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성왕 (백제)

색인 성왕 (백제)

성왕(聖王, ? ~ 554년, 재위: 523년 ~ 554년 음력 12월)은 백제의 제26대 국왕이며, 성은 부여(扶餘), 이름은 명농(明禯)이고, 삼국유사에는 명농(明穠), 중국 측 기록인 양서(梁書)에는 이름이 명(明)으로 기록되었.

133 처지: 돌산군, 동명왕, 마로현, 목도왕, 무령왕, 미추홀, 백제, 백제문화단지, 백제문화제, 백제본기, 백제의 역대 국왕, 개국 (신라), 거서현, 건흥 (고구려), 겸익, 경기도, 고구려-백제 전쟁, 고창 상원사 대웅전, 고훈 시대, 공주시, 공산성, 광주군 (경기도), 관산성 전투, 권오창, 부여, 부여 (동음이의), 부여 능산리 고분군, 부여명, 부여군, 부여읍, 부소산성, 기노 오이와, 기타 구 (교토 시), 긴메이 천황, 김무력, 김유신, 대한민국의 정부표준영정,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교토 시, 교토부, 구다라오 신사, 군 (성씨), 남양군, 나제 동맹, 나주 철천리 마애칠불상, 노리사치계, 담로, 담양 언곡사지 삼층석탑, 당 고종, 스에 하루카타, ..., 임성태자, 제왕의 딸 수백향, 조현재 (배우), 진흥왕, 진이왕, 천황 백제인설, 초롱이의 옛날여행, 충청남도, 율촌면, 위덕왕, 순타태자, 오우치 요시타카, 오우치 요시오키, 오우치씨, 옥천군, 온조왕, 혜왕 (백제), 예산 화전리 석조사면불상, 양원왕, 사비, 사택기루, 사아군, 선암사, 성 (시호), 성왕, 서동요 (드라마), 소가노 이나메, 한국 불교의 역사, 한국의 불교 사상, 한국의 나라 이름, 한국의 수도, 한국의 역사, 한국의 왕자와 왕녀 목록, 한국사 전, 한국사기, 한일 관계, 한산주, 안장왕, 안원왕, 아스카 시대, 아좌태자, 신라의 대외 관계, 신라의 삼국통일, 시흥시, 웅진, 웅천주, 화정면 (여수시), 화엄종, 화엄사, 523년, 524년, 525년, 526년, 527년, 528년, 529년, 530년, 531년, 532년, 533년, 534년, 535년, 536년, 537년, 538년, 539년, 540년, 541년, 542년, 543년, 544년, 545년, 546년, 547년, 548년, 549년, 550년, 551년, 552년, 553년, 554년, 6정, 6세기.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83 더) »

돌산군

산군(突山郡)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남동부에 있었던 옛 군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돌산군 · 더보기 »

동명왕

동명왕(東明王, 생몰년 미상)은 부여를 건국한 초대 왕(재위년 미상)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동명왕 · 더보기 »

마로현

마로현(馬老縣)은 전라남도 광양시 일대의 백제시대 지명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마로현 · 더보기 »

목도왕

목도왕(目圖王, 생몰년 미상)은 일본에 귀화한 백제 왕족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목도왕 · 더보기 »

무령왕

무령왕(武寧王, 462년~523년 6월 5일(음력 5월 7일), 재위: 501년~523년)은 백제의 제25대 국왕으로 성은 부여(扶餘)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무령왕 · 더보기 »

미추홀

미추홀(彌鄒忽)은 현재의 인천광역시 일부를 일컫는 백제 시대의 지명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미추홀 · 더보기 »

백제

백제(百濟, 기원전 18년 ~ 660년 8월 29일)는 한국의 고대 국가 중 하나로, 고구려, 신라와 함께 삼국 시대를 구성하였.

새로운!!: 성왕 (백제)와 백제 · 더보기 »

백제문화단지

백제문화단지(百濟文化團地, BAEKJE CULTURAL LAND)는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합정리에 있는 백제역사문화단지로, 1993년부터 2010년까지 총 17년간 3,299m2(3,276m2)에 8,077억을 투자하여 조성되었.

