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송병준

색인 송병준

송병준(宋秉畯,, 개명전, 1857년 10월 7일(음력 8월 20일) ~ 1925년 2월 1일)은 조선 말기에 활동한 무관 정치인으로, 정미칠적 중 한 사람이며 한일 합병 조약 체결 과정에서도 일진회를 통해 중요한 역할을.

104 처지: 동민회, 민병석,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매국,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중추원,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수작/습작, 민영찬, 민영환, 박문사, 박지양 (일진회), 박영효, 고종 양위 사건, 고영근, 보안회, 계춘할망, 김규창, 김은호, 김정국 (일진회), 김진국 (1879년), 김진태 (일진회), 김사영 (일진회), 김시현 (실업인), 대정실업친목회,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 정치, 대한제국 고종, 대원군 (드라마), 구용서, 구연수, 국민신보, 자제단, 흥친왕, 이건승, 이범철 (일진회), 이병무, 이규완, 이두황, 이달용, 이용구, 이용한 (1875년), 이재명 (1887년), 이희간, 이종춘 (관료), 이석규 (1910년), 이토 히로부미, 이학재 (실업인), 이시영 (1868년), 이완용, 일진회, 일한합방기념탑, 을미사변, ..., 은진 송씨, 정미칠적, 정광조 (1883년), 조인성 (일진회), 조중응, 조선공로자명감, 조선귀족, 조선일보, 조선일보에 대한 비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창씨개명, 창원 구씨, 천진교, 친일반민족행위 195인 명단, 친일파 708인 명단 - 일진회, 친일파 708인 명단 - 조선귀족, 친일파 708인 명단 - 중추원, 친일파 708인 명단 - 친일단체, 유학주, 윤갑병, 윤길병, 윤치호, 윤택영, 윤시병, 최영년, 최시형, 양재익, 염중모, 사랑과 결혼, 선우일, 선우순, 손병희, 송병선, 송종헌, 송시열, 통감부, 함태영, 한국, 한국의 역사에 대한 오해 목록, 한국정, 한자통일회이등박문추도회, 한일 병합 조약, 한성부민회, 안태준, 신광희, 신응희, 원종 (불교), 원세기, 1857년, 1904년, 1913년, 2007년 5월, 2월 1일, 8월 20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54 더) »

동민회

동민회(同民會)는 일제 강점기에 반일 운동에 대항하기 위해 조직되어 활동했던 단체이.

새로운!!: 송병준와 동민회 · 더보기 »

민병석

민병석(閔丙奭, 1858년 ~ 1940년)은 조선 말기의 정치인으로 일제 강점기에 일제 통치에 적극 협조.

새로운!!: 송병준와 민병석 · 더보기 »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매국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매국은 2009년 11월 8일에 민족문제연구소가 발간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중 을사조약과 한일신협약, 한일 병합 조약이 체결되는 과정에 가담한 이들의 명단이.

새로운!!: 송병준와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매국 · 더보기 »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중추원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중추원은 2009년 11월 8일에 민족문제연구소가 발간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중 조선총독부 중추원 분야에 분류된 이들의 명단이.

새로운!!: 송병준와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중추원 · 더보기 »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수작/습작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수작/습작은 2009년 11월 8일에 민족문제연구소가 발간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중 조선귀족 작위를 수작했거나 습작한 이들의 명단이.

새로운!!: 송병준와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수작/습작 · 더보기 »

민영찬

민영찬(閔泳瓚, 1874년 12월 3일 ~ 1948년 11월 16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새로운!!: 송병준와 민영찬 · 더보기 »

민영환

민영환(閔泳煥, 1861년 8월 7일(음력 7월 2일) ~ 1905년 11월 30일)은 조선과 대한제국의 대신(大臣)이자 척신이.

새로운!!: 송병준와 민영환 · 더보기 »

박문사

박문사 (博文寺) 박문사(博文寺)는 일제 강점기에 서울 중구 장충단공원 동쪽 신라호텔 자리에 있던 사찰이.

새로운!!: 송병준와 박문사 · 더보기 »

박지양 (일진회)

박지양(朴之陽, ? ~ ?)은 대한제국 말기에 일진회와 자위단원호회 회원으로 활동했던 인물이.

새로운!!: 송병준와 박지양 (일진회) · 더보기 »

박영효

박영효(朴泳孝, 1861년 ~ 1939년 양력 9월 21일)는 조선 말기의 문신, 정치인, 사상가로 급진개화파이.

새로운!!: 송병준와 박영효 · 더보기 »

고종 양위 사건

종 양위 사건(高宗讓位事件)은 1907년 7월 20일 고종이 헤이그 밀사 사건의 책임을 추궁하는 일본의 강압에 못이겨 제위를 순종에게 위임했다가 바로 양위한 사건이.

새로운!!: 송병준와 고종 양위 사건 · 더보기 »

고영근

영근(高永根, 1853년 ~ 1923년)은 대한제국의 군인이자, 개화파 정치인이며 종2품 경상좌도병마절도사를 역임한 관료였.

새로운!!: 송병준와 고영근 · 더보기 »

보안회

보안회(保安會)는 구한국 말기의 항일 단체이.

새로운!!: 송병준와 보안회 · 더보기 »

계춘할망

《계춘할망》은 2016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

새로운!!: 송병준와 계춘할망 · 더보기 »

김규창

창(金奎昌, ? ~ ?)은 대한제국 말기에 일진회 회원으로 활동했던 인물이.

