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분자생물학

색인 분자생물학

분자생물학 (Molecular biology, 分子生物學)은 분자 수준에서의 생명 현상을 이해하고 그것이 우리가 눈으로 보는 생명 현상과 어떻게 연결되는가를 규명하는 학문이.

105 처지: APG 분류 체계, DNA 컴퓨팅, 럿거스 대학교, 덱스터 홀랜드, 도네가와 스스무, 로더릭 매키넌, 리처드 J. 로버츠, 리팜피신, 린다 B. 벅, 맥스 퍼루츠, 마틴 챌피, 머독 대학교, 모델 생물, 모리 가즈토시, 모리스 윌킨스, 발생생물학, 바이오의약품, 바이오파이썬, 강봉균 (대학 교수), 박테리오파지, 벡터, 벡터 (분자생물학), 분자 진화, 분자생물학 연구소, 분자영양학, 기무라 모토, 블루 화이트 스크린, 김사열, 대장균의 장기간 진화 실험, 대한민국의 고등학교 과학 교과목, 구조생물학, 구아닌, 국제분자생물학네트워크사이버랩, 나가타 시게카즈, 나카니시 시게타다, 놀라운 가설, 노던 블랏, IPTG, 트리스(히드록시메틸)아미노메테인, 자크 모노, 자연과학, 폴 D. 보이어, 이계호 (1957년), 이기령, 인공 유전자 합성, 의약화학, 의학, 의학유전학, 제한효소 절편길이 다형성, 저분자, ..., 조슈아 레더버그, 조직 (생물학), 존 설스턴, 중립 진화 이론, 중합효소 연쇄 반응, 집단유전체학, 진화, 진화발생생물학, 찰스 시블리, 카라칼, 캐럴 그라이더, 캐리 멀리스, 유인원, 유전자 재조합, 유전학, 유신진화론, 융합과학, 상위성 (생물학), 생물리학, 생물학, 생물학의 역사, 수평적 유전자 이동, 오즈월드 에이버리, 오카자키 레이지, 오하시 쓰토무, 형질전환, 최양도, 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트산, 푸시치노, 사족충류, 사사카와 지히로, 살바도르 에드워드 루리아, 피터 김, 피터 아그리, 세베로 오초아, 세균인공염색체, 세포 이론, 세포생물학, 서던 블랏, 토머스 체크, 애기장대, 하우스키핑 유전자, 아데닌, 필립 앨런 샤프, 아널드 J. 레빈, 아서 콘버그, 셀 (잡지), 신경과학, 실라르드 레오,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 시드니 올트먼, 시스템 생물학, 원자 질량 단위, 웬들 메러디스 스탠리, MBB.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55 더) »

APG 분류 체계

APG 분류 체계는 근대적 식물 분류 체계의 하나로 속씨식물 계통분류 그룹에 의해 1998년에 발표되었.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APG 분류 체계 · 더보기 »

DNA 컴퓨팅

DNA 컴퓨팅(DNA computing)은 전통적으로 쓰여 왔던 실리콘 기반의 컴퓨터 기술을 사용하지 않고 DNA, 생화학, 분자생물학을 사용하는 컴퓨터 처리의 한 형태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DNA 컴퓨팅 · 더보기 »

럿거스 대학교

럿거스 대학교(Rutgers University)는 미국 뉴저지 주에 위치 해 있으며, 뉴저지 주에서는 그 규모면에서 가장 큰 고등 교육기관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럿거스 대학교 · 더보기 »

덱스터 홀랜드

브라이언 키스 "덱스터" 홀랜드(Bryan Keith "Dexter" Holland, 1965년 12월 29일 ~)는 미국의 펑크 록 밴드 오프스프링의 보컬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덱스터 홀랜드 · 더보기 »

도네가와 스스무

와 스스무(1939년 9월 5일 ~)는 일본의 분자생물학자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도네가와 스스무 · 더보기 »

