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산스크리트어

색인 산스크리트어

산스크리트어(संस्कृता) 간칭 범어(梵語)는 인도의 고전어로, 힌두교대승불교자이나ㆍ교 경전의 언어이자 수많은 인도 제어의 고급 어휘의 근간을 구성하는 언어이.

459 처지: A Thousand Suns, Across the Universe, 랭-8, 람캄행, 데바 (힌두교), 데바나가리 문자, 데비, 델리의 철 기둥, 더비 이슈트반, 도리천, 독말풀속, 동계어, 동국정운, 동남아시아, 동남아시아 문학, 라마야나, 라가, 라노미 크로모비조요, 라슈트라쿠타 왕조, 라틴어, 락슈미, 락샤드위프 제도, 로버트 오펜하이머, 로티 (음식), 루드라, 리그베다, 리투아니아어, 말레이어, 만다라, 만자문, 마라타 왕국, 마누 법전, 마나슬루산, 마니교, 마우리아 왕조, 마자파힛 제국, 마음챙김, 마칼루산, 마투르, 마하라자, 머라이언, , 멘델레예프가 예측한 원소들, 메갈라야 주, 메사르팀, 목건련, 몽골 문자, 묠니르, 무루간, 무명 (불교), ..., 무구정광대다라니경, 무상삼매, 무형문화유산 목록, 무키아 우파니샤드, 무아, 문자별 언어 목록, 문수보살, 묘법연화경, 미르체아 엘리아데, 미트라교, 미탄니, 믿음 (불교), 방콕, 백단, 발리섬, 발우, 개잎갈나무, 반야, 반야경, 반야심경, 바라밀, 바라제목차, 바가바, 바가바타 푸라나, 바스마티, 바이셰시카 학파, 바사라, 간다라, 박트리아,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 밀림, 가전연, 밀양 표충사 청동은입사향완, 가사 (옷), 가야트리, 베르나쿨라, 베다어, 베텔게우스, 겸익, 경장, 범패, 버마어, 버마어 수사, 법 (불교), 법 (인도철학), 법계 (불교), 법구경, 법현, 법신, 보리 (불교), 보현보살, 보살, 과학, 과학사, 변행인, 광목천왕, 관세음보살, 불멸기원, 불공, 불교, 불교 용어 목록/ㄷ, 불교 용어 목록/ㅊ, 불교 용어 목록/ㅍ, 불교 용어 목록/ㅈ, 불교 용어 목록/ㅂ, 불교 용어 목록/ㅇ, 불교 용어 목록/ㅅ, 불교 용어 목록/경, 불교 용어 목록/정, 불교 용어 목록/지, 불교 용어 목록/유, 불교 용어 목록/온, 불교 용어 목록/삼, 불교 용어 목록/삽, 불교 용어 목록/선, 불교 용어 목록/소, 불교 용어 목록/심, 불교 용어 목록/시, 불교 아나키즘, 불교의 우주론, 불상, 불성, 불화합성, 부루나, 부남, 부정견, 부처, 부탄, 그리스 신화, 그리스의 이름, 기수법, 브라만 (카스트), 브라흐미계 문자, 금강반야바라밀경, 금강산, 금석문자경, 깜팽펫 주, 빔라오 람지 암베드카르, 빔비사라, 비교 재구, 비교언어학, 비득, 비슈누파, 김규식, 대격, 대법론, 대승불교, 대승기신론, 대장경, 대일경, 대지도론, 대한불교불입종, 교토 상가 FC, 구루 (산스크리트어), 구자라트 문자, 구축병마주, 구신, 굴절어, 굽타 왕조, 남아프리카 공화국, 난조 분유, 나라티왓 주, 나가, 나가르주나, 나찰, 나콘나욕 주, 나콘사완 주, 나콘시탐마랏 주, 나유타, 나후라, 낙건나, 등각, 드베르그, 네팔의 국장, 다문천왕, 다울라기리산, 다이쇼 신수 대장경, 단딘, 달마 이니셔티브, ISO 639, 스리위자야 제국, 스마르타파, 우동 (캄보디아), 우르두어, 우바리, 우바새와 우바이, 우파니샤드, 승려, 승만경, 승가, 슈드라카, 요 도종, 요가, 자판 배열, 자야데바, 자야바르만 7세, 자와어, 펠드하위스 표기법, 장프랑수아 샹폴리옹, 재거리, 재규어, 힌두 점성술, 힌두 철학, 힌두교, 힌두교의 신, 힌디어, 히말라야산맥, 히타이트어, 크메르어, 포카란 2차 핵 실험, 포탈라궁, 폴라리스, 이라와디강, 이슬람 철학, 인도, 인도 루피, 인도 문학, 인도 아대륙, 인도네시아어, 인도이란어파의 언어 목록, 인도의 공용어 목록, 인도의 역사, 인도유럽조어, 인도유럽어족, 인도아리아어군, 인도아리아어군의 언어 목록, 음성학, 의정 (승려), 의순, 점성술의 별자리, 점성술의 역사, 전륜성왕, 정토삼부경, 좌선, 종교, 주자행, 중생, 즈냐나, 즈냔피트 상, 진언종, 진여, 지론종, 지관 (불교), 지나, 지장보살, 차크람, 차크라, 차이야품 주, 차투랑가, 찬드라, 찬드라 엑스선 관측선, 찬드라얀 1호, 참파, 천 (불교), 천연두, 처녀성, 촌부리 주, , 출가, 축법호, 취 (불교), 카로슈티 문자, 카마 수트라, 카스트, 카우샴비, 카일라스산, 카타사리트사가라, 칼리 (힌두교), 칼리다사, 치송데짼, 캄보디아의 대외 관계, 캄보디아의 역사, 쿠샨 제국, 쿤달리니, 판드야 왕조, 판차탄트라, 판차실라 (정치 이념), 유마경, 유가행파, 유대-말라얄람어, 유쟁법과 무쟁법, 유신견, 윤회, 윌리엄 캐리, 파스파 문자, 파탄잘리, 팔라 왕조, 팔리어, 팔리어 대장경, 팔식, 상응, 상좌부 불교, 샤덴프로이데, 샤스트라, 샤트란지, 샤쿤탈라, 샥티, 샥티파, 태국어, , 탑파, 색 (불교), 타밀 문자, 타밀어, 타이 문자, 타타타 (노래), 투리야, 수리수리마수리, 수리야, 수린 주, 수브라마니안 찬드라세카르, 수판부리 주, 영어, 오륜탑, 오계, 오근, 오근과 육근, 오위백법, 오온, 오사카 외국어대학, 오픈 소스 유니코드 서체, 온 (불교), 현관 (불교), 현대 표준 아랍어, 현장, 언어 목록, 언어별 위키백과 목록, 언어별 숫자 목록, 행 (불교), 에베레스트산, 에스페란토 어원, 에카, 에프탈, 에티오피아, 여래, 역사, 역사철학강의, 연각, 연기 (불교), 열반경, 염마, , 푸루샤, 푸르지오, 푸리 (음식), 표음문자, 키나라이아 어, 사라트 찬드라 다스, 사마르칸트, 사뭇쁘라깐 주, 사뭇사콘 주, 사뭇송크람 주, 사미, 사견, 사꼰나콘 주, 사딩딩, 사카구치 안고, 사향, 사어, 사토, 사티아그라하, 산스크리트 문학, 산스크리트어 경전, 삼매, 삼키아 학파, 삼삼매, 삼신제석, 삼십칠도품, 프란츠 봅, 프로발 다슈굽토, 프놈 바켕, 석장, 선 (불교), 선시, 섭대승론, 성 (문법), 성실론, 세간, 세속, 송끄란, 소혜왕후, 소푸스 부게, 통일신라의 불교, 해슬러 휘트니, 해심밀경, 한냐노멘, 한국 불교의 역사, 한국의 불교 사상, 한국어, 한국어의 한자어, 한국외국어대학교, 한자, 안거, 안나푸르나산, 하르샤, 하샤드 수, 암리타, 아라코시아, 필라프, 아라한, 아뢰야식, 아르다마가디어, 아리아인, 필리핀의 언어, 필리핀의 역사, 필리핀어, 아마라식, 아미타불, 아베스타 문자, 아부기다, 아나률, 아디트야, 아담의 다리, 아슈바고샤, 아함경, 아야남사, 아시아치타, 앙드레 말로, 앙코르 유적, 학술기어, 신 (불교), 신라의 불교, 심 (불교), 심불상응행법 (아비달마구사론), 심불상응행법 (아비달마순정리론), 심의식, 십분각 (점성술), 십자, 십이연기설, 십호, 티베트 불교, 티베트 대장경, 티베트어, 싱가포르석, 싱부리 주, 싱할라어, 시리우스, 원측, 월드비트 비나리, 후다라쿠산지, 황무지 (시), 환인, 화락천, 화엄경, 화합성, Navras, SKT (동음이의), T. S. 엘리엇, 12부경.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409 더) »

A Thousand Suns

A Thousand Suns는 미국 록 밴드 린킨 파크가 발매한 4번째 정규 음반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A Thousand Suns · 더보기 »

Across the Universe

〈Across the Universe〉(어크로스 더 유니버스)는 비틀즈에 의해 녹음된 곡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Across the Universe · 더보기 »

랭-8

랭-8(Lang-8)은 언어 교환 소셜 네트워크 웹사이트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랭-8 · 더보기 »

람캄행

행 대왕(1239년 ~ 1317년)은 태국의 왕조인 수코타이 왕조의 제 3대의 왕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람캄행 · 더보기 »

데바 (힌두교)

힌두교의 데바 (앙코르 와트의 부조) Kurma)가 가운데에 있고 데바들과 아수라들이 그 양 쪽에 있다 데바(देव Deva)는 하위신(영어의 god 또는 deity)을 뜻하는 산스크리트어 낱말로, 특히 힌두교의 남신을 가리.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데바 (힌두교) · 더보기 »

데바나가리 문자

바나가리 데바나가리 문자(देवनागरी)는 고대 인도에서 생겨나 발달한 문자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데바나가리 문자 · 더보기 »

데비

악마 마히쉬아수라를 죽이는 두르가 여신 사라스와티 데비()는 "여신(女神)"을 뜻하는 산스크리트어 낱말로 주로 힌두교에서 사용.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데비 · 더보기 »

델리의 철 기둥

리의 철기둥 기둥 상부 델리의 철기둥은 인도 델리 시 교외의 세계 유산 쿠트브 미나르 안에 있는 녹슬지 않는 철기둥.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델리의 철 기둥 · 더보기 »

더비 이슈트반

비 이슈트반(1943년 6월 12일 ~)는 헝가리의 번역가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더비 이슈트반 · 더보기 »

도리천

9산 가운데 하나이다. 도리천(忉利天)은 음역하여 다라야등릉사(多羅夜登陵舍) 또는 달리야달리사(怛唎耶怛唎奢)라고도 하며, 의역하여 33천(三十三天)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도리천 · 더보기 »

독말풀속

독말풀속 또는 다투라()는 가지과에 속하며 독성이 있는 한해살이 또는 여러해살이 속씨식물의 속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독말풀속 · 더보기 »

동계어

언어학에서, 동계어 (同系語, cognates co-+gnatus, 예) nasci '태어나다')는, 어느 한 단어가, 다른 한개의 언어와 일치하는 기원이 있는 단어로서, 이는 이 단어가 다른 언어의 단어들과 함께 (아마도 공통조상어의) 원래의 어느 단어에서 변화되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자면, 영어 단어 night(밤)는, 다른 언어에 있는 단어들(예) 프랑스어 nuit, 독일어 nackt, 산스크리트어의 nakti-)과 같은 어원을 가진다, 일상적으로 사용할 때는, 단순히 단어간의 동의어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동계어는 굳이 같은 의미를 가질 필요는 없다. dish (접시,영어)나 Tisch (탁자,독일어), starve(굶주리다, 영어)나 sterben(죽다, 독일어), head (머리, 영어)나 chef (우두머리/머리, 프랑스어) 의 경우는, 동계어라는 용어가 의미 분화가 일어나 결국 전혀 다른 단어가 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게다가 다른 의미를 지니고 있는, 언어적인 변화를 거친 동계어는 아예 발음상으로도 닮아 있지 않을 수 있다. cow (소)와 beef(소고기)는 둘다 똑같은 인도-유럽어족적인 루트 *gou- 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 cow의 경우에는 독일어족을 통해 발달되었지만, beef의 경우에는 이탈리아어파와 로망스어군을 거쳐 영어에 편입되었다. 또한, 동계어는 다른 언어에서 가져온 외래어에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영어의 To pay (돈을 내다)와 프랑스어의 payer가 유사한 것은 영어가 프랑스와 같이 갈리아-로망스어에서 분화된 노르웨이어의 단어에서 이를 빌려 온 데에서 기인한다.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동계어 · 더보기 »

동국정운

《동국정운》(東國正韻)은 1448년(세종 30년)에 반포된 한국 최초의 표준음에 관한 책, 운서(韻書)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동국정운 · 더보기 »

동남아시아

동남아시아(東南-, 월남어:Dông Nam Á(東南亞)는 아시아의 세부지역 중 하나이다. 판의 경계에 있으며(일본 포함) 지진과 화산 활동이 활발하다. 동남아시아는 지리적으로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동남아시아 · 더보기 »

동남아시아 문학

동남아시아의 문학(東南-文學)은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발달한 문학으로, 소수 천재의 두뇌노동의 산물이나 또는 극소수층의 지적 유희의 일종이라기보다는 오히려 민족의 욕구 내지는 소망의 자연적 발로로서 존재하여 왔.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동남아시아 문학 · 더보기 »

라마야나

마야나()는 고대 인도의 산스크리트의 대서사시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라마야나 · 더보기 »

라가

(산스크리트어 rāga राग, રાગ)는 인도의 고전 음악에서 쓰이는 음계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라가 · 더보기 »

라노미 크로모비조요

미 크로모비조요 (Ranomi Kromowidjojo, 1990년 8월 20일 ~)는 자유형을 주종목으로 하는 네덜란드의 수영 선수이며, 2012년 런던 올림픽 자유형 50m-100m 2관왕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라노미 크로모비조요 · 더보기 »

라슈트라쿠타 왕조

슈트라쿠타 왕조는 인도의 데칸 고원을 다스린 힌두 왕조(753~973)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라슈트라쿠타 왕조 · 더보기 »

라틴어

어(Lingua Latīna)는 이탈리아 반도의 중부에 있는 고대 로마와 그 주변 지역 라티움(Latium)에 정착하여 살던 라티움 사람들이 쓰던 언어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라틴어 · 더보기 »

락슈미

Raja Ravi Varma: 1848~1906) 작 락슈미()는 부(물질적영적) 번영빛지혜행운생식력관용용기의 힌두교 여신이며, 미은총매력의 전형 또는 화신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락슈미 · 더보기 »

락샤드위프 제도

락샤드위프 제도의 위치 락샤드위프 제도()는 라카디브 해와 아라비아 해 사이에 위치한 인도의 연방 직할지로 행정 중심지는 카바라티이며 인구는 60,595명(2001년 기준), 면적은 32km2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락샤드위프 제도 · 더보기 »

로버트 오펜하이머

줄리어스 로버트 오펜하이머(FRS, 1904년 4월 22일~1967년 2월 18일)는 미국의 이론물리학자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로버트 오펜하이머 · 더보기 »

로티 (음식)

(Roti)는 남아시아에서 특히 유명한 납작빵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로티 (음식) · 더보기 »

루드라

()는 힌두교의 리그베다의 신들 중의 하나로 바람과 폭풍우의 신이며 또한 사냥의 신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루드라 · 더보기 »

리그베다

리그베다(Rigveda)는 브라만교 및 힌두교의 정전(正典)인 투리야(Turīya. 4종의 삼히타라는 뜻) 의 하나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리그베다 · 더보기 »

리투아니아어

리투아니아어(lietuvių kalba)는 유럽 동부 발트해 연안의 리투아니아인이 사용하는 언어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리투아니아어 · 더보기 »

말레이어

말레이어(Bahasa Melayu, 자위: بهاس ملايو)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말레이 반도의 말레이족이 사용하는 언어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말레이어 · 더보기 »

만다라

금강계 만다라(Vajradhatu Mandala)가 그려져 있는 티베트 불교의 탕카 힌두교의 스리 얀트라(Sri Yantra) 만다라(曼茶羅, 曼陀羅)는 다양한 개체를 지칭하는 용어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만다라 · 더보기 »

만자문

힌두교의 만자문 만자문(卍字紋,, Svastika)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꺾인 십자 모양의 무늬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만자문 · 더보기 »

마라타 왕국

마라타 왕국(Maratha confederacy)은 무굴 제국에 반대하는 힌두교도들이 인도 중남부에서 결성한 나라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마라타 왕국 · 더보기 »

마누 법전

마누 법전()은 산스크리트어의 운문(韻文)으로 쓰인 12장 2,684조(條)로 이루어져 있는 고대 인도의 법전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마누 법전 · 더보기 »

마나슬루산

마나슬루산(Mt.Manaslu, 8,156m)은 세계에서 8번째로 높은 산으로, 산스크리트어로 ‘영혼의 산’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 1956년 5월 9일 일본의 Toshio Imanishi와 Gyalzen Norbu가 처음으로 등정에 성공하였.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마나슬루산 · 더보기 »

마니교

마니교()는 사산 왕조(226~651) 시대에 성립된 주요한 페르시아 영지주의 종교 가운데 하나로, 현존하지 않는 고대 및 중세의 종교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마니교 · 더보기 »

