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사면체

색인 사면체

사면체(四面體)는 한 개의 꼭짓점에 세 개의 면이 만나고, 네 개의 삼각형 면으로 이루어진 3차원 다면체이.

64 처지: E₇, 늘린 사각뿔, 늘린 삼각뿔, 각뿔, 백린, 결정학적 점군, 고른 다면체, 규산염 광물, 기둥형 고른 다면체, 깎은 정사면체, 꼭짓점 배치, 뒤발 특이점, 드 가의 정리, 다면체, 단체 (수학), 슐레플리-헤스 다포체, 스쿠비 두 (영화), 스타인메츠 다면체, 스핀 아이스, 특이 호몰로지, 요하네스 케플러, 힐 사면체, 평면의 결정군, , 응집력, 정다면체, 정다포체, 정육백포체, 정팔포체, 정오포체, 정삼각형 타일링, 정십육포체, 조제프루이 라그랑주, 조합 퍼즐, 존슨의 다면체, 중적분, 지붕 (기하학), 쌍대다면체, 파르테르, 파스칼의 삼각형, 순환 지표, 오일러 지표, 오일러의 다면체 정리, 에우클레이데스의 원론, 헤론의 공식, 엇각기둥, 사면체, 사면체수, 사각뿔, 사각지붕, ..., 삼각군, 삼각쌍뿔, 피라몰픽스, 피라밍크스, 피라밍크스 듀오,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의 공식, 플렉사곤, 석영, 알케인, 암모니아, 테트라헤드레인, 4, 4차원 정다포체.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4 더) »

E₇

E7의 딘킨 도표 리 군론에서, E7은 복소수 예외적 단순 리 군의 하나이.

새로운!!: 사면체와 E₇ · 더보기 »

늘린 사각뿔

학에서 늘린 사각뿔은 존슨의 다면체 중 하나이다 (J8).

새로운!!: 사면체와 늘린 사각뿔 · 더보기 »

늘린 삼각뿔

학에서, 늘린 삼각뿔은 존슨의 다면체 중 하나이다(J7).

새로운!!: 사면체와 늘린 삼각뿔 · 더보기 »

각뿔

각뿔은 밑면의 각 변을 밑변으로 하고 밑변 밖에 있는 한 점을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과 원래의 밑면으로 둘러싸인 입체 도형이.

새로운!!: 사면체와 각뿔 · 더보기 »

백린

암흑 속에서 스스로 불타오르는 백린. 백린(白燐), 또는 황린(黃燐, yellow phosphorus), 사인(四燐, Tetraphosphorus, P4), 흰인은 인의 동소체로 연막, 예광탄, 조명탄, 특히 소이탄의 원료로 쓰인.

새로운!!: 사면체와 백린 · 더보기 »

결정학적 점군

수학과 결정학에서, 결정학적 점군(結晶學的點群, crystallographical point group) 또는 결정급(結晶級, crystal class)이란 그 회전 변환이 60도, 90도, 120도, 또는 180도로 제한된 점군이.

새로운!!: 사면체와 결정학적 점군 · 더보기 »

고른 다면체

플라톤의 다면체: 정사면체 고른 별 다면체: 다듬은 십이십이면체 고른 다면체는 정다각형을 면으로 가지고 점추이(그 꼭짓점에서 추이적이다. 즉, 어떤 꼭짓점에서 다른 어떤 꼭짓점으로 등거리 맵핑이 있다)인 다면체이.

새로운!!: 사면체와 고른 다면체 · 더보기 »

규산염 광물

리 규산염 광물 규공작석. 규산염 광물(硅酸鹽鑛物, silicate minerals)은 지각(地殼, earth's crust)의 약 90%를 차지하는 조암 광물이.

새로운!!: 사면체와 규산염 광물 · 더보기 »

기둥형 고른 다면체

별 엇오각기둥은 두 오각성과 정삼각형 10개로 만들어졌다. 기하학에서, 기둥형 고른 다면체는 이면체 대칭을 가지는 고른 다면체이.

새로운!!: 사면체와 기둥형 고른 다면체 · 더보기 »

깎은 정사면체

깎은 정사면체는 정사면체와 정팔면체의 중간이.