로더릭 매키넌

릭 매키넌(1956년 2월 19일 ~)은 미국의 분자생물학자, 생물리학자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로더릭 매키넌 · 더보기 »

리처드 J. 로버츠

리처드 존 로버츠 경(FRS, 1943년 9월 6일 ~)은 영국의 생화학자, 분자생물학자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리처드 J. 로버츠 · 더보기 »

리팜피신

리팜피신(rifampicin, 국제일반명) 또는 리팜핀(rifampin, 미국 명칭)은 리파마이신 계열의 살균성 항생제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리팜피신 · 더보기 »

린다 B. 벅

린다 브라운 벅(Linda Brown Buck, 1947년 1월 29일 ~)은 후각 기관에 관한 연구로 잘 알려진 미국의 생물학자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린다 B. 벅 · 더보기 »

맥스 퍼루츠

맥스 퍼디난드 퍼루츠(OM, CH, CBE, FRS, 1914년 5월 19일 ~ 2002년 2월 6일)는 오스트리아에서 태어난 영국의 분자생물학자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맥스 퍼루츠 · 더보기 »

마틴 챌피

마틴 챌피노벨상 딱지 마틴 챌피 (Martin Chalfie, 1947년 ~)는 미국 시카고 출신의 과학자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마틴 챌피 · 더보기 »

머독 대학교

행정동 머독 대학교(Murdoch University)은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주의 주도 퍼스(Perth)의 교외 지역에 위치한 대학교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머독 대학교 · 더보기 »

모델 생물

음성을 보이는 원핵생물의 모델로 이용된다. ''노랑초파리''는 널리 이용되는 모델 생물이다. 모델 생물은 생물학의 현상을 연구하고 이해하기 위해 특별히 선택되는 생물 종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모델 생물 · 더보기 »

모리 가즈토시

모리 가즈토시(1958년 7월 7일 ~)는 일본의 생물학자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모리 가즈토시 · 더보기 »

모리스 윌킨스

모리스 윌킨스 노벨상 딱지 모리스 윌킨스(FRS, 1916년 12월 15일 ~ 2004년 10월 5일)는 뉴질랜드에서 태어난 영국의 물리학자, 분자생물학자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모리스 윌킨스 · 더보기 »

발생생물학

발생생물학(發生生物學, developmental biology)은 동식물이 자라고 발달하는 개체 발생의 과정에 대한 연구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발생생물학 · 더보기 »

바이오의약품

생물 의학(生物醫學, Biomedicine)은 (즉,의학 생물학)은 생물학적 및 생리학적 원리를 임상 실습에 적용하는 의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바이오의약품 · 더보기 »

바이오파이썬

바이오파이썬(Biopython) 프로젝트는 분자생물학 계산에 자유롭게 사용하기 위한 파이썬 라이브러리 구축 프로젝트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바이오파이썬 · 더보기 »

강봉균 (대학 교수)

강봉균(姜奉均, 1961년 11월 21일 ~)은 대한민국의 대학 교수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강봉균 (대학 교수) · 더보기 »

박테리오파지

전형적인 박테리오파지의 구조. 박테리오파지(bacteriophage)는 박테리아를 숙주세포로 하는 바이러스를 통칭하는 말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박테리오파지 · 더보기 »

벡터

벡터(vector)는 크기 만으로 나타낼 수 있는 스칼라(scalar)와 달리 방향과 크기를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벡터는 유향선분(방향이 있는 선분 즉, 화살표)를 써서 표현할 수 있.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벡터 · 더보기 »

벡터 (분자생물학)

벡터(vector)는 분자생물학에서 유전 물질의 인위적 운반자로 사용되는 DNA 분자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벡터 (분자생물학) · 더보기 »

분자 진화

분자 진화는 RNA, DNA 및 단백질 형성 수준에서 진화의 과정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분자 진화 · 더보기 »

분자생물학 연구소

LMB의 새 건물. MRC 분자생물학 연구소(Medical Research Council Laborary of Molecular Biology, LMB)는 영국 케임브리지에 위치한 일종의 출연연 및 국가 연구소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분자생물학 연구소 · 더보기 »