마우리아 왕조

마우리아 왕조(기원전 322년~기원전 185년)는 인도의 고대 제국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마우리아 왕조 · 더보기 »

마자파힛 제국

마자파힛 제국(Majapahit, 1293년 ~ 1520년)은 자와 중부에 번영하였던 왕조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마자파힛 제국 · 더보기 »

마음챙김

마음챙김(Mindfulness)이란 위빠사나 명상의 싸띠(sati)에서 유래한 용어로 "매 순간 순간의 알아차림"(moment-by-moment awareness)을 말. 마음챙김은 MBSR로 유명한 서양의 명상이고, 산스크리트어 스므리티, 팔리어 싸띠, 한국에서는 염(念)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마음챙김 · 더보기 »

마칼루산

마칼루산(Mt.Makalu)은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높은 산으로 네팔의 쿰부 히말 지역에 위치하고, 에베레스트산에서 동쪽으로 22km 떨어져 있. 높이는 8,463m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마칼루산 · 더보기 »

마투르

마투르(Mattur)는 남부 인도 칸나다어 사용 주인 카르나타카 주에 있는 마을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마투르 · 더보기 »

마하라자

마하라자(maharaja)는 산스크리트어로 대왕이나 상급왕을 뜻하는 말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마하라자 · 더보기 »

머라이언

머라이언파크의 머라이언 상. 관광객에게 가장 널리 알려진 싱가포르의 아이콘이다. 마운트 페이버의 머라이언 상. 머라이언(Merlion)은 싱가포르의 상징물로서 상반신은 사자, 하반신은 물고기의 모습을 한 가공의 동물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머라이언 · 더보기 »

멸(滅)의 일반 사전적인 뜻은 '(불이) 꺼지다, (불을) 끄다, 멸망하다, 없어지다, 죽다, 다하다' 등인데, 불교 용어로서의 멸(滅)에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멸 · 더보기 »

멘델레예프가 예측한 원소들

미트리 이바노비치 멘델레예프는 1869년에 최초의 원소주기율표를 만들었으며, 그는 여기서 화학 원소들을 가벼운 것부터 무게 순으로 나열하였.  멘델레예프가 그의 원소주기율표를 작성하였을 때, 그는 사이사이에 공백을 남겨두었고, 그 빈칸을 채우기에 알맞은 성질을 가진 원소들이 있을 것이라 예측하였.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멘델레예프가 예측한 원소들 · 더보기 »

메갈라야 주

메갈라야 주()는 인도 북동부에 위치한 주로 주도는 실롱이며 인구는 2,175,000명(2000년 기준), 면적은 22,429km2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메갈라야 주 · 더보기 »

메사르팀

양자리 감마(Gamma Arietis)는 양자리에 있는 삼중성계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메사르팀 · 더보기 »

목건련

목건련이 어머니를 구하다. 목건련 (目犍連, 산스크리트: maudgalyaayana, 음사: 목련, 역: 채복근, 채숙씨, 찬송, 마우두가리야야나, 못가라나 등) 은 석가의 직속제자의 한 명. 제자중에서 신통 제일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목건련 · 더보기 »

몽골 문자

몽골 문자(монгол бичиг)는 몽골어를 위해 만들어진 여러 표기 체계들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몽골 문자 · 더보기 »

묠니르

바이킹 시대의 묠니르 펜던트. 크기는 약 4.6 센티미터이고 은에 금도금을 했다. 스웨덴 욀란드 섬에서 발견되었다. 묠니르()는 노르드 신화의 천둥신 토르의 망치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묠니르 · 더보기 »

무루간

공작을 타고 있는 무루간 (라자 라비 바르마 작) 무루간 (कार्तिकेय)은 힌두교의 남신(데바)으로 전쟁과 승리의 신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무루간 · 더보기 »

무명 (불교)

무명(無明) 또는 치(癡,, moha, mūdha,,, delusion)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무명 (불교) · 더보기 »

무구정광대다라니경

《무구정광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陀羅尼經, T.1024) 또는 《다라니경》은 대승불교 경전의 하나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무구정광대다라니경 · 더보기 »

무상삼매

무상삼매(無想三昧) 또는 니르비칼파 사마디는 삼매의 하나로서 유상삼매(有想三昧) 보다 깊은 경지를 말.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무상삼매 · 더보기 »

무형문화유산 목록

각 나라별 무형유산 수 무형문화유산 목록에는 유네스코가 등록한 인류무형문화유산의 목록으로, 2가지 목록이 있. 일반적인 인류문화유산 대표목록(Representative List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과 긴급보호가 필요한 무형문화유산 목록(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Need of Urgent Safeguarding)으로 이루어져 있. 2001년 19개 유산이 처음 지정되었고, 2003년 28개, 2005년 43개, 2009년 76건, 2010년 45건, 2011년 18건, 2012년 27건, 2013년 25건, 2014년 34건, 2015년 23건이 새로 대표목록에 등재되면서 전체 336건이 되었.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무형문화유산 목록 · 더보기 »

무키아 우파니샤드

108권의 우파니샤드의 집성을 가리키는 아드바이타 베단타 학파의 묵티카(Muktika) 정전의 처음 10권을 무키아 우파니샤드(Mukhya Upanishads) 또는 간단히 무키아.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무키아 우파니샤드 · 더보기 »

무아

무아(無我)는 산스크리트어 아나트만(anātman, anatman) 혹은 니르아트만(nir-ātman)의 번역어로 비아(非我).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무아 · 더보기 »

문자별 언어 목록

이 문서는 사용문자에 따른 언어목록을.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문자별 언어 목록 · 더보기 »

문수보살

문수보살(文殊菩薩, 산스크리트어: मञ्जुश्री, 만주슈리)은 ‘훌륭한 복덕(福德)을 가진’ 혹은 ‘완전한 지혜를 가진’ 불교 보살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문수보살 · 더보기 »

묘법연화경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소장 《묘법연화경》 2권 변상도(1340년 고려(高麗)에서 간행)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또는 《법화경》(法華經)은 대승경전의 하나로, 예로부터 모든 경전의 왕으로 생각되었으며, 초기 대승경전(大乘經典)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경전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묘법연화경 · 더보기 »

미르체아 엘리아데

미르체아 엘리아데(1907년 ~ 1986년)는 루마니아에서 태어난 비교종교학자이자 작가였.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미르체아 엘리아데 · 더보기 »

미트라교

솔이 만찬을 하는 장면이 묘사되어 있다. 양면 부조, 로마 근처의 피아노 로마노, 기원후 2~3세기. 루브르 박물관 바위에서 태어나는 미트라: 대리석, AD 180-192. 로마의 스테파노 로톤도 출토 솔이 4두4륜 마차를 타고 있고 오른쪽 위에 달의 여신 루나가 2두2륜 마차를 타고 있다 미트라 밀교(Mithraic Mysteries 또는 Mysteries of Mithras)는 미트라(Mithras)라는 신을 주된 신앙 대상으로 하는 밀의종교(mystery religion)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미트라교 · 더보기 »

미탄니

고대 근동: 아나톨리아의 남동부와 메소포타미아 북부에 미탄니(Mitanni)가 있으며 미탄니의 북서쪽에 히타이트(Hittites)가 남동쪽에 아시리아(지도의 "Assur")가 있다 기원전 1400년경의 고대 근동: 당시에 미탄니 왕국은 최대 판도를 가졌다 기원전 1300년경의 고대 근동: 미탄니 왕국(지도에서 "Hanigalbat")이 아직 아시리아에게 멸망당하기 전의 상황이다 쿠르디스탄의 위치 미탄니(Mitanni) 또는 하니갈바트(Hanigalbat)는 기원전 1500년경부터 1300년경 동안 고대 근동의 지금의 시리아 북부 지역과 아나톨리아 남동부 지역(대략 오늘날의 쿠르디스탄 지역에 해당한다)을 지배하였던 온건성향의 국가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미탄니 · 더보기 »

믿음 (불교)

믿음 또는 신(信)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믿음 (불교) · 더보기 »

방콕

방콕(프랑스어/영어: Bangkok) 정식 명칭 끄룽텝 마하나콘(로마자: Krung Thep Maha Nakorn), 말하기 끄룽텝()은 태국의 수도이자 가장 큰 도시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방콕 · 더보기 »

백단

백단(白檀, 학명 Santalum album)은 단향과의 반기생 열대성 상록수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백단 · 더보기 »

발리섬

발리섬()은 인도네시아의 섬으로 자와 섬 동쪽에 자리하고 있. 관광지로 널리 알려져 있. 인구는 약 310만 명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발리섬 · 더보기 »

발우

발우(鉢盂)는 절에서 쓰는 승려의 공양 그릇으로, 나무나 놋쇠로 만들고 발우대, 발다라, 바리때, 바리 따위로 부른.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발우 · 더보기 »

개잎갈나무

잎갈나무는 구과목 소나무과의 식물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개잎갈나무 · 더보기 »

반야

반야(般若)는 산스크리트어 프라즈냐(प्रज्ञा prajñā) 또는 팔리어 빤냐(paññā)를 음에 따라 번역한 낱말로, 뜻에 따라 번역하여 지혜(智慧)라고도 하며 간단히 지(智) 또는 혜(慧).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반야 · 더보기 »

반야경

Prajñāpāramitā 자와 섬, 인도네시아 공화국. 《반야경(般若經)》은 원제가 프라즈냐파라미타 수트라()이며, 한역의 원제는 《반야바라밀다경(般若波羅蜜多經)》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반야경 · 더보기 »

반야심경

《반야심경》(般若心經)은 《대반야바라밀다경》의 요점을 간략하게 설명한 짧은 경전으로, 당나라 삼장법사인 현장(玄裝)이 번역한 것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반야심경 · 더보기 »

바라밀

바라밀(婆羅蜜) 또는 바라밀다(波羅蜜多)는 산스크리트어 빠라미따(पारमिता pāramitā)를 음에 따라 번역한 것으로, 완전한 상태구극(究極)의 상태최고의 상태를 뜻.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사상 > 초기 대승불교의 사상 > 6바라밀,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6바라밀: 六婆羅蜜 바라밀이란 빠라미따(Paramita)의 음사(音寫)로서 완전·구극(究極)·최고의 상태라는 뜻인데, 불교의 교리상으로는 도피안(到彼岸), 즉 이상경(理想境)으로 들어가는 것을 말하며, 현실의 차안(此岸)에서 이상의 피안으로 사람들을 넘기기 위한 행(行)이라는 점에서 도(度)라고도 번역.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바라밀 · 더보기 »

바라제목차

바라제목차(波羅提木叉)는 승려가 지켜야할 계율에 관한 조항을 모아둔 것으로 목차(木叉)로 줄여 부르거나, 계본(戒本)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바라제목차 · 더보기 »

바가바

바가바(婆伽婆,,, bhagavant)는 고타마 붓다를 비롯한 부처의 지위를 증득한 이를 칭하는 호칭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바가바 · 더보기 »

바가바타 푸라나

인드라가 내리는 천둥과 번개를 동반한 폭풍우로부터 자신의 친구들을 보호하기 위해 크리슈나가 고바르단 산을 들어올리고 있다 (Bh. P. X.17) 《바가바타 푸라나(Bhāgavata Purāṇa)》는 비슈누 신의 아바타들에 대한 박티(헌신)를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는 힌두교 경전으로 마하푸라나들 중의 하나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바가바타 푸라나 · 더보기 »

바스마티

현미(왼쪽)와 바스마티 쌀을 비교한 모습. 바스마티(Basmati)는 전통적으로 인도 아대륙이 원산지인 길고 홀쭉한 낟알을 가진 방향족 쌀의 종류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바스마티 · 더보기 »

바이셰시카 학파

바이셰시카 학파()는 힌두교의 정통 육파철학 중의 하나로, 승론(勝論)으로 한역(漢譯)되어 승론 학파(勝論學派)라고도 불린.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바이셰시카 학파 · 더보기 »

바사라

바사라()란 일본의 남북조 시대의 사회풍조 또는 문화적 유행을 나타내는 말이며 실제 당시 유행어로 사용된 적도 있. 기록에는 바사라(婆裟羅) 등의 한자로도 표기하고 있. 범어의 바즈라(vajra)는 금강석를 가리키는 말이지만, 의미의 전화에 있어서는 불명확.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바사라 · 더보기 »

간다라

(산스크리트어와)는 현재의 파키스탄 북부와 아프가니스탄 동부에 자리하였던 고대 왕국(마하자나파다스) 가운데 하나의 이름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간다라 · 더보기 »

박트리아

박트리아의 고대 도시 박트리아(Bactriana)는 힌두쿠시 산맥과 아무다리야 강(옥서스) 사이에 있는 나라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박트리아 · 더보기 »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

강화학파(江華學派) 육대계승(六代繼承)이란 효민공 석문 이경직(李景稷)의 현손(4代孫)으로 이광명(李匡明)이 10세 때(숙종 36년, 1710년)에 부친상(진사 이진위(李眞偉))을 당하자 모친 은진송씨의 뜻에 따라 강화도 사기리(沙磯里)에 장사지내고 그 묘 밑에서 기거하면서 한말 영재 이건창(李建昌), 경재 이건승(李建昇), 난곡 이건방(李建芳) 형제의 대에 이르기까지 강화도 사기리는 강화학파의 근거지가 되었으며 6대 250 여 년간 가학(家學)으로 강화학파를 계승해온 학자 지식인들을 일컫.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 · 더보기 »

밀림

thumb 밀림(密林) 또는 정글(jungle)은 더운 지방에 자리잡은 빽빽한 숲, 특히 열대우림을 부르는 말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밀림 · 더보기 »

가전연

전연 (迦旃延) 은 석가의 십대제자의 한 명. 논의제일로 칭. 마하 (Maha.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가전연 · 더보기 »

밀양 표충사 청동은입사향완

이 향로는 가는 은실을 청동으로 만들어진 향로에 새겨 넣는 방법으로 제작되었다. 향롯전에는 산스크리트어 6자가 새겨져 있다. 밀양 표충사 청동은입사향완(密陽 表忠寺 靑銅銀入絲香垸)은표충사에 있는 향로인데 고려 19대 명종 7년(1177년)에 제작되었.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밀양 표충사 청동은입사향완 · 더보기 »

가사 (옷)

장삼과 가사를 걸친 스님 모습 가사(袈裟, 산스크리트어: काषाय, 카사야)는 불교 승려가 회색 장삼 위에 입는 장방형의 포를 말.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가사 (옷) · 더보기 »

가야트리

신을 상징한다 가야트리(गायत्री Gāyatrī)는 힌두교의 학문과 지식의 여신이며 브라흐마의 배우자 여신들 중 하나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가야트리 · 더보기 »

베르나쿨라

베르나쿨라()는 한 나라 또는 지역에서 사용하는 언어를 가리.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베르나쿨라 · 더보기 »

베다어

베다 산스크리트어(Vedic Sanskrit)는 인도이란어파의 인도아리아어군에 속한 언어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베다어 · 더보기 »

베텔게우스

베텔게우스 또는 베텔기우스()(바이어 명명법으로 표기하여 오리온자리 알파, α Ori)는 밤하늘에서 여덟 번째로 밝으면서 오리온자리에서 두 번째로 밝은 별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베텔게우스 · 더보기 »

겸익

익(謙益: fl. 526)은 백제의 이름난 승려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겸익 · 더보기 »

경장

경장(經藏)은 경(經: Sutra)을 집대성한 것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경장 · 더보기 »

범패

범패(梵唄)는 절에서 재(齋)를 올릴 때 쓰는 음악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범패 · 더보기 »

버마어

버마어(မြန်မာဘာသာ, IPA)는 미얀마의 공용어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버마어 · 더보기 »

버마어 수사

버마어 수사는 버마어에서 나타나는 수사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버마어 수사 · 더보기 »

법 (불교)

법(法)은 산스크리트어 다르마(Dharma)의 번역으로서, "지키는 것지지하는 것"이 원뜻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법 (불교) · 더보기 »

법 (인도철학)

법(法, Dharma)은 인도철학에서 산스크리트어 낱말 다르마(달마)로도 불리는 자연법으로, 인도철학과 종교에 중요한 개념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법 (인도철학) · 더보기 »

법계 (불교)

법계(法界)는 산스크리트어 다르마다투(Dharmadhatu)의 역어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법계 (불교) · 더보기 »

법구경

《법구경》(法句經, K.1021, T.0210)은 서기 원년 전후의 인물인 인도의 다르마트라타()가 편찬한 불교의 경전으로 석가모니 사후 삼백년 후에 여러 경로를 거쳐 기록된 부처의 말씀을 묶어 만들었.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법구경 · 더보기 »

법현

법현(法顯: 함강 3년(337)~영초 3년(422))은 중국 동진의 승려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법현 · 더보기 »

법신

법신(法身)은 산스크리트어 다르마카야(धर्म काय, Dharmakāya)의 번역어로 문자 그대로의 뜻은 진리의 몸(truth body) 또는 실재의 몸(reality body)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법신 · 더보기 »

보리 (불교)

보리(菩提)는 팔리어와 산스크리트어에서 수행자가 최종적으로 도달할 수 있는 참다운 지혜깨달음 또는 앎의 경지를 일컫는 단어 bodhi(बोधि)에서 나왔다. 이는 깨어나다, 알게 되다, 알리다, 알다, 혹은 이해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어근 budh로부터 형성된 추상 명사로, 팔리어 동사 bujjhati나 산스크리트어 동사 bodhati 및 budhyate 등을 통해 이를 알 수 있다. 보제(菩提)라고도 한다. 불교에서 보리는 고타마 붓다와 그에게 가르침을 받은 나한들이 얻었다고 하는 깨달음, 또는 그 깨달음을 얻기 위한 수행 과정을 일컫는다. 이는 우주의 참 모습에 대한 올바른 인식으로 묘사되기도 하며, 보리를 얻은 뒤에는 윤회의 고리에서 벗어난다고 가르친다. (해탈 참고.).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보리 (불교) · 더보기 »

