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삼국유사

색인 삼국유사

《삼국유사》(三國遺事)는 고려의 승려인 일연(一然)이 고려 충렬왕 7년(1281년) 에 인각사(麟角寺)에서 편찬한 삼국 시대의 역사서이.

385 처지: 느낌표 (텔레비전 프로그램), 능환, 도리천, 도교, 도솔가무, 도화녀, 동명성왕, 동경 (거울), 동구 (울산광역시), 동요, 동사강목, 동성왕, 동해면 (포항시), 동화사, 매사냥, 마립간, 마의태자, 마야부인 (신라), 마한, 모본왕, 무령왕, 무애무, 무왕 (백제), 문경 대승사 사면석불, 묘향산, 미추 이사금, 민중왕, 민애왕, 감은장아기, 백두산, 백제, 백제기, 백제신찬, 개로왕, 발해, 발해 고왕, 개황력, 강릉 단오제, 박제상, 가락국기, 밀양 손씨, 밀양시, 가쓰라기노 소쓰히코, 가섭원, 가야, 가야역 (도시철도), 견훤, 경명왕, 경문왕, 경주 망덕사지, ..., 경주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경주 감산사 석조아미타여래입상, 경주 불국사 가구식 석축, 경주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 경주 불국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경주 불국사 대웅전, 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 경주 남산 일원, 경주 효공왕릉, 경주 이차돈 순교비, 경주 첨성대, 경주 천관사지, 경주 오릉, 경주 원성왕릉, 경주 황룡사지, 경주향교, 경순왕, 경산시, 벌휴 이사금, 법왕, 고려의 군사, 고기 (역사서), 고대 한국어, 고구려, 고구려의 역대 국왕, 고운기, 고이왕, 고조선, 고조선의 건국 신화, 고조선의 수도, 고환권, 곤지, 보도부인, 공주 수원사지, 계몽사 문고, 봉은사, 북대방, 권람, 불국사, 분황사, 부루 (고조선), 부여, 부여효, 부여의 역대 국왕, 부여융, 부산광역시의 지방조직 변천, 부산광역시의 유형문화재 (제1호 ~ 제100호), 부석사, 균여전, 극락, 기림 이사금, 기림사, 기자조선, 기전체, 비명을 찾아서, 비담, 비유왕, 비형랑, 김 (해조류), 김덕지, 김무력, 김미사흔, 김백반, 김복호, 김부식, 김흠돌, 김일연, 김진종, 김지정의 난, 김지성 (652년), 김유신, 김양도, 김삼광, 김서현, 김알지, 대덕산 (강원), 대륙사관, 대무신왕, 대각간, 대나무숲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대당고김씨부인묘명,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보물 (제401호 ~ 제500호), 대한민국의 국보 (제301호 ~ 제400호), 대한민국의 성소수자 역사, 눌지 마립간, 구도 갈문왕, 구드래, 구형왕, 군위군, 두두을, 남북국 시대, 나라 시대, 나마 (관직), 나주 김씨, 낙원, 낙화암, 다루왕, 다이쇼 신수 대장경, 단군, 단군론, 단군릉, 단군기원, 단군조선, 단서대강, 단속사지, 당장경 천도, , 용검, 우거왕, 운제산, 울릉도, 울산 동축사 삼층석탑, 승만부인, 승관 제도, 승탑, 자장, 잡찬, 장보고, 장군 (고려), 장당경, 재사,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 임성태자, 입종 갈문왕, 평양성 (고조선), 흥덕왕, 흥평왕, 흥수, 이견대, 이재호 (역사학자), 이칠 갈문왕, 이사부, 이서국, 일기, 일연, 일성 이사금, 의자왕, 익산 미륵사지, 익산 미륵사지 석탑, 응제시주, 을음, 제망매가, 제왕운기, 전라도, 전지왕, 정견모주, 정습명, 정토 사상, 조분 이사금, 좌지왕, 종발성, 죽지, 진덕여왕, 진평왕, 진흥왕, 진이왕, 진주 청곡사 목조제석천·대범천의상, 진지왕, 진성여왕, 진손왕, 진한, 지백호, 지기삼사, 지증왕, 지타, 차나무, 찬기파랑가, 창릉문학상, 책계왕, 청도 운문사 동·서 삼층석탑, 청구 (고조선), 천명공주, 천부인, 천존상, 천화공주, 처용, 처용무, 처용암, 초월산 대숭복사비, 충담사, 칭원법, 유리 이사금, 유화 (부여), 파호부인, 위례산, 위례성, 위만, 위서 (역사서), 태백산 (고조선), 태대각간, 태조대왕, 태종무열왕, 태양신, 태화강, 태왕, 수덕사, 수로왕, 수로왕릉, 수이전, 수필, 영랑호, 혁거세 거서간, 온조왕, 호동, 혜공왕, 혜성, 최남선, 최태영, 향가, 향찰, 양검, 양지 (신라), 역사 연표, 연등회, 연제부인, 염장 (586년), 헌숙왕후, 허황옥, 표충사 (밀양시), 풍월주, 풍왕, 사로국, 사반왕, 사비, 사택왕후, 사소부인 (신라), 산상왕, 삼근왕, 삼국, 삼국 및 고려 시대의 과학기술, 삼국 시대, 삼국 시대 이전의 교육, 삼국 시대의 문학, 삼국기, 삼국유사 권1~2, 삼국유사군위휴게소, 삼국사기, 삼국사절요, 삼족오, 삼척시, 삼한, 삼신제석, 피휘, 석구광, 석굴암, 선덕여왕, 선덕여왕 (드라마), 선덕왕, 선도성모 설화, 선화공주, 설원 (신라), 설화, 성덕왕, 성목장공주, 성골과 진골, 성한 (신라), 성왕 (백제), 세계문학전집 목록, 서동요, 토함산, 소명왕후, 소벌도리, 소정방, 통일신라의 불교, 해동 (별칭), 해동고승전, 해모수왕, 해부루왕, 야사, 약식, 한국 문학, 한국 불교의 역사, 한국 철학, 한국 신화, 한국의 도교, 한국의 고대 인명, 한국의 궁중무용, 한국의 나라 이름, 한국의 유교, 한국의 상고시대 문학, 한국의 상고시대 시가, 한국의 역사, 한국의 역사에 대한 오해 목록, 한국의 연극, 한국의 삼국시대 시가, 한국의 설날, 한국의 성씨와 이름, 한국사의 시대 구분, 한일 관계, 알천, 하느님, 하종, 아도, 아동 문학, 아비지, 아달라 이사금, 아자개, 아사달, 아신왕, 아시아의 역사, 신라, 신라의 건국 신화, 신라의 대외 관계, 신라의 조각, 신라의 역대 왕비, 신강 (고려), 신검, 신대왕, 신단수, 신영왕, 신시, 실성 마립간, 심지 (신라), 심청전, 시 (문학), 원광, 원효, 원창왕후, 원성왕, 월명부인, 웅녀, 웅진, 홍익인간, 황산벌 전투, 환국 (의사 역사학), 환인, 환웅, 화랑, 화랑세기, 화전놀이, 왕검성, 왕인, 왕후 김씨 (문성왕), 1285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335 더) »

느낌표 (텔레비전 프로그램)

《느낌표》는 문화방송에서 방송했던 프로그램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느낌표 (텔레비전 프로그램) · 더보기 »

능환

능환(能奐, ? ~ 936년 9월)은 후백제(後百濟)의 무관(武官), 정치가(政治家), 역신(逆臣)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능환 · 더보기 »

도리천

9산 가운데 하나이다. 도리천(忉利天)은 음역하여 다라야등릉사(多羅夜登陵舍) 또는 달리야달리사(怛唎耶怛唎奢)라고도 하며, 의역하여 33천(三十三天)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도리천 · 더보기 »

도교

(道敎)는 고대 중국에서 발생한 종교로서, 신선사상을 근본으로 하여 음양오행복서무축참위 등을 더하고, 거기에 도가(道家)의 철학을 도입하고, 다시 불교의 영향을 받아 성립.

새로운!!: 삼국유사와 도교 · 더보기 »

도솔가무

솔가무(兜率歌舞)는 한국의 전통 무용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도솔가무 · 더보기 »

도화녀

화랑(桃花娘, ? ~ ?)은 신라 진지왕(新羅 眞智王) 때의 미녀(美女)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도화녀 · 더보기 »

동명성왕

평양에 있는 동명성왕의 무덤 동명성왕(東明聖王) 또는 추모왕(鄒牟王, 기원전 58년 ~ 기원전 19년 음력 9월)은 고구려의 초대 태왕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동명성왕 · 더보기 »

동경 (거울)

명 대의 동경 동경(銅鏡, bronze mirror)은 구리 또는 구리합금(청동)으로 만든 거울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동경 (거울) · 더보기 »

동구 (울산광역시)

동구(東區)는 대한민국 울산광역시의 동부에 있는 구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동구 (울산광역시) · 더보기 »

동요

작은 별. 동요(童謠)는 주로 어린이들이 부르는, 어린이들의 감정을 담은 노래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동요 · 더보기 »

동사강목

《동사강목》(東史綱目)은, 조선의 학자 안정복(安鼎福)이 저술한 강목체(綱目體) · 편년체(編年體) 역사서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동사강목 · 더보기 »

동성왕

동성왕(東城王, ? ~ 501년, 재위: 479년~501년)은 백제의 제24대 국왕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동성왕 · 더보기 »

동해면 (포항시)

동해면(東海面)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의 면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동해면 (포항시) · 더보기 »

동화사

동화사(桐華寺)는 대구광역시 동구 도학동에 있는 절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동화사 · 더보기 »

매사냥

매사냥으로 가장 널리 쓰인 보라매. 다만 보라매는 매과 매속이 아니고 수리과 새매속의 새이다. 매사냥(falconry)이란 훈련된 맹금류를 부려서 짐승을 잡는 사냥법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매사냥 · 더보기 »

마립간

마립간(麻立干)은 신라의 17대 왕인 내물 마립간부터 21대 군주인 소지 마립간까지 사용한 호칭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마립간 · 더보기 »

마의태자

마의태자(麻衣太子, 912년? ~ ?)는 신라 하대의 왕족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마의태자 · 더보기 »

마야부인 (신라)

마야부인(摩耶夫人)은 신라 제26대 왕 진평왕의 왕비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마야부인 (신라) · 더보기 »

마한

마한(馬韓)은 고대 한민족의 54개 부족국가 연맹체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마한 · 더보기 »

모본왕

모본왕(慕本王, ? ~ 53년, 재위: 48년 ~ 53년 음력 11월)은 고구려의 제5대 국왕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모본왕 · 더보기 »

무령왕

무령왕(武寧王, 462년~523년 6월 5일(음력 5월 7일), 재위: 501년~523년)은 백제의 제25대 국왕으로 성은 부여(扶餘)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무령왕 · 더보기 »

무애무

무애무는 한국의 전통 무용의 하나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무애무 · 더보기 »

무왕 (백제)

무왕(武王, ? ~ 641년, 재위: 600년 ~ 641년 음력 3월) 은 백제의 제30대 국왕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무왕 (백제) · 더보기 »

문경 대승사 사면석불

문경 대승사 사면석불(聞慶 大乘寺 四面石佛)은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전두리, 대승사에 있는 신라의 석불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문경 대승사 사면석불 · 더보기 »

묘향산

묘향산(妙香山)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평안북도 향산군과 구장군, 평안남도 녕원군, 자강도 희천시에 걸쳐 있는 산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묘향산 · 더보기 »

미추 이사금

220px 미추 이사금(味鄒 泥師今, ? ~ 284년, 재위: 261년 ~ 284년)은 신라의 13번째 임금이며, 김씨로 임금이 된 첫째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미추 이사금 · 더보기 »

민중왕

민중왕(閔中王, ? ~ 48년 재위: 44년 음력 10월 ~ 48년)은 고구려의 제4대 군주로 유리명왕의 아들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민중왕 · 더보기 »

민애왕

민애왕(閔哀王,817년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 ~839년 음력 1월 23일, 재위: 838년~839년)은 신라의 제44대 왕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민애왕 · 더보기 »

감은장아기

은장아기는 제주도의 무가 설화 삼공본풀이 (三公 本풀이) 에 등장하는 여신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감은장아기 · 더보기 »

백두산

백두(白頭山)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남도 함경북도 혜산군 무산군 과 중화인민공화국 지린 성 연변 조선족 자치주에 걸쳐있는 화산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백두산 · 더보기 »

백제

백제(百濟, 기원전 18년 ~ 660년 8월 29일)는 한국의 고대 국가 중 하나로, 고구려, 신라와 함께 삼국 시대를 구성하였.