분자영양학

분자영양학(分子營養學)이란 인체에서 발생하는 모든 생리학적 혹은 생물학적인 현상을 분자 수준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분자생물학의 근간을 바탕으.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분자영양학 · 더보기 »

기무라 모토

무라 모토(1924년 11월 13일 - 1994년 11월 13일)는 1968년 중립 진화 이론을 발표하여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일본의 생물학자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기무라 모토 · 더보기 »

블루 화이트 스크린

LB 아가 평판, blue white screen 의 결과를 보여주고있다. 블루 화이트 스크린(Blue white screen)은 스크리닝 기술로 벡터의 성공적인 DNA접합을 검출하는 기술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블루 화이트 스크린 · 더보기 »

김사열

사열(1956년 10월 29일 ~)은 의성군에서 태어난 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생명공학 소속 교수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김사열 · 더보기 »

대장균의 장기간 진화 실험

2008년 6월 25일의 12개 세트의 진화된 대장균. 대장균의 장기간 진화 실험은, 1988년 2월 24일부터 리차드 렌스키가 진행하고 있는 실험적 진화 연구로 최초 12개의 동일한 대장균의 유전적 변화의 관찰을 위한 실험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대장균의 장기간 진화 실험 · 더보기 »

대한민국의 고등학교 과학 교과목

민국의 고등학교 과학 교과목은 7차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공통교육과정에 포함되는 과학, 심화선택과목에 속하는 물리Ⅰ·Ⅱ, 화학Ⅰ·Ⅱ, 생물Ⅰ·Ⅱ, 지구과학Ⅰ·Ⅱ, 생활과 과학 등으로 구성되는 교과목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대한민국의 고등학교 과학 교과목 · 더보기 »

구조생물학

조생물학(영어: structural biology)은 생물학의 분야로 분자 구조를 주로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구조생물학 · 더보기 »

구아닌

아닌(Guanine)은 푸린 계열의 핵염기의 하나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구아닌 · 더보기 »

국제분자생물학네트워크사이버랩

국제분자생물학네트워크사이버랩(International Molecular Biology Network; eIMBL)은 분자생물학의 국제 공동연구, 관련기관간 협력사업, 인적교류 등의 활동을 수행하기 위하여 설립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산하 아시아태평양국제분자생물학네트워크(A-IMBN) 소속기관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국제분자생물학네트워크사이버랩 · 더보기 »

나가타 시게카즈

시게카즈(1949년 7월 15일 ~)는 일본의 생물학자(분자생물학)이며 오사카 대학 면역학프런티어연구센터 교수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나가타 시게카즈 · 더보기 »

나카니시 시게타다

시 시게타다(1942년 1월 7일 ~)는 일본의 생화학자, 분자신경과학자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나카니시 시게타다 · 더보기 »

놀라운 가설

운 가설은 의식에 관한 프랜시스 크릭의 1994년 책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놀라운 가설 · 더보기 »

노던 블랏

블랏(Northern blot)은 분자 생물학 연구에서 시료에서 RNA(또는 분리된 mRNA) 발견에 의한 유전자 발현을 연구하기 위한 기술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노던 블랏 · 더보기 »

IPTG

IPTG (Isopropyl β-D-1-thiogalactopyranoside (IPTG, 또는 lacY라고도 함) 분자 생물학 시약이다. 이 화합물은 알로락토스(allolactose)와 분자적으로 유사하며, 젖당 대사물(lactose metabolite)로서 락 오페론(lac operon)의 전사를 개시한다. 그리고 이러한 이유로, 유전자가 락 오페론 통제하에 있을 때 단백질 발현을 유도하는데 쓰인다.  IPTG는 알로락토스와는 달리, 베타 갈락토시다아제(β-galactosidase)에 의해 가수분해 되지 않는다. 이런 이유로 IPTG는 실험환경 내내 같은 농도로 유지된다. IPTG 유도(IPTG induction)을 하려면, 무균의 필터 여과한 1M 농도의 IPTG가 일반적으로 1:1000 희석 농도로 대수적(logarithmically)으로 성장중인 세균 배양액에 더해진다. 그러나 IPTG최종농도는 다르게 쓸 수 있다.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IPTG · 더보기 »