보현보살

보현보살(普賢菩薩, 산스크리트어:समन्तभद्र,, 사만타바드라)은 불교의 진리와 수행의 덕을 맡은 보살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보현보살 · 더보기 »

보살

거란의 요나라시기 제작된 관세음보살상: 유희좌 자세를 취하고 있다 보살(菩薩)은 부처(깨달은 사람 또는 존재)가 되기 위해 수행하는 사람(초기불교 경전-니까야에서의 정의), 또는 여러 생을 거치며 선업을 닦아 높은 깨달음의 경지에 다다른 위대한 사람을 뜻. 특히 대승불교에서 강조되었.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보살 · 더보기 »

과학

원자의 보어 모형은 실험에 의해 검증된 과학 이론으로, 나중에 보다 정교한 실험을 통해 부분적으로 반증되었다. 이와 같은 사례는 과학사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과학(科學, Science)은 사물의 구조·성질·법칙 등을 관찰 가능한 방법으로 얻어진 체계적·이론적인 지식의 체계를 말. 좁게는 인류가 경험주의와 방법론적 자연주의에 근거하여 실험을 통해 얻어낸 자연계에 대한 지식들을 의미.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과학 · 더보기 »

과학사

학사(History of science)는 자연세계에서 인류의 역사적 발전을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과학사 · 더보기 »

변행인

변행인(遍行因)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변행인 · 더보기 »

광목천왕

광목천왕(廣目天王), 비루팍쉬()은 수미산 중턱 서쪽에 살면서 많은 용을 권속으로 서방을 지키는 사천왕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광목천왕 · 더보기 »

관세음보살

세음보살(觀世音菩薩)은 불교의 보살 가운데 가장 잘 알려진 보살 중 하나로, 석가모니의 입적 이후 미륵이 출현할 때까지 중생들을 고통으로부터 지켜주는 대자대비(大慈大悲)의 보살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관세음보살 · 더보기 »

불멸기원

불멸기원(佛滅紀元)은 석가모니가 입멸한 해를 기준으로 삼는 연대 표기법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불멸기원 · 더보기 »

불공

불공(不空: 705~774)은 당나라 시대의 불교승이자 밀교 경전의 역경자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불공 · 더보기 »

불교

불교 만자. 한반도에서도 사용된다. 불교(佛敎)는 기원전 6세기경 인도의 고타마 붓다(석가모니) 에 의해 시작된 종교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불교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ㄷ

(斷見)은 세간(世間)과 자아(自我)는 사후(死後)에 완전히 소멸된다는 견해로, 즉 인과의 상속, 업(業)의 상속 또는 심상속(心相續)을 부정하는 견해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불교 용어 목록/ㄷ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ㅊ

1.차별(差別) 또는 차별상(差別相)은 사물과 다른 사물 간의 상(相,: 모양형상상태성격성질본질, mark, token, sign, characteristic, attribute)의 차이 또는 차별을 말. 사물 간에 서로 상(相)의 차이 또는 차별이 있기 때문에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은 각각의 사물을 다른 사물과 다른 것으로 표상(요별, 식별)할 수 있. 한편,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의 이러한 표상작용과 그 세력(적집, 집합)을 상(想) 또는 상온(想蘊)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불교 용어 목록/ㅊ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ㅍ

8근(八根)은 22근 가운데 신근(信根)근근(勤根)염근(念根)정근(定根)혜근(慧根)의 5선근(五善根)과 미지당지근(未知當知根)이지근(已知根)구지근(具知根)의 3무루근(三無漏根)을 통칭하는 말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불교 용어 목록/ㅍ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ㅈ

자구(自具)는 자기 자신이 있을 수 있게 원인 또는 자기 자신이 자랄 수 있게 자량(資糧: 자재와 식량)이라는 뜻으로, 예를 들어, '번뇌의 자구(自具)'는 번뇌 자신이 있게 하는 원인 또는 번뇌 자신이 자랄 수 있게 하는 자량(資糧: 자재와 식량)을 말. '번뇌의 자구(自具)'는 비리작의(非理作意) 즉 참답지 못한 사유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불교 용어 목록/ㅈ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ㅂ

바깥은 내적인 것에 대해 외적인 것을 뜻. 예를 들어, 근(根)경(境)식(識)에서 가설적 존재로서의 나를 기준으로 할 때 근과 식은 내적인 것이며 경은 외적인 것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불교 용어 목록/ㅂ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ㅇ

아가사(阿迦舍)는 허공(虛空)의 다른 말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불교 용어 목록/ㅇ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ㅅ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불교 용어 목록/ㅅ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경

경각(警覺)의 일반 사전적인 의미는 '잘못을 하지 않도록 정신을 차리고 깨어 있음' 으로, 불교 용어로는 심경각성(心警覺性) 또는 경각성(警覺性)의 줄임말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불교 용어 목록/경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정

불교 용어로서의 정에는 다음의 용어들이 있.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불교 용어 목록/정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지

경(至境)은 근(根)과 직접 접촉한 대상을 말. 지(至), 즉 "직접 접촉"은 무간(無間)이 생겨나는 것을 말하는데, 무간(無間)은 근(根)과 경(境)이 이들 사이에 어떠한 간격도 없이 서로 근접한다는 뜻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불교 용어 목록/지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유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불교 용어 목록/유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온

올타남(嗢拕南, 嗢拖南)은 우타나(優陀那,, uddāna)의 다른 말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불교 용어 목록/온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삼

3계(三界)는 불교의 우주론 또는 세계관을 구성하는 존재계인 욕계(欲界)색계(色界)무색계(無色界)의 3가지 계(界)를 통칭하는 낱말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불교 용어 목록/삼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삽

삽가야견(颯迦耶見)은 유신견(有身見)의 다른 말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불교 용어 목록/삽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선

선(善)이란, 《보살영락본업경》 하권의 〈7.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불교 용어 목록/선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소

소(燒)는 궤핍, 결핍 또는 부족을 의미하며, 번뇌의 다른 이름들 중 하나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불교 용어 목록/소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심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불교 용어 목록/심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시

시(時)는 시간(時間)의 다른 말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불교 용어 목록/시 · 더보기 »

불교 아나키즘

불교 아나키즘은 아나키즘의 이념을 불교(특히 선)의 가르침과 관련시킨 개념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불교 아나키즘 · 더보기 »

불교의 우주론

9산 가운데 하나이다. 불교의 우주론의 1수미세계(一須彌世界)를 묘사한 중국의 14세기 혁사(緙絲: 실크로 짠 태피스트리) 깨달음을 나타낸다. 달을 가리키고 있는 붓다는 6도윤회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불교의 우주론에 따르면, 우주 즉 세계 또는 세간(世間)은 크게 유정세간(有情世間)기세간(器世間)의 2종세간(二種世間)으로 나뉘거나, 보다 세분하여 중생세간(衆生世間)국토세간(國土世間)5온세간(五蘊世間)의 3종세간(三種世間)으로 나뉜다. 2종세간 가운데 유정세간은 3종세간 가운데 중생세간에 해당하는데, 세계 또는 우주를 스스로 지은 바 업에 따라 그곳에 태어나 거주하는 유정들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보아 구분하는 것이다. 그리고 2종세간 가운데 기세간은 3종세간 가운데 국토세간에 해당하는데, 세계 또는 우주를 유정들의 처소 즉 유정들이 태어나서 거주하는 거주처라는 관점에서 바라보아 구분하는 것이다. 그리고 3종세간 가운데 5온세간은 세계 또는 우주를 5온이 공하다는 무아의 이치를 깨닫는다는 관점 즉 '깨달음에 들어가는' 길의 관점에서 바라보아 구분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4향4과9지10지42현성52위 등의 수행계위가 5온세간에 해당한다. 2종세간과 3종세간의 각 세간들은 서로 긴밀히 관련되어 있는데, 이 문서에서는 크게 기세간과 유정세간으로 나누어 기술한다. 즉 기세간 즉 국토세간 즉 '유정들이 거주하는 처소'를 먼저 다루고, 그 다음으로 유정세간 즉 중생세간 즉 '기세간에 거주하는 유정들'에 관련된 주제들에 대해 기술한다. 5온세간에 대해서는 이 문서에서는 다루지 않으며, 5온 문서와 수행계위에 대한 여러 문서들로 대신한다. 기세간의 구조형성소멸 등에 대해서는 《장아함경》 제18권 〈30. 세기경(世紀經)〉, 《대루탄경(大樓炭經)》, 《기세경(起世經)》, 《기세인본경(起世因本經)》 등의 경전과 《구사론》 등의 부파불교의 논서들과 《대승아비달마집론》 등의 대승불교의 논서들에서 설해지고 있는데, 이들 경전들과 논서들에 따르면, 우주 또는 법계는 3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를 말하며, 하나의 3천대천세계는 한 명의 부처의 교화의 영역이기 때문에 1불찰(一佛剎)1불국(一佛國) 또는 1불토(一佛土), 즉 하나의 불국토라고 한다. 3천대천세계를 이루는 기본 구성 단위를 1세계(一世界)1소세계(一小世界)1수미세계(一須彌世界) 또는 1사천하(一四天下)라고 한다. 1수미세계라는 명칭은 기본 구성 단위를 이루는 1세계의 중심 또는 근간이 되는 것이 수미산(須彌山)이기 때문에 붙여진 명칭이다. 1사천하라는 명칭은 기본 구성 단위를 이루는 1세계에 인간도의 유정 즉 인간이 사는 네 개의 대륙이 있는 것에 근거한 명칭이다. 즉, 1세계에는 수미산을 중심으로 4방에 4대주(四大洲)가 있다는 것을 가리키는 명칭이다. 1수미세계는 풍륜(風輪: 바람)수륜(水輪: 물)금륜(金輪: 땅)의 3륜(三輪) 또는 여기에 공륜(空輪)을 더한 4륜(四輪)과 9산8해(九山八海)와 4대주(四大洲) 그리고 욕계의 하늘들인 6욕천과 색계무색계의 하늘들로 구성되는데, 수미산은 9산 가운데 하나로, 하나의 수미세계의 가장 중심에 있는 산이다. 그리고, 나머지 여덟 산은 실제로는 산맥이다. '3륜 또는 4륜과 9산8해와 4대주와 6욕천과 색계무색계의 하늘들을 포함한, 1개의 태양과 1개의 달이 있는 1수미세계 즉 1세계'가 1000개 모여서 소천세계(小千世界)를 이루고, 소천세계가 1000개 모여서 중천세계(中千世界)를 이루며, 중천세계가 1000개 모여서 대천세계(大千世界)를 이룬다. 이와 같이 천(千, 1000)이 3번 중첩되었다고 하여 대천세계를 3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라고도 하며 또는 1대3천세계(一大三千世界) 즉 하나의 대 3천세계라고도 한다. 또는 간단히 3천세계(三千世界)라고도 한다. 이러한 3천대천세계가 우주 즉 법계를 이룬다. 따라서 엄밀히 계산하면 1수미세계가 10억 개 모인 것이 하나의 우주인데, 불교의 우주론에 따르면 이것은 단지 표현상의 서술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대천세계 즉 우주는 실제로는 1수미세계 즉 1세계가 천백억(千百億.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불교의 우주론 · 더보기 »

불상

Gandhara: 1세기 - 2세기): 고타마 붓다를 표현한 최초의 불상들 중 하나이다 마투라 불상: 고타마 붓다의 보살상 (2세기) Gandhara)는 현재의 파키스탄 북부와 아프가니스탄 동부에 자리하였다 국보 제83호) 불상(佛像)은 부처와 보살의 형상(形象形像)을 가리.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불상 · 더보기 »

불성

불성(佛性)은 '부처의 본성', '깨달음 그 자체의 성질', 또는 '부처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뜻하는 불교 용어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불성 · 더보기 »

불화합성

불화합성(不和合性) 또는 불화합(不和合)은 불교에서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불화합성 · 더보기 »

부루나

부루나 (富楼那, 산스크리트: Purna Maitrayani-putra) 는 십대제자의 한 명. 설법제일.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부루나 · 더보기 »

부남

부남(扶南) 또는 푸난(Funan)은 1세기부터 7세기에 걸쳐 메콩 강 하류 지역에 발흥한 앙코르 왕조 이전의 고대 왕국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부남 · 더보기 »

부정견

부정견(不正見) 또는 악견(惡見)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부정견 · 더보기 »

부처

삼매에 든 고타마 붓다 (석굴암) 부처 또는 여래(如來), 세존(世尊), 붓다()는 인도 불교에서 "깨달은 자", "눈을 뜬 자"라는 뜻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부처 · 더보기 »

부탄

부탄 왕국(), 약칭 부탄()은 인도와 중화인민공화국 사이의 히말라야 산맥에 있는 남아시아의 나라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부탄 · 더보기 »

그리스 신화

오-클레멘티노 미술관, 원형 전시관) 그리스 신화(-神話)는 고대 그리스의 신과 영웅, 우주관, 그리고 그리스 고유의 종교 의례와 의식 행위의 기원 및 의미에 대한 신화와 전설을 말. 그리스 신화는 고대 그리스 종교의 한 부분을 이루고 있. 현대의 학자들은 고대 그리스 문명의 신화를 토대로 한 연구를 통하여 고대 그리스의 종교와 정치 제도를 파악하고, 이러한 요소들이 신화로 만들어지게 된 생성 원리를.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그리스 신화 · 더보기 »

그리스의 이름

리스와 그리스 민족을 이르는 수많은 이름이 있는데, 그리스인들 자신들도 여러 이름으로 부른.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그리스의 이름 · 더보기 »

기수법

수법(記數法, numeral system)은 수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방법으로, 기수법을 통해서 나타나는 각각의 숫자는 다른 수들과 구별되는 표기 방식을.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기수법 · 더보기 »

브라만 (카스트)

서벵골 주의 브라만, 라빈드라나트 타고르 브라만(Brahmin,婆羅門)은 인도의 카스트제도 중에서 가장 상층의 계급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브라만 (카스트) · 더보기 »

브라흐미계 문자

각 지방문자로 나타낸 주별 공용어 브라흐미계 문자(Brahmi系 文字)는 브라흐미 문자를 시조로 하는 인도 반도,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널리 쓰이는 아부기다 꼴 문자의 총칭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브라흐미계 문자 · 더보기 »

금강반야바라밀경

강반야바라밀경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은 한국의 대표 불교 종단인 조계종의 소의 경전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금강반야바라밀경 · 더보기 »

금강산

강산(金剛山)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금강군 · 고성군 · 통천군에 걸쳐있는 산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금강산 · 더보기 »

금석문자경

석문자경()은 에이아이넷이 제작하고 키노쿠니야쇼텐이 판매하는 윈도용의 한자 검색 소프트웨어와 출력용 글꼴을 함께 묶은 입출력용 응용 소프트웨어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금석문자경 · 더보기 »

깜팽펫 주

팽펫 주()는 태국의 주(창왓)의 하나로 태국의 북부에 위. 이웃한 주로는 북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수코타이 주, 핏사눌록 주, 피칫 주, 나콘사완 주, 딱 주가 있.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깜팽펫 주 · 더보기 »

빔라오 람지 암베드카르

빔라오 람지 암베드카르 (Bhimrao Ramji Ambedkar, 1891년 4월 14일 ~ 1956년 12월 6일)는 인도의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 교육자, 인권 운동가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빔라오 람지 암베드카르 · 더보기 »

빔비사라

빔비사라의 감옥, 라즈기르 빔비사라(बिम्भिसार, 頻婆娑羅 기원전 558—기원전 491)는 마가다 제국의 하리얀카 왕조의 왕(기원전 543년 즉위)이었.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빔비사라 · 더보기 »

비교 재구

비교 재구(comparative reconstruction)란 공통의 언어로부터 분기되었다고 믿어지는 둘 이상의 언어들이 있을 때 이들 언어들을 체계적으로 비교해서 그 언어들이 분화되기 이전 상태의 언어인 공통조어를 재구하는 연구 방법론을 말. 비교 재구의 궁극적인 목표는 모든 층위를 포괄하는 전체적인 조어의 모습을 세밀한 부분까지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재구하는 것이나, 현재까지의 비교 재구에 연관된 연구들은 주로 말소리의 비교 재구에 집중이 되어 있었기 때문에 비교 재구는 일반적으로 말소리의 비교 재구를 가리.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비교 재구 · 더보기 »

비교언어학

비교언어학()은 같은 기원을 가진 언어들의 관계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어나는 언어의 변화를 다루는 학문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비교언어학 · 더보기 »

비득

비득(非得)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비득 · 더보기 »

비슈누파

가루다를 타고 있는 비슈누와 락슈미 비슈누 신전 비슈누파()는 비슈누나 그의 아바타들, 특히 라마(Rama)와 크리슈나(Krishna)를 최고신(最高神) 또는 주신(主神)으로 숭배하는 힌두교 종파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비슈누파 · 더보기 »

김규식

식(金奎植, 1881년 2월 28일 ~ 1950년 12월 10일)은 대한제국의 종교가, 교육자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 운동가, 통일운동가, 정치가, 학자, 시인, 사회운동가, 교육자였다 언더우드 선교사의 비서, 경신학교의 교수와 학감 등을 지내고 미국에 유학하였.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김규식 · 더보기 »