새로운!!: 성왕 (백제)와 백제문화단지 · 더보기 »

백제문화제

백제문화제는 매년 충청남도 공주시와 부여군이 합동 개최하는 종합예술제 성격의 문화제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백제문화제 · 더보기 »

백제본기

《백제본기》(百濟本記)는 백제의 사서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백제본기 · 더보기 »

백제의 역대 국왕

음은 백제를 다스린 역대 임금의 연대표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백제의 역대 국왕 · 더보기 »

개국 (신라)

국(開國)은 신라 진흥왕(眞興王)의 두 번째 연호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개국 (신라) · 더보기 »

거서현

서현(巨黍縣)은 지금의 용인시 수지구와 기흥구 일대에 신라시대에 있던 옛 행정구역의 명칭으로 이후, 고구려 때 용인의 지명은 구성(駒城)이었고, 멸오라는 별칭이 있었.

새로운!!: 성왕 (백제)와 거서현 · 더보기 »

건흥 (고구려)

흥(建興)은 삼국시대의 연호로 고구려에서 사용된 연호로 추정.

새로운!!: 성왕 (백제)와 건흥 (고구려) · 더보기 »

겸익

익(謙益: fl. 526)은 백제의 이름난 승려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겸익 · 더보기 »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경기도 · 더보기 »

고구려-백제 전쟁

백제 전쟁은 369년에서 607년까지 약 4세기에 걸쳐 고구려와 백제가 벌인 일련의 전쟁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고구려-백제 전쟁 · 더보기 »

고창 상원사 대웅전

상원사대웅전(上院寺大雄殿)은 전라북도 고창군 상원사에 있는 대웅전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고창 상원사 대웅전 · 더보기 »

고훈 시대

훈 시대()는 일본의 역사 구분으로, 3세기 중반부터 7세기 말까지의 약 400년을 가리.

새로운!!: 성왕 (백제)와 고훈 시대 · 더보기 »

공주시

공주시(公州市)는 대한민국 충청남도 중앙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공주시 · 더보기 »

공산성

공산성 정문 공주 공산성(公州 公山城)은 사적 제12호로, 충청남도 공주시에 소재하고 있는 성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공산성 · 더보기 »

광주군 (경기도)

광주군(廣州郡)은 경기도 광주시의 2001년 3월까지의 행정구역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광주군 (경기도) · 더보기 »

관산성 전투

 관산성 전투는 554년 백제와 신라가 관산성(管山城,지금의 충북 옥천)에서 싸워 신라군이 백제군을 무찌르고 백제 성왕을 죽인 전투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관산성 전투 · 더보기 »

권오창

오창(權五昌, 1948년 3월 15일 강원도 강릉시 ~)은 대한민국의 한국화가로, 호는 동강(東江)이며, 한국미술협회 회원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권오창 · 더보기 »

부여

부여(扶餘, 기원전 2세기 ~ 494년)는 한민족의 고대국가로 여겨지는 초기 국가(연맹 왕국)들 중 하나로, 지금의 쑹화강 유역을 중심으로 지금의 만주 일대(하얼빈, 아청, 위수, 눙안, 창춘, 솽양, 지린, 옌지, 훈춘, 치치하얼, 룽장)를 지배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 고구려에 의해 부여는 병합되었.

새로운!!: 성왕 (백제)와 부여 · 더보기 »

부여 (동음이의)

부여는 다음 뜻이 있.

새로운!!: 성왕 (백제)와 부여 (동음이의) · 더보기 »

부여 능산리 고분군

능산리 고분군은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 산 15번지 일대에 위치한 백제의 후기 고분들로 사비의 외곽성인 나성 밖에 자리하고 있.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14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성왕 (백제)와 부여 능산리 고분군 · 더보기 »

부여명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왕 (백제)와 부여명 · 더보기 »

부여군

부여군(扶餘郡)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남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부여군 · 더보기 »

부여읍

부여읍(扶餘邑)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부여군의 군청 소재지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부여읍 · 더보기 »

부소산성

부소산성(扶蘇山城)은 백제의 마지막 왕성으로 백제시대에는 사비성(泗沘城)으로 불. 부여군 부여읍의 서쪽에 금강을 낀 부소산에 자리하고 있으며, 둘레는 대략 2.2km, 면적은 약 74만m2에.

