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성주 이씨

색인 성주 이씨

성주 이씨(星州 李氏)는 경상북도 성주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56 처지: 류희령, 류인숙, 마의태자, 백문절, 백경선, 백효주, 백이정, 백여주, 경순공주, 곡안리 민간인 학살사건, 공혜왕후, 두품, 이 (성씨), 이동섭 (1956년), 이병희 (1926년), 이규동 (1911년), 이규광, 이규승, 이기대 (1792년), 이교문, 이용순 (대한제국), 이장경, 이재선 (1956년), 이인민, 이인복 (1308년), 이인임, 이제 (1365년), 이정현 (정치인), 이조년, 이종률, 이종린 (1883년), 이직, 이충건, 이유원, 이유원 (1763년), 이상현 (법조인), 이호성, 이항 (1499년), 이해봉 (1942년), 이학봉, 응천군, 전두환, 정도전 (드라마), 정구 (1543년), 육영수, 숙혜옹주 (태종), 영의정, 양원군 (1492년), 표연말, 성복동, ..., 서재우 (1868년), 서재필, 한국의 성씨, 한국의 성씨 목록, 하륜, 홍달손.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6 더) »

류희령

희령(柳希齡, 1480년~1552년)은 조선 초기의 문신이.

새로운!!: 성주 이씨와 류희령 · 더보기 »

류인숙

인숙(柳仁淑, 1485년 ~ 1545년)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학자, 사림파 정치인으로 자(字)는 원명, 호는 정수, 시호는 문정, 본관은 진주(晉州)이.

새로운!!: 성주 이씨와 류인숙 · 더보기 »

마의태자

마의태자(麻衣太子, 912년? ~ ?)는 신라 하대의 왕족이.

새로운!!: 성주 이씨와 마의태자 · 더보기 »

백문절

백문절(白文節, ? ~ 1282년)은 고려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성주 이씨와 백문절 · 더보기 »

백경선

백경선(白景瑄, ? ~ ?)은 고려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성주 이씨와 백경선 · 더보기 »

백효주

백효주(白孝珠, ? ~ ?)는 고려 후기의 무신이.

새로운!!: 성주 이씨와 백효주 · 더보기 »

백이정

백이정(白頤正, 1247년~1323년)은 고려의 후기의 문신, 성리학자이.

새로운!!: 성주 이씨와 백이정 · 더보기 »

백여주

백여주(白汝舟, ? ~ ?)는 고려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성주 이씨와 백여주 · 더보기 »

경순공주

경순공주(慶順公主, ? ~ 1407년 9월 8일(음력 8월 7일))는 조선의 공주로, 태조(太祖, 1335~1408, 재위: 1392~1398)와 신덕왕후 강씨(神德王后 康氏, 1356~1396)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딸로 적3녀이.

새로운!!: 성주 이씨와 경순공주 · 더보기 »

곡안리 민간인 학살사건

곡안리 민간인 학살사건은 1950년 8월 11일 한국전쟁 당시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 합포구 진전면 곡안리 성주 이씨 재실로 피란하고 있던 마을 주민 86명이 미군의 공격으로 희생당한 사건이.

새로운!!: 성주 이씨와 곡안리 민간인 학살사건 · 더보기 »

공혜왕후

공혜왕후 한씨(恭惠王后 韓氏, 1456년 11월 8일(음력 10월 11일) ~ 1474년 4월 30일(음력 4월 15일))는 조선 성종의 원비(元妃)이.

새로운!!: 성주 이씨와 공혜왕후 · 더보기 »

두품

(頭品)은 신라의 골품제의 하나로, 일종의 신분제도이.

새로운!!: 성주 이씨와 두품 · 더보기 »

이 (성씨)

외 이(李, 異, 伊)씨는 동아시아의 성씨이.

새로운!!: 성주 이씨와 이 (성씨) · 더보기 »

이동섭 (1956년)

이동섭(李銅燮, 1956년 12월 8일(음력 11월 7일) ~)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성주 이씨와 이동섭 (1956년) · 더보기 »

이병희 (1926년)

이병희(李秉禧, 1926년 8월 1일 ~ 1997년 1월 13일)은 경기도 용인시 출신의 대한민국 정치인이.