대격

격 (對格, accusative case, casus accusativus, 약어 ACC)는 명사가 취하는 격 중 하나로, 주격 및 대격이 형식적으로 표시되는 언어에서 타동사의 직접목적어를 표시할 때 사용되는 형태를 말. '목적격'이라고도 하며, 독일어 에서는 4격()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대격 · 더보기 »

대법론

법론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대법론 · 더보기 »

대승불교

승불교(大乘佛敎) 또는 마하야나()는 "대승(大乘)"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큰 탈것"(great vehicle) 또는 "뛰어난 탈 것"이라는 뜻이며, '탈 것'이란 '가르침'을 비유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가르침에 의해 사람들을 미혹의 세계로부터 깨달음의 세계로 실어간다는 것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대승불교 · 더보기 »

대승기신론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은 대승불교의 논서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대승기신론 · 더보기 »

대장경

대한민국 해인사에 보관중인 팔만대장경 대장경(大藏經)은 불경을 집대성한 경전을 말. 부처가 사용한 언어는 동부 인도의 속어(俗語)인 고대 마가다어라고 하는데 이 언어에 관한 한 문헌은 오늘날 전혀 존재하지 않으며 그것이 서북 인도의 속어인 팔리어로 옮겨져 스리랑카로부터 동남아시아로 전해지게 되었.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대장경 · 더보기 »

대일경

태장계 만다라: 가운데에 여덟 개의 연꽃 잎이 있는 원이 있는데 이 원의 중심부에 대일여래가 있으며 각 연꽃 잎에도 한 명의 부처 또는 보살이 있다 《대일경(大日經)》은 불교의 밀교의 경전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대일경 · 더보기 »

대지도론

《대지도론》(大智度論, K.0549, T.1509)은 《대품반야경(大品般若經)》의 주석서로 인도의 대승불교 승려인 용수(龍樹: 150?~250?)가 저술한 불교 논서 또는 주석서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대지도론 · 더보기 »

대한불교불입종

불교 불입종(大韓佛敎佛入宗)은 1965년 10월 31일 서울 동대문구 숭인동 178의 8 소재 묘각사(妙覺寺)에서 이홍선(李泓宣) 스님이 창종하였으며 법화사상계(法華思想系)에 속한 한국불교의 한 종파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대한불교불입종 · 더보기 »

교토 상가 FC

상가 FC()는 일본 교토를 연고지로 하는 J리그 팀으로 1922년에 창. 2007년에 기존의 교토 퍼플 상가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변경.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교토 상가 FC · 더보기 »

구루 (산스크리트어)

()는 특히 인도 종교에서 "선생"을 뜻하는 산스크리트 용어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구루 (산스크리트어) · 더보기 »

구자라트 문자

자라트 문자는 구자라트어와 쿠치어를 기록하는 데 쓰이는 브라흐미 문자계열의 아부기다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구자라트 문자 · 더보기 »

구축병마주

축병마주(驅逐病魔呪)는 ‘질병과 잡귀를 몰아내는 주문’ 또는 ‘병마를 물리치게 하는 주문’이란 뜻이며, 증산도의 자료에 따르면, 이 주문은 불교와 도교에 전해지는 주문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구축병마주 · 더보기 »

구신

신(句身)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구신 · 더보기 »

굴절어

절어(屈折語)는 종합어(綜合語)의 한 유형으로, 문장 속의 문법적 기능에 따라 단어의 형태가 변화하는 언어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굴절어 · 더보기 »

굽타 왕조

굽타 왕조()는 쿠샨 왕조가 멸망한 후 4세기 초에 찬드라굽타1세가 건국하여 북인도를 지배하던 제국이었.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굽타 왕조 · 더보기 »

남아프리카 공화국

아프리카 공화국(RSA)은 아프리카 대륙 최남단에 자리한 공화국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남아프리카 공화국 · 더보기 »

난조 분유

조 분유(南条文雄, 가에이 2년 5월 12일(1849년 7월 1일) ~ 쇼와 2년(1927년) 11월 9일)는 일본의 불교학자, 종교가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난조 분유 · 더보기 »

나라티왓 주

왓 주()는 태국 남부의 주(창왓)의 하나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나라티왓 주 · 더보기 »

나가

(라오스,비엔티안) 나가는 인도 신화에서 대지의 보물을 지키는 반(半)신격의 강력한 힘을 소유한 뱀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나가 · 더보기 »

나가르주나

용수(龍樹: 150?-250?)는 중관(中觀Madhyamaka)을 주창한 인도의 불교 승려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나가르주나 · 더보기 »

나찰

300px 나찰(羅剎)은 힌두교와 불교 신앙의 귀신으로 사람을 잡아먹고 살며, 지옥에서는 죄인을 못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나찰 · 더보기 »

나콘나욕 주

욕 주()는 태국 중부에 있는 주(창왓)의 하나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나콘나욕 주 · 더보기 »

나콘사완 주

사완 주(Nakhon Sawan Province)는 태국 북부에 위치한 창왓(주)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나콘사완 주 · 더보기 »

나콘시탐마랏 주

시탐마랏 주()는 태국 남부의 주(창왓)의 하나로, 타이 만의 연안에 위. 이웃한 주는 남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송클라 주, 파탈룽 주, 뜨랑 주, 끄라비 주, 수랏타니 주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나콘시탐마랏 주 · 더보기 »

나유타

유타(那由他, 那由陀, 那庾多)는 인도의 수의 단위 명칭으로서, 산스크리트어 nayuta (또는 (Sanskrit: नयुतः, नियुतम्)를 음역한 말이다. 나유다(那由多), 니유다(尼由多), 나유(那由), 나술(那述, 那術)이라고도 한다. 나유타는 산스크리트어로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은 수' 라는 뜻이다. 불교 경전에서 구지(俱胝), 아승기(阿僧祇) 등과 함께 많은 수를 나타내는 수의 단위로 자주 사용된다. 화엄경에서는 아유다(ayuta, 阿由多, 阿諛多)를 제곱한 수의 단위로 나온다. 다만 수의 단위는 화엄경 번역본에 따라 차이가 있다. 80 권본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제 30 아승기품에서는 나유타는 124 개의 큰 수 단위 중 제 4 번째의 수의 단위로 10^ 즉 10^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구지는 2번째 나오는 수의 단위로 10^이고, 아승기는 제 105 번째의 수의 단위로 10^가 된다. 한편 60 권본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제 25 심왕보살문아승기품(心王菩薩問阿僧祇品)에 의하면 나유타는 121 개의 큰 수 단위 중 제 3 번째의 수의 단위로 10^ 즉 10^가 된다. 참고로 여기에서 구지, 즉 구리(拘梨)는 첫 번째 나오는 수의 단위로 10^이고, 아승기는 103 번째의 수의 단위로서 10^ 즉 10^가 된다. 나유타(那由他)는 한자 문화권에서도 수의 단위로 사용된다. 원대의 주세걸(朱世傑)이 원 대덕(大德) 3년(1299년)에 편찬한 《산학계몽(算學啓蒙)》에서는 화엄경의 내용과 달리, 나유타를 아승기의 1억배 큰 수로 제시한다. 이에 의하면 나유타(那由他)는 10^, 아승기(阿僧祇)는 10^가 된다. 일반적으로 1060을 가리키며, 1072로 쓰는 경우도 있다.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나유타 · 더보기 »

나후라

후라 (羅睺羅, 이름에 대해서는 후술) 는 석가의 친자식이며, 또 그 제자의 1명.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나후라 · 더보기 »

낙건나

9산 가운데 하나로 기세간의 중심에 있다. 낙건나(諾健那)는 불교의 신들 중의 하나로, 6도 가운데 인간도에 거주하는 대력신(大力神) 즉 큰 힘을 가진 신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낙건나 · 더보기 »

등각

불교에서 등각(等覺)은 다음의 세 가지 뜻으로 사용되고 있.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등각 · 더보기 »

드베르그

19세기에 출판된 〈무녀의 예언〉 삽화의 드베르그. 로렌츠 프뢸리히의 1895년 그림. 드베르그()는 게르만 신화에서 산맥 깊은 곳과 지하세계에 산다고 하는 존재들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드베르그 · 더보기 »

네팔의 국장

의 국장 네팔의 국장은 2008년 5월 28일 공화정 수립과 함께 제정되었.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네팔의 국장 · 더보기 »

다문천왕

범어사 일주문과 불이문 사이에 있는 천왕문의 다문천왕 상 다문천왕(多聞天王) 또는 바이스라바나(वैश्रवण, Vaiśravana)는 불교의 사천왕 중 수미산의 북방을 수호하는 천왕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다문천왕 · 더보기 »

다울라기리산

울라기리산(Mt.Dhaulagiri, 8,167m)은 네팔 북중앙에 위치한, 세계 제7봉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다울라기리산 · 더보기 »

다이쇼 신수 대장경

이쇼 신수 대장경() 또는 대정신수대장경(大正新脩大藏經, 大正新修大藏經), 신수대장경(新脩大藏經) 약칭 대정장(大正藏)은 1924~1934년에 일본 다이쇼 일체경 간행회(大正一切経刊行会)에서 출판한 대장경으로, 모두 88권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다이쇼 신수 대장경 · 더보기 »

단딘

(Daṇḍin)은 고대 인도의 전기(傳奇)소설 작가·시론학자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단딘 · 더보기 »

달마 이니셔티브

마 이니셔티브(Dharma Initiative) 혹은 달마(DHARMA, Department of Heuristics and Research on Material Applications)는 미국의 드라마 로스트의 가공의 연구 집단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달마 이니셔티브 · 더보기 »

ISO 639

ISO 639는 전 세계의 언어 명칭에 고유 부호를 부여하는 국제 표준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ISO 639 · 더보기 »

스리위자야 제국

스리위자야()는 말레이 지역에서 강력한 제해권을 가졌던 도시 국가였.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스리위자야 제국 · 더보기 »

스마르타파

스마르타파()는 힌두교의 모든 주요한 신들이 브라만(Brahman)이 형상화된 존재들 또는 브라만의 여러 모습들이라고 믿는 힌두교 종파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스마르타파 · 더보기 »

우동 (캄보디아)

우동 우동()은 캄보디아 캄퐁스페우 주의 도시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우동 (캄보디아) · 더보기 »

우르두어

우르두어(اُردو)는 인도의 고대 언어인 산스크리트어에 이슬람의 진출로 인한 아랍어와 페르시아어의 영향을 받아 발달한 인도-셈족-아리안계의 독특한 언어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우르두어 · 더보기 »

우바리

우바리(優波離)는 석가의 십대제자의 한 명. 지률제일로 칭해졌.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우바리 · 더보기 »

우바새와 우바이

우바새와 우바이(優婆塞와 優婆夷)는 불교의 출가하지 않은 신자들, 즉 남녀 재가신자(在家信者)를 통칭하는 낱말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우바새와 우바이 · 더보기 »

우파니샤드

우파니샤드()는 힌두교의 이론적사상적 토대를 이루는 철학적 문헌들의 집성체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우파니샤드 · 더보기 »

승려

이의 불교 수도승 승려(僧侶)는 불교의 출가 수행자를 가리카는 말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승려 · 더보기 »

승만경

《승만경(勝鬘經)》은 대승 불교 경전 중의 하나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승만경 · 더보기 »

승가

승가(僧迦)는 산스크리트어의 상가(संघ, saṃgha)의 음역으로서 중(衆)화합중(和合衆)으로 번역.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승가 · 더보기 »

슈드라카

슈드라카(Śudraka)는 고대 인도의 극작가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슈드라카 · 더보기 »

요 도종

요 도종 야율홍기(遼 道宗 耶律洪基, 1032년 ~ 1101년)는 요나라의 제8대 황제(재위: 1055년 ~ 1101년)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요 도종 · 더보기 »

요가

요가 명상을 하고 있는 시바 요기 조각상 요가()는 힌두교의 종교적영적 수행 방법의.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요가 · 더보기 »

자판 배열

일반적인 컴퓨터 자판 배열 자판 배열(字板配列), 키보드 레이아웃()은 타자기, 전신 인자기, 컴퓨터 등의 자판의 문자 시퀀스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자판 배열 · 더보기 »

자야데바

자야데바(Jayadeva)는 인도의 산스크리트 서정시인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자야데바 · 더보기 »

자야바르만 7세

자야바르만 7세의 동상 자야바르만 7세(Jayavarman VII, 크메르어: ជ័យវរ្ម័នទី៧)(1125년 - 1218년)는 크메르 제국(1181-1218)의 가장 위대한 왕으로 평가받는 왕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자야바르만 7세 · 더보기 »

자와어

자와문자 자와어()는 인도네시아 자와 섬 중부 및 동부에 사는 자와족이 쓰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는 언어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자와어 · 더보기 »

펠드하위스 표기법

위스 표기법은 펠드하위스()가 1991년 에 산스크리트어 데바나가리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만든 입력법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펠드하위스 표기법 · 더보기 »

장프랑수아 샹폴리옹

장프랑수아 샹폴리옹 장 프랑수아 샹폴리옹(Jean-François Champollion, 1790년 12월 23일 ~ 1832년 3월 4일)은 프랑스의 이집트학 연구가로서 이집트 상형문자의 해독에 처음으로 성공하였.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장프랑수아 샹폴리옹 · 더보기 »

재거리

재거리 재거리()는 사탕수수 즙이나 야자나무 수액으로 만드는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의 전통 비정제 설탕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재거리 · 더보기 »

재규어

재규어(jaguar, 학명: Panthera onca)는 아메리카대륙에서 사는 고양이과 척추동물로, 구대륙의 호랑이, 사자, 표범과 함께 표범속의 네 ‘큰 고양이’ 중 하나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재규어 · 더보기 »

힌두 점성술

조티샤(또는 산스크리트어로 "빛과 천체"를 뜻하는 조티스에서 파생된 조티시)는 힌두의 점성술과 천문학의 체계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힌두 점성술 · 더보기 »

힌두 철학

힌두 철학(Hindu philosophy) 또는 힌두교 철학은 여섯 정통 학파로 나뉘기 때문에 육파철학(六派哲學) 또는 인도 육파철학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힌두 철학 · 더보기 »

힌두교

'''옴(AUM)''': 힌두교에서 부르는 깨닫는 소리 힌두교()는 남아시아에서 발생한 종교로 인도를 비롯한 남아시아에서 널리 믿어지고 있는 종교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힌두교 · 더보기 »

힌두교의 신

힌두교의 경전은 힌두교의 신인 천계의 존재들을 천신(天神)이라고 표현.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힌두교의 신 · 더보기 »

힌디어

힌디어 방언의 분포 힌디어(हिन्दी)는 인도유럽어족의 인도이란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영어와 함께 1965년 1월 26일 이후로 인도의 공용어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힌디어 · 더보기 »

히말라야산맥

히말라야산맥(─山脈)은 아시아의 산맥으로 인도아대륙과 티베트고원 사이에 놓여 있. 넓게는 히말라야 산맥과 이어진 카라코람산맥과 힌두쿠시산맥 및 파미르고원의 여러 산맥을 포함해서 말. 에베레스트산을 비롯한 14 개의 8000미터 봉우리가 모두 이곳에 모여 있. 히말라야산맥 바깥에서 가장 높은 산은 안데스산맥에 있는 6,959 m의 아콩카과산이므로, 7,000 m가 넘는 산들은 모두 히말라야 산맥에 속하므로, '세계의 지붕'이라 일컬어지는 곳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히말라야산맥 · 더보기 »

히타이트어

히타이트어는 현재 터키 중앙 북쪽의 아나톨리아 지방에 해당하는 고대 하투사스(현 보아즈칼레) 지역에 제국을 세운 히타이트인들이 쓰던 언어로 현재는 사멸되었.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히타이트어 · 더보기 »

크메르어

메르어(ភាសាខ្មែរ)는 캄보디아의 공용어로, 베트남어와 더불어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을 이루는 주요 언어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크메르어 · 더보기 »

포카란 2차 핵 실험

2차 핵 실험은 1998년 라자스탄 주 포카란의 지하 핵 실험장에서 실시된 인도의 2차 핵실험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포카란 2차 핵 실험 · 더보기 »

포탈라궁

궁()은 중화인민공화국 티베트 자치구에 위치한 건축물로, 역대 달라이 라마의 궁궐로 쓰였.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포탈라궁 · 더보기 »

폴라리스

리스(작은곰자리 알파, α UMi, 보통 북극성으로 부른다.)는 작은곰자리에서 가장 밝고 밤하늘 전체에서는 50 번째로 밝은 별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폴라리스 · 더보기 »

이라와디강

이라와디 강(Irrawaddy River)은 미얀마 중앙을 흐르는 강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이라와디강 · 더보기 »

이슬람 철학

이슬람 철학 (영어: Islamic philosophy)은 철학 중에서도 이슬람 문화권을 중심으로 발달한 철학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이슬람 철학 · 더보기 »

인도

인도 공화국()은 남아시아에 있는 나라로, 인도 아대륙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 국가 면적은 세계에서 일곱 번째로 넓으며, 인구는 약 13억 명으로 중화인민공화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 북쪽과, 북동쪽으로는 중화인민공화국, 북쪽으로는 네팔, 부탄, 서쪽에는 파키스탄, 동쪽으로는 미얀마와 방글라데시, 남동쪽에는 벵골 만, 남서쪽으로는 아라비아 해, 남쪽으로는 인도양와 맞닿아 있으며 스리랑카, 몰디브가 있으며,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의 해상경계는 태국, 인도네시아와 접해 있. 수도는 뉴델리이.주요 도시로는 뉴델리, 뭄바이, 첸나이, 벵갈루루, 하이데라바드, 콜카타등이 있. 고대 인더스 문명의 발상지이자 역사적인 무역로였으며 거대한 제국이 있었던 인도 아대륙은 오랫동안 그 지정학적 지위와 경제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아왔.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인도 · 더보기 »