새로운!!: 삼국유사와 백제 · 더보기 »

백제기

《백제기》(百濟記)는 백제의 사서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백제기 · 더보기 »

백제신찬

《백제신찬(百濟新撰)》은 백제의 사서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백제신찬 · 더보기 »

개로왕

왕(蓋鹵王, ? ~ 475년 9월)은 백제의 제21대 국왕(재위: 455년~475년)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개로왕 · 더보기 »

발해

발해(渤海, 698년 ~ 926년)는 고구려 멸망 이후 고구려를 계승하여 대조영이 건국한 국가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발해 · 더보기 »

발해 고왕

발해 고왕 대조영(渤海 高王 大祚榮, ? ~719년 6월 재위: 698년~719년 6월)은 남북국 시대(南北國時代)는 발해(渤海)의 초대 왕으로, 걸걸중상(乞乞仲象)의 아들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발해 고왕 · 더보기 »

개황력

《개황력》(開皇曆)은 연표(年表)와 찬자를 알 수 없으며, 현전하지 않. 개황 연간(수 문제의 연호, 581년 ~ 600년)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 전하지 않아 그 내용이나 체제에 대해서는 알 수 없. 다만 《삼국유사》(三國遺事), 《가락국기》(駕洛國記)에 단편적인 기록이 보이고 있으므로, 가야에 대한 기록이 어느 정도 실려 있었을 것으로 보인.

새로운!!: 삼국유사와 개황력 · 더보기 »

강릉 단오제

The Gangneung Danoje Festival |.

새로운!!: 삼국유사와 강릉 단오제 · 더보기 »

박제상

박제상(朴堤上, 363년 ~ 418년 추정)은 신라의 충신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박제상 · 더보기 »

가락국기

《가락국기》(駕洛國記)는 가락국의 역사를 서술한 책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가락국기 · 더보기 »

밀양 손씨

밀양 손씨(密陽 孫氏)는 경상남도 밀양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밀양 손씨 · 더보기 »

밀양시

밀양시(密陽市)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동북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밀양시 · 더보기 »

가쓰라기노 소쓰히코

쓰라기노 소쓰히코(4세기 말-5세기 초)는 《일본서기》에 언급되는 고대 일본의 인물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가쓰라기노 소쓰히코 · 더보기 »

가섭원

섭원(迦葉原)은 해부루가 건국한 동부여의 수도로 위치미상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가섭원 · 더보기 »

가야

야(伽倻, 加耶, 伽耶)는 낙동강 하류 지역에 존재했던 한국의 고대 국가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가야 · 더보기 »

가야역 (도시철도)

야역(伽倻驛)은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동에 있는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의 지하철역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가야역 (도시철도) · 더보기 »

견훤

훤(甄萱, 867년~936년 9월 27일(음력 9월 9일) 재위:892년/900년~935년 음력 3월)은 후백제를 건국한 후백제의 시조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견훤 · 더보기 »

경명왕

경명왕(景明王, ? ~ 924년, 재위: 917년 ~ 924년)은 신라의 제54대 왕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경명왕 · 더보기 »

경문왕

경문왕(景文王, 846년 ~ 875년, 재위: 861년 ~ 875년)은 신라의 제48대 왕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경문왕 · 더보기 »

경주 망덕사지

경주 망덕사지(慶州 望德寺址)는, 경상북도 경주시 낭산의 기슭에 있는 절터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경주 망덕사지 · 더보기 »

경주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경주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慶州甘山寺石造彌勒菩薩立像)은 경상북도 월성군 내동면 신계리(현재 경주시)에 있는 감산사 절터에서 석조아미타여래입상(국보 제82호)과 함께 발견된 불상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경주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 더보기 »

경주 감산사 석조아미타여래입상

경주 감산사 석조아미타여래입상(慶州甘山寺石造阿彌陀如來立像)은 경상북도 월성군 내동면 신계리(현재 경주시)에 있는 감산사 절터에서 석조미륵보살입상(국보 제81호)과 함께 발견된 불상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경주 감산사 석조아미타여래입상 · 더보기 »

경주 불국사 가구식 석축

경주 불국사 가구식 석축(慶州 佛國寺 架構式 石築)은 경상북도 경주시, 불국사에 있는 통일신라의 석축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경주 불국사 가구식 석축 · 더보기 »

경주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

경주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慶州 佛國寺 金銅毘盧遮那佛坐像)은 경상북도 경주시 불국사 비로전에 있는 통일신라의 금동 불상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경주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 · 더보기 »

경주 불국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경주 불국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慶州 佛國寺 金銅阿彌陀如來坐像)은 경상북도 경주시 불국사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금동 아미타여래 좌상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경주 불국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 더보기 »

경주 불국사 대웅전

경주 불국사 대웅전(慶州 佛國寺 大雄殿)은 경상북도 경주시, 불국사의 대웅전으로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경주 불국사 대웅전 · 더보기 »

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

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慶州 掘佛寺址 石造四面佛像)은 경주 동천동 굴불사지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조 사면불상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 · 더보기 »

경주 남산 일원

경주 남산 일원(慶州 南山 一圓)은 경주 남산을 아우르는 대한민국의 사적 지대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경주 남산 일원 · 더보기 »

경주 효공왕릉

경주 효공왕릉(慶州 孝恭王陵)은 경상북도 경주시 배반동에 있는 신라 제52대 효공왕(재위 897∼912)의 무덤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경주 효공왕릉 · 더보기 »

경주 이차돈 순교비

경주 이차돈 순교비(慶州 異次頓 殉敎碑)는 신라 법흥왕 14년(527년) 불교 공인을 위해 순교한 이차돈을 추모하고자 건립한 석비(石碑)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경주 이차돈 순교비 · 더보기 »

경주 첨성대

성대(瞻星臺)는 경주시 반월성 동북쪽에 위치한 신라 중기의 석조 건축물로, 선덕여왕때에 세워진, 현존하는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천문대로 알려져 있.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31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삼국유사와 경주 첨성대 · 더보기 »

경주 천관사지

경주 천관사지(慶州 天官寺址)는 신라의 수도였던 서라벌(徐羅伐)에 세워져 고려 시대까지 존속했으나 후에 폐사된 사찰인 천관사의 옛 터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경주 천관사지 · 더보기 »

경주 오릉

경주 오릉(慶州 五陵)은 경상북도 경주 남쪽 약 2km 지점, 문천 남안의 송림 속에 있는 능묘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경주 오릉 · 더보기 »

경주 원성왕릉

원성왕릉(元聖王陵)은 경주시 외동읍 괘릉리에 있는 능으로, 《삼국유사》의 기록에 따라 신라 38대 원성왕의 능으로 추정.

새로운!!: 삼국유사와 경주 원성왕릉 · 더보기 »

경주 황룡사지

황룡사(皇龍寺)는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었던 사찰로서, 경주에서 가장 컸던 사찰로 알려져 있으나,한국사 > 고대사회의 발전 > 삼국의 성립과 발전 > 고대문화의 발전 > 황룡사,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현재는 터만 남아 있. 황룡사는 9층 목탑과 장륙상(丈六像)과 더불어 신라 삼보(三寶)의 하나로 유명하였.

새로운!!: 삼국유사와 경주 황룡사지 · 더보기 »

경주향교

경주향교(慶州鄕校)은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향교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경주향교 · 더보기 »

경순왕

경순왕(敬順王. ? ~ 978년)은 신라의 제56대 군주(재위: 927년 ~ 935년)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경순왕 · 더보기 »

경산시

경산시(慶山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남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경산시 · 더보기 »

벌휴 이사금

벌휴 이사금(伐休泥師今, ?~196년, 재위: 184년~196년)은 신라의 제9대 왕이며, 이사금의 칭호를 사용한 7번째 왕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벌휴 이사금 · 더보기 »

법왕

법왕(法王, ? ~ 600년 5월, 재위: 599년 ~ 600년 5월)은 백제의 제29대 국왕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법왕 · 더보기 »

고려의 군사

의 군사 제도는 중앙군과 지방군의 이원 조직으로 나뉘었.

새로운!!: 삼국유사와 고려의 군사 · 더보기 »

고기 (역사서)

《고기》(古記)는 현재 전해지지 않는 한국의 고대 역사서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고기 (역사서) · 더보기 »

고대 한국어

국어(古代韓國語)는 중세 한국어(10세기 초엽 - 16세기 말) 이전의 한국어(韓國語)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고대 한국어 · 더보기 »

고구려

(高句麗, 기원전 37년 ~ 668년)는 한국의 고대 국가 중 하나로, 백제 및 신라와 함께 삼국 시대를 구성한 주요 국가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고구려 · 더보기 »

고구려의 역대 국왕

아래는 고구려를 다스린 역대 국왕과 재위 년도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고구려의 역대 국왕 · 더보기 »

고운기

운기(1961년 12월 15일 ~)는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국문학자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고운기 · 더보기 »

고이왕

이왕(古尒王, ? ~ 286년, 재위: 234년 ~ 286년)은 백제의 제8대 국왕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고이왕 · 더보기 »

고조선

조선(古朝鮮, ? ~ 기원전 108년)은 한국의 역사상 최초의 고대 국. 본래 국호는 조선(朝鮮)이나, 일반적으로 14세기 말 이성계(李成桂)가 건국한 같은 이름의 왕조(조선)와의 구분을 위해 '고조선'이라 부른.

새로운!!: 삼국유사와 고조선 · 더보기 »

고조선의 건국 신화

조선의 건국 신화는 한반도 최초의 나라인 고조선의 건국에 대한 이야기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고조선의 건국 신화 · 더보기 »

고조선의 수도

조선의 수도는 아사달(阿斯達)로 알려져 있는데 오늘날 정확한 위치는 알려져 있지 않. 고조선의 수도는 아사달 이외에도 평양성, 왕검성, 검독, 험독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

새로운!!: 삼국유사와 고조선의 수도 · 더보기 »

고환권

환권(高桓權, ? ~ ?)은 고구려 영류왕(榮留王)의 아들이자, 고구려의 태자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고환권 · 더보기 »

곤지

부여곤지(扶餘昆支, ? ~ 477년 7월)는 백제의 왕자이자 왕족, 정치인으로, 개로왕의 동생이며, 문주왕의 숙부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곤지 · 더보기 »

보도부인

보도부인(保道夫人 혹은 保刀夫人, ? ~ ?)은 신라 중기의 왕족, 왕비로 법흥왕의 정비(妃)였.