새로운!!: 성주 이씨와 이병희 (1926년) · 더보기 »

이규동 (1911년)

이규동(李圭東, 1911년 11월 7일 ~ 2001년 9월 11일)은 대한민국의 군인이.

새로운!!: 성주 이씨와 이규동 (1911년) · 더보기 »

이규광

이규광(李圭光, 1925년 6월 11일 ~ 2012년 9월 20일)은 대한민국의 군인, 기업가, 정치가이.

새로운!!: 성주 이씨와 이규광 · 더보기 »

이규승

이규승(李圭昇, 1920년 ~ 2000년)은 대한민국의 군인, 기업가, 정치가이.

새로운!!: 성주 이씨와 이규승 · 더보기 »

이기대 (1792년)

이기대(李箕大, 1792년 10월 4일 ~ 1858년 3월 18일)는 조선 후기의 성리학자이.

새로운!!: 성주 이씨와 이기대 (1792년) · 더보기 »

이교문

이교문 (李敎文, 1846년 4월 21일 ~ 1914년 2월 12일)은 조선시대 말기의 성리학자이자 대한제국기의 항일 의병장이.

새로운!!: 성주 이씨와 이교문 · 더보기 »

이용순 (대한제국)

이용순(李龍淳, ? - ?)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교육인, 사회사업가이.

새로운!!: 성주 이씨와 이용순 (대한제국) · 더보기 »

이장경

이장경(李長庚, ? ~ ?)은 고려시대 중기의 호족으로 이백년, 이천년, 이만년, 이억년, 이조년 5형제의 아버지이자 이인기, 이승경의 할아버지였.

새로운!!: 성주 이씨와 이장경 · 더보기 »

이재선 (1956년)

이재선(李在善, 1956년 12월 19일 보령 ~)은 대한민국 정치인이자 제15, 16, 18대 3선 국회의원이.

새로운!!: 성주 이씨와 이재선 (1956년) · 더보기 »

이인민

이인민(李仁敏, 1330년 ~ 1392년)은 고려시대의 문신으로 호는 모은(慕隱)이며 본관은 성주이.

새로운!!: 성주 이씨와 이인민 · 더보기 »

이인복 (1308년)

이인복(李仁復, 1308년 ~ 1374년)은 고려 말기의 학자, 문신, 정치가이.

새로운!!: 성주 이씨와 이인복 (1308년) · 더보기 »

이인임

이인임(李仁任, ? ~ 1388년)은 고려 말기의 간신(奸臣), 권신(權臣)이자 시인(詩人)이었.

새로운!!: 성주 이씨와 이인임 · 더보기 »

이제 (1365년)

이제(李濟, 1365년 ~ 1398년)는 고려 말 조선 초기의 문신이.

새로운!!: 성주 이씨와 이제 (1365년) · 더보기 »

이정현 (정치인)

이정현(李貞鉉, 1958년 9월 1일 ~)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성주 이씨와 이정현 (정치인) · 더보기 »

이조년

이조년(李兆年, 1269년 ~ 1343년)은 고려의 원종-충혜왕 때의 문신·시인·문인이며 학자이다. 자는 원로(元老), 호는 매운당(梅雲堂)·백화헌(百化軒)이며, 본관은 성주이다. 이장경의 아들이며 이인임, 이인복, 이인립의 할아버지이며 이제의 증조부이고, 이숭인의 종증조부이다. 경상북도 성주 출신으로 아버지는 이장경이며 어머니는 합천 이씨이다. 충렬왕 때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1306년 비서랑으로 왕을 모시고 원나라 수도 연경(燕京)에 갔을 때 왕유소·송방영 등의 모함으로 충렬왕과 왕자의 사이가 나빠졌다. 이때 그는 어느 편에도 가담하지 않았으나 화를 입고 유배되었다. 그 후 유배에서 풀려나 13년간 고향에 있다가, 1340년 충혜왕 때 예문관 대제학이 되어 성산군에 봉해졌다. 그는 천성이 결백 강직했으며 특히 시문에 뛰어났으며 시조 한 수가 《청구영언》 등에 실려 전해지고 있다.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이조년〉 공민왕 때 성산후에 추증되었고, 충혜왕의 사당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문렬(文烈).