인도 루피

(통화 기호: Rs 또는 ₹, ISO 코드: INR)는 인도의 공식 통화로, 발행은 인도 준비은행에서 통제.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인도 루피 · 더보기 »

인도 문학

인도(印度)는 원래 인구가 많고 국토가 넓은데 이에 따른 민족의 이동종교의 복잡성다양한 언어 등의 요인으로 인해 인도의 문학(印度의 文學)도 단순하지가 않. 종교의 종류도 브라만교불교자이나교힌두교 등의 인도 고유의 것이 있고 외부로부터 유입된 이슬람교조로아스터교 등이 있으며, 이들 종교들 상호간에는 충돌과 교류가 있었.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인도 문학 · 더보기 »

인도 아대륙

위성에서 본 인도 아대륙 인도 아대륙(印度亞大陸) 또는 인도 반도(印度半島)는 현재 남아시아에서 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등의 나라가 위치한 지역을 말하며, 지리적으로 북동쪽은 히말라야 산맥, 서쪽은 아라비아 해, 동쪽은 벵골 만으로 둘러싸인 지역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인도 아대륙 · 더보기 »

인도네시아어

인도네시아어(자위:بهاس إندونيسيا), 통칭 인니어(印尼語)는 인도네시아의 공용어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인도네시아어 · 더보기 »

인도이란어파의 언어 목록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인도이란어파의 언어 목록 · 더보기 »

인도의 공용어 목록

인도에는 수많은 언어가 존재하는데, 적어도 800여 개의 언어와 2000여 개의 방언이 밝혀져 있. 인도 헌법에는 정부 기관 내에서는 공식적인 의사 소통은 영어와 힌디어만 허용하도록 규정되어 있. 주 단위로는 각 주에서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공용어(official languages)와, 공용어에 준하는 위치로 사용되는 공용 인정어(officially recognised languages)가 지정되어 있. 이 외에 정부에서 지정한 22개의 계획어(scheduled languages)가 있. 타밀나두 주와 같이 힌디어를 거의 쓰지 않는 곳의 반발을 막기 위해 1965년부터 영어는 힌디어에 대한 ‘보조적인 공용어’가 되었.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인도의 공용어 목록 · 더보기 »

인도의 역사

인도의 역사는 호모 에렉투스가 생활하던 시기인 50만년 전까지 소급될 수 있. 호모 사피엔스는 7만5천년 전 타밀 나두 지방에서 생활하기 시작하였.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인도의 역사 · 더보기 »

인도유럽조어

인도유럽조어(Proto-Indo-European language, PIE)는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언어들의 근간이 되었으리라고 여겨지는 언어이며, 이를 현대의 언어학자들이 재구성한 조어를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인도유럽조어 · 더보기 »

인도유럽어족

인도유럽어족(印度-語族)은 유럽과 서아시아, 남아시아에 살고 있는 민족들의 언어가 속하는 어족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인도유럽어족 · 더보기 »

인도아리아어군

인도아리아어군은 인도이란어파의 한 어군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인도아리아어군 · 더보기 »

인도아리아어군의 언어 목록

* 고전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인도아리아어군의 언어 목록 · 더보기 »

음성학

음성학(音聲學)은 사람의 말소리(와 수어에서 이와 관련 있는 요소)를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음성학 · 더보기 »

의정 (승려)

의정 의정(義淨, 635~713)은 중국 당대(唐代)의 학승(學僧)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의정 (승려) · 더보기 »

의순

의순(意恂: 1786년 5월 2일(음력 4월 5일)~ 1866년 9월 10일(음력 8월 2일))은 조선 후기의 승려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의순 · 더보기 »

점성술의 별자리

점성술의 별자리(占星術~ ~, astrological signs)는 서양 점성술에서 양자리의 시작점이라고도 알려진 춘분점(천구 적도와 황도의 교차점)에서 시작하는 황도의 30º씩의 열두 개의 구간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점성술의 별자리 · 더보기 »

점성술의 역사

의 관찰과 지상의 사건 사이의 관련성에 대한 점성술(占星術, astrology)의 신앙은 세계관과 언어 그리고 사회적 문화의 많은 요소를 포함하는 인간 역사의 여러 국면에 영향을 주어오고 있. 인도유럽어 민족에서, 점성술은 신과의 소통하는 신호로써 계절적 변화를 예언하고 천체의 주기를 해석하는데 사용된 달력 체계에 뿌리를 두고 기원전 삼천년을 거슬러 올. 17세기까지, 정성술은 학문의 전통으로 여겨졌고 천문학의 발전에 도움이 되었.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점성술의 역사 · 더보기 »

전륜성왕

원전 1세기의 전륜성왕 부조. 아소카 왕을 묘사한 것으로 추정. 전륜성왕(轉輪聖王)은, 고대 인도의 사상에서 말하는 이상적인 군주상으로, 지상을 무력이 아닌 정법(正法)으로 전 세계를 통치하며 군주에게 요구되는 모든 조건을 갖추고 있. 산스크리트어로는 차크라바티라쟈() 또는 차크라바르틴()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전륜성왕 · 더보기 »

정토삼부경

《정토삼부경(淨土三部經)》은 정토교의 근본 성전인 《대무량수경(大無量壽經)》 2권, 《관무량수경(觀無量t壽經)》 1권, 《아미타경(阿彌陀經)》 1권으로 된 3종의 대승경전(經典)의 총칭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정토삼부경 · 더보기 »

좌선

좌선(坐禪)은 불교의 수행법 중 하나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좌선 · 더보기 »

종교

슬라브 신이교의 상징. 종교(宗敎)란 규정된 믿음을 공유하는 이들로 이루어진 신앙 공동체와 그들이 가진 신앙 체계나 문화적 체계(cultural system)를 말. 종교는 인간과 관련된 존재의 우주적 질서(a cosmic order of existence)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종교 · 더보기 »

주자행

주자행(朱子行: 203~282)은 한족 출신으로서 최초로 출가한 승려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주자행 · 더보기 »

중생

중생(衆生)은 산스크리트어 사트바(sattva)의 번역어로 유정(有情)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중생 · 더보기 »

즈냐나

()는 "지식(Knowledge)" 또는 "앎(Knowing)"을 뜻하는 산스크리트어 및 팔리어 낱말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즈냐나 · 더보기 »

즈냔피트 상

상(Jnanpith Award) 또는 갼피트 상, 인도 도서관상은 인도에서 최고 권위를 자랑하는 문학상으로, 사후 자인(Sahu Jain) 가가 설립한 문학 및 문헌학 연구 기관인 바라티야 즈냔피트가 수여.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즈냔피트 상 · 더보기 »

진언종

언종(眞言宗)은 불교의 종파로, 신라의 승려인 혜통(惠通: fl. 7세기)을 종조로 하는 해동 진언종과 일본의 승려인 구카이(홍법 대사)에 의해서 9세기 초에 열린 일본의 진언종이 있.동양사상 > 한국의 사상 > 통일신라시대의 사상 > 통일신라시대의 불교사상 > 혜통,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종교·철학 > 한국의 종교 > 한국의 불교 > 한국불교의 역사 > 삼국시대의 불교 > 밀교의 전래,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동양사상 > 동양의 사상 > 일본의 사상 > 불교사상 > 진언종,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신라의 승려인 명랑(明朗: fl. 668)은 진언종의 별파인 해동 신인종(神印宗)의 종조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진언종 · 더보기 »

진여

여(眞如)는 "있는 그대로의 것""꼭 그러한 것"을 뜻하는 산스크리트어 타타타(तथाता, tathātā)의 번역어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진여 · 더보기 »

지론종

종(地論宗)은 고대 중국불교의 13종 가운데 하나로, 《화엄경》 · 《능가경》 · 《십지경론》 · 《금강선론》 등을 소의 경론으로 하는 종파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지론종 · 더보기 »

지관 (불교)

(止觀, śamatha-vipaśyanā)은 불교의 수행법인 지(止)와 관(觀)을 통틀어 말하는 것으로, 지(止)는 산스크리트어 사마타(śamatha)를 뜻에 따라 번역한 것이고, 관(觀)은 산스크리트어 비파사나(vipaśyanā 비파스야나)를 뜻에 따라 번역한 것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지관 (불교) · 더보기 »

지나

1921년 대만 유학생들의 졸업 사진, 본 사진에서는 대만에 유학하는 중국본토인을 '지나유학생'이라고 불렀다. 사진 출처는 국립 타이완 박물관. 1939년 도쿄 依林서점 출판,〈장중북지 몽강상도(掌中北支‧蒙疆詳圖)〉 지나(支那)란 중국을 가리키는 호칭 중 하나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지나 · 더보기 »

지장보살

장보살(地藏菩薩, 산스크리트어: क्षितिगर्भ, 크시티가르바)은 석가모니불의 열반 후 세상에 내려올 때까지의 무불 시대(말법 시대)에 육도 중생(六道衆生)을 교화하겠다는 큰 서원을 세운 보살(대비보살)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지장보살 · 더보기 »

차크람

을 지니고 있는 시크교도 차크람(Chakram)은 산스크리트어로 '고리'라는 뜻이며, 평평한 고리 모양의 금속으로 만들어진 무기인데 원반형 고리의 바깥쪽 모두 날이 달려 있. 폭이 약 2~4m인 고리의 직경은 10~30cm의 링 모양이며 무게는 0.15~0.5kg 가량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차크람 · 더보기 »

차크라

요가 아사나 자세와 차크라 차크라(Chakra)는 산스크리트 용어로 원 또는 바퀴를 의미.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차크라 · 더보기 »

차이야품 주

이야품 주()는 태국 북동부의 주(창왓)의 하나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차이야품 주 · 더보기 »

차투랑가

랑가 차투랑가(Chaturanga)는 고대 인도의 보드 게임으로, 체스나 장기(쇼기 및 샹치), 막룩과 같은 현대 보드 게임의 공통 조상으로 생각.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차투랑가 · 더보기 »

찬드라

상 (13세기), 대영박물관 소장. 찬드라(IAST: Candra)Graha Sutras By Ernst Wilhelm, Published by Kala Occult Publishers p.51는 힌두교의 달의 신이자 구요성의 한 신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찬드라 · 더보기 »

찬드라 엑스선 관측선

엑스선 관측선은 1999년 7월 23일 미국 항공우주국이 STS-93으로 쏘아 올린 인공위성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찬드라 엑스선 관측선 · 더보기 »

찬드라얀 1호

얀 1호(Chandrayaan-1)는 인도의 달 탐사선으로, 현지 시간 2008년 10월 22일 오전 6시 22분(UTC+5:30)에 인도 안드라프라데시 주 스리하리코타의 사티시 다완 우주 센터(Satish Dhawan Space Centre)에서 자체 개발한 PSLV-C11 로켓에 탑재되어 발사되었.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찬드라얀 1호 · 더보기 »

참파

1100년경 참파의 영역. 연녹색이 참파, 노란색은 대월, 연파랑은 크메르 제국이다 참파 왕국(192년 - 1832년)은 베트남 중부 지방에 위치해 있던, 인도네시아계의 옛 참 족이 세운 왕국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참파 · 더보기 »

천 (불교)

(天)은 산스크리트어 데바(deva)의 번역어이기도 하지만 또한 데바로카(deva-loka)의 번역어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천 (불교) · 더보기 »

천연두

연두(天然痘) 또는 두창(痘瘡), 마마(媽媽, smallpox)는 천연두바이러스(바리올라 마요르) 또는 작은마마바이러스(바리올라 미노르) 중 하나에 감염되면 발생하는 전염병이었.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천연두 · 더보기 »

처녀성

성(處女性)은 순수성을 표현하는 용어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처녀성 · 더보기 »

촌부리 주

부리 주(Chonburi Province)는 태국 동부의 주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촌부리 주 · 더보기 »

무용(舞踊), 무도(舞蹈)는 음악 또는 박자에 맞춰 몸을 움직이는 예술적 행위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춤 · 더보기 »

출가

(出家)는 산스크리트어 프라브라자나(pravrajana)의 번역어로, 번뇌에 얽매인 세속에서의 인연을 버리고 재가생활(在家生活)을 떠나 오로지 불교 수행에 힘쓰는 것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출가 · 더보기 »

축법호

축법호(竺法護: fl. 266년 ~ 313년)는 서진 시대에 활약한 역경승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축법호 · 더보기 »

취 (불교)

(取)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취 (불교) · 더보기 »

카로슈티 문자

슈티 문자는 고대의 남아시아 서북부 및 중앙아시아에서 사용된 문자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카로슈티 문자 · 더보기 »

카마 수트라

마수트라()는 고대 인도의 성애(性愛)에 관한 문헌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카마 수트라 · 더보기 »

카스트

스트제(- 制, 신분제)는 인도의 신분계층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 인도에서는 1947년 법적으로 금지되었지만 아직도 중장년이나 노년계층 또는 시골사람들에게는 인식속에 남아있.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카스트 · 더보기 »

카우샴비

삼비(Kosambi, 팔리어) 또는 카우샴비(Kaushambi, 산스크리트어)는 기원전 500년 인도의 붓다 시대의 최대 도시 중의 하나였.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카우샴비 · 더보기 »

카일라스산

일라스 산(산스크리트어: कैलाश पर्वत)은 티베트 고원 서부에 위치하는 우뚝 솟은 봉우리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카일라스산 · 더보기 »

카타사리트사가라

사리트사가라(Kathāsaritsāgara, 이야기가 흘러들어가는 바다)는 고대 인도의 산스크리트 설화집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카타사리트사가라 · 더보기 »

칼리 (힌두교)

신들이 이 광경을 보고 있다 칼리() 또는 칼리카()는 힌두교의 여신으로, 힌두교 전통에 따르면 우주의 영원한 에너지와 관계가 있는 여신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칼리 (힌두교) · 더보기 »

칼리다사

리다사 칼리다사(Kālidāsa)는 고대 인도의 시인·극작가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칼리다사 · 더보기 »

치송데짼

송데짼(ཁྲི་སྲོང་ལྡེ་བཙན, Khri-sRong lDe-bTsan, Trisong Detsen, Chisong Dêzän, 742년 ~ 797년)은 토번의 제38대 짼뽀(재위: 756년 ~ 797년)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치송데짼 · 더보기 »

캄보디아의 대외 관계

보디아는 UN 회원국이며, 세계은행과 IMF의 특별 회원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캄보디아의 대외 관계 · 더보기 »

캄보디아의 역사

이것은 캄보디아사를 설명한 문서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캄보디아의 역사 · 더보기 »

쿠샨 제국

샨 왕조(30년경 - 375년경)는 타지키스탄, 카스피 해, 아프가니스탄, 갠지스 강 상류를 가로지르던 제국이었.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쿠샨 제국 · 더보기 »

쿤달리니

리니()는 인간 안에 잠재된 우주 에너지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쿤달리니 · 더보기 »

판드야 왕조

야()는 고대 타밀의 미지의 고대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판드야 왕조 · 더보기 »

판차탄트라

(Pancatantra, 5편의 이야기)는 고대 인도의 설화집(說話集)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판차탄트라 · 더보기 »

판차실라 (정치 이념)

인도네시아의 국장 판차실라()는 인도네시아의 건국 5원칙으로, 산스크리트어 단어인 "판차" ("Panca", "다섯" 이라는 뜻)와 "실라" ("Sila", "원칙" 이라는 뜻)의 합성어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판차실라 (정치 이념) · 더보기 »

유마경

《유마경(維摩經)》은 원명을 비말라키르티 수트라(Vimalakīrti Sūtra)라고 하며 《반야경》에 이어 나타난 초기 대승경전 중에서도 그 성립이 오랜 것 중의 하나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유마경 · 더보기 »

유가행파

유가행파(瑜伽行派) 또는 요가차라()는 4세기 인도의 무착스님이 만든 대승불교 종파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유가행파 · 더보기 »

유대-말라얄람어

유대-말라얄람어는 유대 제어의 일종으로 인도 남부 케랄라 주에 사는 코친 유대인이 쓰는 말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유대-말라얄람어 · 더보기 »

유쟁법과 무쟁법

유쟁법과 무쟁법 즉 '유쟁법(有諍法)무쟁법(無諍法)의 쌍'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유쟁법과 무쟁법 · 더보기 »

유신견

유신견(有身見,,,, self view, identity view) 또는 살가야견(薩迦耶見)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유신견 · 더보기 »

윤회

윤회(輪廻) 또는 삼사라()는 일정한 깨달음, 경지 또는 구원된 상태에 도달하지 못한 사람은 그 깨달음, 경지 또는 구원된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하여 이 세상으로 재탄생한다는 교의 또는 믿음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윤회 · 더보기 »

윌리엄 캐리

윌리엄 케리(William Carrey 1761년 8월 17일~1834년 6월 9일)는 인도에서 활동한 영국 침례교 선교사이며 번역가, 사회개혁가, 그리고 문화 인류학자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윌리엄 캐리 · 더보기 »