새로운!!: 삼국유사와 보도부인 · 더보기 »

공주 수원사지

공주 수원사지(公州 水源寺址)는 월성산 서북쪽 산기슭에 자리잡고 있는 절터로 수원사에 기록된 미륵선화의 내용으로 보아 6세기 후반에는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 현재 사지 일대는 잔디밭으로 정비되어 있는데, 탑의 지대석과 석재 일부가 지표상에 노출되어 있. 1982년 12월 31일 충청남도의 기념물 제36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삼국유사와 공주 수원사지 · 더보기 »

계몽사 문고

몽사 문고는 계몽사 출판사에서 펴낸 아동용 문고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계몽사 문고 · 더보기 »

봉은사

봉은사(奉恩寺)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수도산 기슭에 있는 사찰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봉은사 · 더보기 »

북대방

북대방(北帶方)은 정사 사서로서는 유일하게 일연의 삼국유사에서만 등장하는 국가로서, 북대방은 본디 죽담성(竹覃城)인데 기원전 27년에 낙랑인들과 함께 신라에 나라를 바치고 귀순.

새로운!!: 삼국유사와 북대방 · 더보기 »

권람

(權擥, 1416년 ~ 1465년 2월 6일)은 조선 초의 문신, 역사학자, 작가, 문인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권람 · 더보기 »

불국사

불국사(佛國寺)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주시 동쪽 토함산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 사찰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불국사 · 더보기 »

분황사

분황사(芬皇寺)는, 경상북도 경주시 구황동에 있는 사찰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분황사 · 더보기 »

부루 (고조선)

부루(夫婁 또는 扶婁)는 고조선을 건국한 단군왕검의 아들로 전해지는 인물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부루 (고조선) · 더보기 »

부여

부여(扶餘, 기원전 2세기 ~ 494년)는 한민족의 고대국가로 여겨지는 초기 국가(연맹 왕국)들 중 하나로, 지금의 쑹화강 유역을 중심으로 지금의 만주 일대(하얼빈, 아청, 위수, 눙안, 창춘, 솽양, 지린, 옌지, 훈춘, 치치하얼, 룽장)를 지배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 고구려에 의해 부여는 병합되었.

새로운!!: 삼국유사와 부여 · 더보기 »

부여효

부여효(扶餘孝, ? ~ ?)는 의자왕의 아들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부여효 · 더보기 »

부여의 역대 국왕

음은 부여를 다스린 역대 임금의 연대표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부여의 역대 국왕 · 더보기 »

부여융

부여융(扶餘隆, 615년 ~ 682년)은 백제 의자왕의 아들로 삼국 말기의 대표적인 경계인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부여융 · 더보기 »

부산광역시의 지방조직 변천

부산광역시의 지방조직은 현재 부산광역시 일원을 포함하는 지역의 지방 행정조직 체계를 말. 여기서 기술하는 영역은 부산광역시의 시역으로 한정하며, 시간상 삼한시대에서 현재에 이르는 시.

새로운!!: 삼국유사와 부산광역시의 지방조직 변천 · 더보기 »

부산광역시의 유형문화재 (제1호 ~ 제100호)

부산광역시의 유형문화재는 유형문화재 중에서 부산광역시 내에 있는 문화재를 의미.

새로운!!: 삼국유사와 부산광역시의 유형문화재 (제1호 ~ 제100호) · 더보기 »

부석사

부석사(浮石寺)는 신라 문무왕 16년(676년)에 의상이 왕명을 받아 세운 화엄종 사찰로서,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봉황산 중턱에 있.사회 I·문화재 > 문 화 재 > 중요 문화재 > 경상북도 > 부석사,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부석사는 특히 의상이 화엄의 큰 가르침을 베풀던 곳으로, 의상을 하고, 그가 창시한 화엄종을 "부석종"이라 하는 것도 여기에서 유. 1372년(공민왕 21)에 주지가 된 원응국사(圓應國師)에 의해 많은 건물들이 다시 세워졌.

새로운!!: 삼국유사와 부석사 · 더보기 »

균여전

여전(均如傳) 혹은 《대화엄수좌원통양중대사 균여전(大華嚴首座圓通兩重大師均如傳)》은 고려 초기의 승려 균여(均如)의 일대기를 적은 전기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균여전 · 더보기 »

극락

극락(極樂)은 서방극락세계(西方極樂世界), 극락정토(極樂淨土), 극락국토(極樂國土)을 지칭하는 말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극락 · 더보기 »

기림 이사금

림 이사금(基臨 泥師今, ? ~ 310년, 재위; 298년~310년)은 신라의 15번째 왕이며, 기립(基立)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기림 이사금 · 더보기 »

기림사

림사(祗林寺)는 경상북도 경주시의 함월산 자락에 위치한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기림사 · 더보기 »

기자조선

자조선(箕子朝鮮)은 고조선의 왕조 중 하나인 고대 국가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기자조선 · 더보기 »

기전체

전체(紀傳體)는 한자 문화권에서 역사책을 쓸 때 사용되는 체제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기전체 · 더보기 »

비명을 찾아서

《비명을 찾아서: 경성, 쇼우와 62년(碑銘을 찾아서: 京城, 쇼우와 62년)》은 대한민국의 소설가 복거일이 1987년에 발표한 장편 대체 역사 소설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비명을 찾아서 · 더보기 »

비담

비담(毗曇, 미상 ~ 647년 2월 26일(음력 1월 17일)) 은 신라 제 27대 선덕여왕 말기의 진골로 추정되는 귀족이며 성은 김(金)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비담 · 더보기 »

비유왕

비유왕(毗有王, ? ~ 455년, 재위: 427년 ~ 455년)은 백제의 제20대 국왕이다. 휘는 비유(毗有) 또는 비(毗)이고, 송서 이만전 백제조(宋書 夷蠻傳 百濟條)에서는 여비(餘毗)로 나와있다. 구이신왕(久爾辛王)의 맏아들이다. 《삼국사기》는 전지왕의 서자라는 설도 있으나 분명치 않다고 기록하고 있다. 용모가 아름답고 언변이 좋았다고 한다. 그의 다른 이름은 곤유왕(昆有王), 피류왕(避流王)이다.

새로운!!: 삼국유사와 비유왕 · 더보기 »

비형랑

비형(金鼻荊, 581년 ~ 몰년 미상)은 신라의 왕족으로 진지왕의 차남이자 서자로, 진평왕 때의 인물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비형랑 · 더보기 »

김 (해조류)

조시킨 김 김은 김속의 해조류를 넓은 곳에 평평하게 펴서 말려서 사각형으로 잘라서 먹는 음식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김 (해조류) · 더보기 »

김덕지

덕지(金德摯. 생몰년 미상)는 신라 하대의 왕족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김덕지 · 더보기 »

김무력

무력(金武力, 518년 ~ 579년 10월 16일)은 가락국의 왕족이자 금관가야의 왕자였.

새로운!!: 삼국유사와 김무력 · 더보기 »

김미사흔

미사흔(未斯欣, ? - 433년 5월) 또는 미사흠, 미해는 신라 초기의 왕족이자 내물 이사금의 3남으로, 눌지 마립간의 동생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김미사흔 · 더보기 »

김백반

백반(金伯飯, 생몰년 미상)은 신라(新羅)의 왕족 종실이며, 신라(新羅) 제24대 군주 진흥왕(眞興王)의 손자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김백반 · 더보기 »

김복호

복호(卜好, ? ~ ?) 또는 보해(寶海), 또는 보로(寶露)는 신라 초기의 왕자, 왕족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김복호 · 더보기 »

김부식

부식(金富軾, 1075년 ~ 1151년)은 《삼국사기》를 쓴 고려 시대 학자·문신·역사가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김부식 · 더보기 »

김흠돌

흠돌(金欽突, ? ~ 681년 9월 25일(음력 8월 8일))은 신라 중대와 통일신라의 군인이자 왕족, 무신, 외척이며 반란자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김흠돌 · 더보기 »

김일연

일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삼국유사와 김일연 · 더보기 »

김진종

종(金眞宗, 생몰년 미상)은 신라의 왕족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김진종 · 더보기 »

김지정의 난

정의 난(金志貞-亂)은 선덕왕 1년(780년) 신라의 왕족 김지정(? ~ 780)이 일으킨 반란으로서, 신라 후기에 연달아 일어난 왕위쟁탈을 위한 골육상쟁의 하나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김지정의 난 · 더보기 »

김지성 (652년)

성(金志誠, 652년 ~ 720년)은 신라의 중기의 관리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김지성 (652년) · 더보기 »

김유신

유신(金庾信, 595년 ~ 673년 8월 18일 (음력 7월 1일))은 신라의 군인 겸 정치가이자, 외척이었.

새로운!!: 삼국유사와 김유신 · 더보기 »

김양도

양도(金良圖, ? ~ 670년)는 신라 중기의 귀족ㆍ장군ㆍ관인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김양도 · 더보기 »

김삼광

삼광(金三光, 655년~ ?)은 통일 신라(統一新羅)의 귀족이며, 가야(伽倻)의 왕족이었.

새로운!!: 삼국유사와 김삼광 · 더보기 »

김서현

서현(金舒玄, 564년 ~ ?)은 가야의 왕족이자, 신라의 군인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김서현 · 더보기 »

김알지

알지(金閼智, 65년 ~ 몰년 미상)는 정사가 아닌 전설로 전해지는 신라 김씨 왕조의 시조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김알지 · 더보기 »

대덕산 (강원)

덕산(大德山)은 강원도 태백시 창죽동과 삼척시 하장면에 걸쳐있는 산으로 높이는 1,307m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대덕산 (강원) · 더보기 »

대륙사관

륙사관(大陸史觀)은 한국사의 일부로 취급되는 국가와 한국인의 활동 영역을 한반도뿐만 아니라 만주, 또는 보하이 만 부근과 산둥 반도를 비롯한 중국 본토의 동쪽 해안까지 확장하는 역사관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대륙사관 · 더보기 »

대무신왕

무신왕(大武神王, 4년~44년)은 고구려의 제3대 왕(재위: 18년~44년)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대무신왕 · 더보기 »

대각간

각간(大角干) 혹은 대서발한(大舒發翰)은 신라의 17관등 중 제1등인 각간에다가 대 자까지 붙여서 만든 임시직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대각간 · 더보기 »

대나무숲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무숲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이용되는 공간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대나무숲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 더보기 »

대당고김씨부인묘명

당고김씨부인묘명(大唐故金氏夫人墓銘)은 중국 당나라에 살았던 신라인 김씨 부인의 묘지명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대당고김씨부인묘명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대한민국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보물 (제401호 ~ 제500호)

보물 제1호 흥인지문 대한민국의 보물(大韓民國 寶物)은 목조 건축물, 석조 건축물, 전적류, 서적류, 고문서, 회화, 조각류, 공예품, 고고자료, 무구(巫具) 등 대한민국의 유형문화재 가운데 중요한 것을 국가에서 지정한 것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대한민국의 보물 (제401호 ~ 제500호) · 더보기 »

대한민국의 국보 (제301호 ~ 제400호)

숭례문(국보 제1호) 대한민국의 국보(大韓民國 國寶)는 대한민국에서, 건축물이나 유물 등의 유형 문화재 가운데에 중요한 가치를 가져 보물로 지정될 만한 문화재 가운데에서 인류문화적으로 가치가 크고 유례가 드문 것, 독특하고 희귀한 것 등으로 인정되어 따로 지정된 문화유산을 말.