트리스(히드록시메틸)아미노메테인

리스 트리스(히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tris(hydroxymethyl)aminomethane) 또는 트리스(히드록시메틸)아미노메테인은 공식 (HOCH2)3CNH2를 갖는 유기 화합물이며 일차 아민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트리스(히드록시메틸)아미노메테인 · 더보기 »

자크 모노

자크 뤼시앵 모노(1910년 2월 9일 ~ 1976년 5월 31일)는 프랑스의 생화학자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자크 모노 · 더보기 »

자연과학

자연과학(自然科學, natural science)은 조직화된 지식의 체계이며, 과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자연과학 · 더보기 »

폴 D. 보이어

스 보이어(1918년 7월 31일 ~ 2018년 6월 2일)는 미국의 생화학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폴 D. 보이어 · 더보기 »

이계호 (1957년)

이계호는 대한민국의 기업인이자 의 창립자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이계호 (1957년) · 더보기 »

이기령

이기령(李基寧, 1914년 7월 16일 ~ 2002년 1월 29일)은 대한민국의 분자생물학자 겸 생화학자이며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소령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이기령 · 더보기 »

인공 유전자 합성

인공 유전자 합성, DNA 프린트라고 알려진 이 방법은 합성생물학에서 인공적인 유전자를 만들기 위해서 사용되는 기법 중 하나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인공 유전자 합성 · 더보기 »

의약화학

의약화학(Medicinal chemistry)은 의약품의 제조에 관한 학문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의약화학 · 더보기 »

의학

고대 그리스에서 치료의 신으로 숭배되었던 아스클레피오스 의학(醫學)은 인체의 구조와 기능을 조사하여 인체의 보건, 질병이나 상해의 치료 및 예방에 관한 방법과 기술을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의학 · 더보기 »

의학유전학

의학유전학(醫學遺傳學, medical genetics)은 유전학의 연구 성과를 이용하여 유전성 질환의 치료 방법을 연구하는 의학 분야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의학유전학 · 더보기 »

제한효소 절편길이 다형성

립인자1은 네 절편으로 잘린 반면, 대립인자2는 세 절편으로 잘렸다. 이 차이로 인해 제한효소 절편길이 다형성은 DNA표지자로서의 역할을 한다. 제한효소 절편길이 다형성, (RFLP)는 분자생물학에서 사용하는 기술로 DNA서열의 다형성을 알아내는 유전자 표지자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제한효소 절편길이 다형성 · 더보기 »

저분자

분자생물학과 약리학의 분야에서 저분자(Small molecule)는 분자량이 작은 유기 화합물을 말. 저분자는 생물학적 과정에서 조절자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10-9m 정도의 작은 크기를 가지고 있. 약학 분야에서 저분자는 단백질이나 핵산과 같은 생체고분자에 결합하여 생체 고분자의 기능을 조절하는 분자를 일컫.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저분자 · 더보기 »

조슈아 레더버그

조슈아 레더버그(ForMemRS, 1925년 5월 23일 ~ 2008년 2월 2일)는 미국의 분자생물학자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조슈아 레더버그 · 더보기 »

조직 (생물학)

식물 후각조직 세포의 단면 조직(組織, tissue)은 생물학에서 장기 내에 존재하는 같은 종류의 세포 덩어리를 말. 조직은 생리학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한 단위.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조직 (생물학) · 더보기 »

존 설스턴

존 설스턴 경(1942년 3월 27일 ~ 2018년 3월 6일)은 영국의 생물학자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존 설스턴 · 더보기 »

