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생육신

색인 생육신

생육신(生六臣)은 세조가 단종의 왕위를 빼앗자 벼슬을 버리고 절개를 지킨 여섯 명의 신하를 말. 세조의 찬위 사건을 불의의 행위로 단정하고,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원칙에 따라 두문(杜門) 혹은 방랑으로 일생을 보. 이들은 벼슬을 버리고 단종을 추모하면서 절개를.

65 처지: 동학사, 박팽년, 경주 박씨, 계유정난, 봉석주, 권람, 권절, 금오신화, 금성대군, 금성단, 김일손, 김종직, 김질 (1422년), 김시습, 김시습 초상, 구은사, 남효온, 단군릉, 단종애사, 장릉배식록, 이맹전, 이극돈, 이기 (1476년), 이이, 이징옥, 이생규장전, 이수형 (1435년), 이언적, 이행 (조선), 절의파, 정보 (조선), 정차양 (1424년), 정창손, 조려, 조자지, 조선 단종, 조선 세조, 창절사, 창절서원, 유자미, 유성원, 윤필상, 위화도 회군, 영응대군, 영월 청령포, 최치원, 어계생가, 사육신, 성담수, 성운 (문신), ..., 성승, 성삼문, 세조찬위, 서원 철폐, 송시열, 한명회,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 한확, 안평대군, 하위지, 신숙주, 원호, 원호 (조선), 홍달손, 6.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5 더) »

동학사

동학사동학사(東鶴寺)는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에 있는 사찰이.

새로운!!: 생육신와 동학사 · 더보기 »

박팽년

박팽년(朴彭年, 1417년 ~ 1456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 겸 학자로 사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생육신와 박팽년 · 더보기 »

경주 박씨

경주 박씨(慶州 朴氏)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생육신와 경주 박씨 · 더보기 »

계유정난

유정난(癸酉靖難)은 1453년(단종 1) 11월 10일 (음력 10월 10일) 수양대군이 김종서와 황보인과 세종의 여러 대군들을 귀양보내거나 제가하며 마지막으로 단종을 제거하고 정권을 장악한 사건을 말. 이 정변이 계유년에 일어났으므로 계유정난이.

새로운!!: 생육신와 계유정난 · 더보기 »

봉석주

봉석주(奉石柱, ? - 1465년 4월 19일)는 조선 전기의 무신이자 장군, 정치인이며, 계유정난과 세조 찬위에 공을 세운 공신이.

새로운!!: 생육신와 봉석주 · 더보기 »

권람

(權擥, 1416년 ~ 1465년 2월 6일)은 조선 초의 문신, 역사학자, 작가, 문인이.

새로운!!: 생육신와 권람 · 더보기 »

권절

절(權節, 1422년 ~ 1494년)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생육신와 권절 · 더보기 »

금오신화

오신화(16세기 조선중기 문신 윤춘년이 필사한 필사본) 《금오신화(金鰲新話)》는 조선 전기의 시인, 작가, 이며 생육신의 한 사람인 김시습(金時習, 1435-1493)이 금오산에서 지은 것으로 추정되는 조선 최초의 한문 단편소설집이.

새로운!!: 생육신와 금오신화 · 더보기 »

금성대군

성대군 이유(錦城大君 李瑜, 1426년 5월 5일/음력 3월 28일~1457년 11월 7일/음력 10월 21일)는 조선 전기의 왕족이.

새로운!!: 생육신와 금성대군 · 더보기 »

금성단

성단 안에 있는 금성대군성인신단지비(錦城大君成仁神壇之碑) 금성단(錦城壇)은 단종 복위 사건으로 유배된 뒤 처형당한 왕숙 금성대군(錦城大君) 유를 추모하기 위해 설립된 제단이.

새로운!!: 생육신와 금성단 · 더보기 »

김일손

일손(金馹孫, 1464년 ~ 1498년 7월)은 조선 성종·연산군 때의 문신이며 학자, 사관, 시인이.