새로운!!: 삼국유사와 대한민국의 국보 (제301호 ~ 제400호)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성소수자 역사

민국의 성소수자 역사는 성소수자 인권 운동이 본격적으로 시작한 1990년대를 기점으로 하지만, 고문헌과 사료 등을 통해 과거 역사에 여러 성소수자 사례가 존재했음을 알 수 있.

새로운!!: 삼국유사와 대한민국의 성소수자 역사 · 더보기 »

눌지 마립간

마립간(訥祗 麻立干, ? ~ 458년, 재위 417년 ~ 458년)은 신라의 제19대 임금이자, 삼국사기에 따르면 최초로 마립간의 칭호를 사용한 임금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눌지 마립간 · 더보기 »

구도 갈문왕

문왕(仇道 葛文王, ? ~ ?)은 신라의 왕족이자 장군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구도 갈문왕 · 더보기 »

구드래

부여군 쪽에 있는 금강 나루로 백제시대에 도성인 사비성을 출입하는 항구와도 같은 큰 나루였.

새로운!!: 삼국유사와 구드래 · 더보기 »

구형왕

형왕(仇衡王, 생몰년 미상, 재위: 521년 ~ 532년? 562년?) 혹은 구해왕(仇亥王)은 가락국의 마지막 왕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구형왕 · 더보기 »

군위군

위군(軍威郡)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중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군위군 · 더보기 »

두두을

을(豆豆乙) 또는 두두리(豆豆里)는 신라시대에서 고려시대를 걸쳐 조선시대까지 경주 일대에서 숭배된 목각 우상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두두을 · 더보기 »

남북국 시대

북국 시대(南北國時代)는 698년는 1784년에 유득공에 의해 창조된 북부의 만주와 연해주를 중심으로 한 발해의 건국 이후 남부의 한반도에 있는 신라와 공존하던 시대를 일컫는 역사 용어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남북국 시대 · 더보기 »

나라 시대

시대(710년 ~ 794년)는 넓은 의미로는 710년 겐메이 천황이 헤이조쿄(平城京)로 천도한 때부터 794년 간무 천황이 헤이안쿄(平安京)로 천도할 때까지의 84년의 기간을 말하고, 좁은 의미로는 710년에서 784년에 간무 천황이 나가오카쿄(長岡京)로 천도할 때 까지이 74년의 기간을 가리키는 일본역사의 시대구분의 하나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나라 시대 · 더보기 »

나마 (관직)

마(奈麻)는 신라의 17등 관계(官階) 중의 제11등 관등명이며 진골(眞骨)·육두품 이외에 5두품이 받을 수 있. 바로 다음 관등인 대사와는 큰 차이가 있어서 관부의 차관 격인 시랑(侍郞)이나 경(卿)의 지위는 나마 이상의 관등을 가지고 있어야만 오를 수 있. 나마는 나말(奈末·「창녕비(昌寧碑)」)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나마 (관직) · 더보기 »

나주 김씨

주 김씨(羅州 金氏)는 전라남도 나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나주 김씨 · 더보기 »

낙원

낙원(樂園) 또는 파라다이스(paradise)는 서양의 고대, 중세 문학과 경전에서 언급되는, 그 안에서는 긍정적이고, 조화롭고, 영원한 장소를 말. 고대 오리엔트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 동 ∙ 서유럽, 이슬람 미술에 넓게 존재하는 중요한 표상의 하나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낙원 · 더보기 »

낙화암

낙화암(落花岩)은 충청남도 부여군 부소산에 있는 바위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낙화암 · 더보기 »

다루왕

왕(多婁王, ?~77년, 재위: 28년~77년)은 백제의 제2대 국왕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다루왕 · 더보기 »

다이쇼 신수 대장경

이쇼 신수 대장경() 또는 대정신수대장경(大正新脩大藏經, 大正新修大藏經), 신수대장경(新脩大藏經) 약칭 대정장(大正藏)은 1924~1934년에 일본 다이쇼 일체경 간행회(大正一切経刊行会)에서 출판한 대장경으로, 모두 88권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다이쇼 신수 대장경 · 더보기 »

단군

(檀君 또는 壇君) 또는 단군왕검(檀君王儉)은 한민족의 신화적인 시조이자 고조선의 국조(國祖)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단군 · 더보기 »

단군론

(檀君論)은 최남선이 1926년 3월 3일부터 1926년 7월 25일까지 『동아일보』에 연재된 글로 일본인들이 만들어낸 식민사관에 맞선 논문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단군론 · 더보기 »

단군릉

릉(檀君陵)은 평양직할시 대성구역에서 22 km 떨어진 강동군에 위치한 대리석으로 지어진 돌무지무덤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이를 고조선의 지도자였던 단군(과 그의 부인)의 능이라고 주장.

새로운!!: 삼국유사와 단군릉 · 더보기 »

단군기원

원(檀君紀元) 또는 단기(檀紀)는 한민족의 역사가 시작되는 시점인 단군의 고조선 건국 연대를 기준으로 하는 상징적인 기년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단군기원 · 더보기 »

단군조선

조선(檀君朝鮮)은 한민족 최초의 국가로 전해지는데, 그 개국 기원에 대해서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기록인 《삼국유사》에서 인용된 《위서》(魏書)에는 단군 왕검이 아사달에 개국한 국가로 기록되어 있. 일반적으로 고조선의 역사를 왕조 또는 지배자에 따라 구분하여 단군이 다스렸던 첫 번째 시기를 지칭.

새로운!!: 삼국유사와 단군조선 · 더보기 »

단서대강

서대강(檀書大綱)은 심당(心堂) 이고선(李固善)이 1950년에 지었다고 전하는 역사책으로 전체 546쪽이며 한문으로 기록되어 있. 삼국유사에 기록된 환인에서부터 남북국시대인 발해를 포함하여 조선의 순종(純宗)까지의 역사를 기술하고 있. 삼국유사에 기록된 환인과 환웅과 단군을 모두 단군조선의 역사에 포함시켜 왕검이 1대 임금이 아니라 3대 임금으로 기술한 점이 특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단서대강 · 더보기 »

단속사지

속사지(斷俗寺址)는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운리 333번지 마을 한가운데 단속사터를 말.

새로운!!: 삼국유사와 단속사지 · 더보기 »

당장경 천도

당장경 천도(唐莊京遷都)는 단군의 네 아들이 고조선의 도읍지를 평양성에서 당장경(唐莊京)으로 옮긴 것에 대한 설화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당장경 천도 · 더보기 »

효(孝)하는 마음으로, 동양에서 충(忠)과 더불어 가장 중요하게 여겨진 가치관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효 · 더보기 »

용검

용검(甄龍劍, ? ~ 936년 음력 9월)은 후백제 초대 군주 견훤의 셋째 아들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용검 · 더보기 »

우거왕

우거왕(右渠王, ? ~ 기원전 108년, 재위: ? ~ 기원전 108년) 또는 위우거(衛右渠)는 위만조선의 마지막 왕으로 위만(衛滿)의 손자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우거왕 · 더보기 »

운제산

운제산정상비 운제산(雲梯山)은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오천읍 항사리와 대송면 산여리에 걸쳐 있는 산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운제산 · 더보기 »

울릉도

울릉도(鬱陵島)는 경상북도 울릉군의 본도(本島)로, 대한민국에서 9번째로 넓은 섬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울릉도 · 더보기 »

울산 동축사 삼층석탑

동축사 삼층석탑(東竺寺 三層石塔)은 울산광역시 동구 동축사에 있는, 신라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울산 동축사 삼층석탑 · 더보기 »

승만부인

승만부인(僧滿夫人)은 신라 제26대 왕 진평왕의 두 번째 왕비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승만부인 · 더보기 »

승관 제도

승관 제도(僧官制度) 또는 승관제(僧官制)는 신라 불교의 승직제도(僧職制度)로 불교 사원(寺院) 및 교단(敎團)을 통괄하기 위한 제도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승관 제도 · 더보기 »

승탑

승탑(僧塔) 또는 부도(浮屠/浮圖)는 불교에서 승려의 사리를 안치한 탑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승탑 · 더보기 »

자장

자장(慈藏, 590년~658년)은 신라의 스님이었고, 율사(律師)로 알려져 있. 출가하기 전에는 진골 출신의 귀족이었으며, 성은 김(金), 속명은 선종(善宗)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자장 · 더보기 »

잡찬

잡찬(迊湌)은 신라 시대 17관등에서 3등으로 파진찬의 위이며 소판(蘇判),잡판(迊判),잡간(迊干)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잡찬 · 더보기 »

장보고

완도군 완도읍 장보고기념관 장보고(張保皐, 787년~846년)는 한국 남북국 시대 신라의 무장이자 해상 호족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장보고 · 더보기 »

장군 (고려)

장군(將軍)은 고려 때 중앙군 단위부대인 영의 지휘관으로 무반의 세 번째 위치이며 정4품관이었.

새로운!!: 삼국유사와 장군 (고려) · 더보기 »

장당경

장당경(藏唐京)은 고조선의 도읍지로 전해지는 지명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장당경 · 더보기 »

재사

재사(高再思)는 고구려의 왕족 종실이자 국태공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재사 · 더보기 »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는 그리스 신화의 내용 중 하나이며, 세계적으로 여러 가지 구전으로 퍼져 여러 이야기가 있.

새로운!!: 삼국유사와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 · 더보기 »

임성태자

임성태자(琳聖太子, 577년 ~ 657년 11월(오우치 가문의 주장,생몰년도 미상))는 백제의 마지막 왕족 중 하나로 추측할 뿐이며 성씨는 부여, 이름은 의조(義照).

새로운!!: 삼국유사와 임성태자 · 더보기 »

입종 갈문왕

입종 갈문왕(立宗 葛文王, ? ~ ?) 또는 사부지 갈문왕(徙夫知 葛文王), 사부지 갈문왕(徙夫智 葛文王)은 신라 시대의 왕족으로 지증 마립간의 아들이고 법흥왕의 동생이자 사위였으며, 진흥왕, 숙흘종의 생부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입종 갈문왕 · 더보기 »

평양성 (고조선)

평양성(平壤城)은 고조선의 수도로 전해지는 지명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평양성 (고조선) · 더보기 »

흥덕왕

흥덕왕(興德王, 777년~836년, 재위: 826년~836년)은 신라의 제42대 왕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흥덕왕 · 더보기 »

흥평왕

흥평왕(興平王)은 신라의 추존왕 중 하나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흥평왕 · 더보기 »

흥수

흥수(興首, ? ~ ?)는 백제 말기의 대신(大臣), 정치가(政治家), 충신(忠臣)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흥수 · 더보기 »

이견대

596x596픽셀 이견대(利見臺)는, 신라 문무왕(文武王)의 능원인 대왕암(大王巖)과 관련된 신라 시대의 유적지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이견대 · 더보기 »

이재호 (역사학자)

이재호(李載浩, 1920년 12월 26일 ~ 2016년 11월 6일)는 대한민국의 역사학자이자 교육자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이재호 (역사학자) · 더보기 »

이칠 갈문왕

이칠 갈문왕(伊柒葛文王)은 신라의 왕자이자 왕족이며 파사 이사금의 손자이자 지마 이사금의 태자였.

