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세르비아 왕국

색인 세르비아 왕국

세르비아 왕국의 우표 (1911년 발행) 세르비아 왕국()은 오늘날의 세르비아와 마케도니아 공화국에 있었던 옛 나라이.

80 처지: 런던 조약 (1913년), 독립기념일, 라도미르 푸트니크, 라자르 콜리셰프스키, 리자 루슈타, 마케도니아인, 메흐메트 2세, 몬테네그로 공화국 (1992년 ~ 2006년), 몬테네그로 왕국, 몬테네그로의 총리, 몬테네그로의 왕위 계승 순위, 무라트 2세, 발칸 동맹, 발칸 반도, 발칸 전쟁, 발칸 연방, 바트이슐, 바예지드 1세, 밀란 1세, 밀룬카 사비치, 가브릴로 프린치프, 게오르기 토도로프, 보스니아 전쟁, 보스니아 위기, 보실레그라드, 병합, 불가리아, 불가리아 왕국, 부쿠레슈티 조약 (1913년), 빌헬름 2세, 대불가리아, 군사 동맹 목록, 두카트, 나탈리야 오브레노비치, 드라가 마신, 노비파자르, 스트루미차, 페타르 1세 (세르비아), 인종적 차별 철폐 제안, 흑수단, 제1차 발칸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의 역사, 제1차 세계 대전과 태국, 제1차 세계 대전의 사상자, 제2차 발칸 전쟁, 중세 후기, 카라조르제비치 왕조, 콜루바라 전투, 코소보 전투, ..., 쿠마노보, 오르한 1세, 오스만 제국, 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오스트리아의 연표, 옛 나라 목록, 사라예보 사건, 프로쿠플레, 프리슈티나, 터키의 역사, 세르비아, 세르비아 (동음이의), 세르비아 공국, 세르비아 공화국 (1992년 ~ 2006년), 세르비아 전역 (제1차 세계 대전), 세르비아-불가리아 전쟁, 세르비아인, 세르비아의 국기, 세르비아의 국장, 서부 전선 (제1차 세계 대전), 알렉산다르 1세 (유고슬라비아), 알렉산다르 1세 (세르비아), 알바니아, 알바니아인, 안드로니코스 2세 팔레올로고스, 아우구스트 폰 마켄젠, 테레사 수녀, 왕실 국가 목록, 7월 위기.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30 더) »

런던 조약 (1913년)

조약과 부쿠레슈티 조약에서 결정된 발칸 반도 국가 간의 경계선 런던 조약 체결식 런던 조약은 1913년 5월 30일 제1차 발칸 전쟁을 종식시키기 위해 영국 런던에서 체결된 조약이.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런던 조약 (1913년) · 더보기 »

독립기념일

공식적인 국경일 없음 독립기념일(獨立記念日)은 다른 나라의 식민지 지배에서 벗어나 독립 국가로서의 지위를 획득한 것을 기념하는 날이.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독립기념일 · 더보기 »

라도미르 푸트니크

미르 푸트니크(1847년~1917년)는 세르비아의 육군원수이며, 발칸 전쟁과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하였.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라도미르 푸트니크 · 더보기 »

라자르 콜리셰프스키

자르 콜리셰프스키(1914년 2월 12일 ~ 2000년 6월 6일)는 유고슬라바아의 제 2대 대통령이.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라자르 콜리셰프스키 · 더보기 »

리자 루슈타

리자 루슈타 (Riza Lushta, 1916년 8월 22일, 세르비아 왕국, 코소브스카미트로비차 ~ 1997년 2월 6일, 이탈리아, 토리노) 는 과거 알바니아의 축구 공격수였.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리자 루슈타 · 더보기 »

마케도니아인

마케도니아인()은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주요 민족으로 남슬라브족을 가르키며,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국민(시민권자)를 말. 그리고 두 번째 의미로는 고대 그리스 시기에 활동했던 마케도니아 왕국을 세운 그리스계의 고대 마케도니아인들을 가리.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마케도니아인 · 더보기 »