파스파 문자

스파 문자(영어: Phagspa script 또는 'Phags-pa script), 팔사파어(八思巴語)는 1265년 몽골 원나라(元) 국사(國師)인 파스파(八思巴)가 쿠빌라이 칸(세조 世祖)의 명을 받아 몽골어를 표기하기 위해 만든 문자로서, 몽골신자·방형몽골문자라고도 하는데, 파스파의 백부(伯父) 사펜이 처음 고안한 것을 파스파가 개량한 것이라는 설도 있. 몽골어뿐 아니라 중국어·티베트·산스크리트 ·튀르크 등 몽골 통치 아래 있는 여러 민족의 언어를 표기하기 위한 공용문자로 고안되어 1269년 처음 완성되어 공표되었는데, 본래 티베트 문자를 방형화(方形化), 즉 네모지게 만들고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세로로 쓰게 만든 표음문자로 자음 30자, 모음 8자, 기호 9개로 되어 있었고, 뒤에 성종(成宗) 및 무종(武宗)의 제사(帝師)인 추크 오세르가 연모음(軟母音)과 복합 모음의 표기법을 고안·개정하여, 모음 8자, 자음 31자의 39개 자모(字母)로 개량되었.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파스파 문자 · 더보기 »

파탄잘리

아디 세슈아(Adi Sesha)의 화신으로서의 파탄잘리(Patanjali) 파탄잘리(Patañjali) (fl. 기원전 150년, 기원전 2세기경, 기원전 1세기 ~ 기원후 5세기Gavin D. Flood (1996), 《》, Cambridge University Press: UK, p.96, 또는 기원전 3세기 ~ 기원후 4세기)는 《요가 수트라(Yoga Sutras)》의 편찬자로 힌두교의 정통 육파철학 중 하나인 요가 학파의 창시자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파탄잘리 · 더보기 »

팔라 왕조

왕조(Pala dynasty)는 750년에서 1174년경까지, 인도 북동부 지역(벵골 지역과 비하르 지방을 중심으로 한 지역)을 지배한 불교 왕조(750년 - 1162년 또는 1174년)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팔라 왕조 · 더보기 »

팔리어

빨리어 또는 빠알리어(Pāḷi, Pāli, पाऴि)는 인도아리아어군의 중세 인도아리아어(중기 인도아리아어) 즉 프라크리트어에 속하는 언어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팔리어 · 더보기 »

팔리어 대장경

리어 대장경 또는 팔리어 경전은 팔리어로 씌어진 불교 경전의 총칭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팔리어 대장경 · 더보기 »

팔식

8식(八識,, astau vijñānāni) 또는 8식신(八識身)은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에서 마음(즉 심왕, 즉 심법)을 구성하고 있다고 보는 안식이식비식설식신식의식말나식아뢰야식의 8가지의 식(識)을 말. 8식은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의 법체계에서 5위, 즉 심법(心法: 8가지)심소법(心所法: 51가지)색법(色法: 11가지)심불상응행법(心不相應行法: 24가지)무위법(無爲法: 6가지)의 5가지의 그룹들 가운데 첫 번째 그룹인 심법을 이. 마음(즉 심왕, 즉 심법)이 8식으로 나뉜다는 견해는, 8식을 그대로 인정하거나 8식에 암마라식(菴摩羅識) 또는 무구식(無垢識)을 더한 9식(九識)을 세우는 등 다소간의 차이가 있지만 8식을 받아들인다는 면에서 보면,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뿐만 아니라 화엄종천태종선종 등 대승불교 전반에서 받아들이고 있는 견해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팔식 · 더보기 »

상응

상응(相應)의 원어로는 팔리어로는 상윳따(saṃyutta)가 있으며, 산스크리트어로는 삼프라육타(saṃprayukta)와 삼프라요가(saṃprayoga)의 2가지가 있. 첫 번째의, 팔리어의 상윳따(saṃyutta)의 번역어로서의 상응(相應)은 가르침을 주제에 따라 분류하여 배열한 것을 말하는데, 예를 들어, 팔리어 대장경의 5부(五部,, 니까야) 중 《상응부(相應部)》의 팔리어 원어명이 상윳따 니까야(Samyutta Nikāya)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상응 · 더보기 »

상좌부 불교

상좌부 불교(上座部佛敎) 또는 테라바다(Theravada)는 부처의 계율을 원칙대로 고수하는 불교를 말. 대중부 불교와 함께 인도 불교의 2대 부문(部門)의 하나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상좌부 불교 · 더보기 »

샤덴프로이데

샤덴프로이데 (또는 드물게 Schadensfreude)는 남의 불행이나 고통을 보면서 느끼는 기쁨을 말. 상반되는 뜻을 담은 두 독일어 단어 'Schaden' (손실, 고통)과 'Freude' (환희, 기쁨)의 합성어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샤덴프로이데 · 더보기 »

샤스트라

샤스트라(는 일반적인 의미로는 "교육지식규칙"을 뜻하는 산스크리트 낱말이다. 이 낱말은 일반적인 용도로는 실용적인 분야의 기술적이고 전문적인 문헌들의 제목에서 끝에 붙는 단어로 흔히 사용된다. 예를 들면 바스투샤스트라아르타샤스트라 등이 있다. 이런 일반적인 용법이 확대되어 "샤스트라"는 특정 교의 또는 사상을 해설하는 불교 또는 힌두교의 논서(論書)를 가리키는 낱말로 사용되었으며, 위의 일반적인 뜻보다 이런 뜻으로 더 자주 사용된다. 특히, 불교의 경우 "샤스트라"는 특정 수트라(Sutra), 즉, 특정 불교 경전에 대한 주석서를 의미하는 경우가 흔하다. 이 경우 불교 경전은 붓다의 지위에 도달한 존재가 설한 것을 기록한 문헌을 뜻한다. 예를 들어, 용수의 《대지도론》과 원효의 《금강삼매경론》은 각각 고타마 붓다 또는 붓다의 지위에 속한 존재들이 설한 《반야경》과 《금강삼매경》의 주석서이다. 이 때문에 경(經)이라고 하지 않고 론(論)이라고 한다. 분류:산스크리트어 낱말 분류:고대 법전 분류:불교 용어 분류:힌두교 용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샤스트라 · 더보기 »

샤트란지

샤트란지()는 체스의 오래된 형태로, 인도에서 사산 왕조 페르시아를 거쳐 서구 세계로 전해온 것이 차차 변한 것이 현재의 체스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샤트란지 · 더보기 »

샤쿤탈라

《샤쿤탈라(Sakuntala)》는 칼리다사 저작의 희곡으로 7막으로 된 산스크리트극(劇)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샤쿤탈라 · 더보기 »

샥티

샥티 샥티()는 신성(神聖)한 힘 또는 신성한 권능이라는 문맥에서 "할 수 있는" 또는 "능력이 있는"을 뜻하는 산스크리트어 "샥(Śak)"으로부터 유래한 낱말로, 힌두교에서 우주 전체를 관통하여 흐르고 있다고 여기는 우주의 활동적인 힘 또는 에너지를 지칭하는 낱말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샥티 · 더보기 »

샥티파

Tridevi)"로 표현되어 있다 샥티파(Śāktaṃ)는 힌두교의 신성한 어머니(Divine Mother)인 아디 파라샥티(Adi parashakti) 또는 샥티(Shakti) 또는 데비(Devi)를 절대적 또는 궁극적 신성으로 숭배하는 종파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샥티파 · 더보기 »

태국어

국어(泰國語), 타이어 또는 중부 태국어 (남부 태국어: ภาษาไทยถิ่นกลาง) 또는 시암어 는 따이까다이어족에 속하는 언어의 하나로, 태국의 다수 종족인 타이족의 언어이자 태국의 공용어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태국어 · 더보기 »

석공의 슬픈 사랑 이야기가 담긴 불국사의 다보탑도 종교적인 목적(불교)으로 건축된 것이다. 탑(塔) 또는 타워()는 뾰족하게 높이 세운 건축물을 뜻하며 단층 또는 여러 층으로 되어 있.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탑 · 더보기 »

탑파

탑파(塔婆)는 산스크리트어인 스투파(Stupa)에 어원을 둔 단어로 석가모니의 사리가 안치되어 있는 일종의 무덤 건축물을 의미.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탑파 · 더보기 »

색 (불교)

색(色)은 산스크리트어 루파(रुपा, Rūpa)의 역어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색 (불교) · 더보기 »

타밀 문자

밀 문자는 12개의 홀소리와 18개의 닿소리로 이루어진 브라흐미 문자계열의 아부기다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타밀 문자 · 더보기 »

타밀어

밀어(தமிழ்)는 드라비다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가장 오랫동안 살아남은 고전 언어 중 하나이며 현대에도 활발히 쓰이는 언어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타밀어 · 더보기 »

타이 문자

이 문자()는 태국어의 표기에 쓰이는 표음문자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타이 문자 · 더보기 »

타타타 (노래)

〈타타타〉는 1991년에 김국환이 부른 대한민국의 대중가요로 작사자는 양인자, 작곡자는 김희갑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타타타 (노래) · 더보기 »

투리야

리야(Turiya)의 문자 그대로의 의미는 "네 번째" 또는 "넷"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투리야 · 더보기 »

수리수리마수리

수리수리마수리는 마술사들이나 마법사의 주문으로 널리 알려져 있. 이 말은 엉터리 주문이나 장난스러운 주문으로 인식.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수리수리마수리 · 더보기 »

수리야

수리야 수리야 수리야()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지고한 빛(Supreme Light)"인데, 이러한 뜻에 합당하게 수리야는 힌두교의 태양신들 중 최고위의 태양신(Solar deity)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수리야 · 더보기 »

수린 주

수린 주()는 태국 북동부에 있는 주(창왓)의 하나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수린 주 · 더보기 »

수브라마니안 찬드라세카르

수브라마니안 찬드라세카르(1910년 10월 19일 ~ 1995년 8월 21일)는 인도 태생 미국인 천체물리학자, 수학자, 물리학자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수브라마니안 찬드라세카르 · 더보기 »

수판부리 주

수판부리 주()는 태국 중부에 있는 주(창왓)의 하나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수판부리 주 · 더보기 »

영어

영어(英語)는 영국의 잉글랜드에서 기원한 서게르만어군 언어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영어 · 더보기 »

오륜탑

일본 교토에 있는 귀무덤의 오륜탑 오륜탑(五輪塔)은 하부에 땅을 상징하는 사각형의 지륜, 그 위에 물을 상징하는 원형의 수륜, 불을 상징하는 삼각형의 화륜, 바람을 상징하는 반월형의 풍륜, 맨위에 공을 상징하는 여의주형태의 공륜있는 5층의 구조로 되어 있. 고대 인도에 있어 우주의 구성요소인 오대를 상징.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오륜탑 · 더보기 »

오계

5계(五戒)는 산스크리트어 판차실라(pañca-śīla)를 번역한 말로서, 재가인(在家人)이 지켜야 할 다음의 5종의 계(戒)를 말.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의례와 수행·교단조직 > 의례와 수행 > 5계,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오계 · 더보기 »

오근

5근(五根)은 37도품(三十七道品) 중의 4번째 그룹을 이루는 신근(信根: 믿음)진근(進根: 정진)염근(念根: 기억)정근(定根: 선정)혜근(慧根: 지혜)의 5가지의 선법(善法)을 말. 이들 5가지 선법(善法)들은 번뇌를 항복시켜 성도(聖道)로 이끌어들이며 보리에 도달하기 위한 유력한 향상법이 되는데, 이러한 연유로 때문에 근(根)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오근 · 더보기 »

오근과 육근

5근(五根)은 안식(시각)이식(청각)비식(후각)설식(미각)신식(촉각)의 5식(五識)이 각자의 대상으로서의 색경(색깔과 형태)성경(소리)향경(냄새)미경(맛)촉경(감촉)의 5경(五境)을 지각할 때 사용하는 소의(所依)로서의 안근(眼根: 눈)이근(耳根: 귀)비근(鼻根: 고)설근(舌根: 혀)신근(身根: 몸)의 5가지 감각 기관을 말. 전체적으로 말하면, 5식은 5근을 소의(所依: 성립 근거, 의지처, 도구, 감각 기관)로 하여 5경을 인식.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오근과 육근 · 더보기 »

오위백법

오위백법(五位百法)은 유식 계통의 불교 종파인 법상종에서 세친의 《대승백법명문론(大乘百法明門論)》에 근거하여 일체의 만유제법(萬有諸法)을 크게 다섯 종류의 총 100개의 법으로 나눈 것을 말. 대분류인 오위(五位: 다섯 종류)는 심법(心法)심소법(心所法)색법(色法)심불상응행법(心不相應行法)무위법(無爲法)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오위백법 · 더보기 »

오온

5온(五蘊)은 불교에서 생멸변화하는 모든 것, 즉 모든 유위법(有爲法)을 구성하고 있다고 보는 색(色)수(受)상(想)행(行)식(識)의 다섯 요소를 말. 이들을 각각 색온(色蘊: 육체, 물질)수온(受蘊: 지각, 느낌)상온(想蘊: 표상, 생각)행온(行蘊: 욕구, 의지)식온(識蘊: 마음, 의식)이라고도 부른.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오온 · 더보기 »

오사카 외국어대학

오사카 외국어대학()은 1921년에 창립된 오사카 외국어학교(大阪外國語學校)를 모체로, 1949년에 신제(新制) 국립 대학으로 발족하였.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오사카 외국어대학 · 더보기 »

오픈 소스 유니코드 서체

500px 자유롭고 오픈 소스인 유니코드 서체(글꼴), 즉 모든 유니코드 문자의 글리프(자체)를 포함하도록 설계된 오픈 소스의 유니 코드 서체를 제공하는 몇 가지 프로젝트가 있. 그러나 Arabeyes Arabic 글꼴과 같은 특정 스크립트만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하는 수많은 프로젝트도 있. 이러한 글꼴이있는 일부 스크립트만을 대상으로 지정하는 이점은 특정 유니 코드 문자가 사용되는 언어에 따라 다르게 렌더링되어야한다는 점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오픈 소스 유니코드 서체 · 더보기 »

온 (불교)

온(蘊, 스칸다, 칸다,, mass, heap)은 초기불교 이래의 불교의 대표적 법체계인 5온(五蘊)과 특히 관련된 용어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온 (불교) · 더보기 »

현관 (불교)

현관(現觀,,,,, observing reality clearly, clear contemplation, direct realization, insight into)의 한자어 문자 그대로의 뜻은 '앞에 있는 경계 즉 대상을 관(觀)한다'는 뜻인데, 산스크리트어 원어 아비삼마야(abhisamaya)는 아비사미(abhisami)와 동의어로, 서로에게 다가가다(approach together), 합치다 또는 합일하다(come together) 또는 만나다(meet at)를 뜻. 즉, 지혜와 대상이 바로 만나는 것을 뜻. 이런 의미에서 현관(現觀)은 무루의 지혜로써 대상을 있는 그대로 명료하게 파악하는 것, 즉 명료한 이해(clear understanding), 각(覺, Buddh) 즉 깨달음(Buddh, realization)이라고도 정의.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현관 (불교) · 더보기 »

현대 표준 아랍어

스하(اللغة العربية الفصحى, al-luġatu l-ʿarabiyyatu l-fuṣḥā, 앗루가툴 아라비야툴 후스하, 순정 아랍어, Modern Standard Arabic)는 아랍어에 있어서의 표준 아랍어를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현대 표준 아랍어 · 더보기 »

현장

현장 현장(玄奘, 602년 4월 6일 ~ 664년 3월 7일)은 당나라 초기의 고승이자 번역가로 흔히 현장삼장(玄奘三藏)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현장 · 더보기 »

언어 목록

이 문서는 사어를 제외하여 지금까지 발견된 가나다 순 394개 언어의 목록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언어 목록 · 더보기 »

언어별 위키백과 목록

이 문서는 각언어별 위키백과에 대한 목록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언어별 위키백과 목록 · 더보기 »

언어별 숫자 목록

아래의 표들은 여러 언어에서 0부터 10까지를 표기할 때 쓰이는 수사(數詞)들을 나열한 것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언어별 숫자 목록 · 더보기 »

행 (불교)

행(行)은 범어 삼스카라(saṃskāra)의 역어로, '만드는 것'과 '이변(異變)하는 것'의 뜻이 있다고 하며, 12연기(十二緣起)의 제2행(行)은 전자, 즉 업(業)의 뜻이고, 제행무상이라고 할 때에는 후자, 즉 모든 현상을 말. 그러나 수행(修行)이란 뜻에서의 행은 그 원어가 다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행 (불교) · 더보기 »

에베레스트산

에베레스트산(중국조선말: 쵸몰라마봉)은 지구에서 가장 높은 산(해발 이라는 수식어가 앞에 붙게 되면 에베레스트산이 가장 높지만 해발이란 수식어가 붙지 않는다면 에베레스트 보다 더 높은 산이 있을 가능성이 존재한다.)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에베레스트산 · 더보기 »

에스페란토 어원

에스페란토는 국제어로서 다양한 언어들에서 어휘를 빌어 쓴. 이들 대부분은 유럽의 언어(주로 라틴어, 프랑스어, 독일어, 영어)에서 왔지만, 최근에 생긴 어휘는 비유럽어권에서 온 경우도 있. 다국어주의에 의해 대부분의 어휘는 서로 유사한 다양한 언어의 공통적인 부분에서 가져왔.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에스페란토 어원 · 더보기 »

에카

에카(eka)는 산스크리트어에서 1을 의미.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에카 · 더보기 »

에프탈

에프탈(Ephthalites 또는 Hephthalites)은 5세기 중엽부터 약 1세기 동안 투하리스탄을 중심으로 투르키스탄과 서북 인도에 세력을 떨친 페르시아계(系) 유목 민족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에프탈 · 더보기 »

에티오피아

에티오피아 연방 민주 공화국(), 약칭 에티오피아()는 아프리카에 있는 공화국이며 수도는 아디스아바바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에티오피아 · 더보기 »

여래

여래(如來)는 불10호(佛十號) 즉 부처의 10가지 명호(名號) 중의 하나이며 그 유래가 명확하지는 않으나 범어의 따타가따(tathāgata)를 번역한 것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여래 · 더보기 »