새로운!!: 삼국유사와 이칠 갈문왕 · 더보기 »

이사부

이사부(異斯夫, 생몰년 미상) 또는 김태종(金苔宗)은 신라 지증왕 ~ 진흥왕 시대의 장군 · 정치가로, 내물 이사금의 4세손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이사부 · 더보기 »

이서국

이서국(伊西國)은 삼한 시대에 있던 변진(弁辰) 계통의 부족국가로, 신라 초기에 복속하였.

새로운!!: 삼국유사와 이서국 · 더보기 »

일기

일기(日記)란 개인이 일상에서 체험하는 경험, 생각, 감상 등의 제반사항을 하루 단위로 기록하는 비공식적, 사적 기록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일기 · 더보기 »

일연

일연(一然, 속명(본명) 전견명(全見明), 1206년 7월 18일(음력 6월 11일) ~ 1289년 7월 26일(음력 7월 8일))은 고려 충렬왕 때의 승려로, 보각국사(普覺國師).

새로운!!: 삼국유사와 일연 · 더보기 »

일성 이사금

일성 이사금(逸聖泥師今, ? ~ 154년, 재위 134년~154년)은 신라의 제7대 국왕으로, 유리 이사금의 맏아들이라고도 하며 일지(日知) 갈문왕의 아들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일성 이사금 · 더보기 »

의자왕

의자왕(義慈王, ?자식 중 하나인 부여융은 615년생이다. 이것으로 보아 595년경에 태어났을 것이다. ~ 660년, 재위: 641년 ~ 660년)은 백제의 마지막 국왕(혹은 31대 국왕)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의자왕 · 더보기 »

익산 미륵사지

미륵사(彌勒寺)는 백제 무왕 때 왕비인 사택왕후의 발원으로 지어진 사찰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익산 미륵사지 · 더보기 »

익산 미륵사지 석탑

익산 미륵사지 석탑(益山 彌勒寺址 石塔)은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미륵사지에 있으며, 한국에 남아있는 석탑 중 가장 오래된 석탑으로 국보 제11호로 지정되어 있. 백제 무왕의 재위기간 중인 639년에 만들어진 이 석탑은 백제 석탑의 시원 형식(始原形式)이라고 불리며, 여러 면에서 한국 석탑 전체의 출발점이라 할 수 있. 해체 당시 높이는 14.2 m로, 원래는 9층으로 추정되는 한국 최대의 석탑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익산 미륵사지 석탑 · 더보기 »

응제시주

《응제시주》(應製詩註)는 조선 전기에 권람(權擥)이 조부 권근(權近)의 응제시(應製詩)에 주석(註釋)을 붙인 책으로 권람은 응제시 24수와 어제시 3수에 대하여 1460년부터 주석을 붙이기 시작하여 1461년 가을에 탈고를 하고 1462년(세조 8년)에 《응제시주》를 간행하였.

새로운!!: 삼국유사와 응제시주 · 더보기 »

을음

을음(乙音, ? - ?)은 동부여와 고구려, 백제의 왕족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을음 · 더보기 »

제망매가

제망매가(祭亡妹歌)는 신라의 승려 월명사가 지은 향가로, 《삼국유사》 권5 “월명사 도솔가조(月明師兜率歌條)”에 “월명이 죽은 누이를 위하여 부처에게 공양하는 재를 올리고 향가를 지어 제사를.”라고 기록되어 있. 박제천의 〈월명〉(月明)은 〈제망매가〉를 현대적으로 계승한 작품으로, 나뭇잎을 통해 깨달은 인생의 본질을 노래하고 있. 나무를 떠나야만 하는 수많은 나뭇잎들을 통해 죽음의 세계로 떠나야 하는 인간 존재를 형상화하고 있.

새로운!!: 삼국유사와 제망매가 · 더보기 »

제왕운기

《제왕운기》(帝王韻紀)는 고려 시대의 학자 이승휴(李承休)가 충렬왕 13년(1287년) 한국과 중국의 역사를 시로 쓴 역사책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제왕운기 · 더보기 »

전라도

전라도(全羅道)는 전라북도와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제주특별자치도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구역으로 호남 지방(湖南地方)에 해당.

새로운!!: 삼국유사와 전라도 · 더보기 »

전지왕

전지왕(腆支王, ? ~ 420년, 재위: 405년~420년)은 백제의 제18대 국왕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전지왕 · 더보기 »

정견모주

정견모주(正見母主)는, 전기 가야 연맹의 맹주 가락국과 후기 가야 연맹의 맹주가 된 반파국(대가야)의 건국 설화에 나오는 여성 산신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정견모주 · 더보기 »

정습명

정습명(鄭襲明, 1094년? ~ 1151년 3월 21일)은 고려 중기의 문신, 시인, 작가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정습명 · 더보기 »

정토 사상

정토 사상(淨土思想)은 아미타불과 같은 부처나 미륵보살과 같은 보살들이 거주하고 있는 청정한 세계인 정토(淨土Pure land)에 대해 전개된 대승불교의 사상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정토 사상 · 더보기 »

조분 이사금

조분 이사금(助賁 泥師今, ? ~ 247년, 재위: 230년 ~ 247년)은 신라의 제11대 임금이며, 벌휴 이사금의 손자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조분 이사금 · 더보기 »

좌지왕

좌지왕(坐知王, ? ~ 421년 5월 29일(음력 4월 12일)) 혹은 김질왕(金叱王), 김토왕(金吐王)은 가락국의 제6대 국왕(재위: 407년 6월 1일(음력 4월 10일) ~ 421년 5월 29일(음력 4월 12일))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좌지왕 · 더보기 »

종발성

종발성(從拔城)은 광개토왕릉비에 나오는 임나가라(가야)의 지명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종발성 · 더보기 »

죽지

죽지(竹旨, ?–?)는 신라시대의 대신, 화랑 출신 장군으로 다른 이름은 죽만(竹曼), 지관(智官), 죽만랑(竹曼郞), 죽지랑(竹旨郞)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죽지 · 더보기 »

진덕여왕

경주 진덕여왕릉 (사적 24호)진덕여왕(眞德女王, ? ~ 654년, 재위: 647년 ~ 654년) 또는 진덕왕(眞德王) 은 신라 제28대 왕이며 두번째 여왕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진덕여왕 · 더보기 »

진평왕

평왕(眞平王, ? ~ 632년, 재위 579년 ~ 632년)은 신라의 제26대 왕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진평왕 · 더보기 »

진흥왕

흥왕(眞興王, 526년~576년, 재위: 540년~576년)은 신라의 제24대 임금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진흥왕 · 더보기 »

진이왕

이왕(辰爾王: ? ~ ?)은 7세기 초의 백제의 왕족으로, 무왕을 법왕의 친생자로 보지 않는 견해에서 무왕의 생부로 거론되는 인물 중 하나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진이왕 · 더보기 »

진주 청곡사 목조제석천·대범천의상

주 청곡사 목조 제석천·대범천의상(晋州靑谷寺木造帝釋天·大梵天倚像)은 경상남도 진주시 금산면, 청곡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진주 청곡사 목조제석천·대범천의상 · 더보기 »

진지왕

왕(眞智王, ? ~ 579년 8월 24일 (음력 7월 17일), 재위: 576년~579년)은 신라의 제25대 임금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진지왕 · 더보기 »

진성여왕

성여왕(眞聖女王, ? ~ 897년 12월 31일 (음력 12월 4일), 재위:887년 ~ 897년 음력 6월 1일)은 신라의 제51대 여왕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진성여왕 · 더보기 »

진손왕

백제 진손왕(百濟 辰孫王, 356년 ~ ?)은 백제의 왕자·왕족이며 근구수왕의 손자이고, 백제 진사왕(辰斯王)의 아들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진손왕 · 더보기 »

진한

(辰韓)은 한반도 남부에 있던 삼한(三韓)의 하나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진한 · 더보기 »

지백호

백호(智伯虎, ? ~ ?)는 신라의 6촌 중 취산 진지촌(珍支村)의 촌장으로 신라의 개국 공신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지백호 · 더보기 »

지기삼사

삼사(知幾三事)란 선덕여왕이 즉위 당시 세 가지 신비로운 일을 예측한 것을 의미.

새로운!!: 삼국유사와 지기삼사 · 더보기 »

지증왕

증왕(智證王, 437년~514년, 재위: 500년~514년)은 신라의 제22대 왕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지증왕 · 더보기 »

지타

(祗陀 또는 只他)는 신라 6촌 중 금산(金山)의 가리촌(加利村)의 촌장으로 신라의 개국 공신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지타 · 더보기 »

차나무

''Camellia sinensis'' 차나무(茶-)는 상록의 활엽관목으로서, 학명은 Camellia sinensis이다 Camellia 동백나무속을 뜻. 한국에서는 주로 녹차로 이용되는 Camellia sinensis var. sinensis이 전라도, 경상도, 제주도에서 재배되고 있. 홍차용으로 주로 이용되는 Camellia sinensis var. assamica은 인도, 스리랑카 등지에서 재배.

새로운!!: 삼국유사와 차나무 · 더보기 »

찬기파랑가

랑가(讚耆婆郞歌)는 신라 시대의 10구체 향가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찬기파랑가 · 더보기 »

창릉문학상

창릉문학상 울산 출신으로 도산서원 원장을 지낸 유학자이자 한문학 대가인 창릉(蒼菱) 박용진(朴墉鎭, 1902~1988) 선생을 기리기 위해, 그 아들 박종해(시인·전 울산예총 회장) 울산북구문화원장이 낸 7000만원의 종잣돈으로 제정한 문학상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창릉문학상 · 더보기 »

책계왕

책계왕(責稽王, ? ~ 298년, 재위: 286년 ~ 298년)은 백제의 제9대 국왕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책계왕 · 더보기 »

청도 운문사 동·서 삼층석탑

청도 운문사 동·서 삼층석탑(淸道 雲門寺 東·西 三層石塔)은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운문사에 있는 신라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청도 운문사 동·서 삼층석탑 · 더보기 »

청구 (고조선)

청구(靑丘 혹은 靑邱) 는 삼국시대 이래 사용되었던 지역의 이름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청구 (고조선) · 더보기 »

천명공주

명공주(天明公主)는 신라 상대(上代)시기의 왕족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천명공주 · 더보기 »

천부인

부인(天符印) 또는 천부삼인(天符三印)은 단군 신화에서 등장하는 신물(神物)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천부인 · 더보기 »

천존상

존상(天尊像)은 도교의 최고신인 천존 또는 원시천존의 상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천존상 · 더보기 »

천화공주

화공주(天花公主, ? ~ ?)는 진평왕과 마야부인의 딸로, 등장이 화랑세기(花郞世記)에 제. 처음에 김용수(金龍樹)에게 시집갔으나 그가 천명공주를 아내로 맞게 되어 다시 김용춘에게 시집갔다고 전. 그러나 다시 김용춘이 선덕여왕을 모시게 되자 그녀를 백룡공에게 맡겼다고 전. 김용춘과의 사이에서 아들이 있었.

새로운!!: 삼국유사와 천화공주 · 더보기 »

처용

용(處容)은 신라 헌강왕(재위 875년 ~ 886년) 때의 사람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처용 · 더보기 »

처용무

Cheoyongmu |.