메흐메트 2세

메흐메트 2세(1432년 3월 30일 - 1481년 5월 3일)는 오스만 제국의 제7대 술탄이며, 처음으로 카이사르와 칼리프의 칭호를 쓴 인물이.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메흐메트 2세 · 더보기 »

몬테네그로 공화국 (1992년 ~ 2006년)

right 몬테네그로 공화국의 국기 (2004~2006년) 몬테네그로 공화국의 국기 (1993~2004년) 몬테네그로 공화국은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의 일부를 이루고 있었던 자치 공화국이.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몬테네그로 공화국 (1992년 ~ 2006년) · 더보기 »

몬테네그로 왕국

몬테네그로 왕국()이라는 국명은 1910년 8월 27일에 니콜라 1세의 즉위 5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1852년부터 사용되어 온 몬테네그로 공국()이라는 국명을 새로 바꾼 것이.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몬테네그로 왕국 · 더보기 »

몬테네그로의 총리

몬테네그로의 국장 몬테네그로의 총리는 몬테네그로의 각료를 지위하는 구성원으로, 몬테네그로의 정부 수반이.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몬테네그로의 총리 · 더보기 »

몬테네그로의 왕위 계승 순위

몬테네그로 왕국은 제1차 세계 대전 전승국이었지만, 세르비아 왕국에 강제 합병을 당하였으며, 세르비아가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으로 거듭나자 이에 속하게 되었.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몬테네그로의 왕위 계승 순위 · 더보기 »

무라트 2세

무라트 2세(1404년 - 1451년 2월 3일)는 오스만 제국의 제6대 술탄이다(재위 1421년 - 1444년).(1446년 - 1451년)중간에 2년(1444년 - 1446년)은 그의 아들 메흐메드 2세에게 권좌를 내주고 은퇴생활을 했었.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무라트 2세 · 더보기 »

발칸 동맹

발칸 동맹은 1912년 발칸 반도에 위치한 그리스 왕국, 불가리아 왕국, 세르비아 왕국, 몬테네그로 왕국이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기 위해 결성한 방위 동맹이.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발칸 동맹 · 더보기 »

발칸 반도

발칸 반도(Balkan peninsula)는 유럽의 남동부에 있는 반도이.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발칸 반도 · 더보기 »

발칸 전쟁

발칸 전쟁은 1912년에서 1913년까지 발칸 반도에서 일어난 전쟁이.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발칸 전쟁 · 더보기 »

발칸 연방

코민테른의 발칸 연방 프로젝트 계획도. 발칸 연방 또는 발칸반도 연방()은 주로 좌익 세력에서 제기된 발칸반도의 연맹 또는 연방 생성 프로젝트였.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발칸 연방 · 더보기 »

바트이슐

바트이슐에 있는 황제 별장 바트이슐()은 오스트리아 오버외스터라이히 주에 위치한 도시로, 면적은 162.8km2, 높이는 468m, 인구는 13,910명(2012년 기준), 인구 밀도는 85명/km2이며 잘츠카머구트 지방의 중심 도시이.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바트이슐 · 더보기 »

바예지드 1세

바예지드 1세(1360년 ~ 1403년)는 오스만 제국의 제4대 술탄이다(재위: 1389년 ~ 1402년)이.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바예지드 1세 · 더보기 »

밀란 1세

밀란 1세(1854년 8월 22일 ~ 1901년 2월 11일) 또는 밀란 오브레노비치()는 세르비아 공국의 공작(크네즈(Knez), 재위: 1868년 6월 10일 ~ 1882년 3월 6일)이자 세르비아 왕국의 초대 국왕(재위: 1882년 3월 6일 ~ 1889년 3월 6일)이.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밀란 1세 · 더보기 »

밀룬카 사비치

밀룬카 사비치()는 제2차 발칸 전쟁과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세르비아의 여군으로, 1919년 전역 당시 계급은 중사였.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밀룬카 사비치 · 더보기 »