새로운!!: 성왕 (백제)와 부소산성 · 더보기 »

기노 오이와

오이와(紀生磐 또는 紀小磐, 생몰년 미상)는, 《일본서기》에 등장하는 5세기의 인물로, 가야를 거점으로 반란을 일으켜 백제(百濟)와 전쟁을 벌였.

새로운!!: 성왕 (백제)와 기노 오이와 · 더보기 »

기타 구 (교토 시)

()는 일본 교토 시를 구성하는 11개 구 중 하나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기타 구 (교토 시) · 더보기 »

긴메이 천황

메이 천황(509년 ~ 571년 5월 24일)은 일본의 제 29대 천황(재위: 539년 12월 30일 ~ 571년 4월 15일)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긴메이 천황 · 더보기 »

김무력

무력(金武力, 518년 ~ 579년 10월 16일)은 가락국의 왕족이자 금관가야의 왕자였.

새로운!!: 성왕 (백제)와 김무력 · 더보기 »

김유신

유신(金庾信, 595년 ~ 673년 8월 18일 (음력 7월 1일))은 신라의 군인 겸 정치가이자, 외척이었.

새로운!!: 성왕 (백제)와 김유신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정부표준영정

정부표준영정(政府標準影幀)은 한국의 역사에 등장하는 인물 중에서 민족적으로 추앙받고 있는 선현들의 영정 난립을 방지하기 위해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지정한 영정을 말. 모든 정부표준영정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훈령으로 지정된 《영정·동상 심의 규정》에 따른 심의 절차에 따라 지정되거나 해제.

새로운!!: 성왕 (백제)와 대한민국의 정부표준영정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이 문서는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 더보기 »

교토 시

시()는 일본 혼슈 중앙부에 있는 일본 10대 도시중 하나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교토 시 · 더보기 »

교토부

부()는 일본 긴키 지방에 있는 행정 구역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교토부 · 더보기 »

구다라오 신사

오 신사(백제왕 신사)는 일본의 오사카부 히라카타 시에 있는 신사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구다라오 신사 · 더보기 »

군 (성씨)

(君)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군 (성씨) · 더보기 »

남양군

양군(南陽郡)은 경기도의 옛 행정구역으로, 지금의 화성시 서부(남양읍 등)와 안산시 대부동, 인천광역시 옹진군 영흥면 일대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남양군 · 더보기 »

나제 동맹

제동맹(羅濟同盟)은 백제와 신라의 동맹을 뜻하는 말로서, 신라의 ‘라’와 백제의 ‘제’를 따서 붙인 이름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나제 동맹 · 더보기 »

나주 철천리 마애칠불상

주 철천리 마애칠불상(羅州 鐵川里 磨崖七佛像)은 전라남도 나주시 봉황면 철천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마애불상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나주 철천리 마애칠불상 · 더보기 »

노리사치계

리사치계(怒利斯致契, ? ~ ?)은 백제의 승려로, 백제 성왕 때의 인물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노리사치계 · 더보기 »

담로

(擔魯)는 백제의 지방 행정 조직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담로 · 더보기 »

담양 언곡사지 삼층석탑

양 언곡사지 삼층석탑(潭陽 彦谷寺址 三層石塔)은 전라남도 담양군 무정면 봉안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담양 언곡사지 삼층석탑 · 더보기 »

당 고종

당 고종(唐 高宗, 628년 7월 21일 ~ 683년 12월 27일)은 중국 당나라의 제3대 황제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당 고종 · 더보기 »

스에 하루카타

스에 하루카타 또는 다카후사(또는, 1521년 ~ 1555년 음력 10월 1일)는 센고쿠 시대의 무장으로 스오 오우치 씨의 중신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스에 하루카타 · 더보기 »

임성태자

임성태자(琳聖太子, 577년 ~ 657년 11월(오우치 가문의 주장,생몰년도 미상))는 백제의 마지막 왕족 중 하나로 추측할 뿐이며 성씨는 부여, 이름은 의조(義照).