중립 진화 이론

중립 진화 이론(中立進化理論) 또는 분자진화의 중립설(영어: neutral theory of molecular evolution) 또는 중립진화설(中立進化説) 또는 줄여서 중립설 (中立説)은 1968년 기무라 모토가 제시한 분자진화학의 진화 이론으로 중립적인 돌연변이의 유전자 부동에 의한 무작위 표집을 진화의 주된 원인으로 보는 이론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중립 진화 이론 · 더보기 »

중합효소 연쇄 반응

주형 DNA(Template DNA)를 표시한다. 녹색 동그라미는 DNA 중합효소를 의미한다. 녹색 화살표 방향으로 새로운 DNA 가닥(녹색 실선)이 중합되고 있다. 이렇게 새롭게 합성된 DNA가닥들은 그 스스로가 새롭게 복제되는 DNA의 주형이 된다. 중합효소 연쇄 반응()은 DNA의 원하는 부분을 복제·증폭시키는 분자생물학적인 기술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중합효소 연쇄 반응 · 더보기 »

집단유전체학

집단유전체학은 유전체 정보를 이용하여 유전형질이 집단에서 어떠한 발현형질을 나타내고, 질병등과 연관성이 어떻게 되는지를 연구하는 체학(오믹스)의 한 분야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집단유전체학 · 더보기 »

진화

화(進化)는 생물 집단이 여러 세대를 거치면서 변화를 축적해 집단 전체의 특성을 변화시키고 나아가 새로운 종의 탄생을 야기하는 관찰된 자연 현상을 가리키는 생물학 용어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진화 · 더보기 »

진화발생생물학

화발생생물학 또는 이보디보()은 다양한 동물과 식물의 발생과정을 비교하여 공통 조상에서부터 진화한 생물의 공통 요소와 변이를 연구하는 생물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진화발생생물학 · 더보기 »

찰스 시블리

스 시블리(1917년 4월 7일 ~ 1998년 4월 12일)는 미국의 조류학자이자 분자생물학자였.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찰스 시블리 · 더보기 »

카라칼

(caracal)은 신장 1 미터(3.3 피트)의 중형 야생고양이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카라칼 · 더보기 »

캐럴 그라이더

위드니 그라이더(1961년 4월 15일~, 미국 캘리포니아 주)는 미국 존스 홉킨스 대학교의 생물학 및 유전학과 교수로 재직중인 분자생물학자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캐럴 그라이더 · 더보기 »

캐리 멀리스

리 뱅크스 멀리스(1944년 12월 28일 ~)는 미국의 생화학자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캐리 멀리스 · 더보기 »

유인원

유인원(類人猿)은 영장류 사람상과에 속하는, 꼬리가 없는 종을 말하며, 이는 사람을.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유인원 · 더보기 »

유전자 재조합

유전자 재조합(遺傳子再調合)은 DNA나 RNA와 같이 유전자를 이루는 요소가 해체와 재조립 과정에서 원래의 서열과는 다르게 뒤바뀌는 과정을 가리키는 유전학 용어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유전자 재조합 · 더보기 »

유전학

DNA의 모식도 유전학(遺傳學)은 생물의 유전과 유전자 다양성 등을 연구하는 생물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유전학 · 더보기 »

유신진화론

유신진화론(Theistic Evolution)은 창조신이 창조시에 자연계의 생명체에게 진화를 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하여, 지금의 다양한 생명체들이 생겨났다고 보는 기독교 창조론의 하나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유신진화론 · 더보기 »

융합과학

융합과학(融合科學)은 과학, 기술 및 인문사회과학 등의 세분화된 학문들의 결합, 통합 및 응용을 통하여 만들어진 새로운 과학 분야를 말. 20세기 중엽부터 21세기에 이르러 학문과 기술의 수렴 및 융합의 흐름이 전개되었.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융합과학 · 더보기 »

상위성 (생물학)

상위성(epistasis)은 한 유전자가 발현형질로 나타날 때 다른 유전자가 영향을 주는 현상에 대한 집단유전학의 개념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상위성 (생물학) · 더보기 »

