 것이 금승법(禁僧法) 과 그녀가 추진한 봉선사 금자경 간행 작업이다. 그녀는 연산군의 할머니로도 유명한데, 며느리이자 연산군의 생모가 되는 윤씨가 왕비 시절 성종의 얼굴을 할퀴는 사건으로 내쫓기고 사사되는 데에는 거의 전적으로 그녀의 의지로 단행되었기 때문이다. 1504년(연산군 10년) 봄에 연산군은 생모인 폐비 윤씨를 제헌왕후(齊獻王后)로 추숭했다. 이 과정에서 윤씨를 폐비하고 사사하는 데 개입한 수많은 사람들을 죽이고 추방했는데, 인수대비는 당사자가 되므로 손자인 연산군과 갈등을 빚었다. 능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에 위치한 경릉(敬陵)이다.

새로운!!: 부원군와 소혜왕후 · 더보기 »

함종 어씨

종 어씨(咸從 魚氏)는 평안남도 증산군 함종리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부원군와 함종 어씨 · 더보기 »

해주 오씨

주 오씨(海州 吳氏)는 황해도 해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부원군와 해주 오씨 · 더보기 »

한명회

명회(韓明澮, 1415년 11월 26일 (음력 10월 25일) ~ 1487년 11월 28일 (음력 11월 14일))는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군인, 정치인이며 외척이.

새로운!!: 부원군와 한명회 · 더보기 »

하륜

(河崙, 1348년 1월 22일(1347년 음력 12월 22일) ~ 1416년 11월 24일(음력 11월 6일))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새로운!!: 부원군와 하륜 · 더보기 »

홍 (성씨)

홍(洪)씨는 성씨의 하나이.

새로운!!: 부원군와 홍 (성씨) · 더보기 »

홍규

홍규(洪奎, 1242년 ~ 1316년 6월 23일)는 고려 후기의 무신이자 국구(國舅)로, 초명은 홍문계(洪文系), 자는 미루(彌樓)『홍규 묘지명』, 본관은 남양(南陽)이.

새로운!!: 부원군와 홍규 · 더보기 »

홍재룡

홍재룡(洪在龍, 1794년 11월 6일(음력 10월 13일) ~ 1863년 2월 21일(음력 1월 4일))은 조선의 문신이자 국구이.

새로운!!: 부원군와 홍재룡 · 더보기 »

홍윤성

홍윤성(洪允成, 1425년 ~ 1475년 음력 9월 8일)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부원군와 홍윤성 · 더보기 »

외척

외척(外戚)은 어머니 쪽의 친척을 이르는 말로 동양에서는 역사적으로 왕후, 황후 혹은 후궁의 친정사람들을 이르는 말로 쓰였.

새로운!!: 부원군와 외척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국구.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