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상리 공생

색인 상리 공생

상리공생(相利共生, Mutualism)이란 생물학에서 ‘편리공생’과 상반되는 용어로 서로 다른 종의 동물이 서로 상호 작용을 통하여 서로 이익을 주고 받는 것을 말. 넓은 뜻으로는 공생과 같은 뜻이.

16 처지: 개미, 바기라 키플린지, 벨트체, 경쟁 (생물학), 고기개미, 공진화, 공생, 균근, 편리 공생, 이기적 유전자, 적자생존, 상호부조, 생물 사이의 상호 작용, 생체모방, 키나발루쥐, 하드윅양털박쥐.

개미

여왕개미. 수개미. 뱀의 시체를 처리하고 있는 개미떼. 개미는 벌목 개미과()에 속하는 곤충의 총칭으로, 말벌, 벌과 더불어 벌목에 속. 개미는 1억 1천만여 년에서 1억 3천만여 년 전 백악기 중반에 말벌과 비슷한 조상에서 진화하여, 속씨식물이 등장한 이후 분화하였.

새로운!!: 상리 공생와 개미 · 더보기 »

바기라 키플린지

바기라 키플린지는 멕시코, 코스타 리카, 과테말라 등의 중앙아메리카에서 발견되는 깡충거미의 한 종이.

새로운!!: 상리 공생와 바기라 키플린지 · 더보기 »

벨트체

P. ferruginea''. 벨트체(Beltian body)는 아카시아의 어떤 종들과 크게 밀접한 속들의 소엽에서 발견되는, 쉽게 떨어지는 끄트머리.

새로운!!: 상리 공생와 벨트체 · 더보기 »

경쟁 (생물학)

갯벌에서 영역 싸움을 한다. 경쟁()은 생물학에서 상호작용을 하는 유기체나 종이 다른 개체로 인해 적응도가 낮아지는 것을 말. 즉, 생물의 개체들이 영역이나 음식, 결혼 상대 등을 다투는 것을 말. 동종 개체 사이에서 볼 수 있는 종류의 경쟁과 다른 종 사이에서 볼 수있는 종간 경쟁의 두 가지가 있. 생존 경쟁으로 표현할 수도 있지만, 생물이 하는 경쟁은 반드시 생존을 위해서만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문맥에 따라 생존 경쟁이라는 단어가 어울리지 않을 수도 있.

새로운!!: 상리 공생와 경쟁 (생물학) · 더보기 »

고기개미

미(Iridomyrmex purpureus)는 개미의 한 종으로 흰발마디개미속에 속. 고기개미는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찾을 수 있.

새로운!!: 상리 공생와 고기개미 · 더보기 »

공진화

공진화(共進化)는 한 생물 집단이 진화하면 이와 관련된 생물 집단도 진화하는 현상을 가리키는 진화생물학의 개념이.

새로운!!: 상리 공생와 공진화 · 더보기 »

공생

상리공생 관계인 흰동가리와 바다말미잘 공생(共生)은 생물학 관점에서 각기 다른 두 개나 그 이상 수의 종이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 관계를 일컫.

새로운!!: 상리 공생와 공생 · 더보기 »

균근

(Mycorrhizae 단수로 micorriza: '균류'와 '뿌리'를 뜻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은 숙주 식물에게 영양 물질과 물을 제공하고 숙주 식물로부터 탄수화물을 공급받는 균류 공생 생물체이.

새로운!!: 상리 공생와 균근 · 더보기 »

편리 공생

황로(''Bubulcus ibis'')는 편리공생의 고전적인 예이다. 소나 말 사이에서 벌레를 잡아먹고 산다. 편리공생(片利共生, Commensalism)이란 생물학에서 둘 이상의 개체가 함께 살아가고 있을때에, 두 개체중의 하나가 이익을 얻고 다른 개체는 영향을 받지 않는 공생 관계이.

새로운!!: 상리 공생와 편리 공생 · 더보기 »

이기적 유전자

《이기적 유전자》(The Selfish Gene)는 진화생물학자 리처드 도킨스가 쓴 책이.

새로운!!: 상리 공생와 이기적 유전자 · 더보기 »

적자생존

적자생존(適者生存)은 1864년 영국의 철학자인 허버트 스펜서가 《Principles of Biology》에서 처음으로 사용한 인간들의 사회적 생존경쟁의 원리를 함축시킨 사회-철학 용어로 처음으로 사용되었.

새로운!!: 상리 공생와 적자생존 · 더보기 »

상호부조

상호부조(相互扶助)는 사회 조직의 구성원들이 서로 돕는 것을 뜻.

새로운!!: 상리 공생와 상호부조 · 더보기 »

생물 사이의 상호 작용

생태학에서 생물 사이의 상호 작용은 생물 사이에 서로 영향을 주는 관계를 말.

새로운!!: 상리 공생와 생물 사이의 상호 작용 · 더보기 »

생체모방

벨크로테이프는 다수의 갈고리 구조를 가진 생물학적 구조를 모방하여 만든 것이다. 생체모방(生體模倣)은 생명을 뜻하는 'bios'와 모방이나 흉내를 의미하는 'mimesis' 이 두 개의 그리스 단어에서 따온 단어로,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생체모방은 자연에서 볼 수 있는 디자인적 요소들이나 생물체의 특성들의 연구 및 모방을 통해 인류의 과제를 해결하는 데 그 목적이 있. 생체 모방학의 선구자인 재닌 베니어스는 생체 모방을 ‘자연이 가져다 준 혁신'이라 정의하기도 하였.

새로운!!: 상리 공생와 생체모방 · 더보기 »

키나발루쥐

발루쥐(Rattus baluensis)는 시궁쥐속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

새로운!!: 상리 공생와 키나발루쥐 · 더보기 »

하드윅양털박쥐

윅양털박쥐(Kerivoula hardwickii)는 애기박쥐과에 속하는 박쥐의 일종이.

새로운!!: 상리 공생와 하드윅양털박쥐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상리공생.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