새로운!!: 성왕 (백제)와 임성태자 · 더보기 »

제왕의 딸 수백향

《제왕의 딸 수백향》 은 2013년 9월 30일부터 2014년 3월 14일까지 매주 평일 밤 8시 55분에 방송되는 문화방송 일일연속사극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제왕의 딸 수백향 · 더보기 »

조현재 (배우)

조현재(趙顯宰, 1980년 5월 9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조현재 (배우) · 더보기 »

진흥왕

흥왕(眞興王, 526년~576년, 재위: 540년~576년)은 신라의 제24대 임금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진흥왕 · 더보기 »

진이왕

이왕(辰爾王: ? ~ ?)은 7세기 초의 백제의 왕족으로, 무왕을 법왕의 친생자로 보지 않는 견해에서 무왕의 생부로 거론되는 인물 중 하나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진이왕 · 더보기 »

천황 백제인설

황 백제인설 은 6~7세기경 백제의 왕족이 일본으로 건너가 일본의 천황이 되었다는 설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천황 백제인설 · 더보기 »

초롱이의 옛날여행

《초롱이의 옛날여행》은 한국의 역사적 위인들을 소재로 한 교육용 만화영화를 말. 한국방송공사와 애니메이션 전문제작업체인 세영애니텔이 공동으로 제작하였.

새로운!!: 성왕 (백제)와 초롱이의 옛날여행 · 더보기 »

충청남도

충청남도(忠淸南道)는 대한민국 중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충청남도 · 더보기 »

율촌면

율촌면(栗村面)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여수시의 면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율촌면 · 더보기 »

위덕왕

위덕왕(威德王, 525년 ~ 598년 12월)은 백제의 제27대 국왕(재위: 554년~598년)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위덕왕 · 더보기 »

순타태자

순타태자(純陀太子, ? - 514년 8월 1일 또는 8월 26일) 또는 순타군(純陀君)은 백제의 왕족, 태자로 무령왕의 아들이었.

새로운!!: 성왕 (백제)와 순타태자 · 더보기 »

오우치 요시타카

오우치 요시타카 오우치 요시타카(1507년 12월 18일 ~ 1551년 9월 30일)는 스오(周防)국의 센고쿠 다이묘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오우치 요시타카 · 더보기 »

오우치 요시오키

오우치 요시오키 오우치 요시오키 (1477년 ~ 1529년 1월 29일) 는 무로마치 시대 후기부터 센고쿠 시대(戰國時代) 초기에 걸쳐 활약한 스오(周防) 센고쿠 다이묘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오우치 요시오키 · 더보기 »

오우치씨

오우치씨()는 일본의 성씨 중 하나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오우치씨 · 더보기 »

옥천군

옥천군(沃川郡)은 대한민국 충청북도 남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옥천군 · 더보기 »

온조왕

온조왕(溫祚王, ? ~ 28년, 재위: 기원전 18년 ~ 28년 음력 2월)은 백제의 건국자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온조왕 · 더보기 »

혜왕 (백제)

혜왕(惠王, 527년 ~ 599년, 재위: 598년 12월 ~ 599년)은 백제의 제28대 국왕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혜왕 (백제) · 더보기 »

예산 화전리 석조사면불상

예산 화전리 석조사면불상(禮山 花田里 石造四面佛像)은 충청남도 예산군 봉산면 화전리에 있는, 삼국 시대 백제의 석조사면불상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예산 화전리 석조사면불상 · 더보기 »

양원왕

양원왕(陽原王, ? ~ 559년, 재위: 545년 ~ 559년)은 고구려의 제24대 군주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양원왕 · 더보기 »

사비

사비성(泗沘城)은 백제 성왕 16년(538)에 국호를 남부여로 바꾸면서 웅진에서 천도한 백제의 수도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사비 · 더보기 »

사택기루

사택기루(沙宅己婁, ? ~ ?)는 백제 성왕(聖王) 때의 대신이자 대성팔족(大姓八族) 중의 하나인 사(沙)씨 출신 귀족으로, 일본의 역사서인 《일본서기 日本書紀》에만 등장.