새로운!!: 사면체와 깎은 정사면체 · 더보기 »

꼭짓점 배치

학에서, 꼭짓점 배치 by Walter Steurer, Sofia Deloudi, (2009) pp.

새로운!!: 사면체와 꼭짓점 배치 · 더보기 »

뒤발 특이점

수기하학에서, 뒤발 특이점() 또는 클라인 특이점()은 복소 대수 곡면의 특이점의 한 종. 이들은 최소분해()가 존재하며, 이는 ADE형의 딘킨 도표로 분.

새로운!!: 사면체와 뒤발 특이점 · 더보기 »

드 가의 정리

의 정리 도해 드 가의 정리(de Gua의 定理)는 기하학의 정리로, 일반적으로 2차원 유클리드 평면에 적용되는 피타고라스의 정리의 3차원에 대한 유사 형태이.

새로운!!: 사면체와 드 가의 정리 · 더보기 »

다면체

면체(多面體)는 간단히 말해서 다각형들을 면으로 가지는 입체 도형이.

새로운!!: 사면체와 다면체 · 더보기 »

단체 (수학)

수학에서, 단체(單體)는 삼각형과 사면체의 임의의 차원에 대한 일반화이.

새로운!!: 사면체와 단체 (수학) · 더보기 »

슐레플리-헤스 다포체

슐레플리-헤스 다포체는 케플러-푸앵소 다면체를 4차원으로 확장한 것으로 오목한 4차원 정다포체이.

새로운!!: 사면체와 슐레플리-헤스 다포체 · 더보기 »

스쿠비 두 (영화)

스쿠비 두(Scooby-Doo)는 2002년에 Raja Gosnell 감독이 만든 미국의 코미디 영화.

새로운!!: 사면체와 스쿠비 두 (영화) · 더보기 »

스타인메츠 다면체

스타인메츠 다면체 (두 원기둥의 교차된 부분) 기하학에서, 스타인메츠 다면체는 반지름이 같고 서로 수직인 원기둥 두세 개가 교차되어 만들어진 다면체이.

새로운!!: 사면체와 스타인메츠 다면체 · 더보기 »

스핀 아이스

스핀 아이스(spin ice)는 최근 발견된 자성 물질의 한 종류로서, 이름이 말해주듯이 얼음의 구조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 즉, 스핀의 방향과 구조가 얼음(H2O)에서 수소와 산소 사이의 공간적배치와 유사성을 지니고 있. 현재까지는 단 세 개의 스핀 아이스(Dy2Ti2O7, Ho2Ti2O7, Ho2Sn2O7)가 보고되고 있는데 모두 파이로클로어 구조를 가지고 있. 스핀 아이스는 frustrate magnets의 하나라고 생각할 수 있으며 활발히 연구되고 있. 얼음과 같이 잔류 엔트로피를 가진 물질의 하나이.

새로운!!: 사면체와 스핀 아이스 · 더보기 »

특이 호몰로지

수적 위상수학에서, 특이 호몰로지(特異homology)는 단체를 사용하여 정의하는 호몰로지 이론이.

새로운!!: 사면체와 특이 호몰로지 · 더보기 »

요하네스 케플러

요하네스 케플러(1571년 12월 27일 - 1630년 11월 15일)는 독일의 수학자, 천문학자, 점성술사이자 17세기 천문학 혁명의 핵심 인물이었.

새로운!!: 사면체와 요하네스 케플러 · 더보기 »

힐 사면체

학에서, 힐 사면체()는 공간 채우기 사면체족이.

새로운!!: 사면체와 힐 사면체 · 더보기 »

평면의 결정군

'''p4m군'''에 속한다. 평면의 결정군(平面-結晶群) 또는 평면의 대칭군, 벽지군은 2차원 평면을 채우는 반복적인 패턴에 대해, 이 패턴들을 각 패턴이 가지고 있는 대칭성을 기준으로 하는 군으로 분류하는 방법이.

새로운!!: 사면체와 평면의 결정군 · 더보기 »

인(燐)은 화학 원소로 원자 기호는 P(←)이고 원자 번호는 15.