가브릴로 프린치프

브릴로 프린치프(1894년 7월 25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오블랴이(Obljaj) ~ 1918년 4월 28일 체코 테레진)는 남슬라브족의 통일을 목표로 삼은 보스니아의 세르비아계 민족주의자이.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가브릴로 프린치프 · 더보기 »

게오르기 토도로프

오르기 토도로프(1858년 8월 10일~1934년 11월 16일)는 불가리아의 군인으로 러시아-투르크 전쟁, 세르비아-불가리아 전쟁, 발칸 전쟁과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하였.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게오르기 토도로프 · 더보기 »

보스니아 전쟁

보스니아 전쟁 또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전쟁은 1992년 4월부터 1995년 12월까지 유고슬라비아 전쟁 중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일어난 국제적인 무력 충돌이다. 전쟁은 몇 가지 측면과 관련되었다. 주요 참전국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과 자칭 보스니안 세르비아와 보스니안 크로아티아가 있었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내의 스릅스카 공화국과 헤르체그보스니아가 있고, 외부에서는 유고슬라비아, 세르비아 공화국, 크로아티아가 있었다. 전쟁의 결과로 유고슬라비아의 해체가 되었다.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의 독립 이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은 1991년, 다민족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회주의 공화국에 거주하고 있던 민족은 주로 무슬림인 보스니아인 (44%), 세르비아 정교회 세르비아인 (31%), 천주교 크로아티아인 (17%)로 이루어진 독립을 위한 국민 투표가 1992년 2월 29일에 통과되었다. 이것은 국민 투표후 공화국 수립 후 자국 내 세르비아인들에게 반대를 얻었다. 크로아티아 독립 선언에 이어, 슬로보단 밀로셰비치의 세르비아 정부와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을 공격하고, 세르비아인은 보복을 피하기 위해 보스니아 지역을 탈출하며 특히 동부 보스니아인은 인종청소를 당했다. 이것은 주로 영토 분쟁으로, 초기에는 세르비아와 스릅스카 공화국군(VRS)가 한 편에, 그리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군(ARBiH)이 대부분이며 거의 영향을 주지 않은 크로아티아 국방 위원회(HVO)가 또 다른 편에 섰다. 크로아티아 또한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일부분의 영토를 원하며 크로아티아-보스니아 전쟁을 일으켰다. 전쟁은 보통 쓰라린 전투, 무차별적인 도시 폭격, 인종 청소, 집단 강간과 대학살 등으로 대표된다. 사라예보 포위와 스레브레니차 대학살 같은 사건들은 갈등의 대표적인 상징이 되고 있다. 세르비아는 초기 JNA의 무기와 광대한 자원으로 인해 우세였으나, 보스니아인들에 의해 추진력을 잃고 크로아티아인의 스프르스카 공화국과 동맹도 맺었으나, 결국 워싱턴 협정으로 인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이 형성된다. 스레브레니차 대학살과 마르칼레 대학살 이후, 북대서양 조약 기구는 1995년 동안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폭격으로 스릅스카 공화국군의 진격을 방해하며, 이는 종전의 주요한 원인이었다. 전쟁은 1995년 12월 14일 파리에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평화 협정의 최종 협상이 진행되었다. 평화 협상은 1995년 12월 21일 미국 오하이오 데이턴에서 체결되었다. 이 협정은 보통 데이턴 협정이라 부른다. 1995년 미국 중앙 정보국의 보고서에서, 세르비아군은 전쟁 중 90%가 전쟁 범죄를 저질렀다는 결과를 발표했다. by Roger Cohen, The New York Times, 9 March 1995 2008년 초 구유고슬라비아 국제형사재판소에서 45명의 세르비아인, 12명의 크로아티아인 및 4명의 보스니아인이 보스니아에서의 전범 재판으로 기소되었다.New York Times – Karadzic Sent to Hague for Trial Despite Violent Protest by Loyalists 가장 최근의 연구에서는 10만-11만명이 사망하고 220만명이 난민이 되어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에서 치명적인 전쟁으로 남았다.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보스니아 전쟁 · 더보기 »