새로운!!: 생육신와 김일손 · 더보기 »

김종직

종직(金宗直, 1431년 6월 ~ 1492년 8월 19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자 사상가이며, 성리학자, 정치가, 교육자, 시인이.

새로운!!: 생육신와 김종직 · 더보기 »

김질 (1422년)

(金礩, 1422년 ~ 1478년 2월 24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무신,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생육신와 김질 (1422년) · 더보기 »

김시습

시습(金時習, 1435년 ~ 1493년)은 조선 초기의 문인, 학자이.

새로운!!: 생육신와 김시습 · 더보기 »

김시습 초상

시습 초상(金時習 肖像)은 조선 전기의 문인 김시습의 초상화이.

새로운!!: 생육신와 김시습 초상 · 더보기 »

구은사

은사(九隱祠)는 조선 단종의 복위를 도모하기 위해 은거한 구은사(九隱士, 생육신인 김시습 외 8인)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

새로운!!: 생육신와 구은사 · 더보기 »

남효온

효온의 글씨 남효온(南孝溫, 1454년~1492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고 생육신 중의 한 사람이.

새로운!!: 생육신와 남효온 · 더보기 »

단군릉

릉(檀君陵)은 평양직할시 대성구역에서 22 km 떨어진 강동군에 위치한 대리석으로 지어진 돌무지무덤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이를 고조선의 지도자였던 단군(과 그의 부인)의 능이라고 주장.

새로운!!: 생육신와 단군릉 · 더보기 »

단종애사

종애사(端宗哀史)는 1929년 춘원 이광수가 쓴 대한민국의 역사소설이.

새로운!!: 생육신와 단종애사 · 더보기 »

장릉배식록

장릉배식록(莊陵配食錄)은 1791년 당시 조선(朝鮮)의 제22대 왕 정조(正祖)가 1457년에 훙서한 단종(端宗)을 위하여 기개 어린 절의를 지키었던 옛 충신들을 추제 및 추념하고 배향을 하여 그 명단을 기록한 저서이.

새로운!!: 생육신와 장릉배식록 · 더보기 »

이맹전

이맹전(李孟專, 1392년 ~ 1480년)은 조선 단종 때 문신, 생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생육신와 이맹전 · 더보기 »

이극돈

이극돈(李克墩, 1435년 ∼ 1503년 2월 27일)은 조선 시대 전기의 문신, 정치인, 학자, 외교관이.

새로운!!: 생육신와 이극돈 · 더보기 »

이기 (1476년)

이기(李芑, 1476년 10월 26일 ~ 1552년 4월 28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 권신이.

새로운!!: 생육신와 이기 (1476년) · 더보기 »

이이

이이(李珥, 1537년 1월 7일(1536년 음력 12월 26일) ~ 1584년 2월 27일(음력 1월 16일))는 조선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생육신와 이이 · 더보기 »

이징옥

이징옥(李澄玉, 1399년 ~ 1453년 음력 10월 20일)은 조선 시대 초기의 무신, 군인, 정치가이.

새로운!!: 생육신와 이징옥 · 더보기 »

이생규장전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은 조선시대의 생육신인 김시습(金時習, 1435∼1493)이 쓴 한문 소설로 고려 공민왕 때 개성에 살던 이생(李生)이 주인공이.

새로운!!: 생육신와 이생규장전 · 더보기 »

이수형 (1435년)

이수형(李秀亨, 1435년 ~ 1528년 1월 24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시인, 학자이.

새로운!!: 생육신와 이수형 (1435년) · 더보기 »

이언적

이언적(李彦迪, 1491년 11월 25일 ~ 1553년 11월 23일)은 조선의 성리학자이자 정치가이.

새로운!!: 생육신와 이언적 · 더보기 »

이행 (조선)

이행(李荇, 1478년 ~ 1534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이.