새로운!!: 성주 이씨와 이조년 · 더보기 »

이종률

이종률(李鍾律, 1941년 9월 26일 ~ 2008년 6월 2일)은 대한민국의 언론인, 정치학자이자 제10·12대 국회의원을 역임한 정치인이.

새로운!!: 성주 이씨와 이종률 · 더보기 »

이종린 (1883년)

이종린(李鍾麟, 일본식 이름: 瑞原鍾麟, 1883년 2월 11일 ~ 1951년 9월 1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

새로운!!: 성주 이씨와 이종린 (1883년) · 더보기 »

이직

이직(李稷, 1362년 ~ 1431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새로운!!: 성주 이씨와 이직 · 더보기 »

이충건

이충건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성주 이씨와 이충건 · 더보기 »

이유원

이유원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성주 이씨와 이유원 · 더보기 »

이유원 (1763년)

이유원(李有源, 1763년 4월 14일 - 1835년 2월 16일)은 조선 후기의 학자, 효자로 서재필, 서재창의 외증조부이.

새로운!!: 성주 이씨와 이유원 (1763년) · 더보기 »

이상현 (법조인)

이상현(李相賢, 1940년 ~ 2000년 9월 28일)은 인천지방법원장 등을 역임한 법관이.

새로운!!: 성주 이씨와 이상현 (법조인) · 더보기 »

이호성

이호성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성주 이씨와 이호성 · 더보기 »

이항 (1499년)

이항(李恒, 1499년 ~ 1576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학자이.

새로운!!: 성주 이씨와 이항 (1499년) · 더보기 »

이해봉 (1942년)

이해봉(李海鳳, 1942년 6월 15일 ~ 2012년 8월 19일)은 대한민국의 공무원, 정치인이.

새로운!!: 성주 이씨와 이해봉 (1942년) · 더보기 »

이학봉

이학봉(李鶴捧, 1938년 5월 15일 ~ 2014년 5월 24일)은 대한민국의 군인을 지낸 정치가이.

새로운!!: 성주 이씨와 이학봉 · 더보기 »

응천군

응천군 이돈(凝川君 李潡, 1579년 3월 3일 ~ 1617년 12월 17일)은 조선 중기의 왕족이며, 도정궁(都正宮)의 사손(嗣孫)이.

새로운!!: 성주 이씨와 응천군 · 더보기 »

전두환

전두환 (全斗煥, 1931년 1월 18일 ~)은 대한민국 제11•12대 대통령이.

새로운!!: 성주 이씨와 전두환 · 더보기 »

정도전 (드라마)

《정도전》(鄭道傳) 은 KBS 1TV에서 2014년 1월 4일부터 2014년 6월 29일까지 방송된 정도전의 일대기를 그린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성주 이씨와 정도전 (드라마) · 더보기 »

정구 (1543년)

정구(鄭逑, 1543년 7월 9일 ~ 1620년 1월 5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 철학자, 역사학자, 작가, 서예가, 의학자이자 임진왜란기의 의병장이.

새로운!!: 성주 이씨와 정구 (1543년) · 더보기 »

육영수

육영수(陸英修, 1925년 11월 29일 ~ 1974년 8월 15일)는 대한민국의 제5·6·7·8·9대 대통령을 지낸 박정희의 부인이.

새로운!!: 성주 이씨와 육영수 · 더보기 »

숙혜옹주 (태종)

숙혜옹주(淑惠翁主, ? ~ 1464년)는 조선의 왕족으로, 제3대 태종(太宗, 1367~1422, 재위: 1400~1418)의 서6녀이며, 어머니는 소빈 노씨(昭嬪 盧氏, ? ~1479)이.

새로운!!: 성주 이씨와 숙혜옹주 (태종) · 더보기 »

영의정

영의정(領議政)은 의정부 3정승 가운데 하나로 정1품에 해당하는 조선 최고의 중앙관직이었.