보스니아 위기

르디난드 1세,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황제인 프란츠 요제프 1세, 오스만 제국의 술탄인 압뒬하미트 2세이다. 보스니아 위기(보스니아 危機)는 1908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합병하면서 촉발된 위기를 가리.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보스니아 위기 · 더보기 »

보실레그라드

보실레그라드 보실레그라드()는 세르비아 프치나 구에 위치한 도시로, 면적은 571km2, 도시 인구는 5,530명(2011년 기준), 지방 자치체 인구는 10,979명(2011년 기준)이.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보실레그라드 · 더보기 »

병합

병합(倂合, Annexation)은 외국 영토의 일부 또는 전체를 자국 영토에 편입하여 주권을 넘겨받는 것을 말. 주권을 완전히 이양하지 않는 점령이나 조차지, 보호국, 보호령과는 구별.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병합 · 더보기 »

불가리아

불가리아 공화국(불가리아共和國), 줄여서 불가리아()는 발칸 반도 남동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불가리아 · 더보기 »

불가리아 왕국

불가리아 왕국()은 1908년 9월 22일(1916년까지 구력 사용. 신력으로는 10월 5일)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완전 독립하여 1946년까지 존재한 불가리아의 옛 나라이.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불가리아 왕국 · 더보기 »

부쿠레슈티 조약 (1913년)

조약과 부쿠레슈티 조약 이후 발칸 지역의 국경선 부쿠레슈티 조약(Treaty of Bucharest)은 1913년 8월 10일에 루마니아의 수도 부쿠레슈티에서 루마니아 왕국, 세르비아 왕국, 그리스 왕국, 몬테네그로 왕국과 불가리아 왕국이 체결한 조약이.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부쿠레슈티 조약 (1913년) · 더보기 »

빌헬름 2세

빌헬름 2세(Wilhelm II, 1859년 1월 27일~1941년 6월 4일)는 독일 제국 황제 겸 프로이센의 왕이었다(통칭은 "카이저").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빌헬름 2세 · 더보기 »

대불가리아

1878년에 체결된 산스테파노 조약을 통해 확정된 불가리아의 국경선 대불가리아()는 불가리아의 역사적인 영토와 현대 불가리아의 극단적인 민족주의자들이 주장하는 민족통일주의 개념으로, 마케도니아와 트라키아, 모이시아의 대부분 지역을.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대불가리아 · 더보기 »

군사 동맹 목록

이 문서는 군사 동맹 목록이.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군사 동맹 목록 · 더보기 »

두카트

1665년 프레데리크 3세 시기의 두카트 금화 두카트(Ducat)는 베네치아 공화국에서 처음 만들어져 1284년부터 제1차 세계 대전 이전까지 유럽 각국에서 통용된 금화 또는 은화 단위를 말. 1554년부터 1559년까지 발행된 베네치아 두카트는 체키노(Zecchino)라고 불리.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두카트 · 더보기 »

나탈리야 오브레노비치

리야 오브레노비치(1859년 5월 15일 ~ 1941년 5월 8일)는 세르비아 왕국의 밀란 1세 국왕(세르비아 공국의 밀란 4세 공작)의 왕비이자 알렉산다르 1세 국왕의 어머니이.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나탈리야 오브레노비치 · 더보기 »

드라가 마신

"드라가" 오브레노비치(1864년 9월 23일(율리우스력 9월 11일) ~ 1903년 6월 11일(율리우스력 5월 30일)) 또는 드라가 마신(결혼 이전의 성(姓): 루녜비차(Луњевица, Lunjevica))은 세르비아 왕국의 알렉산다르 1세 국왕의 왕비이.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드라가 마신 · 더보기 »

노비파자르

비파자르 시가지 노비파자르의 위치 노비파자르()는 세르비아 남서부에 위치한 라슈카 구의 도시로 면적은 742km2, 도시 인구는 54,604명(2002년 기준), 지방 자치체 인구는 85,996명(2002년 기준)이.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노비파자르 · 더보기 »