새로운!!: 생육신와 이행 (조선) · 더보기 »

절의파

절의파(節義派)는 조선 전기 유학계(儒學界)의 4대학파 중 하나이.

새로운!!: 생육신와 절의파 · 더보기 »

정보 (조선)

정보(鄭保, ? ~ ?)는 조선시대 초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생육신와 정보 (조선) · 더보기 »

정차양 (1424년)

정차양(鄭次讓, 1424년(세종 6)~?)은 조선시대 전기의 학자, 문신이.

새로운!!: 생육신와 정차양 (1424년) · 더보기 »

정창손

정창손(鄭昌孫, 1402년 3월 11일 ~ 1487년 1월 27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언어학자, 유학자이.

새로운!!: 생육신와 정창손 · 더보기 »

조려

원주 치악산의 삼공제명암 (오른쪽 첫 번째가 원호 (관란), 가운데는 조려 (어계), 왼쪽은 이수형 (도촌)) 조려(趙旅, 1420년 ~ 1489년)는 조선 세종, 문종, 단종 때의 문신이며 생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생육신와 조려 · 더보기 »

조자지

조자지(趙自知, ? ~ ?)는 조선시대의 문인, 시인, 은일사이며, 청담파 문인이.

새로운!!: 생육신와 조자지 · 더보기 »

조선 단종

종(端宗, 1441년 8월 9일 (음력 7월 23일) ~ 1457년 11월 7일 (음력 10월 21일), 재위 1452년~1455년)은 조선의 제6대 왕이.

새로운!!: 생육신와 조선 단종 · 더보기 »

조선 세조

세조(世祖, 1417년 11월 2일 (음력 9월 24일) ~ 1468년 9월 23일 (음력 9월 8일), 재위 1455년~1468년)는 조선의 제7대 임금, 시인이.

새로운!!: 생육신와 조선 세조 · 더보기 »

창절사

창절사(彰節祠)는 사육신을 포함한 충신의 위패를 모시기 위해 조선 시대에 건립된 사당이.

새로운!!: 생육신와 창절사 · 더보기 »

창절서원

창절서원(彰節書院)은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에 있는 서원이.

새로운!!: 생육신와 창절서원 · 더보기 »

유자미

유자미(柳自湄, ? ~ 1462년)는 조선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생육신와 유자미 · 더보기 »

유성원

유성원(柳誠源, ?~ 1456년)은 조선의 문신이자 사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생육신와 유성원 · 더보기 »

윤필상

윤필상(尹弼商, 1427년 ~ 1504년 윤 4월 19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자 외척이며 훈구 공신이.

새로운!!: 생육신와 윤필상 · 더보기 »

위화도 회군

위화도 회군(威化島 回軍)은 고려 말기 1388년(우왕 14) 음력 5월, 요동 정벌차 군사를 이끌고 압록강 하류의 위화도까지 이른 우군 도통사(右軍 都統使) 이성계가 개경(開京)으로 회군(回軍)한 사건이.

새로운!!: 생육신와 위화도 회군 · 더보기 »

영응대군

영응대군 이염(永膺大君 李琰, 1434년 5월 23일/음력 4월 15일 ~ 1467년 2월 2일)은 조선의 왕족이.

새로운!!: 생육신와 영응대군 · 더보기 »

영월 청령포

영월 청령포(寧越 淸泠浦)는 조선 단종의 유배지이.

새로운!!: 생육신와 영월 청령포 · 더보기 »

최치원

원(崔致遠, 857년 ~ 908년 이후)은 신라 말기의 문신, 유학자, 문장가이.

새로운!!: 생육신와 최치원 · 더보기 »

어계생가

어계생가(漁溪生家)는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생육신와 어계생가 · 더보기 »

사육신

량진공원 의절사 사육신(死六臣)은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가 발각되어 세조에게 죽임을 당한 여섯 명의 신하를 이르는 말이.

