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성작

색인 성작

바로크 양식의 성작과 성반 성작(聖爵, 은 기독교에서 사용하는 제구(祭具) 중의 하나로 성찬 전례(영성체)를 거행할 때에 성찬용 포도주를 담는 잔이다. 일반적으로 값비싼 합금을 재료로 만들어지며, 때때로 에나멜이나 보석으로 화려하게 치장하기도 한다. 성작은 초기 기독교 때부터 쭉 사용되어 왔다. 성경을 보면 최후의 만찬에서 예수는 제자들에게 빵과 잔에 든 포도주를 나누어 주며 “너희는 나를 기억하여 이를 행하여라.”(루카 22,19)라고 당부하였으며, 사도 바오로 또한 코린토 신자들에게 보낸 첫째 서간 11장 23~26장에서 성찬례는 기독교 전례의 중심이라고 가르쳤다. 이에 따라 성작은 매우 중요한 제구로서 매우 훌륭하게 장식되었으며 조심스럽게 다루어지게 되었다. 초창기 성작들은 커다란 그릇에 두 개의 손잡이가 달린 형태를 하고 있었으며, 시간이 흐르면서 성작의 크기는 작아지고 성작을 놓을 때 쓰러지지 않기 위해 잔을 받치는 밑의 받침 부분이 커졌다. 또한 기독교 미술의 양식이 변화하면서 각 시대마다 잔과 받침의 크기와 비례의 변화, 장식 기법, 재료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였다. 150px 성작의 기본적인 형태는 포도주가 담기는 잔 부분(poculum)과 손잡이의 역할을 하는 중간의 줄기부분(nodus), 받침(fundamentum)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시대와 나라에 따라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며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였다. 서방 교회의 경우, 일반적으로 손잡이 부분과 받침 부분 사이에 어떤 장식이나 튀어나온 부위가 있어서 성작을 잡고 들어 올리는 일이 보다 용이하다. 가톨릭교회에서는 13세기 이후부터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까지 성작들은 튤립 모양을 한 경우가 많았으며, 포도주를 담는 공간이 매우 좁았는데, 이는 미사 때 사제만이 성혈을 영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모든 성체 배령자들도 자유롭게 성혈을 모실 수 있기 때문에(양형 영성체), 오늘날의 성작은 과거에 비해 더 크게 제작되는 경향이 있다. 성작을 만드는 데 사용된 재질은 초대 교회에서는 주로 유리가 사용되었고 점차 구리, 청동, 천연수정, 마노 등이 사용되다가 기독교가 정식으로 공인되고 본격적인 성미술이 시작되는 콘스탄티누스 대제(306-337) 이후에는 금이나 은과 같은 귀금속을 주재료로 하고 진주와 칠보 등 다양한 보석을 사용하여 만들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성작은 다시 초대 교회 시절의 단순하고 장식이 없는 기능적인 형태로 돌아갔다. 다만 쉽게 깨지거나 썩는 재료로 만들어서는 안 되고, 수분을 흡수하지 않는 재질을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성작의 안쪽 면은 반드시 금으로 도금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 그릇을 받치는 대와 받침은 단단하고 품위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야 하고, 성찬례가 거행되는 동안 성혈을 담은 성작이 넘어지는 일이 없도록 안전한 형태로 제작되어야 한다. 동방 정교회, 동방 가톨릭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등의 동방 교회에서는 십자가상처럼 성작을 에나멜을 입히거나 조각을 새기고는 한다. 동방 교회에서는 서방 교회와는 달리 모든 성체 배령자가 의무적으로 성체와 성혈을 모두 영하는 양형 영성체 방식을 의무화하고 있다. 성체를 모실 때 성체 조각은 성작 안에 넣어지며, 성체 배령자들은 사제가 숟가락으로 성체와 성혈을 떠서 주면 입으로 받아 모신다. 이러한 까닭에 동방 교회의 성작들은 서방 교회의 성작들에 비해 크기가 더 크고, 잔 부분이 원형을 이루고 있다.

18 처지: 미사, 바토페디 수도원, 거룩한 잔, 볼룬드, 교황 프란치스코, 트리엔트 미사, 인디아나 존스: 최후의 성전, 성반, 성작 덮개, 성작 수건, 성작보, 성체포, 성체포낭, 성체의 기도, 성체함, 성합, 하타이 공화국, 아토스산.

미사

미사()는 가톨릭에서 하느님을 찬양하는 대표적인 종교 의식이며, 특히 로마 가톨릭교회의 일곱 가지 성사 가운데 하나인 성체성사가 중심을 이루는 라틴 전례 양식이 일반적인 미사의 개념이.

새로운!!: 성작와 미사 · 더보기 »

바토페디 수도원

운 바닷가에서 보는 바토페디 수도원의 전경. 바토페디 (또는 바토파이디) 대수도원()은 그리스 아토스 산에 있으며, 10세기 동안에 아드리아노플에서 온 아토니테 아타나시우스의 제자들이었던 세 명의 수사들인 아타나시우스, 니콜라스 그리고 안토니우스에 의해 건축되었.