새로운!!: 사면체와 인 · 더보기 »

응집력

물의 응집력의 특징은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응집력 (凝集力)은 작용이자, 상호간에 인력이 있게 되어서 분자가 서로 붙는것과 같은 특성이.

새로운!!: 사면체와 응집력 · 더보기 »

정다면체

정다면체(正多面體) 또는 플라톤의 다면체는 볼록 다면체 중에서 모든 면이 합동인 정다각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꼭짓점에서 만나는 면의 개수가 같은 도형을 말. 무수히 많이 존재할 수 있는 정다각형과는 다르게 정다면체는 아래의 5종류만이 존재.

새로운!!: 사면체와 정다면체 · 더보기 »

정다포체

정폴리토프(Regular polytope)는 각 면이 정칙 폴리토프여서 최대의 대칭을 가진 폴리.

새로운!!: 사면체와 정다포체 · 더보기 »

정육백포체

정육백포체 정육백포체의 전개도 정육백포체(600-cell) 또는 초정이십면체()는 정이십면체를 4차원으로 확장한 4차원 정다포체이.

새로운!!: 사면체와 정육백포체 · 더보기 »

정팔포체

4차원 초입방체의 3차원 투영. 달리 크로스, 정팔포체의 전개도. 정팔포체(또는 4차원 초입방체)는 8개의 정육면체로 이루어진 4차원의 정다포체이.

새로운!!: 사면체와 정팔포체 · 더보기 »

정오포체

정오포체 정오포체의 전개도 정오포체(5-cell) 또는 4-단체(4-simplex), 펜타토프(pentatope)는 정사면체를 4차원으로 확장한 4차원 정다포체이.

새로운!!: 사면체와 정오포체 · 더보기 »

정삼각형 타일링

학에서 정삼각형 타일링 또는 정삼각형 테셀레이션은 유클리드 평면에서 세 정다각형 타일링 중 하나이.

새로운!!: 사면체와 정삼각형 타일링 · 더보기 »

정십육포체

정십육포체 정십육포체의 전개도 정십육포체(16-cell) 또는 데미테서랙트()는 정팔면체를 4차원으로 확장한 4차원 정다포체이.

새로운!!: 사면체와 정십육포체 · 더보기 »

조제프루이 라그랑주

조제프루이 라그랑주(1736년 1월 25일 ~ 1813년 4월 10일) 은 토리노, 피에몬테에서 태어난 이탈리아 태생, 프랑스와 프로이센에서 활동한 프랑스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이.

새로운!!: 사면체와 조제프루이 라그랑주 · 더보기 »

조합 퍼즐

조합 퍼즐() 또는 트위스티 퍼즐()은 퍼즐의 일종으로 그것의 일부분이 돌아가 붙여져 있는 스티커나 혹은 그 자체의 색이 섞여 이것을 다시 돌려서 색을 일정한 곳에 모으는 것, 즉 맞추는 것을 목적으로 두는 퍼즐을 말. 형태, 기능, 회전 방식 등에 따라서 종류가 분. 보통은 정사면체, 정육면체, 정팔면체, 정십이면체, 정이십면체모양이며, 정다면체의 형태 이외에 각기둥, 각뿔 등 다면체의 모양인 경우도 많고 전체나 일부분이 곡면인 경우도 있으며 불규칙적인 형태를 지닌 경우도 많이 존재.

새로운!!: 사면체와 조합 퍼즐 · 더보기 »

존슨의 다면체

존슨의 다면체(Johnson-多面體)는 각 면이 정다각형이며 볼록한 다면체 중 정다면체, 아르키메데스의 다면체, 각기둥, 엇각기둥을 제외한 다면체를 일컫.

새로운!!: 사면체와 존슨의 다면체 · 더보기 »

중적분

이중 적분은 그래프 곡면 아래의 부피를 구하는 방법이다. 밑면(직사각형)은 함수의 정의역을 나타내며, 윗면(쌍곡 포물면 ''z''.

새로운!!: 사면체와 중적분 · 더보기 »

지붕 (기하학)

학에서, 지붕은 하나는 (밑면) 다른 것의 변의 두 배를 가진 두 다각형을 이등변삼각형과 직사각형이 번갈아 나타나는 띠로 연결한 다면체이.