스트루미차

섬네일 스트루미차()는 마케도니아 공화국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면적은 233.05km2, 인구는 54,676명(2002년 기준), 인구 밀도는 234.6명/km2이.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스트루미차 · 더보기 »

페타르 1세 (세르비아)

르 1세(1844년 7월 11일 ~ 1921년 8월 16일)는 세르비아 왕국의 국왕(재위: 1903년 6월 15일 ~ 1918년 12월 1일)이자 세르비아-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 왕국의 국왕(재위: 1918년 12월 1일 ~ 1921년 8월 16일)이.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페타르 1세 (세르비아) · 더보기 »

인종적 차별 철폐 제안

인종적 차별 철폐 제안(人種的差別撤廢提案)은 제1차 세계대전 후 파리 강화 회의에서 일본 제국이 제안한 의제의 하나이.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인종적 차별 철폐 제안 · 더보기 »

흑수단

"아피스" 디미트리예비치. 단결 혹은 죽음(), 보다 흔히 알려진 별명으로 흑수단(黑手團, 츠르나 루카)은 1911년 5월 9일 세르비아 왕국 육군 장교들이 결성한 비밀 결사 조직이.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흑수단 · 더보기 »

제1차 발칸 전쟁

제1차 발칸 전쟁(First Balkan War)은 1912년 10월 8일부터 1913년 5월 30일까지 불가리아 왕국, 그리스 왕국, 세르비아 왕국, 몬테네그로 왕국 등 발칸 동맹국과 오스만 제국 사이에서 벌어진 전쟁이.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제1차 발칸 전쟁 · 더보기 »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 (World War I, WWI 또는 WW1)은 1914년 7월 28일부터 1918년 11월 11일까지 일어난 유럽을 중심으로 한 세계 대전이.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제1차 세계 대전 · 더보기 »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의 역사

1914년 참전하러 나가는 독일군 병사 1차 세계 대전 동안 독일 제국은 동맹국 중 하나였.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의 역사 · 더보기 »

제1차 세계 대전과 태국

이 문서는 제1차 세계 대전과 시암(오늘날 태국)에 관한 것이.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제1차 세계 대전과 태국 · 더보기 »

제1차 세계 대전의 사상자

제1차 세계 대전 사상자 목록.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제1차 세계 대전의 사상자 · 더보기 »

제2차 발칸 전쟁

제2차 발칸 전쟁(Second Balkan Wars)은 1913년 6월 29일~7월 29일에 제1차 발칸 전쟁으로 획득한 마케도니아 지방에 대한 영토 배분을 두고 불가리아 왕국과 다른 발칸 동맹국 사이에 벌어진 발칸 반도에서의 두 번째 전쟁이.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제2차 발칸 전쟁 · 더보기 »

중세 후기

중세 후기(Late Middle Ages)는 유럽사의 시대 구분 중 하나로 14세기부터 15세기 중반까지를 의미.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중세 후기 · 더보기 »

카라조르제비치 왕조

조르제비치 왕조()는 세르비아의 왕조이며, 세르비아 왕국과 유고슬라비아 왕국을 통치하였던 왕조이.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카라조르제비치 왕조 · 더보기 »

콜루바라 전투

바라 전투()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세르비아와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전투 중에 가장 크고 중요한 전투 중. 이 전투는 200km에 이르는 전선에서 세르비아군과 세르비아군보다 좋은 장비에 2배의 병력을 가진 오스트리아군 사이에 30일 동안 벌어졌.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콜루바라 전투 · 더보기 »

코소보 전투

소보 전투 또는 1차 코소보 전투는 1389년 성 비투스의 날(6월 15일, 오늘날은 28일)에 중세 세르비아 왕국과 오스만 제국 사이에 벌어진 전투이.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코소보 전투 · 더보기 »