새로운!!: 삼국유사와 처용무 · 더보기 »

처용암

용암(處容岩)은 울산광역시 남구 황성동 외황강 하구에 떠있는 바위섬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처용암 · 더보기 »

초월산 대숭복사비

월산대숭복사비(初月山大崇福寺碑)는, 신라 말의 문인 최치원(崔致遠)이 찬술한 비문을 새긴 비석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초월산 대숭복사비 · 더보기 »

충담사

충담사(忠談師)는 신라 경덕왕 때의 승려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충담사 · 더보기 »

칭원법

칭원법(稱元法)은 전근대 동아시아에서 군주의 재위 원년(元年)을 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칭원법 · 더보기 »

유리 이사금

유리 이사금(儒理 尼師今, ?~57년, 재위: 24년~57년) 또는 노례 이사금(弩禮 尼師今)은 신라의 제3대 국왕으로 남해 차차웅의 태자이며 어머니는 운제(雲帝) 부인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유리 이사금 · 더보기 »

유화 (부여)

유화부인(柳花夫人, ? ~ 기원전 24년 음력 8월)은 고구려 동명성왕의 어머니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유화 (부여) · 더보기 »

파호부인

호부인(巴胡夫人)은 자비마립간의 비로 삼국유사 왕력편에 나와 있. 미사흔의 딸, 또는 미즐희의 딸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파호부인 · 더보기 »

위례산

위례산(慰禮山)은 충청남도 천안시에 있는 523m의 높이의 산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위례산 · 더보기 »

위례성

위례성(慰禮城)은 백제의 초기 도읍지였.

새로운!!: 삼국유사와 위례성 · 더보기 »

위만

위만(衛滿, ? ~ ?, 재위: 기원전 194년경 ~ ?)은 중국 춘추전국시대 연(燕)나라 사람으로 고조선에 망명하여 준왕(準王)을 쫓아내고 왕위를 찬탈한 사람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위만 · 더보기 »

위서 (역사서)

《위서》(魏書)는 중국 북제의 위수(魏收)가 편찬한 북위의 정사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위서 (역사서) · 더보기 »

태백산 (고조선)

백산(太白山)은 고조선의 건국 신화에 나오는 산의 이름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태백산 (고조선) · 더보기 »

태대각간

각간(太大角干) 혹은 태대서발한(太大舒發翰)은 문무왕 8년인 668년 고구려를 멸망시킨 뒤 김유신에게 종전 17관등과 대각간에 한 단계 더 얹어 표창한 관직 이름으로, 상설이 아니라 임시직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태대각간 · 더보기 »

태조대왕

조대왕(太祖大王, 47년 ~ 165년)은 고구려의 제6대 국왕(재위 53년 ~ 146년)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태조대왕 · 더보기 »

태종무열왕

종무열왕(太宗武烈王, 603년~661년 음력 6월)은 신라(新羅)의 제29대 임금(재위: 654년~661년)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태종무열왕 · 더보기 »

태양신

Trundholm sun chariot), 북유럽 청동기 시대(1700?~500 BC) 태양신(太陽神) 또는 태양여신(太陽女神)은 태양이 종교적 숭배와 신앙의 대상으로 신격화되어 형성된 신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태양신 · 더보기 »

태화강

화강(太和江)은 울산광역시를 횡으로 가로질러 흐르는 대한민국의 강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태화강 · 더보기 »

태왕

왕(太王)은 왕을 임의적으로 높여 부르는 미칭 혹은 존칭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태왕 · 더보기 »

수덕사

수덕사(修德寺)는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사천리 덕숭산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 사찰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수덕사 · 더보기 »

수로왕

수로왕릉(首露王陵).

새로운!!: 삼국유사와 수로왕 · 더보기 »

수로왕릉

수로왕릉(首露王陵)은 사적 제73호로, 가락국(駕洛國)의 초대 국왕이며, 김해 김씨의 시조인 수로왕의 능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수로왕릉 · 더보기 »

수이전

《수이전》(殊異傳)은 고려에서 조선 중기에 이르는 한국의 문헌들 속에 수록된 고대 삼국 시대(특히 신라)를 배경으로 한 설화들의 원전(原傳)이라고 소개되는 고대 문헌의 제목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수이전 · 더보기 »

수필

수필(隨筆) 또는 에세이(essay)는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한 산문 문학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수필 · 더보기 »

영랑호

영랑호(永郞湖)는 강원도 속초시 장사동·금호동·동명동·영랑동에 있는 석호로 둘레의 길이 8km, 면적 1.2㎢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영랑호 · 더보기 »

혁거세 거서간

혁거세 거서간(赫(爀)居世 居西干, 기원전 69년~기원후 4년, 재위: 기원전 57년~기원후 4년)은 신라의 초대 국왕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혁거세 거서간 · 더보기 »

온조왕

온조왕(溫祚王, ? ~ 28년, 재위: 기원전 18년 ~ 28년 음력 2월)은 백제의 건국자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온조왕 · 더보기 »

호동

호동(好童, ? ~ 32년 음력 11월)은 고구려의 제3대 국왕 대무신왕의 아들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호동 · 더보기 »

혜공왕

혜공왕(惠恭王, 758년 8월 31일(음력 7월 23일) ~ 780년, 재위: 765년 ~ 780년)은 신라의 제36대 국왕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혜공왕 · 더보기 »

혜성

헤일-밥 혜성. 1997년 3월 촬영 혜성(彗星) 또는 살별은 태양계를 구성하는 천체 중의 하나로, 태양 복사에 의해 핵으로부터 발생한 코마(핵을 둘러싼 구름층)와 꼬리를 갖. 혜성은 홍수, 기근, 전염병 등을 불러 일으키는 불길한 징조로 여겨졌으나, 영국의 에드먼드 핼리가 핼리 혜성의 주기를 계산, 다음 출현을 예견함으로써 태양계의 천체임을 입증하였.

새로운!!: 삼국유사와 혜성 · 더보기 »

최남선

선(崔南善, 1890년 4월 26일 ~ 1957년 10월 10일)은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친일 문학가이자 대한민국의 문화운동가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최남선 · 더보기 »

최태영

영(崔泰永, 1900년 3월 28일 ~ 2005년 11월 30일)은 대한민국의 법학자이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최태영 · 더보기 »

향가

향가(鄕歌)는 신라 때에 불리던 민간 노래로서 보통 향찰로 기록되었.

새로운!!: 삼국유사와 향가 · 더보기 »

향찰

향찰(鄕札)은 한자를 이용한 한국어 표기법의 하나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향찰 · 더보기 »

양검

양검(甄良劍, ? ~ 936년 음력 9월)은 후백제 초대 군주 견훤의 둘째 아들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양검 · 더보기 »

양지 (신라)

양지(良志, ? ~ ?)는 신라 때의 예술가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양지 (신라) · 더보기 »

역사 연표

역사 연표는 세계사를 적은 연표로 한국사도 포함되어 있.

새로운!!: 삼국유사와 역사 연표 · 더보기 »

연등회

연등회(燃燈會)는 한국에서 부처님오신날을 즈음해서 등불을 밝혀 세상을 밝히고자 하는 불교 행사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연등회 · 더보기 »

연제부인

연제부인 박씨(延帝夫人 朴氏)는 신라 중기의 왕족, 왕비로 소지 마립간과 지증왕의 부인이었.

새로운!!: 삼국유사와 연제부인 · 더보기 »

염장 (586년)

염장(廉長, 586년 ~ 648년)은 신라 진덕여왕 재위 시절의 진골 귀족, 무관, 정치가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염장 (586년) · 더보기 »

헌숙왕후

숙왕후 김씨(獻肅王后 金氏, 951년? ~ ?)는 고려 제5대 왕 경종의 제1왕후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헌숙왕후 · 더보기 »

허황옥

왕비릉 허황옥(許黃玉, 33년~189년)은 가락국의 초대 왕인 수로왕의 부인으로, 허황후 또는 보주태후.

새로운!!: 삼국유사와 허황옥 · 더보기 »

표충사 (밀양시)

PAGENAMEBASE 표충사(表忠寺)은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재약산에 있는 사찰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표충사 (밀양시) · 더보기 »

풍월주

풍월주(風月主)는 필사본 《화랑세기》에 기록된 화랑도의 수장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풍월주 · 더보기 »

풍왕

풍왕 부여풍(豊王 扶餘豊, 623년?~668년?)은 백제(百濟)의 제32대 국왕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풍왕 · 더보기 »

사로국

사로국은 진한 사로국(斯盧國)과 마한 사로국(駟盧國)이 있.

새로운!!: 삼국유사와 사로국 · 더보기 »

사반왕

사반왕(沙伴王, 생몰년 미상, 재위: 234년 ~ 234년)은 백제의 제7대 국왕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사반왕 · 더보기 »

사비

사비성(泗沘城)은 백제 성왕 16년(538)에 국호를 남부여로 바꾸면서 웅진에서 천도한 백제의 수도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사비 · 더보기 »

사택왕후

사택왕후(沙宅王后, ?~642년)은 무왕의 비로 백제 대귀족인 좌평 사택적덕(沙宅積德)의 딸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사택왕후 · 더보기 »

사소부인 (신라)

사소부인(娑蘇夫人) 또는 서술산성모(西述山聖母)는 《삼국유사》에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 거서간의 생모로 전혀 내려오는 인물로, 경주시 선도산의 산신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사소부인 (신라) · 더보기 »

산상왕

3세기 초 고구려의 판도 산상왕(山上王, ?~227년, 재위 197년~227년)은 고구려의 제10대 군주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산상왕 · 더보기 »

삼근왕

백제 삼근왕 부여삼근(百濟 三斤王 扶餘三斤, 465년~479년)은 백제의 제23대 국왕(재위:477년~479년)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삼근왕 · 더보기 »

삼국

삼국(三國, "세 나라")는 맥락에 따라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삼국 · 더보기 »

삼국 및 고려 시대의 과학기술

민국의 고대, 중세의 과학기술자들은 주목할 만한 과학기술 유산을 남겨 놓았.

새로운!!: 삼국유사와 삼국 및 고려 시대의 과학기술 · 더보기 »

삼국 시대

삼국 시대(三國時代)는 기원전 1세기부터 중앙집권적 국가로 발전한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과 그 판도에 영향을 끼친 가야 연맹을 포함한 4개 국가가 한반도와 만주 일대에 세워지면서부터 7세기에 신라에 의해 통일되기까지의 시대를 가리.

새로운!!: 삼국유사와 삼국 시대 · 더보기 »

삼국 시대 이전의 교육

삼국 시대 이전의 교육은 원시사회에서 삼국이 건국되기 이전까지 이루어졌던 교육을 의미하며, 역사 시대 이전의 교육.

새로운!!: 삼국유사와 삼국 시대 이전의 교육 · 더보기 »

삼국 시대의 문학

삼국 시대의 문학은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이 성립된 시기와 후삼국 시대까지 대개 서기 1세기부터 10세기에 이르는 기간에 형성되었.