역사

역사(歷史)는 오랜 역사, 지난 시대에 남긴 기록물, 이를 연구하는 학문 분야 등을 가리.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역사 · 더보기 »

역사철학강의

《역사철학강의》(歷史哲學講義)은 독일의 철학자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Georg Wilhelm Friedrich Hegel, 1770-1831)의 주요 작품 중 하나로, 베를린 대학에서 1822년부터 1831년까지, 모두 5회에 걸쳐 행해진 강의 를 토대로 하여 쓰여졌.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역사철학강의 · 더보기 »

연각

연각(緣覺,, 프라트예카 붓다,, 빳쩨까 붓다,, solitary realizer, enlightened by contemplation on dependent arising)의 산스크리트어 원어 프라트예카(pratyeka)와 팔리어 원어 빳쩨까(pacceka)는 모두 '홀로(each one, single)' 또는 '도움을 받지 않고(by oneself)'를 뜻. 원어의 문자 그대로의 뜻에 따르면, 프라트예카 붓다 또는 빳쩨까 붓다는 다른 이의 가르침에 의하지 않고 스스로 깨달은 이를 뜻하는데, 한역 경전과 논서들에서는 이러한 원어의 문자 그대로의 뜻을 반영하여 독각(獨覺)이라고 번역되는 경우도 많다. 예를 들어, 현장(玄奘: 602~664)이 번역한 《대반야바라밀다경》《대비바사론》《구사론》《유가사지론》 등에서는 독각이라는 낱말을 사용하고 있다. 음역하여 발랄예가불타(鉢剌翳迦佛陀)필륵지저가불(畢勒支底迦佛)구지가불(貝支迦佛) 또는 벽지가불(辟支迦佛)이라고도 하는데, 음역어를 사용하는 불교 경전들과 논서들에서는 벽지가불(辟支迦佛)을 줄여서 흔히 벽지불(辟支佛)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구마라습(鳩摩羅什: 344~413)이 번역한 《대지도론》 등에서 벽지불(辟支佛)이라는 낱말을 사용하고 있다. 한자어 연각(緣覺)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연(緣)으로 깨쳤다'는 뜻으로 '12연기를 관찰하여 깨달음을 증득한 이'를 뜻한다. 12연기를 관찰하여 홀로 깨쳤다는 뜻에서 연1각(緣一覺)이라고도 하고 인연법을 관찰하여 깨쳤다는 뜻에서 인연각(因緣覺)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해석은 대승불교에서 성문승연각승보살승의 3승(三乘)의 교의를 주장하면서 성립된 것으로, 3승의 교의에서 성문승(聲聞乘)은 '4성제의 관찰이라는 탈것'을 뜻하고, 연각승(緣覺乘)은 '12연기의 관찰이라는 탈것'을 뜻하고 보살승(菩薩乘)은 '6바라밀의 실천이라는 탈것'을 뜻한다.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사상 > 초기 대승불교의 사상 > 삼승,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삼승: 三乘 삼승이란 3종의 탈것이라는 뜻으로 대승불교가 일어난 후 부처를 목표로 하는가 아라한을 목표로 하는가의 차이에 따라 타는 것도 달라진다는 생각에서 대승 편에서 주장하기 시작한 것이다. 스스로는 부처를 목표로 하는 불보살승(佛菩薩乘)이며 소승은 성문승(聲聞乘)·연각승(緣覺乘)의 2승(二乘)으로서 아라한은 될 수 있어도 부처로는 영원히 될 수 없다고 하여 구별한 것이다. 우선 성문(聲聞)이란 부처의 가르침을 듣고서 도에 정진하는 자라는 뜻으로서 불제자를 가리킨다. 따라서 성문승이란 불제자의 도로서 구체적으로는 부처의 교법에 의해서 4체(四諦)의 이(理)를 보고 스스로 아라한으로 될 것을 이상으로 하는 낮은 수행자라고 한다. 연각승의 연각(緣覺)은 독각(獨覺)이라고도 하며, 원래 고타마가 스승에 의하지 아니하고 혼자서 깨달음을 얻은(無師獨悟) 면을 나타낸 말인데 교리(敎理)상으로는 12연기를 관찰하여 미(迷)를 끊고 이법(理法)을 깨닫는다(斷惑證理)는 뜻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구체적으로는 독각은 제자도 없고 설교하지도 않으므로 이념적인 것에 불과한 것이다." 원래 연각승이라는 말은 '12연기의 관찰이라는 탈것' 즉 12연기의 현관(現觀)이라는 수행 또는 교법을 의미했으나, 이러한 수행 또는 교법에 의지하여 성도(聖道)를 나아가는 이들도 함께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이에 따라 연각(緣覺)과 연각승(緣覺乘)은 서로 동의어로 사용되게 되었다. 연각 또는 연각승이라는 낱말은 3승의 교의를 주장하거나 지지하는 대승불교 경전과 논서들에서 주로 사용된다. 한역 《아함경》에서는 연각(緣覺) 또는 벽지불(辟支佛)이라는 낱말을 사용하고 있다. 독각(獨覺)이라는 낱말이 사용되고는 있으나 연각 또는 벽지불을 가리키는 뜻으로 사용되고 있지 않으며, 고타마 붓다가 무사독오(無師獨悟)한 것 즉 스승에 의하지 아니하고 스스로 깨달음을 증득한 것을 가리키는 뜻에서 사용되고 있다. 참고로 《아함경》의 한역은 대승경전과 논서와 동시대에 이루어졌고, 현장(玄奘: 602~664) 이전에 이루어졌다.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연각 · 더보기 »

연기 (불교)

연기(緣起)는 인연생기(因緣生起) 즉 인(因: 직접적 원인)과 연(緣: 간접적 원인)에 의지하여 생겨남 또는 인연(因緣: 통칭하여, 원인)따라 생겨남의 준말로,운허 &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연기 (불교) · 더보기 »

열반경

《열반경》(涅槃經)은 불교의 경전으로, 소승 불교의 열반경(소승열반경)과 대승 불교의 열반경(대승열반경) 두 가지가 있.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성전 > 열반경,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소승 불교의 열반경은 붓다의 열반 전후의 이야기를 기록한 《마하빠리닙바나 숫따》(Mahāparinibbāna Sutta, D16)이며, 대승 불교의 열반경은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열반경 · 더보기 »

염마

17세기 티베트의 염마 탱화. 염마() 또는 염마왕()은 힌두교와 불교에서 사후세계를 관장하는 가상의 군주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염마 · 더보기 »

업(業)은 산스크리트어 낱말 카르마(Karma)의 번역어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업 · 더보기 »

푸루샤

샤()는 인도 신화에 등장하는 거인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푸루샤 · 더보기 »

푸르지오

르지오 아파트 전경 푸르지오(PRUGIO)는 2003년 2월 대우건설이 만든 아파트 전문 브랜드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푸르지오 · 더보기 »

푸리 (음식)

리()는 인도, 방글라데시, 파키스탄 등 남아시아 지역에서 먹는 속이 빈 튀긴 빵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푸리 (음식) · 더보기 »

표음문자

음문자(表音文字)는 사람의 말소리를 기호로 나타낸 문자로서 소리글자.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표음문자 · 더보기 »

키나라이아 어

이아 어(Kinaray-a)는 필리핀 안티케 주에서 주로 말해지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언어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키나라이아 어 · 더보기 »

사라트 찬드라 다스

사라트 찬드라 다스 사라트 찬드라 다스(1849년 ~ 1917년)는 인도의 티베트학자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사라트 찬드라 다스 · 더보기 »

사마르칸트

사마르칸트()는 중앙아시아 두번째로 큰 우즈베키스탄의 고도이며, 사마르칸트 주의 주도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사마르칸트 · 더보기 »

사뭇쁘라깐 주

사뭇쁘라깐 주()는 태국 중부에 있는 주(창왓)의 하나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사뭇쁘라깐 주 · 더보기 »

사뭇사콘 주

사뭇사콘 주()는 태국 중부에 있는 주(창왓)의 하나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사뭇사콘 주 · 더보기 »

사뭇송크람 주

사뭇송크람 주(Samut Songkhram Province)는 태국 중부의 주 (창왓)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사뭇송크람 주 · 더보기 »

사미

국의 사미 사미(沙彌)는 출가하여 10계(戒)를 받아 지키는 20세 미만의 어린 남자를 가리키는 말로, 즉 예비 승려라 할 수 있.종교·철학 > 한국의 종교 > 한국의 불교 > 한국불교의 교단·조직 > 사미·사미니,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이러한 여자를 사미니(沙彌尼)라 부른.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사미 · 더보기 »

사견

사견(邪見)은 크게 다음의 두 가지 뜻이 있. 첫 번째의 사견(邪見)은 모든 잘못된 견해를 통칭하는 말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사견 · 더보기 »

사꼰나콘 주

사꼰나콘 주()는 태국 북동부의 주(창왓)의 이. 이웃한 주는 북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농카이 주, 나콘파놈 주, 묵다한 주, 깔라신 주, 우돈타니 주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사꼰나콘 주 · 더보기 »

사딩딩

섬네일 사딩딩(본명 Zhou Peng(저우펑), 12월 27일 ~)은 중국의 여성 싱어송라이터이자 행위예술가이.내몽골 자치구에서 외조모와 어린시절을 보냈으며,베이징 중앙음악원에서 대중음악 작곡을 전공하였고, 2008년 몽골,인도,티베트와 중국 한족의 문화를 아우르는 자신만의 음악으로 채운 첫 솔로 앨범 Alive 를 발매하며 데뷔, 일렉트로니카와 전통음악을 이상적으로 혼합하여 아시아의 이니그마라는 칭호를 얻었.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사딩딩 · 더보기 »

사카구치 안고

사카구치 안고, 1946 사카구치 안고(1906년∼1955년)은 일본의 문학가로 본명은 사카구치 헤이고()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사카구치 안고 · 더보기 »

사향

사향(麝香)은 수컷의 사향 노루의 복부에 있는 향낭(사향 샘)에서 얻은 분비물을 건조해서 얻는 향료, 생약의 일종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사향 · 더보기 »

사어

사어(死語)란 더 이상 모국어로서 사용하는 사람이 없는 언어 또는 특정 언어 내에서 과거에는 쓰였으나 현재에는 쓰이지 않는 단어를 의미.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사어 · 더보기 »

사토

사타, 사토(沙陀), 또는 사토 투지에(沙陀突厥, 산스크리트어: 살트)는 투르크계 유목민 부족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사토 · 더보기 »

사티아그라하

사티아그라하 는 마하트마 간디에 의해 시작된 비폭력 저항 운동의 철학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사티아그라하 · 더보기 »

산스크리트 문학

산스크리트 문학은 인도의 문학 중 한 분류를 일컫는 낱말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산스크리트 문학 · 더보기 »

산스크리트어 경전

산스크리트어 경전은 산스크리트어로 씌어진 불교 경전의 총칭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산스크리트어 경전 · 더보기 »

삼매

삼매(三昧)는 산스크리트어 사마디() 또는 삼마디의 한역어로, 인도의 요가, 불교 등에서 말하는 고요함적멸(寂滅)적정(寂靜)의 명상 상태 또는 정신집중 상태를 말. 보통 독서삼매에 빠졌다고 할 때, 고도의 정신집중으로 매우 고요한 상태에 빠졌다는 의미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삼매 · 더보기 »

삼키아 학파

삼키아 학파(Sāṃkhya 學派), 샹캬 학파 또는 상키아 학파는 힌두교의 정통 육파철학 중의 하나로, 불교 경전 및 논서에서는 수론파(數論派)로 한역(漢譯)되어 불리고 있.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힌 두 교 > 힌두교 > 힌두교 전사(前史) > 상키아 학파,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힌두교의 전통에 따르면, 삼키아 학파의 시조는 카필라(Kapila: BC 4~3세기)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삼키아 학파 · 더보기 »

삼삼매

3삼매(三三昧)는 3가지 종류의 삼매 또는 3가지 삼매를 말. 3삼마지(三三摩地)3등지(三等持) 또는 3정(三定)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삼삼매 · 더보기 »

삼신제석

삼신제석(三神帝釋)은 천주제석, 혹은 줄여서 제석이라고도 하며, 산스크리트어로 샤크라데바 인드라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삼신제석 · 더보기 »

삼십칠도품

37도품(三十七道品)은 '깨달음(도, 보리)에 이르는 37가지의 법'을 말하는데, 초기불교의 《아함경》에서 고타마 붓다가 언급하거나 설명하고 있는 37가지의 도품(道品) 즉 수행법(修行法)을 가리키는 낱말로, 사실상 초기불교의 수행법을 통칭하는 낱말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삼십칠도품 · 더보기 »

프란츠 봅

봅 프란츠 봅(Franz Bopp, 1791년 9월 14일 ~ 1867년 10월 23일)은 독일의 언어학자로, 인도유럽어의 비교연구로 잘 알려져 있. 그는 마인츠에서 태어났지만 그의 가족은 불안정한 정세를 피하여 바이에른의 아샤펜부르크로 옮. 그곳에서 그는 카를 빈디슈만에게 동양의 언어와 문학에 대해 배웠으며, 프리드리히 슐레겔의 책 《인도의 언어와 지혜에 관하여(Über die Sprache und Weisheit der Indier)》를 통해 인도의 언어를 접. 1812년 봅은 바이에른 정부의 장학금을 받아 파리에 유학을.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프란츠 봅 · 더보기 »

프로발 다슈굽토

발 다슈굽토(1953–)는 인도의 언어학자이자 에스페란티스.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프로발 다슈굽토 · 더보기 »

프놈 바켕

바켕은 캄보디아 앙코르왓에 있는 탑산 형식의 힌두교 사원으로 시바에 모셔둔 사원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프놈 바켕 · 더보기 »

석장

석장 (화한삼재도회) 석장 (錫杖)은 유행승려가 휴대하는 도구 (비구십팔물)의 하나인 지팡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석장 · 더보기 »

선 (불교)

선정(禪定)에 든 고타마 붓다 (석굴암) 선(禪)이란, 중국 대륙에서 5세기에 발전하기 시작한 대승불교의 한 조류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선 (불교) · 더보기 »

선시

선시(禪詩)는 선수행을 통한 깨달음의 경지를 짤막한 율문으로 나타낸 시를 말. 선시(禪詩)는 시(詩)와 선(禪)의 만남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선시 · 더보기 »

섭대승론

《섭대승론(攝大乘論,, 또는 Discourse on the Perfection of Consciousness-only)》은 "대승(大乘)을 포섭(包攝)한 논"이라는 뜻으로 무착(無着: c. 310~390)이 저술한 대승불교의 논서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섭대승론 · 더보기 »

성 (문법)

일부 언어의 문법에서 성(性) 또는 문법성(文法性, grammatical gender)은 명사가 보편적으로 갖는 문법적 요소의 일종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성 (문법) · 더보기 »

성실론

《성실론(成實論Satyasiddhiśāstra)》16권(K-966, T-1646)은 4세기 경에 인도의 승려 하리발마(訶梨跋摩Harivarman)가 소승 아비달마의 교의에 만족하지 못하고, 부파 불교의 일파인 경량부(經量部)의 입장에서 저술한 체계적 불교 교의 강요서(綱要書)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성실론 · 더보기 »

세간

세간(世間)의 산스크리트어로는 '로카(loka)'와 '라우키카(laukika)'가 있. 로카(loka)는 세상 또는 세계를 뜻하며 영어로는 'world (세상)'를 뜻. 이 때의 세계는 불생불멸의 무위의 세계가 아니라 생멸하고 천류하고 파괴되는 유위의 세계를 의미.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세간 · 더보기 »

세속

세속(勢速)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세속 · 더보기 »

송끄란

설날 축제, 로드남 담후아, 어른에게 존경을 표하는 의식 치앙마이의 송끄란 축제 송끄란(Songkran)은 매년 4월 13일에서 4월 15일까지 태국의 설날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송끄란 · 더보기 »

소혜왕후

소혜왕후 한씨(昭惠王后 韓氏, 1437년 10월 7일(음력 9월 8일) ~ 1504년 5월 11일(음력 4월 27일)는 조선 초기의 세자빈이자 덕종(德宗, 추존왕)의 왕비이며 시호는 인수자숙휘숙명의소혜왕후(仁粹慈淑徽肅明懿昭惠王后)이다. 1450년(문종 즉위년)에 수양대군의 큰아들인 도원군(의경세자, 덕종)과 혼인하여 군부인에 봉작되었으며, 1455년(세조 즉위년)에 시아버지 수양대군이 왕위로 즉위하여 자신은 맏며느리로서 세자빈이 되어 궁궐에 들어갔으나, 1457년(세조 3년)에 남편 의경세자가 20세의 나이로 갑자기 죽어 사가로 물러났다. 그러나 1469년에 자신의 둘째 아들인 자을산군(성종)이 왕위에 등극하고, 자신도 궁궐에 다시 들어가 곧 왕비로 진봉되었다가 1475년(성종 6년) 왕대비에 올라 인수대비(仁粹大妃)가 되었다. 의정부좌의정을 지낸 서원부원군 양절공 한확(西城府院君 襄節公 韓確)과 남양부부인 홍씨(南陽府夫人 洪氏) 여섯째 딸로, 본관은 청주(淸州)이다. 당시 여성으로서는 드물게 한문과 유교 경전에 능통하여 《열녀》,《여교》,《명감》,《소학》등에서 발췌하여 엮어 《내훈》(內訓)을 편찬하였다. 내훈은 조선시대 사대부 여인들의 수신서이자 당시 여성교육의 기본서가 되었다. 또한 그녀는 불교 옹호론자로 불교 억압 정책에 강력히 반발하였으며, 이 때문에 당시 조정의 신하들과 4차례의 격한 논쟁을 벌였는데 대표적인 것이 금승법(禁僧法) 과 그녀가 추진한 봉선사 금자경 간행 작업이다. 그녀는 연산군의 할머니로도 유명한데, 며느리이자 연산군의 생모가 되는 윤씨가 왕비 시절 성종의 얼굴을 할퀴는 사건으로 내쫓기고 사사되는 데에는 거의 전적으로 그녀의 의지로 단행되었기 때문이다. 1504년(연산군 10년) 봄에 연산군은 생모인 폐비 윤씨를 제헌왕후(齊獻王后)로 추숭했다. 이 과정에서 윤씨를 폐비하고 사사하는 데 개입한 수많은 사람들을 죽이고 추방했는데, 인수대비는 당사자가 되므로 손자인 연산군과 갈등을 빚었다. 능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에 위치한 경릉(敬陵)이다.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소혜왕후 · 더보기 »