새로운!!: 생육신와 사육신 · 더보기 »

성담수

성담수(成聃壽, ? ~ ?)는 조선 전기의 문신, 학자, 은일사로, 세조 때 단종 폐위에 분개하여 벼슬을 사직한 생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생육신와 성담수 · 더보기 »

성운 (문신)

성운(成雲, ? ∼ 1528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 군인, 유학자이.

새로운!!: 생육신와 성운 (문신) · 더보기 »

성승

성승(成勝, ? ~ 1456년 6월 8일)은 조선 전기의 무신, 군인이며 단종 복위 운동의 가담자의 한사람이.

새로운!!: 생육신와 성승 · 더보기 »

성삼문

성삼문(成三問, 1418년 ~ 1456년 6월 8일)은 조선 전기의 문신·학자로서, 사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생육신와 성삼문 · 더보기 »

세조찬위

세조찬위(世祖簒位) 또는 세조반정(世祖反正)은 조선의 첫 번째 반정으로 1455년(단종 3) 수양대군이 단종을 몰아내고 왕위를 빼앗은 일이.

새로운!!: 생육신와 세조찬위 · 더보기 »

서원 철폐

서원철폐(書院撤廢)는 조선 말기 서원의 오랜 적폐(積弊)를 제거하기 위해 흥선대원군이 대대적으로 서원을 정리한 사건이.

새로운!!: 생육신와 서원 철폐 · 더보기 »

송시열

송시열(宋時烈, 1607년 12월 30일(음력 11월 12일) ~ 1689년 7월 19일(음력 6월 3일))은 조선의 문신·성리학자이.

새로운!!: 생육신와 송시열 · 더보기 »

한명회

명회(韓明澮, 1415년 11월 26일 (음력 10월 25일) ~ 1487년 11월 28일 (음력 11월 14일))는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군인, 정치인이며 외척이.

새로운!!: 생육신와 한명회 · 더보기 »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韓國을 빛낸 百名의 偉人들)은 박인호(박문영)가 작사, 작곡하여 1991년에 최영준, 노사사(노래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노래로 발표한 노래이.

새로운!!: 생육신와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 · 더보기 »

한확

확(韓確, 1400년 ~ 1456년 음력 9월 11일)은 조선전기의 문신이자 외척, 외교관이며 명나라의 문신이.

새로운!!: 생육신와 한확 · 더보기 »

안평대군

안평대군 이용(安平大君 李瑢, 1418년 10월 18일(음력 9월 19일) ~ 1453년 11월 18일(음력 10월 18일))은 조선 전기의 왕족이자 서예가, 서화가, 시인, 작가이.

새로운!!: 생육신와 안평대군 · 더보기 »

하위지

위지(河緯地, 1412년 ~ 1456년)는 조선 전기의 문신, 정치인, 학자이며 조선 단종 때 사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생육신와 하위지 · 더보기 »

신숙주

신숙주(申叔舟, 1417년 8월 2일 (음력 6월 20일) ~ 1475년 7월 23일 (음력 6월 21일))는 조선 전기의 성리학자·문신·정치가이며 언어학자, 외교관이.

새로운!!: 생육신와 신숙주 · 더보기 »

원호

원호에는 다음 뜻이 있.

새로운!!: 생육신와 원호 · 더보기 »

원호 (조선)

원주 치악산의 삼공제명암 (오른쪽 첫 번째가 원호 (관란), 가운데는 조려 (어계), 왼쪽은 이수형 (도촌)) 원호(元昊, 1397년 ∼ 1463년)는 조선 단종 때의 문신·학자이며 생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생육신와 원호 (조선) · 더보기 »

홍달손

홍달손(洪達孫, 1415년 ~ 1472년)은 조선 전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남양(南陽)이고, 자는 가칙(可則), 시호는 안무(安武)이.

새로운!!: 생육신와 홍달손 · 더보기 »

6

6(육)은 5보다 크고 7보다 작은 자연수이.

새로운!!: 생육신와 6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생륙신.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