생물리학

생물리학(生物理學, biophysics) 또는 생물물리학(生物物理學)은 물리학의 이론과 방법들을 이용하여 복잡한 생물학의 문제를 설명하려는 분야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생물리학 · 더보기 »

생물학

생물학(生物學)은 생물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자연과학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생물학 · 더보기 »

생물학의 역사

이래즈머스 다윈(《종의 기원》의 저자 찰스 다윈의 할아버지)의 진화론을 주제로 한 시 《The Temple of Nature》의 표지로 자연의 장막을 뒤로 당기는 여신(아르테미스)이 나타나 있다. 우화와 은유는 종종 생물학의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생물학의 역사() 또는 생물학사는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살아있는 것들의 연구에 대해 기술.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생물학의 역사 · 더보기 »

수평적 유전자 이동

종에서 다른 종으로 수평적 유전자 이동이 일어난 것을 반영한 계통도는 기존의 나무 모양이 아닌 그물 모양으로 그려지게 된다. 수평적 유전자 이동(水平的 遺傳子 移動, Lateral gene transfer (LGT) / Horizontal gene transfer (HGT))은 생식에 의하지 않고 개체에서 개체로 유전형질이 이동되는 현상을 가리키는 유전학 개념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수평적 유전자 이동 · 더보기 »

오즈월드 에이버리

오즈월드 에이버리(1877년 10월 21일 - 1955년 2월 2일)는 캐나다의 의사이자 유전학자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오즈월드 에이버리 · 더보기 »

오카자키 레이지

오카자키 레이지(1930년 10월 8일 ~ 1975년 8월 1일)은 DNA 복제에 관해 연구하였으며, 특히 그의 아내 오카자키 츠네코와 함께 오카자키 절편의 역할을 설명한 일본 분자생물학의 선구자였.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오카자키 레이지 · 더보기 »

오하시 쓰토무

오하시 쓰토무(1933년 ~)는 일본의 예술가, 과학자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오하시 쓰토무 · 더보기 »

형질전환

형질전환(形質轉換)은 원래의 세포가 가지고 있던 것과 다른 종류의 유전자가 있는 DNA사슬 조각 또는 플라스미드가 세포들 사이에 침투되어 원래 세포에 존재하던 DNA와 결합, 세포의 유전형질이 변화되는 분자생물학적 현상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형질전환 · 더보기 »

최양도

양도(1953년~)는 대한민국의 농업생명공학자로서 식물의 병해충 및 환경 스트레스 반응 등의 연구에 주력하고 있. 연구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2008년에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을 수여받았.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최양도 · 더보기 »

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트산

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트산(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 에틸렌 다이아민 테트라 아세트산)은 유기화합물의 일종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트산 · 더보기 »

푸시치노

시 문장 푸시치노()는 러시아 모스크바 주 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인구는 19,964명(2002년 기준)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푸시치노 · 더보기 »

사족충류

르코조아는 원생생물의 생물군 중 하나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사족충류 · 더보기 »

사사카와 지히로

사사카와 지히로(1945년 1월 ~) 는 일본의 세균학자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사사카와 지히로 · 더보기 »

살바도르 에드워드 루리아

살바도르 에드워드 루리아(1912년 8월 13일 ~ 1991년 2월 6일)는 이탈리아 출신의 미국의 미생물학자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살바도르 에드워드 루리아 · 더보기 »

피터 김

(1958년~)은 1997년 HIV의 인체 침투 메커니즘을 최초로 규명, 에이즈 백신 연구에 크게 공. 그는 98년 호암상 과학상을 수상했을 당시 상금(1억원) 전액을 서울대에 장학금으로 기증해 화제가 되었.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피터 김 · 더보기 »

피터 아그리

아그리(1949년 1월 30일 ~)는 미국의 의학자, 분자생물학자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피터 아그리 · 더보기 »

세베로 오초아

세베로 오초아 드 알보르노즈(Severo Ochoa de Albornoz,, 1905년 9월 24일 ~ 1993년 11월 1일)는 스페인의 분자생물학자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세베로 오초아 · 더보기 »