새로운!!: 성왕 (백제)와 사택기루 · 더보기 »

사아군

사아군(斯我君, ? - ?)은 백제의 왕족으로 무령왕의 셋째 아들이자 성왕의 동생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사아군 · 더보기 »

선암사

선암사(仙巖寺)는 전라남도 순천시의 조계산에 위치한 사찰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선암사 · 더보기 »

성 (시호)

성은 시호에 쓰이는 글자.

새로운!!: 성왕 (백제)와 성 (시호) · 더보기 »

성왕

성왕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

새로운!!: 성왕 (백제)와 성왕 · 더보기 »

서동요 (드라마)

마 서동요에서 두 주인공이 사랑을 확인하는 장면의 배경으로 사용된 성흥산성 남문 근처의 나무 《서동요》(薯童謠)는 2005년부터 2006년까지 SBS에서 방송된 드라마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서동요 (드라마) · 더보기 »

소가노 이나메

소가노 이나메(506년경 ~ 570년 3월 22일)는 일본 고훈 시대의 호족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소가노 이나메 · 더보기 »

한국 불교의 역사

국 불교의 역사 또는 한국 불교사는 한국에서 전개된 불교의 역사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한국 불교의 역사 · 더보기 »

한국의 불교 사상

본 문서 한국의 불교 사상은, 한국에 전래된 불교에서 전개된 사상을 설명.

새로운!!: 성왕 (백제)와 한국의 불교 사상 · 더보기 »

한국의 나라 이름

민족이 세운 역사상의 나라들은 많았으며, 한국의 나라 이름 역시 다양.

새로운!!: 성왕 (백제)와 한국의 나라 이름 · 더보기 »

한국의 수도

음은 한국사에 존재했던 여러 나라들의 수도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한국의 수도 · 더보기 »

한국의 역사

국의 역사(韓國-歷史) 또는 한국사는 구석기 시대 이후 주로 한반도와 만주, 연해주, 넓게는 동아시아 지역을 바탕으로 발전되어 온 한민족의 역사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한국의 역사 · 더보기 »

한국의 왕자와 왕녀 목록

이 문서는 현재까지 알려진 한국의 왕자(황자)와 왕녀(공주, 궁주, 옹주)의 목록을 담고 있.

새로운!!: 성왕 (백제)와 한국의 왕자와 왕녀 목록 · 더보기 »

한국사 전

《한국사 전》(한국사 傳)은 《역사기행》 종영 후 2007년 6월 16일부터 2008년 10월 25일까지 매주 토요일 밤 8시 10분부터 9시까지 KBS 1TV에서 방송된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한국사 전 · 더보기 »

한국사기

국사기(韓國史記)는 2017년 1월 1일부터 2017년 3월 19일까지 매주 일요일 밤 9시 40분에 KBS 1TV에서 방송되는 10부작 팩추얼 다큐드라마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한국사기 · 더보기 »

한일 관계

일 관계(韓日關係)는 현재의 대한민국을 포함하여, 고대부터 있었던 한국과 일본 사이의 외교, 문화, 경제 등의 교류와 접촉을 말. 양쪽 지역에 중앙집권적인 정치체제가 생긴 삼국 시대(일본의 경우 아스카 시대) 이래로 한국과 일본은 정치적·군사적·사회적·문화적·경제적 교류를 주고받았고 모든 분야에 있어 상호 지대한 영향을 미쳐왔.

새로운!!: 성왕 (백제)와 한일 관계 · 더보기 »

한산주

남북국 시대 신라의 9주 5소경 한산주(漢山州) 또는 한주(漢州)는 신라의 광역 행정구역인 9주 5소경의 한 주(州)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한산주 · 더보기 »

안장왕

안장왕(安臧王, ? ~ 531년, 재위: 519년 ~ 531년)은 고구려의 제22대 군주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안장왕 · 더보기 »

안원왕

안원왕(安原王, ~ 545년, 재위: 531년 ~ 545년)은 고구려의 제23대 군주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안원왕 · 더보기 »

아스카 시대

아스카 시대()는 고훈 시대의 종말기와 겹치기도 하지만, 6세기 후반부터 8세기 초반에 걸쳐 아스카에 궁전, 도시가 세워진 시대를 가리키는 일본 역사의 시대 구분의 하나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아스카 시대 · 더보기 »