쿠마노보

마노보 인민 해방 전쟁 기념비 쿠마노보()는 마케도니아 공화국 북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면적은 509.48km2, 높이는 340m, 인구는 105,484명(2002년 기준), 인구 밀도는 207.04명/km2이며 스코페(마케도니아 공화국의 수도) 인근에 위. 마케도니아 공화국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지방 자치체인 쿠마노보 시의 행정 중심지이며 스코페와 비톨라에 이어 마케도니아 공화국에서 3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이.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쿠마노보 · 더보기 »

오르한 1세

오르한 가지 또는 오르한 1세(1284년 ~ 1359년?; 재위 기간: 1326년~ 1362년)는 오스만 왕조의 두 번째 지배자이.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오르한 1세 · 더보기 »

오스만 제국

오스만 제국()은 오스만 가문을 왕가로 하여, 현재 터키의 최대 도시인 이스탄불을 수도로 정하여 서쪽의 모로코부터 동쪽의 아제르바이잔에 이르러 북쪽의 우크라이나에서 남쪽의 예멘에 이르는 광대한 영역을 지배했던 제국이.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오스만 제국 · 더보기 »

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 공화국(), 줄여서 오스트리아()는 847만명의 인구가 살고 있는 중앙유럽 알프스 산맥에 있는 내륙국이.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오스트리아 · 더보기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1867년부터 1918년까지 존속했던 합스부르크 왕가의 국가이.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 더보기 »

오스트리아의 연표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오스트리아의 연표 · 더보기 »

옛 나라 목록

옛 나라 목록에서는 인류 역사상 과거에 존재했던 국가, 국제 기구 또는 영토를 점유한 게릴라, 정부, 정권, 테러 조직, 망명 정부, 부대 그리고 무장단체 등을 기술하였습.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옛 나라 목록 · 더보기 »

사라예보 사건

사라예보 사건을 묘사한 삽화 (1914년 7월 12일에 발행된 이탈리아의 신문 《라 도메니카 델 코리에레》(La Domenica del Corriere)) 사라예보 사건과 관련된 지도 사라예보 사건(사라예보 事件)은 1914년 6월 28일 현재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수도인 사라예보에서 일어난 사건으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황위 계승자인 프란츠 페르디난트 폰 외스터라이히에스테 대공과 조피 초테크 폰 호엔베르크 여공작 부부가 청년 보스니아라는 민족주의 조직에 속한 18세의 청년이자 대학생이었던 가브릴로 프린치프에게 암살된 사건이.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사라예보 사건 · 더보기 »

프로쿠플레

시가지 프로쿠플레의 위치 프로쿠플레()는 세르비아의 도시로, 토플리차 구의 행정 중심지이며 면적은 856km2, 도시 인구는 27,673명(2002년 기준), 지방 자치체 인구는 48,501명(2002년 기준)이.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프로쿠플레 · 더보기 »

프리슈티나

리슈티나의 위치 프리슈티나() 또는 프리슈티너()는 코소보의 수도이.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프리슈티나 · 더보기 »

터키의 역사

이 문서는 기원전 6,500년부터 현재까지 이어진 터키의 역사에 대해 서술.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터키의 역사 · 더보기 »

세르비아

세르비아 공화국(), 약칭 세르비아()는 유럽 중앙의 발칸 반도 중앙 판노니아 평원에 자리 잡고 있는 내륙국이.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세르비아 · 더보기 »

세르비아 (동음이의)

세르비아는 다음을 일컫.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세르비아 (동음이의) · 더보기 »

세르비아 공국

세르비아 공국()은 1817년부터 1882년까지 현재의 세르비아에 존재했던 공국이.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세르비아 공국 · 더보기 »

세르비아 공화국 (1992년 ~ 2006년)

right 세르비아 공화국의 국기 (2004~2006년) 세르비아 공화국의 국기 (1992~2004년) 세르비아 공화국은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의 일부를 이루고 있었던 자치 공화국이.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세르비아 공화국 (1992년 ~ 2006년) · 더보기 »

세르비아 전역 (제1차 세계 대전)

세르비아 왕국은 제1차 세계 대전 때 연합국으로 참전.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세르비아 전역 (제1차 세계 대전) · 더보기 »