새로운!!: 사면체와 지붕 (기하학) · 더보기 »

쌍대다면체

면의 중심을 꼭짓점으로 해서 이어 만든 정팔면체. 쌍대다면체는 각 면의 중심을 꼭짓점으로 해서 이어 만든 다면체이.

새로운!!: 사면체와 쌍대다면체 · 더보기 »

파르테르

18세기 켄싱턴 궁전, 'Britannia Illustrata''를 위한 Jan Kip의 판화 The left hand side of the completely symmetrical parterre at Waddesdon Manor, England 1716년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여름 정원. 아일랜드, 비르 성의 근대 파르테르 파르테르()는 식수 화단을 구성하는 수평면의 양식적인 정원 건축물로, 보기 좋은 모양으로 형성되도록 예리한 모서리의 돌이나, 혹은 탄탄하게 잘려진 울타리와 자갈길이 정. 파르테르를 구성함에 있어서 꽃이 전혀 필요가 없. 프랑스 파르테르는 16세기 정원으로부터 정교화되어, 베르사유 궁전에서 정점에 도달하였으며, 영국의 켄싱턴 궁전처럼 수많은 유럽의 모방작이 나타나게 되었.

새로운!!: 사면체와 파르테르 · 더보기 »

파스칼의 삼각형

스칼의 삼각형은 수학에서 이항계수를 삼각형 모양의 기하학적 형태로 배열한 것이.

새로운!!: 사면체와 파스칼의 삼각형 · 더보기 »

순환 지표

조합론에서, 순환 지표(循環指標)는 유한 집합 위에 충실하게 작용하는 유한군에 대응되는 다변수 다항식 불변량이.

새로운!!: 사면체와 순환 지표 · 더보기 »

오일러 지표

수적 위상수학과 조합론에서, 오일러 지표(Euler指標)란 위상 공간 또는 그래프의 위상수학적 불변량의 하나인 정수.

새로운!!: 사면체와 오일러 지표 · 더보기 »

오일러의 다면체 정리

오일러의 다면체 정리란, 임의의 한 다면체를 구성하는 점과 선, 면이 가지는 관계를 설명한 정리를 말. 1752년에 스위스의 수학자인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발견하였.

새로운!!: 사면체와 오일러의 다면체 정리 · 더보기 »

에우클레이데스의 원론

《에우클레이데스의 원론》의 첫 번째 영어판 표지. 《에우클레이데스의 원론》(스토이케이아)은 고대 그리스의 저명한 수학자인 에우클레이데스가 기원전 3세기에 집필한 책으로 총 13권으로 구성되어 있. 그리스어 제목 Στοιχεῖα는 ‘원소’, ‘구성 요소’, ‘글자’ 등을 뜻하는 단어이며, 한국어로는 유클리드의 원론, 또는 기하학 원본이라는 제목으로도 불린.

새로운!!: 사면체와 에우클레이데스의 원론 · 더보기 »

헤론의 공식

헤론의 공식은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를 통해 넓이를 구하는 공식이.

새로운!!: 사면체와 헤론의 공식 · 더보기 »

엇각기둥

학에서, n각의 엇각기둥은 평행하고 동일한 ''n''각형 두 개를 교대로 이루어진 삼각형의 띠로 연결된 다면체이.

새로운!!: 사면체와 엇각기둥 · 더보기 »

사면체

사면체(四面體)는 한 개의 꼭짓점에 세 개의 면이 만나고, 네 개의 삼각형 면으로 이루어진 3차원 다면체이.

새로운!!: 사면체와 사면체 · 더보기 »

사면체수

사면체수(素數, Tetrahedral number)는 구를 최밀격자형태로 모아서 정사면체를 만들때 사용되는 구의 총수를 말. 사면체수의 수열은 1, 4, 10, 20, 35, 56, 84, 120, 165, 220, … 이. 영국의 정치인 프레더릭 폴록(Frederick Pollock)은 1850년 임의의 자연수는 많아야 일곱 개의 사면체수의 합으로 표현 가능하다고 추측하였.

새로운!!: 사면체와 사면체수 · 더보기 »

사각뿔

학에서, 사각뿔(四角-)은 밑면이 사각형인 각뿔이.