새로운!!: 성주 이씨와 영의정 · 더보기 »

양원군 (1492년)

양원군 이희(楊原君 李憘, 1492년 ~ 1551년)은 조선의 왕족으로, 조선 제9대 성종의 서자이.

새로운!!: 성주 이씨와 양원군 (1492년) · 더보기 »

표연말

연말(表沿沫, 1449년 ~ 1498년)은 조선의 문신이다. 본관은 신창(新昌). 자(字)는 소유(少游), 호(號)는 남계(藍溪). 아버지는 상주교수(尙州敎授) 표계(表繼)이다. 1469년(예종 1) 생원시와 진사시에 합격하고, 1472년(성종 3) 식년 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 봉교(藝文館奉敎)를 거쳐 1484년 공조 좌랑(工曹佐郞)을 역임하였다. 과거시험에서 서거정(徐居正)의 문생이 된 인연으로 《필원잡기(筆苑雜記)》의 서문을 쓰기도 하였다. 1485년 장례원 사의(掌隷院司議)로서 《동국통감》 찬수에 참여하였다. 1486년(성종 17년) 중시 문과에 다시 급제한 뒤, 조봉대부(朝奉大夫) 수 사헌부 장령(守司憲府掌令)이 되었다. 1490년 이조참의, 대사성, 1492년 홍문관 응교(弘文館應敎), 대제학을 역임하고, 1493년 봉렬대부(奉列大夫)로 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이 되었다. 1494년(연산군 즉위년) 홍문관 직제학(弘文館直提學)을 역임하였다.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서 소릉(昭陵) 추복(追復)에 관한 사실을 사초(史草)에 적은 것과 김종직의 행장(行狀)을 미화(美化)해 썼다는 이유로 1498년(연산군 4년) 무오사화에 연루되어 경원(慶源)으로 유배가던 중 객사하였다. 1504년(연산군 10) 갑자사화 때 조위(曺偉), 정여창(鄭汝昌) 등과 함께 부관참시(剖棺斬屍)당하였다. 1507년(중종 2) 신원(伸寃)되어 함양의 남계서원(藍溪書院), 함창의 임호서원(臨湖書院)에 제향되었다. 1517년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새로운!!: 성주 이씨와 표연말 · 더보기 »

성복동

성복동(星福洞)은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에 자리한 행정동 및 법정동이.

새로운!!: 성주 이씨와 성복동 · 더보기 »

서재우 (1868년)

서재우(徐載雨, 1868년 9월 5일 ~ 1929년 1월 24일)는 조선 시대 후기의 문신이며 대한제국의 관료 겸 정치가이.

새로운!!: 성주 이씨와 서재우 (1868년) · 더보기 »

서재필

서재필(徐載弼, 1864년 1월 7일 ~ 1951년 1월 5일, 미국 귀화명은 필립 제이슨(Philip Jaisohn))은 조선의 무신, 대한제국의 정치인, 언론인이자 미국 국적의 한국 독립운동가, 의사였.

새로운!!: 성주 이씨와 서재필 · 더보기 »

한국의 성씨

국의 성씨(姓氏)는 전통적으로 270여 개가 있. 1486년(성종) 《동국여지승람(東國與地勝覽)》에 277개, 1766년(영조) 《도곡총설(陶谷叢說)》에 298개, 1908년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에 496개, 1960년 대한민국 국세조사에서는 258개의 성씨.

새로운!!: 성주 이씨와 한국의 성씨 · 더보기 »

한국의 성씨 목록

음은 한국의 성씨 목록이.

새로운!!: 성주 이씨와 한국의 성씨 목록 · 더보기 »

하륜

(河崙, 1348년 1월 22일(1347년 음력 12월 22일) ~ 1416년 11월 24일(음력 11월 6일))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새로운!!: 성주 이씨와 하륜 · 더보기 »

홍달손

홍달손(洪達孫, 1415년 ~ 1472년)은 조선 전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남양(南陽)이고, 자는 가칙(可則), 시호는 안무(安武)이.

새로운!!: 성주 이씨와 홍달손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성주이씨.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