세르비아-불가리아 전쟁

세르비아-불가리아 전쟁은 1885년 11월 세르비아 왕국과 불가리아 공국 사이에서 벌어진 전쟁이.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세르비아-불가리아 전쟁 · 더보기 »

세르비아인

세르비아인()는 주로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스르프스카 공화국에 거주하는 남슬라브족을 말하거나, 세르비아의 국민(시민권자)를 말. 보통은 남슬라브족의 세르비아 민족을 가리키는 표현으로 사용.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세르비아인 · 더보기 »

세르비아의 국기

23px 세르비아의 국기 비율 2:3 세르비아의 국기는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시절이었던 2004년 8월 17일에 제정되었으며 현재의 국기는 2010년 11월 11일에 제정되었.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세르비아의 국기 · 더보기 »

세르비아의 국장

세르비아의 국장 세르비아의 국장은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시절이었던 2004년 8월 17일에 제정되었.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세르비아의 국장 · 더보기 »

서부 전선 (제1차 세계 대전)

서부 전선(西部戦線)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프랑스와 벨기에의 전선이었.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서부 전선 (제1차 세계 대전) · 더보기 »

알렉산다르 1세 (유고슬라비아)

알렉산다르 1세(Aleksandar I Karađorđević, Cyrillic script: Александар I Карађорђевић, 1888년 12월 16일 ~ 1934년 10월 9일) 또는 통일왕 알렉산다르()는 세르비아 왕국의 섭정을 거쳐 1921년부터 1934년 사이에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국왕이었.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알렉산다르 1세 (유고슬라비아) · 더보기 »

알렉산다르 1세 (세르비아)

알렉산다르 1세(1876년 8월 14일 ~ 1903년 6월 11일) 또는 알렉산다르 오브레노비치()는 세르비아 왕국의 2대 국왕(재위: 1889년 3월 6일 ~ 1903년 6월 11일)이.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알렉산다르 1세 (세르비아) · 더보기 »

알바니아

알바니아 (알바니아어: Shqipëri/Shqipëria; 슈치퍼리/슈치퍼리아), 공식적으로는 알바니아 공화국(알바니아共和國, 알바니아어: Republika e Shqipërisë; 레푸블리카 에 슈치퍼리스)은 동남유럽 지역에 위치한 국가이.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알바니아 · 더보기 »

알바니아인

알바니아인()은 발칸 반도의 알바니아와 코소보를 근거지로 하며 알바니아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민족을 말하거나, 알바니아의 국민이나 시민권자를 뜻. 보통은 알바니아 민족을 가리키는 표현으로 사용.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알바니아인 · 더보기 »

안드로니코스 2세 팔레올로고스

안드로니코스 2세 팔레올로고스(1259년 3월 25일 – 1332년 2월 13일)는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로 1282년부터 1328년까지 재위.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안드로니코스 2세 팔레올로고스 · 더보기 »

아우구스트 폰 마켄젠

마켄젠 안톤 루트비히 아우구스트 폰 마켄젠(1849년 12월 6일 ~ 1945년 11월 8일)은 아우구스트 마켄젠(August Mackensen)으로 태어난 독일의 군인이자 원수(元帥, Generalfeldmarschall)이.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아우구스트 폰 마켄젠 · 더보기 »

테레사 수녀

사 수녀(1910년 8월 26일 ~ 1997년 9월 5일)는 인도의 로마 가톨릭교회 수녀로, 1950년에 인도의 콜카타에서 사랑의 선교회라는 기독교 계통 비정부기구를 설립하였.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테레사 수녀 · 더보기 »

왕실 국가 목록

왕실 국가로 쓰이는 국가들을 다음과 같이 기술.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왕실 국가 목록 · 더보기 »

7월 위기

삼국 협상 (영국, 프랑스, 러시아 제국) 7월 위기(七月 危機)란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이어진 1914년 여름 유럽의 강대국들 사이에 발생한 외교적 위기 사태이.

새로운!!: 세르비아 왕국와 7월 위기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세르비아왕국.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