새로운!!: 삼국유사와 삼국 시대의 문학 · 더보기 »

삼국기

《삼국기》(三國記)는 대하드라마로 1992년 4월 12일부터 1993년 4월 17일까지 KBS 1TV에서 방영된 50부작 사극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삼국기 · 더보기 »

삼국유사 권1~2

삼국유사 권1~2(三國遺事 卷一~二)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대학교 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판본 책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삼국유사 권1~2 · 더보기 »

삼국유사군위휴게소

삼국유사군위휴게소(三國遺事軍威休憩所,Samgukyusa Gunwi Service Area)는 경상북도 군위군 산성면 백학리에 위치한 상주영천고속도로의 휴게소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삼국유사군위휴게소 · 더보기 »

삼국사기

《삼국사기》(三國史記)는 고려 인종의 명을 받아 김부식(金富軾)이 1145년(인종 23)에 완성한 삼국시대사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삼국사기 · 더보기 »

삼국사절요

《삼국사절요》(三國史節要)는 삼국 시대의 역사에서 요점을 간추려 연대별로 편찬한 조선시대의 책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삼국사절요 · 더보기 »

삼족오

벽화에 그려진 삼족오 (오른쪽) 고구려 고분 벽화에 그려진 삼족오 (가운데) 삼족오(三足烏) 또는 세발까마귀는 고대 동아시아 지역에서 태양 속에 산다고 여겨졌던 전설의 새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삼족오 · 더보기 »

삼척시

삼척시(三陟市)는 대한민국 강원도 동해안 최남단에 있는 시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삼척시 · 더보기 »

삼한

3세기 초 삼한의 형세 삼한(三韓)은 삼국 시대 이전 한반도 중남부에 자리 잡고 있던 연맹왕국인 마한(馬韓), 변한(弁韓), 진한(辰韓)을 통칭하는 말로, 청동기 시대에 한반도 중남부 지역에 성립하였던 진국에 기원을 둔 것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삼한 · 더보기 »

삼신제석

삼신제석(三神帝釋)은 천주제석, 혹은 줄여서 제석이라고도 하며, 산스크리트어로 샤크라데바 인드라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삼신제석 · 더보기 »

피휘

청나라 강희제의 피휘. 강희제의 이름 현엽(玄燁)에서 마지막 획을 긋지 않았다. 이런 피휘법을 결획(缺劃)이라 한다. 피휘(避諱)는 군주나 자신의 조상의 이름에 쓰인 글자를 사용하지 않는 관습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피휘 · 더보기 »

석구광

석구광(昔仇光, ? - ?)은 신라 초기의 인물로 석탈해 이사금의 장남이며 어머니는 남해 차차웅의 딸 아효부인(阿孝夫人)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석구광 · 더보기 »

석굴암

경주 석굴암 석굴(慶州 石窟庵 石窟)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주시의 토함산 중턱(진현동 891)에 있는 석굴(石窟)로서 국보 24호로 지정되어 있. 신라 경덕왕 10년(751년), 당시 51세였던 김대성이 만들기 시작했고 20여년 후 완성되었.

새로운!!: 삼국유사와 석굴암 · 더보기 »

선덕여왕

선덕여왕(善德女王, ? ~ 647년 2월 17일(음력 1월 8일), 재위: 632년 ~ 647년) 또는 선덕왕(善德王) 은 신라의 제27대 왕이며 한국사 최초의 여왕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선덕여왕 · 더보기 »

선덕여왕 (드라마)

《선덕여왕(善德女王)》은 2009년 5월 25일부터 2009년 12월 22일까지 방영된, 한민족 최초의 여왕인 신라 선덕여왕의 일대기를 소재로 한 문화방송의 월화드라마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선덕여왕 (드라마) · 더보기 »

선덕왕

선덕왕(宣德王, ? ~ 785년, 재위: 780년 ~ 785년)은 신라의 제37대 왕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선덕왕 · 더보기 »

선도성모 설화

선도성모 설화(仙桃聖母說話) 또는 사소부인 설화(娑蘇夫人說話), 파소부인 설화는 신라의 건국자 박혁거세의 생모인 사소가 중국 또는 북방에서 경주 선도산으로 와서 박혁거세를 낳아 길렀다는 전승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선도성모 설화 · 더보기 »

선화공주

선화공주(善花公主)는 삼국유사 기록에 따르면 진평왕의 셋째 딸이자, 무왕의 왕후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선화공주 · 더보기 »

설원 (신라)

설원(薛原) 또는 설화랑(薛花郞)은 최초의 화랑 국선이자 제7대 풍월주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설원 (신라) · 더보기 »

설화

설화(說話Traditional stories)는 일정한 구조를 가진 꾸며낸 이야기로 보통 입에서 입으로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를 말. 『한국설화문학연구』(장덕순, 서울대학교 출판부, 1970), 『구비문학개설』(한국구비문학회, 일조각, 1971) 참조.

새로운!!: 삼국유사와 설화 · 더보기 »

성덕왕

성덕왕(聖德王, ? ~ 737년)은 신라의 제33대 왕(재위: 702년 ~ 737년)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성덕왕 · 더보기 »

성목장공주

성목장공주(成穆長公主, ?-?)는 고려 전기의 왕족이자 추존 공주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성목장공주 · 더보기 »

성골과 진골

성골과 진골(聖骨—眞骨)은 신라시대의 신분제인 골품 제도(骨品制度)의 등급으로, 신라 사회의 최고 신분층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성골과 진골 · 더보기 »

성한 (신라)

성한(星漢, 생몰년 미상) 또는 김성한(金星漢)은 신라 김씨 왕조의 시조로 추정되는 인물로, 성한왕(星漢王), 또는 태조 성한왕(太祖 星漢王)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성한 (신라) · 더보기 »

성왕 (백제)

성왕(聖王, ? ~ 554년, 재위: 523년 ~ 554년 음력 12월)은 백제의 제26대 국왕이며, 성은 부여(扶餘), 이름은 명농(明禯)이고, 삼국유사에는 명농(明穠), 중국 측 기록인 양서(梁書)에는 이름이 명(明)으로 기록되었.

새로운!!: 삼국유사와 성왕 (백제) · 더보기 »

세계문학전집 목록

세계문학전집 목록은 각종 세계문학전집의 목록을 합쳐놓은 것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세계문학전집 목록 · 더보기 »

서동요

서동요(薯童謠)는 신라 진평왕(眞平王) 대(599년 이전)에 이루어진 동요, 혹은 참요(시대적 상황이나 정치적 징후 따위를 암시하는 민요)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서동요 · 더보기 »

토함산

산(吐含山)은 경상북도 경주시 하동, 진현동, 덕동, 황용동, 양북면에 걸쳐있는 산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토함산 · 더보기 »

소명왕후

왕후 김씨(王后金氏)는 신라 문성왕의 둘째 왕후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소명왕후 · 더보기 »

소벌도리

소벌도리(蘇伐道理 또는 蘇伐都利, ? ~ ?)는 신라 초기의 신화적인 인물로 서라벌 6촌 중 돌산고허촌(突山高墟村)의 촌장이었.

새로운!!: 삼국유사와 소벌도리 · 더보기 »

소정방

소정방(蘇定方, 592년 ~ 667년)은 당나라의 장군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소정방 · 더보기 »

통일신라의 불교

통일신라의 불교를 크게 3등분하면 다음과 같.

새로운!!: 삼국유사와 통일신라의 불교 · 더보기 »

해동 (별칭)

동(海東)은 한국에 대한 별칭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해동 (별칭) · 더보기 »

해동고승전

《해동고승전(海東高僧傳)》은 삼국 시대에 활약했던 승려들의 열전을 모아 놓은 책으로, 고려 고종 2년(1215)에 각훈(覺訓)이 편찬한 현존하는 책 가운데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승려 전기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해동고승전 · 더보기 »

해모수왕

모수왕(解慕漱王, 생몰년 미상)은 부여 및 고구려의 건국신화에 등장하는 천신(天神) 또는 천신의 아들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해모수왕 · 더보기 »

해부루왕

부루왕(解夫婁王, ? ~기원전 60년경)는 부여의 국왕으로 해모수왕의 아들이며, 금와왕의 아버지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해부루왕 · 더보기 »

야사

야사(野史)는 민간에서 개인이 저술한 역사를 말. 관에서 편찬한 역사서, 즉 정사(正史)와 대립되는 의미에서 쓰여진 용어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야사 · 더보기 »

약식

약식 (藥食) 한국 요리 중 떡의 일종으로, 찹쌀에 밤, 대추, 잣을 섞어 찐 후에, 참기름, 꿀, 간장 등으로 버무려 만든 음식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약식 · 더보기 »

한국 문학

국 문학(韓國文學)은 한국인 또는 한국어를 구사하는 사람이 한국의 사상과 감정, 정서 등의 가치 있는 체험을 바탕으로 하여 그 시대의 표현 방식을 빌려 형상화한 문학의 총칭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한국 문학 · 더보기 »

한국 불교의 역사

국 불교의 역사 또는 한국 불교사는 한국에서 전개된 불교의 역사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한국 불교의 역사 · 더보기 »

한국 철학

국 철학은 신라와 고려의 불교 사상, 조선의 성리학, 실학 등 유교 사상을.

새로운!!: 삼국유사와 한국 철학 · 더보기 »

한국 신화

국 신화(韓國神話)는 한국의 신화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한국 신화 · 더보기 »

한국의 도교

국의 도교는 한국에서 전개된 도교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한국의 도교 · 더보기 »

한국의 고대 인명

국의 고대 인명(韓國의 古代 人名)은 중국의 영향을 받기 이전의 한반도에서 쓰이던 고유 인명체계를 말. 신라에 의한 삼국통일과 중국문물 수입에 따른 인명의 한화(漢化) 이전의 삼국시대 및 그 이전에는 고유어 인명이 널리 쓰였.

새로운!!: 삼국유사와 한국의 고대 인명 · 더보기 »

한국의 궁중무용

앵전 한국의 궁중무용은 궁중 진연(進宴)과 의식에 쓰던 무용으로 정재(呈才).

새로운!!: 삼국유사와 한국의 궁중무용 · 더보기 »

한국의 나라 이름

민족이 세운 역사상의 나라들은 많았으며, 한국의 나라 이름 역시 다양.

새로운!!: 삼국유사와 한국의 나라 이름 · 더보기 »

한국의 유교

동아시아의 사상의 흐름은 크게 유교와 불교 그리고 도교인데, 한국은 이러한 세 가지 사상적 요소를 모두 흡수·구비하여 발전시켜 왔. 그 가운데서도 중국과는 지역적으로 인접한 까닭에 고대로부터 유교사상이 한국에 들어와 민족정신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

새로운!!: 삼국유사와 한국의 유교 · 더보기 »

한국의 상고시대 문학

국의 상고 시대 문학은 한국 역사가 시작될 초기의 문학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한국의 상고시대 문학 · 더보기 »

한국의 상고시대 시가

국의 상고시대 시가는 고대 한민족이 제천 의식과 가무를 통해 만들어낸 시가 문학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한국의 상고시대 시가 · 더보기 »

한국의 역사

국의 역사(韓國-歷史) 또는 한국사는 구석기 시대 이후 주로 한반도와 만주, 연해주, 넓게는 동아시아 지역을 바탕으로 발전되어 온 한민족의 역사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한국의 역사 · 더보기 »

한국의 역사에 대한 오해 목록

국사 상식의 오류와 진실은 한국사에서 그동안 잘못 알려진 상식을 모아놓은 문서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한국의 역사에 대한 오해 목록 · 더보기 »

한국의 연극

국 연극(韓國_演劇)의 장르는 가면극, 인형극, 판소리, 창극, 신파극, 신극의 여섯으로 크게 나눌 수 있.梁在淵, 문화·민속/한국의 연극/한국의 연극[서설], 《글로벌 세계 대백과》.

새로운!!: 삼국유사와 한국의 연극 · 더보기 »

한국의 삼국시대 시가

삼국은 각기 부족 연맹으로부터 세력을 키워 고대 국가로 성장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자체의 문학을 발전시켰던 것으로 보인.