새로운!!: 성작와 바토페디 수도원 · 더보기 »

거룩한 잔

빈 성에 거룩한 잔을 들고 퍼시벌 앞에 나타난 아름다운 여인의 환영. 1917년 아서 래컴이 그린 삽화. 거룩한 잔 또는 신성한 술잔, 성배(聖杯)는 문학 작품과 일부 기독교 전승에 등장하는 성유물로서, 일반적으로 최후의 만찬에서 예수 그리스도가 사용했던 술잔으로서 기적의 힘을 지닌 것으로 묘사.

새로운!!: 성작와 거룩한 잔 · 더보기 »

볼룬드

볼룬드()는 노르드 신화를 비롯한 게르만 신화에 등장하는 전설적인 대장장이이.

새로운!!: 성작와 볼룬드 · 더보기 »

교황 프란치스코

황 프란치스코(1936년 12월 17일 ~)는 제266대 교황(재위: 2013년 3월 19일 ~)이.

새로운!!: 성작와 교황 프란치스코 · 더보기 »

트리엔트 미사

리덴티노 양식에 따른 장엄 미사 중에 집전 사제의 성체 거양 트리엔트 미사()는 1570년부터 1962년까지 발행된 로마 미사 경본에 따른 로마 전례 미사이.

새로운!!: 성작와 트리엔트 미사 · 더보기 »

인디아나 존스: 최후의 성전

인디아나 존스: 최후의 성전(Indiana Jones and the Last Crusade)은 인디아나 존스의 세 번째 에피소드이며 인디아나 존스: 크리스탈 해골의 왕국을 제작하기 전까진 인디아나 존스 시리즈의 마지막 편으로 기획되어 있었.

새로운!!: 성작와 인디아나 존스: 최후의 성전 · 더보기 »

성반

브레멘 성당 미술관에 전시된 1400년경의 성작과 성반 성반(聖盤)은 기독교에서 거행하는 성찬 때에 쓰이는 제구(祭具)의 하나로 제병을 올려놓는 용도로 쓰인.

새로운!!: 성작와 성반 · 더보기 »

성작 덮개

성작 덮개로 덮어 놓은 성작과 성작 수건 성작 덮개(Palla)는 기독교의 전례에서, 특히 가톨릭교회 미사에서 성찬 전례를 거행하는 동안에 성작 안에 먼지나 벌레가 들어가지 못하게 덮어 놓는 전례용품이.

새로운!!: 성작와 성작 덮개 · 더보기 »

성작 수건

성작 위에 놓인 성작 수건 성작 수건(聖爵手巾, purificatorium)은 주로 가톨릭교회의 전례에서 사용하는 기독교 전례용품이.

새로운!!: 성작와 성작 수건 · 더보기 »

성작보

성작을 성작보로 덮어 놓은 모습 성작보 위에 성체포낭, 오른쪽에는 수대가 보인다. 성작보(velum calicis)는 기독교의 전례용품 중. 주로 가톨릭교회의 전례에서 성작, 성작 수건, 성반, 성작 덮개를 보호하기 위하여 이들을 한꺼번에 덮어 놓는 보자기를 말하는데 오늘날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 예전에 사용하던 때에는 제의와 동일한 전례색의 성작보를 사용하였.

새로운!!: 성작와 성작보 · 더보기 »

성체포

성체포 성체포(聖體布)는 가로 세로 50cm 정도의 사각형 하얀색 아마포 천으로, 기독교에서 미사(성찬 예식)를 거행하는 동안 제대 위에 성작과 성반, 성합 등을 놓을 때 그 밑에 깔아 놓는 용도로 사용.

새로운!!: 성작와 성체포 · 더보기 »

성체포낭

성체포낭을 펼친 모습 성작보 위에 성체포낭, 오른쪽에는 수대가 보인다. 성체포낭(聖體布囊)은 기독교의 전례에 사용하는 전례용품으로, 성체포를 보관하는 주머니를 말. 오늘날에는 잘 사용하지 않. 성체포를 접어서 넣을 수 있도록 빳빳한 네모난 종이 2장을 천으로 덮어 연결하여 만든 것이.

새로운!!: 성작와 성체포낭 · 더보기 »

성체의 기도

릭교회의 전통에는 성삼위와 성체를 욕보이거나 불경스러운 언동을 하는 것에 대항하는 보속 행위로서 특별 기도를 바치는 것이 포함되어 있.

새로운!!: 성작와 성체의 기도 · 더보기 »

성체함

축성된 제병(성체)을 넣고 가져갈 때 쓰는 작은 성체함. 성체함(聖體函)은 작고 둥근 휴대용 그릇 형태로 된 기독교의 제구 중 하나로, 주로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병이 들거나 병약한 사람 또는 미사에 참례하지 못한 사람을 위해 성체를 영해주기 위한 용도로 사용.

새로운!!: 성작와 성체함 · 더보기 »

성합

성합 성합(聖盒) 또는 성반은 기독교에서 성찬 전례를 거행할 때에 쓰는 제구(祭具)의 하나이.

새로운!!: 성작와 성합 · 더보기 »

하타이 공화국

이 공화국 (Dawlat Hatay), 공식 명칭으로 하타이 국은 1938년 9월 7일부터 1939년 6월 29일까지 프랑스령 시리아의 알렉산드레타 산자크에 존재했던 과도기적 정치체였.

새로운!!: 성작와 하타이 공화국 · 더보기 »

아토스산

아토스 산의 지도 아토스 산(오로스 아소스)은 그리스 마케도니아에 있는 산이며 반도이.

새로운!!: 성작와 아토스산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