소푸스 부게

300px 소푸스 부게(Sophus Bugge, 1833년 1월 5일 ~ 1907년 7월 8일)는 노르웨이의 저명한 문헌학자, 언어학자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소푸스 부게 · 더보기 »

통일신라의 불교

통일신라의 불교를 크게 3등분하면 다음과 같.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통일신라의 불교 · 더보기 »

해슬러 휘트니

슬러 휘트니(1907 ~ 1989)는 미국의 수학자.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해슬러 휘트니 · 더보기 »

해심밀경

《해심밀경》(解深密經)은 인도의 중기 대승불교의 경전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해심밀경 · 더보기 »

한냐노멘

멘 한냐노멘(般若能面), 한냐멘(般若面), 또는 간단하게 한냐(般若)는, ‘질투나 원망이 가득 찬 여자의 얼굴’로써의 여자귀신의 노멘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한냐노멘 · 더보기 »

한국 불교의 역사

국 불교의 역사 또는 한국 불교사는 한국에서 전개된 불교의 역사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한국 불교의 역사 · 더보기 »

한국의 불교 사상

본 문서 한국의 불교 사상은, 한국에 전래된 불교에서 전개된 사상을 설명.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한국의 불교 사상 · 더보기 »

한국어

국어의 세계 분포를 나타낸 그림. 한국어(韓國語) 또는 조선말(朝鮮말)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용어로,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라고 부르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선말, 중화인민공화국과 일본에서는 조선어(朝鮮語)라고 부르며, 러시아와 중앙아시아의 고려인들 사이에서는 고려말(高麗말)이라고 부른.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한국어 · 더보기 »

한국어의 한자어

자어(漢字語)는 한국어 어휘 부류 중 하나로, 한국 한자음으로 발음되는 한자 계열 단어를 말.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한국어의 한자어 · 더보기 »

한국외국어대학교

벌 캠퍼스 전경 한국외국어대학교(韓國外國語大學校,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이문동과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에 있는 외국어 특성화 사립대학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한국외국어대학교 · 더보기 »

한자

자(漢字)는 표어 문자이며, 현재 한국, 중국, 일본등 동아시아 국가에서 쓰이고 있.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한자 · 더보기 »

안거

안거(安居)의 산스크리트어 원어는 바르시카(varsika)로, 바르사() 즉 비(雨)에서 만들어진 말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안거 · 더보기 »

안나푸르나산

안나푸르나()는 히말라야 중부에 줄지어선 고봉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안나푸르나산 · 더보기 »

하르샤

르샤(Harsha)는 카냐크부자의 왕(606-647 통치)이며, 산스크리트 극작가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하르샤 · 더보기 »

하샤드 수

샤드 수 또는 니번 수는 주어진 진법에서 그 수의 각 자릿수 숫자의 합으로 그 수가 나누어지는 양의 정수를 말. 하샤드 수는 인도의 수학자 카프레카에 의해 정의되었.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하샤드 수 · 더보기 »

암리타

암리타(Amrita)는 범어(梵語)로 불사를 뜻하는 인도 신화의 생명수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암리타 · 더보기 »

아라코시아

원전 300년 경의 아라코시아 아라코시아는 아케메네스 제국, 셀레우코스 제국, 마우리아와 파르티아의 속주의 하나로 아프가니스탄 남동부와 파키스탄 중북부에 걸쳐 있. 북쪽으로 힌두쿠시 산맥을 경계로 하여 박트리아와 접하고 있. 또 헬만드 강(fa)이 아라코시아를 가로질러 흐르며 남 아프가니스탄에 비옥한 땅을 제공.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아라코시아 · 더보기 »

필라프

식 필라프 필라프는 쌀이나 으깬 밀과 같은 곡식으로 만드는 음식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필라프 · 더보기 »

아라한

아라한(阿羅漢,,, (who has attained nirvana), enlightened, worthy, venerable, saintly one)은 줄여서 나한(羅漢)이라고 하는데, 산스크리트어 아르하트(arhat)의 음역어로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아라한 · 더보기 »

아뢰야식

아뢰야식(阿賴耶識)은 산스크리트어 알라야 비즈냐나(ālaya vijñāna)를 음을 따라 표기한 것으로 아리야식(阿梨耶識)이라고도 하며, 제8아뢰야식(第八阿賴耶識) 또는 간단히 제8식(第八識, eighth consciousness)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아뢰야식 · 더보기 »

아르다마가디어

아르다마가디어(Ardha-Māgadhī) 또는 반(半) 마가다어는 인도아리아어군의 중세 인도아리아어에 속하는 언어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아르다마가디어 · 더보기 »

아리아인

아리아인(Aryans)은 인도와 이란, 유럽에 거주하며 인도·유럽계의 언어를 쓰고 있는 사람들의 총칭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아리아인 · 더보기 »

필리핀의 언어

리핀에는 분류법에 따라서 120개에서 175개의 언어가 있. 그리고 4개의 언어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 거의 대부분이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고, 차바카노어는 로망스어군에서 유래된 크리올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필리핀의 언어 · 더보기 »

필리핀의 역사

리핀의 역사는 2007년 칼라오 원인이 발겸됨으로써 적어도 67,000년 전부터 시작되었다고 추측되고 있. 네그리토 부족이 작은 섬에 최초로 거주를 시작.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필리핀의 역사 · 더보기 »

필리핀어

리핀어(필리피노, Filipino)는 필리핀의 국어이며 1987년 필리핀 헌법으로 필리핀의 국가언어 및 공용어로 지정된 언어이다(또 하나의 공용어는 영어이다).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필리핀어 · 더보기 »

아마라식

아마라식(阿摩羅識)은 산스크리트어 아말라 비즈냐나(amala-vijñāna)의 번역어로, 유식유가행파의 심식론(心識論)에서 제8아뢰야식의 청정해진 모습을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하고, 제8아뢰야식과는 별도의 제9식(第九識)으로 해석.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아마라식 · 더보기 »

아미타불

경주 감산사 석조아미타여래입상(대한민국 국보 제82호) 아미타불(阿彌陀佛), 무량광불(無量光佛) 또는 무량수불(無量壽佛)은 서방 극락세계(西方極樂世界)에 머물며 설법을 한다는 부처로, 주로 정토교에서 숭앙하는 구제불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아미타불 · 더보기 »

아베스타 문자

아베스타 문자는 아베스타어를 표기하기위한 문자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아베스타 문자 · 더보기 »

아부기다

착 캐나다어를 위해 기독교 전도자들이 개발한 아부기다, "캐나다 토착 음절 문자"를 사용한 스웸피 크리어의 비문 아부기다(abugida)는 음절 문자와 자모 문자의 특성을 모두 지닌 표기 체계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아부기다 · 더보기 »

아나률

아나률 (阿那律 등, 이름에 대해서는 후술) 은 십대제자의 한 명. 천안제일.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아나률 · 더보기 »

아디트야

아디트야()는 힌두교에서 데바마트리(Devamatri), 즉 신들의 어머니인 아디티(Aditi)로부터 나온 자식 신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통 복수형인 아디트야들(Ādityas)을 사용하여 아디티의 자식 신들을 통칭하는 형태로 사용.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아디트야 · 더보기 »

아담의 다리

아담의 다리 아담의 다리의 위성 사진 아담의 다리() 또는 라마의 다리()는 인도 남동부 타밀나두 주의 라메스와람 섬(Rameswaram Island)라고도 알려진 팜반 섬(Pamban Island)에서부터 스리랑카 북서부 해안의 마나르 섬(Mannar Island)에 이르기까지 염주 모양으로 이어진 사주를 말. 지질학적으로 볼 때 예전에 인도와 스리랑카가 육로로 연결되어있었던 흔적으로 보인.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아담의 다리 · 더보기 »

아슈바고샤

아슈바고샤(Aśvaghoṣa, 80년-160년) 또는 마명(馬鳴)은 인도의 고전인 산스크리트 문학 최초의 불교 시인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아슈바고샤 · 더보기 »

아함경

《아함경(阿含經)》은 불교 초기의 경전 모음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아함경 · 더보기 »

아야남사

6000년 동안의 황도상의 춘분점의 경로 아야남사(산스크리트어 ayanāṃśa: 야야나 "이동" + 암사 "요소") 또는 아야나바가(bhāga "부분") 또는 아야남샤는 인도 점성술에 사용되는 세차운동의 양을 뜻하는 산스크리트어 용어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아야남사 · 더보기 »

아시아치타

아시아치타(산스크리트어에 어원을 둔 힌디에서의 "치타"는 점이 박힌것을 의미한다)(Acinonyx jubatus venaticus)는 이란에서는 이란치타, 인도에서는 인도치타로 알려져 있. 아시아치타는 희귀하고 심각한 멸종위기에 놓여있는 치타의 아종으로, 현재는 이란에만 서식.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아시아치타 · 더보기 »

앙드레 말로

앙드레 말로(André Malraux, 1901년 11월 3일 ~ 1976년 11월 23일)는 프랑스의 작가, 정치가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앙드레 말로 · 더보기 »

앙코르 유적

앙코르(Angkor)는 캄보디아의 북서부 똔레삽 호수 북쪽에 있는 유적으로, 9세기부터 15세기까지 캄보디아에 있던 옛 크메르 제국의 수도였.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앙코르 유적 · 더보기 »

학술기어

학술기어(學術基語)란 일상어를 제외한 고급학문용어·전문용어를 구성하는 데 쓰이는 단어들의 주요 어근을 제공하는 언어, 또는 그 어근을 말. 에스놀로그에 따르면, 지구상에는 대략 6,500개의 언어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학술기어의 기능을 하는 언어는 극히 소수에.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학술기어 · 더보기 »

신 (불교)

신(身)의 기본적인 뜻은 산스크리트어와 팔리어의 kāya에 해당하는 몸 또는 신체이지만, 이외에도 여러 가지 뜻이 있. 산스크리트어와 팔리어의 kāya를 음역하여 가야(迦耶).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신 (불교) · 더보기 »

신라의 불교

신라의 불교에 대한 전래 기록으로는, 제13대 미추왕(味鄒王) 2년(263)에 고구려의 승려아도(阿道)가 와서 불교를 전했다는 설, 19대 눌지왕(訥祗王: 재위 417∼458) 때 고구려의 승려 묵호자(墨胡子)가 모례(毛禮)의 집에 머물러 불교를 선양했다는 설, 21대 소지왕(炤知王: 재위 479∼500) 때 승려 아도(我道)가 시자(侍者) 3인과 같이 모례(毛禮)의 집에 있다가 아도는 먼저 가고 시자들은 포교했다는 설 등이 있으나 어느 것이 맞는지 알 수 없. 이와 같이 불교의 전래에 대한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민승(民僧)이 들어와 공식외교를 통하지 않고 포교를 한 것이 고구려와 백제의 불교 와의 차이점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신라의 불교 · 더보기 »

심 (불교)

# 심(心): 마음, 집기(集起).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심 (불교) · 더보기 »

심불상응행법 (아비달마구사론)

이 문서는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주요 논서인 《아비달마구사론》에서 설명하고 있는 심불상응행법(心不相應行法)에.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심불상응행법 (아비달마구사론) · 더보기 »

심불상응행법 (아비달마순정리론)

이 문서는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주요 논서인 《아비달마순정리론》에서 설명하고 있는 심불상응행법(心不相應行法)에.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심불상응행법 (아비달마순정리론) · 더보기 »

심의식

심의식(心意識)은 심(心)의(意)식(識)의 세 낱말을 합친 복합어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심의식 · 더보기 »

십분각 (점성술)

십분각(十分角) 또는 데칸(decan)(이집트어 바큐)는 지구의 자전 동안 지평선에서 연속적으로 떠오르는 36개의 항성군(작은 별자리)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십분각 (점성술) · 더보기 »

십자

십자 편집하기. 십자(十字)는 두 개의 막대가 교차한 도형 또는 문자를 말. 기독교의 십자가가 대표적인 상징물 중의 하나이며, 다양한 종류의 상징이나 변종들이 있.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십자 · 더보기 »

십이연기설

THDL: tendrel yenlak chunyi THDL: tendrel yenlak chunyi --@> |th.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십이연기설 · 더보기 »

십호

10호(十號,, ten epithets of the Buddha)는 고타마 붓다 또는 부처의 지위에 오른 모든 깨달은 자를 칭하는, 《장아함경》《잡아함경》《불설십호경(佛說十號經)》 등의 경전과 《대지도론(大智度論)》《대승의장(大乘義章)》 등의 불교 논서들에 나오는, 아래 목록의 부처의 10가지 다른 이름 또는 부처의 10가지 명호를 말하며, 모든 깨달은 자들이 가지는 10가지 뛰어난 공덕(功德)을 보여준.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십호 · 더보기 »

티베트 불교

베트 불교는 티베트를 중심으로 중국인도몽골만주의 일부 지방에서 믿는 대승불교의 종파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티베트 불교 · 더보기 »

티베트 대장경

베트 대장경은 티베트어로 씌어진 불교 경전의 총칭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티베트 대장경 · 더보기 »

티베트어

베트어(བོད་སྐད་)는 티베트 지방에서 쓰이는 언어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티베트어 · 더보기 »

싱가포르석

싱가포르석 (Singapore Stone)은 싱가포르 강 하구에 서 있었던 사암으로 된 커다란 석판 조각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싱가포르석 · 더보기 »

싱부리 주

싱부리 주()는 태국 중부에 있는 주(창왓)의 하나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싱부리 주 · 더보기 »

싱할라어

싱할라어(싱할라 문자:, 또는)란 스리랑카에서 사용되는 싱할라인의 언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싱할라어 · 더보기 »

시리우스

큰개자리. 화살표가 시리우스. 시리우스(Sirius)는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로, 천랑성(天狼星), 낭성(狼星), 큰개자리 알파라 부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시리우스 · 더보기 »

원측

원측(圓測, 613년~696년)은 신라의 승려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원측 · 더보기 »

월드비트 비나리

월드비트 비나리(Worldbeat Vinari)는 사회적 기업 들소리 소속의 대한민국 종로 2가 시네코아 비나리 전용관에서 상설공연을 하고 있는 한국 전통 음악그룹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월드비트 비나리 · 더보기 »

후다라쿠산지

후다라쿠산지 또는 후다라쿠산사(-寺), 후다라쿠산 사는 일본 천태종의 사찰로, 와카야마현 히가시무로 군 나치카쓰우라 정에 있. "후다라쿠"는 고대 산스크리트어에서 관음정토를 의미하는 "포탈라카"를 일본어로 음역한 것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후다라쿠산지 · 더보기 »

황무지 (시)

황무지(The Waste Land)는 모더니즘 시인인 T. S. 엘리어트가 1922년 출간한 434 줄의 시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황무지 (시) · 더보기 »

환인

환인(桓因)은 신화 상의 신격(神格) 인물로 환웅의 아버지로 전. ‘단인(檀因)’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환인 · 더보기 »

화락천

화락천 (범어: Nirmānnarati, 팔리어: Nimmānarati)은, 욕계(欲界)의및 육욕천 (六欲天)중 제 5 천이. 화천(化天) 화자락천(化自楽天), 화자재천(化自在天) 악변화천(楽変化天)이라고도 불린.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화락천 · 더보기 »

화엄경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줄여서 《화엄경(華嚴經)》() 또는 《잡화경(雜華經)》()은 초기 대승불교의 가장 중요한 경전 중 하나로,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성전 > 6001 > 화엄경,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화엄경: 華嚴經 원명은 부다아바탐사카 나마 마하바이풀랴 수트라(Buddha­avatamsaka­nama­mahavaipulya­sutra)이고 자세하게 말해서 이라 부른.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화엄경 · 더보기 »

화합성

화합성(和合性) 또는 화합(和合)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화합성 · 더보기 »

Navras

Navras(나브라스)는 매트릭스 3: 레볼루션의 삽입곡으로 영화 마지막의 스탭롤에 사용되었.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Navras · 더보기 »

SKT (동음이의)

SKT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SKT (동음이의) · 더보기 »

T. S. 엘리엇

200px 토머스 스턴스 엘리엇(Thomas Stearns Eliot, OM, 1888년 9월 26일 ~ 1965년 1월 4일)은 미국계 영국 시인, 극작가 그리고 문학 비평가였.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T. S. 엘리엇 · 더보기 »

12부경

12부경(十二部經, 십이부경) 또는 12분교(十二分敎, 십이분교)는 불교의 경전 분류 방법 중 하나이.

새로운!!: 산스크리트어와 12부경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고전 산스크리트어, 범어, 산스크리트.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