새로운!!: 삼국유사와 한국의 삼국시대 시가 · 더보기 »

한국의 설날

설날은 추석과 더불어 한국의 명절 중의 하나로 음력 1월 1일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한국의 설날 · 더보기 »

한국의 성씨와 이름

국의 이름은 성(姓)과 명(名)으로 구성되며, 이를 합하여 성명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한국의 성씨와 이름 · 더보기 »

한국사의 시대 구분

국의 역사는 일정한 기준에 따라 여러 시기로 나누게 되는데, 이러한 시대 구분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 한국의 역사를 시대별로 구분하는 이유는 각 시대가 가지는 특징에 따라 여러 시기로 분류하여 지나간 시대에 대한 특성을 명확히 하여 역사 연구의 편의와 여러 가지 학문적 이점을 얻고자 하는 것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한국사의 시대 구분 · 더보기 »

한일 관계

일 관계(韓日關係)는 현재의 대한민국을 포함하여, 고대부터 있었던 한국과 일본 사이의 외교, 문화, 경제 등의 교류와 접촉을 말. 양쪽 지역에 중앙집권적인 정치체제가 생긴 삼국 시대(일본의 경우 아스카 시대) 이래로 한국과 일본은 정치적·군사적·사회적·문화적·경제적 교류를 주고받았고 모든 분야에 있어 상호 지대한 영향을 미쳐왔.

새로운!!: 삼국유사와 한일 관계 · 더보기 »

알천

알천(閼川) 활동연대: 636년~654년)은 신라 중기의 문신, 군인, 화랑이다. 신라 선덕여왕·진덕여왕, 태종무열왕 때의 진골 귀족으로 화백회의 의장인 상대등(上大等)을 역임하였다. 진덕여왕 사후에는 대리청정(섭정)으로 추대되었으나 태종 무열왕 김춘추(金春秋)에게 양보하였다. 진주 소씨는 알천을 자신들의 조상으로 보고 있다.

새로운!!: 삼국유사와 알천 · 더보기 »

하느님

은 한국어에서 절대적인 존재(God)이신 신이 계신 위치, '하늘'과 '신자들 내적 마음' 중 '하늘'을 선택하여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하느님 · 더보기 »

하종

종(夏宗, 564년 - ?)은 신라의 제11대 풍월주 (풍월주 재위: 588년~591년)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하종 · 더보기 »

아도

아도(阿道)는 아도(我道) 또는 아두(阿頭).

새로운!!: 삼국유사와 아도 · 더보기 »

아동 문학

아동문학(兒童文學, Children's literature)은 어린이와 어린이의 마음을 갖고 있는 성인을 대상으로 한 문학으로, 어린이의 흥미를 불러일으키거나 교훈적인 내용을 소재로 하며, 대체로 평이한 문장에 그림이 곁들여.

새로운!!: 삼국유사와 아동 문학 · 더보기 »

아비지

아비지(阿非知, ? ~ ?)는, 《삼국유사》(三國遺事)에 등장하는 황룡사 9층 목탑을 설계한 백제의 장인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아비지 · 더보기 »

아달라 이사금

아달라 이사금(阿達羅泥師今, ? ~184년, 재위: 154년~184년)은, 신라의 제8대 국왕이며, 상대(上代)의 마지막 박씨 군주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아달라 이사금 · 더보기 »

아자개

아자개(阿慈介)는 후백제(後百濟) 군주 견훤(甄萱)의 아버지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아자개 · 더보기 »

아사달

아사달(阿斯達)은 고조선(古朝鮮)의 수도로 전해지는 지명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아사달 · 더보기 »

아신왕

아신왕(阿莘王, ? ~ 405년 9월, 재위: 392년 11월 ~ 405년 9월)은 백제의 제17대 국왕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아신왕 · 더보기 »

아시아의 역사

아시아의 문명을 잇는 실크로드 몽골제국 이전의 아시아 아시아의 역사는 동아시아와 남아시아, 중동등의 해안 지역과 이를 잇는 유라시아 스텝 지역의 역사 등으로 이루어져 있. 해안 지역에서는 메소포타미아와 인더스 강, 황하 등의 큰 강 유역에서 주요 고대 문명이 발생하였.

새로운!!: 삼국유사와 아시아의 역사 · 더보기 »

신라

신라(新羅, 기원전 57년 ~ 935년)는 고구려, 백제와 함께 고대 한반도의 삼국 시대를 구성하였던 국가로, 세계적으로 오래 존속한 왕조들 중 하나로 꼽힌.

새로운!!: 삼국유사와 신라 · 더보기 »

신라의 건국 신화

신라의 건국 신화는 신라 건국과 박혁거세에 얽힌 신화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신라의 건국 신화 · 더보기 »

신라의 대외 관계

아래는 신라의 대외 관계에 대한 설명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신라의 대외 관계 · 더보기 »

신라의 조각

신라의 조각은 크게 삼국 시대의 조각과 남북국 시대의 조각으로 나눌 수 있.

새로운!!: 삼국유사와 신라의 조각 · 더보기 »

신라의 역대 왕비

음은 신라의 왕비 연대표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신라의 역대 왕비 · 더보기 »

신강 (고려)

신강(信康, 생몰년 미상)은 후백제 말기, 고려 전기의 관인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신강 (고려) · 더보기 »

신검

신검(甄神劍,? ~ 936년 9월 26일(음력 9월 8일?), 재위: 935년 11월 15일(음력 10월 17일)~936년 9월 26일(음력 9월 8일?)은 후백제(後百濟)의 두 번째 왕이자 마지막 왕이다.

새로운!!: 삼국유사와 신검 · 더보기 »

신대왕

신대왕(新大王, 89년~179년, 재위 165년~179년)은 고구려의 제8대 군주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신대왕 · 더보기 »

신단수

신단수(神壇樹)는 단군신화에서 환웅 천왕이 국가 또는 도시를 열었다고 알려진 곳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신단수 · 더보기 »

신영왕

신영왕은 신라 추존왕 중 한 명으로, 원성왕의 증조부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신영왕 · 더보기 »

신시

신시(神市)는 환웅이 세웠다고 전해지는 고조선 이전의 신화적인 도읍지 또는 국가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신시 · 더보기 »

실성 마립간

실성 이사금(實聖 泥師今, ? ~ 417년, 재위 402년 ~ 417년)은 신라의 제18대 임금이며 김알지의 후손으로 이찬 대서지(大西知)와 석씨 이리(伊利) 부인의 아들로, 그의 왕비는 아류부인 김씨(阿留夫人 金氏)로 내물 이사금(奈勿泥師今)의 딸이었.

새로운!!: 삼국유사와 실성 마립간 · 더보기 »

심지 (신라)

심지(心地, ?~?)는, 9세기 신라의 승려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심지 (신라) · 더보기 »

심청전

심청전(심쳥젼, 沈淸傳)은 연대 미상, 작가 미상인 한국의 고전소설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심청전 · 더보기 »

시 (문학)

시(詩, poetry)란 마음 속에 떠오르는 느낌을 운율이 있는 언어로 압축하여 표현한 글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시 (문학) · 더보기 »

원광

원광(圓光, 542년 ~ 640년)은 신라 진평왕 시대의 유명한 승려이자 학자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원광 · 더보기 »

원효

원효(元曉, 617년 ~ 686년 4월 28일(음력 3월 30일), 경상북도 경산시)는 삼국시대와 신라의 고승이자 철학자, 작가, 시인, 정치가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원효 · 더보기 »

원창왕후

원창왕후(元昌王后,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추존 왕후로, 추존왕 의조(작제건)의 부인이자 태조 왕건과 왕식렴의 할머니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원창왕후 · 더보기 »

원성왕

원성왕(元聖王, ? ~ 798년 음력 12월 29일/양력 799년 2월 8일, 재위: 785년 2월 26일(음력 1월 13일) ~ 798년 음력 12월 29일)은 신라의 제38대 왕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원성왕 · 더보기 »

월명부인

월명부인(月明夫人, 생년 미상)은 신라의 왕족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월명부인 · 더보기 »

웅녀

웅녀(熊女)는 단군신화에 나오는 단군의 어머니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웅녀 · 더보기 »

웅진

웅진(熊津)은 곰나루, 고마나루 또는 고마나리로도 불리며 475년부터 538년까지 백제의 수도였.

새로운!!: 삼국유사와 웅진 · 더보기 »

홍익인간

홍익인간(弘益人間)은 대한민국의 비공식적인 국시로, “널리 인간세상을 이롭게 하라”라는 뜻으로 해석.

새로운!!: 삼국유사와 홍익인간 · 더보기 »

황산벌 전투

황산벌 전투(黃山벌 戰鬪)는 660년 8월 20일 (음력 7월 9일) 황산벌(오늘날의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신양리 및 신암리 일대)에서 백제군과 신라군 사이에 일어났던 전투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황산벌 전투 · 더보기 »

환국 (의사 역사학)

환국(桓國)은 고조선(또는 환웅의 시대) 이전에 존재했다고 일부 재야사학에서 주장하는 나라로, 《삼국유사》의 특정 판본과 《환단고기》에 기록되어 있. 일반적으로 한국 사학계에서는 환국이라는 존재를 인정하지 않으나 일부 재야사학자들은 《환단고기》에 등장하는 내용을 신뢰하며 환국을 한민족 최초의 국가로 주장.

새로운!!: 삼국유사와 환국 (의사 역사학) · 더보기 »

환인

환인(桓因)은 신화 상의 신격(神格) 인물로 환웅의 아버지로 전. ‘단인(檀因)’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환인 · 더보기 »

환웅

환웅(桓雄)은 단군의 아버지로 전해지는 신화상의 인물로, 단웅(檀雄) 또는 신웅(神雄)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환웅 · 더보기 »

화랑

화랑의 상 (함양중학교 소재) 당염립본왕회도(唐閻立本王會圖) 중국의 6세기 각국의 사신도 - 왼쪽부터 왜, 신라, 백제 화랑도(花郞徒) 또는 낭가(郎家), 풍류도(風流徒), 국선도(國仙徒), 풍월도(風月徒)는 신라의 청소년 심신 수련 조직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화랑 · 더보기 »

화랑세기

《화랑세기》(花郞世記)는 김대문에 의해 저술된 신라시대 화랑도의 우두머리인 풍월주의 역사를 기록한 책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화랑세기 · 더보기 »

화전놀이

화전놀이는 삼짇날의 풍속으로 교외나 산 같은 경치 좋은 곳에 가서 음식을 먹고 꽃을 보며 노는 꽃놀이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화전놀이 · 더보기 »

왕검성

왕검성(王儉城) 또는 왕험성(王險城)은 고조선의 수도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왕검성 · 더보기 »

왕인

오사카부 히라카타 시의 왕인묘 왕인(王仁, ? ~ ?)은 일본의 《고사기》와 《일본서기》에 등장하는 백제(百濟)에 살고 있었다고 전해지는 학자로서, 왜국에 건너가 《천자문》과 《논어》를 전했다고 전하는 인물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왕인 · 더보기 »

왕후 김씨 (문성왕)

왕후 김씨(王后 金氏, 생몰년 미상)는 문성왕의 둘째 왕후이.

새로운!!: 삼국유사와 왕후 김씨 (문성왕) · 더보기 »

128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삼국유사와 1285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삼국유사 권3~5, 삼국유사 권제3-5.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