아좌태자

아좌태자(阿佐太子, 572년 ~ 645년)는 백제의 왕자, 왕족이며, 외교관이자 화가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아좌태자 · 더보기 »

신라의 대외 관계

아래는 신라의 대외 관계에 대한 설명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신라의 대외 관계 · 더보기 »

신라의 삼국통일

신라의 삼국통일(新羅-三國統一)은 한민족의 역사에서 최초의 민족 통일로 간주되는 사건으로, 676년 신라가 한반도의 제국가(諸國家)를 통일한 것을 말. 신라는 가야, 백제, 고구려 등 한반도에 있던 나라들을 차례로 멸망시켜 병합하였고, 676년에 당나라 군대를 대동강 북쪽으로 축출하여 통일을 달성하였.

새로운!!: 성왕 (백제)와 신라의 삼국통일 · 더보기 »

시흥시

장현동 시흥시청사 시흥시(始興市)는 경기도의 중서부에 위치하고 있는 시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시흥시 · 더보기 »

웅진

웅진(熊津)은 곰나루, 고마나루 또는 고마나리로도 불리며 475년부터 538년까지 백제의 수도였.

새로운!!: 성왕 (백제)와 웅진 · 더보기 »

웅천주

남북국 시대 신라의 9주 5소경 웅천주(熊川州),또는 웅주(熊州)는 신라의 광역 행정구역인 9주 5소경의 한 주(州)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웅천주 · 더보기 »

화정면 (여수시)

화정면(華井面)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여수시의 면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화정면 (여수시) · 더보기 »

화엄종

화엄종(華嚴宗)은 《화엄경(華嚴經)》을 소의 경전으로 하는 불교 종파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화엄종 · 더보기 »

화엄사

화엄사(華嚴寺)는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에 위치한 사찰로 대한불교 조계종 제19교구 본사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화엄사 · 더보기 »

52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왕 (백제)와 523년 · 더보기 »

52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왕 (백제)와 524년 · 더보기 »

52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왕 (백제)와 525년 · 더보기 »

52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왕 (백제)와 526년 · 더보기 »

52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왕 (백제)와 527년 · 더보기 »

52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왕 (백제)와 528년 · 더보기 »

52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왕 (백제)와 529년 · 더보기 »

53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왕 (백제)와 530년 · 더보기 »

53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왕 (백제)와 531년 · 더보기 »

53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왕 (백제)와 532년 · 더보기 »

53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왕 (백제)와 533년 · 더보기 »

53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왕 (백제)와 534년 · 더보기 »

53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왕 (백제)와 535년 · 더보기 »

53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왕 (백제)와 536년 · 더보기 »

53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왕 (백제)와 537년 · 더보기 »

53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왕 (백제)와 538년 · 더보기 »

53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왕 (백제)와 539년 · 더보기 »

54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왕 (백제)와 540년 · 더보기 »

54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왕 (백제)와 541년 · 더보기 »

54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왕 (백제)와 542년 · 더보기 »

54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왕 (백제)와 543년 · 더보기 »

54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왕 (백제)와 544년 · 더보기 »

54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왕 (백제)와 545년 · 더보기 »

54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왕 (백제)와 546년 · 더보기 »

54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왕 (백제)와 547년 · 더보기 »

54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왕 (백제)와 548년 · 더보기 »

54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왕 (백제)와 549년 · 더보기 »

55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왕 (백제)와 550년 · 더보기 »

55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왕 (백제)와 551년 · 더보기 »

55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왕 (백제)와 552년 · 더보기 »

55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왕 (백제)와 553년 · 더보기 »

55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왕 (백제)와 554년 · 더보기 »

6정

6정(六停)은 544년(진흥왕 5년)부터 9주 5소경 체제가 정립된 685년(신문왕 5년)까지 신라의 지역 최고 군사조직으로서 행정조직의 기능을 겸하였고, 이후 9주 5소경 체제를 마련하는데 기반이 된 조직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6정 · 더보기 »

6세기

6세기는 501년부터 600년까지이.

새로운!!: 성왕 (백제)와 6세기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백제 성명왕, 백제 성왕, 부여명농, 성명왕.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