새로운!!: 사면체와 사각뿔 · 더보기 »

사각지붕

학에서, 사각지붕은 lesser dome이라고도 불리며, 존슨의 다면체 중 하나이다(J4).

새로운!!: 사면체와 사각지붕 · 더보기 »

삼각군

학에서, 삼각군(三角群)은 음 또는 양 또는 0의 곡률을 갖는 평면에서, 삼각형을 이루는 세 개의 직선에 대한 반사들로 생성되는 군이.

새로운!!: 사면체와 삼각군 · 더보기 »

삼각쌍뿔

맞붙인 삼각뿔. 삼각쌍뿔 또는 맞붙인 삼각뿔(-三角-)은 정사면체를 2개 붙인 다면체이.

새로운!!: 사면체와 삼각쌍뿔 · 더보기 »

피라몰픽스

완성된 피라몰픽스. 섞인 피라몰픽스. 피라몰픽스 (Pyramorphix)는 루빅스 큐브와 유사한 정사면체형 퍼즐이.

새로운!!: 사면체와 피라몰픽스 · 더보기 »

피라밍크스

완성된 피라밍크스 피라밍크스 (Pyraminx)는 루빅스 큐브 스타일의 정사면체 퍼즐이.

새로운!!: 사면체와 피라밍크스 · 더보기 »

피라밍크스 듀오

완성된 상태의 피라밍크스 듀오. 피라밍크스 듀오 (원래는 롭의 피라밍크스라고 알려져 있었다)는 루빅스 큐브의 스타일의 정사면체 트위스티 퍼즐이.

새로운!!: 사면체와 피라밍크스 듀오 · 더보기 »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

에로 델라 프란체스카의 자화상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Piero della Francesca, 1415년경 ~ 1492년10월12일)는 이탈리아의 화가이.

새로운!!: 사면체와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 · 더보기 »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의 공식

에로 델라 프란체스카의 공식은 "원에 내접하는 사각형"에서 네변 사이에서 측정 된 거리의 케일리-멩거 행렬식(Cayley-Menger determinant)에서 사면체의 부피에 대한 표현을 부여한것처럼 같은 성질에서 유사한 형태를 갖고 있. d_^2 & 0 & d_^2 & d_^2 & 1 \\ d_^2 & d_^2 & 0 & d_^2 & 1 \\ d_^2 & d_^2 & d_^2 & 0 & 1 \\ \end \qquad\qquad 200px V^2.

새로운!!: 사면체와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의 공식 · 더보기 »

플렉사곤

리헥사플렉사곤(Trihexaflexagon)을 접고 펴는 모습 A kaleidocycle 칼레이도사이클의 전개도 left 플렉사곤(Flexagon) 또는 칼레이도사이클(Kaleidocycle)은 삼면체 또는 사면체 여러개를 붙인 장난감이.

새로운!!: 사면체와 플렉사곤 · 더보기 »

석영

석영(수정) 석영(石英, Quartz)은 대륙지각에 풍부한 광물이.

새로운!!: 사면체와 석영 · 더보기 »

알케인

알케인(←) 또는 알칸은 고리가 없는 사슬형 포화 탄화수소의 일반명이.

새로운!!: 사면체와 알케인 · 더보기 »

암모니아

암모니아()는 질소와 수소로 이루어진 화합물이.

새로운!!: 사면체와 암모니아 · 더보기 »

테트라헤드레인

129px 129px 테트라헤드레인(tetrahedrane, 테트라헤드란, 분자식: C4H4)은 4개의 탄소 원자가 정사면체의 각 꼭짓점에 배치되어 각 탄소 원자에 수소 원자 1개씩 결합한 구조를 가지는 탄화수소 분자이.

새로운!!: 사면체와 테트라헤드레인 · 더보기 »

4

4(사)는 3보다 크고 5보다 작은 자연수이.

새로운!!: 사면체와 4 · 더보기 »

4차원 정다포체

4차원 정다포체란 정다면체를 4차원으로 확장한 것이.

새로운!!: 사면체와 4차원 정다포체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정4면체, 정사면체, 정삼각뿔, 삼각뿔.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