세균인공염색체

세균인공염색체()는 분자생물학 실험에서 사용되는 DNA 구조물로, 벡터로써 형질전환이나 클로닝 등에 이용.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세균인공염색체 · 더보기 »

세포 이론

세포의 구조 세포 이론(세포설)은 생물학에서 세포의 고유한 특성을 설명하는 과학 이론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세포 이론 · 더보기 »

세포생물학

세포생물학(細胞生物學, cell biology)은 생물체의 기본 바탕을 이루는 세포의 구조를 연구하는 생물학의 전문 연구분야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세포생물학 · 더보기 »

서던 블랏

서던 블랏(Southern blot)은 분자 생물학에서 DNA 시료에서 특정 DNA 서열을 찾기위한 방법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서던 블랏 · 더보기 »

토머스 체크

머스 로버트 체크(1947년 12월 8일 ~)는 미국의 분자생물학자, 생화학자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토머스 체크 · 더보기 »

애기장대

애기장대 애기장대(Arabidopsis thaliana)는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북서부에 자생하는 조그마한 속씨식물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애기장대 · 더보기 »

하우스키핑 유전자

우스키핑 유전자(Housekeeping Gene)란 세포 생존에 필수불가결한 유전자로 어떠한 상황에서도 발현되는 유전자를 의미.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하우스키핑 유전자 · 더보기 »

아데닌

아데닌(Adenine)은 푸린계열의 핵염기의 하나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아데닌 · 더보기 »

필립 앨런 샤프

립 앨런 샤프(1944년 6월 6일 ~)는 미국의 유전학자, 분자생물학자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필립 앨런 샤프 · 더보기 »

아널드 J. 레빈

아널드 J. 레빈(Arnold J. Levine, 1939년~)은 미국의 분자 생물학자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아널드 J. 레빈 · 더보기 »

아서 콘버그

아서 콘버그(FRS, 1918년 3월 3일 ~ 2007년 10월 26일)는 미국의 분자생물학자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아서 콘버그 · 더보기 »

셀 (잡지)

《셀》(Cell)은 셀 프레스(Cell Press)에서 발간하는 생물학 분야의 과학 저널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셀 (잡지) · 더보기 »

신경과학

비둘기의 소뇌에 위치한 뉴런 (Santiago Ramón y Cajal, 1899) 신경과학(神經科學, Neuroscience)은 뇌를 포함한 모든 신경계에 대해서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신경과학 · 더보기 »

실라르드 레오

실라르드 레오(1898년 2월 11일 ~ 1964년 5월 30일)는 헝가리 태생의 미국 물리학자.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실라르드 레오 · 더보기 »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

분자생물학에서,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real-time PCR, quantitative real 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qPCR)은 중합효소 연쇄 반응을 기반으로한 실험방법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 · 더보기 »

시드니 올트먼

시드니 올트먼(1939년 5월 7일 ~)은 캐나다 태생의 미국의 분자생물학자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시드니 올트먼 · 더보기 »

시스템 생물학

생물학 연구의 예. 계생명학(系生物學) 또는 시스템 생물학(Systems biology, SB)은 생명현상을 복합체로 규정하고 생물학뿐만 아니라 전산학, 수학, 물리학, 화학 등의 원칙을 사용하여 분석하고 모사 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학문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시스템 생물학 · 더보기 »

원자 질량 단위

원자 질량 단위(기호: u, Da)는 원자나 분자 따위의 질량 표준 단위이다(원자 질량).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원자 질량 단위 · 더보기 »

웬들 메러디스 스탠리

웬들 메러디스 스탠리(1904년 8월 16일 ~ 1971년 6월 15일)는 미국의 생화학자이.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웬들 메러디스 스탠리 · 더보기 »

MBB

MBB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분자생물학와 MBB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분자 생물학, 분자 생물학자, 분자생명과학, 분자생물학자.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