새로운!!: 송병준와 김규창 · 더보기 »

김은호

은호(金殷鎬, 일본식 이름: 鶴山殷鎬 쓰루야마 마사시노기, 1892년 6월 24일 ~ 1979년 2월 7일)는 대한민국의 동양화가, 한국화가이.

새로운!!: 송병준와 김은호 · 더보기 »

김정국 (일진회)

정국(金鼎國, ? ~ ?)은 대한제국 말기에 일진회 회원으로 활동했던 인물이.

새로운!!: 송병준와 김정국 (일진회) · 더보기 »

김진국 (1879년)

국(金鎭國, 1879년 1월 1일 ~ ?)은 대한제국 시대에 일진회 회원으로 활동했던 인물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로, 함경남도 원산부 출신이.

새로운!!: 송병준와 김진국 (1879년) · 더보기 »

김진태 (일진회)

(金振泰, ? ~ ?)는 대한제국 말기에 일진회 회원이었.

새로운!!: 송병준와 김진태 (일진회) · 더보기 »

김사영 (일진회)

사영(金士永, ? ~ ?)은 대한제국 말기에 일진회 회원으로 활동했던 인물로, 호는 겸암(謙庵)이.

새로운!!: 송병준와 김사영 (일진회) · 더보기 »

김시현 (실업인)

시현(金時鉉, ? ~ 1911년 7월 27일 / 7월 29일)은 구한말, 일제 강점기 초기의 실업인이.

새로운!!: 송병준와 김시현 (실업인) · 더보기 »

대정실업친목회

정실업친목회(大正實業親睦會)는 일제 강점기 초기에 결성된 경제인 단체이.

새로운!!: 송병준와 대정실업친목회 · 더보기 »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민국 대중문화예술상은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주관하는 문화·연예·예술인을 대상으로 하는 상이.

새로운!!: 송병준와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 더보기 »

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 정치

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 정치는 대한민국의 대통령 소속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을 적용, 조사하여 공식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중 정치 부문에 분류된 이들의 명단이.

새로운!!: 송병준와 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 정치 · 더보기 »

대한제국 고종

종(高宗, 1852년 9월 8일 ~ 1919년 1월 21일)은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재위: 1897년 ~ 1907년)이자, 조선의 제26대 마지막 왕(재위: 1863년 ~ 1897년)이.

새로운!!: 송병준와 대한제국 고종 · 더보기 »

대원군 (드라마)

《대원군(大院君)》은 MBC 정통 사극 조선왕조 오백년 시리즈의 열한 번째이자 마지막 작품으로, 1990년 5월 6일부터 1990년 12월 23일까지 방영되었.

새로운!!: 송병준와 대원군 (드라마) · 더보기 »

구용서

용서(具鎔書, 1899년 10월 21일 ~ 1986년 4월 24일)는 대한민국의 초대 한국은행 총재이며, 제10대 상공부 장관이.

새로운!!: 송병준와 구용서 · 더보기 »

구연수

연수(具然壽, 1866년 10월 8일 ~ 1925년 5월 6일)는 조선과 대한제국의 군인, 관료, 정치인으로 을미사변 관련자이자 을미사변 당시 조선인 출신 고위 협조자의 한사람이며 일제 강점기에 경찰 간부를.

새로운!!: 송병준와 구연수 · 더보기 »

국민신보

《국민신보》(國民新報)는 대한제국 말기에 발행된 신문이.

새로운!!: 송병준와 국민신보 · 더보기 »

자제단

3.1 운동 진압 자제단 발족 신문 기사 자제단을 조직한 박중양 자제단(自制團) 또는 자제회(自制會)는 1919년 4월 6일부터 12월까지 활동한 일제 강점기 조선인 시민단체 또는 자치적 단체로 3·1 만세 운동을 자제 내지는 진압, 시위 참여자를 설득, 귀가시키기 위해 만든 조직이.

새로운!!: 송병준와 자제단 · 더보기 »

흥친왕

흥친왕 이재면(興親王 李載冕, 완흥군(完興君), 1845년 8월 22일(음력 7월 20일) ~ 1912년 9월 9일)은 조선 말기의 왕족·군인·정치인이자 대한제국의 황족·군인으로, 흥선대원군의 적장자(嫡長子)이자 고종의 친형이며 영선군 이준의 아버지이.

새로운!!: 송병준와 흥친왕 · 더보기 »

이건승

경재(耕齋) 이건승(李建昇, 1858∼1924).

새로운!!: 송병준와 이건승 · 더보기 »

이범철 (일진회)

이범철(李範喆, ? ~ ?)은 대한제국 말기에 일진회와 자위단원호회 회원으로 활동했던 인물이.

새로운!!: 송병준와 이범철 (일진회) · 더보기 »

이병무

이병무(李秉武, 1864년 2월 8일(음력 1월 1일)~1926년 양력 12월 6일)는 정미칠적과 경술국적에 모두 포함된 대한제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송병준와 이병무 · 더보기 »

이규완

이규완(李圭完, 1862년 11월 15일 ~ 1946년 12월 15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출신 무신, 군인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 사상가였.

새로운!!: 송병준와 이규완 · 더보기 »

이두황

이두황(李斗璜, 1858년 1월 11일 ~ 1916년 3월 9일)은 조선과 대한제국의 무신, 군인이자 화가, 서예가이고, 을미사변 관련자이며 일제 강점기의 관료, 화가, 작가이.

새로운!!: 송병준와 이두황 · 더보기 »

이달용

이달용(李達鎔, 1883년 음력 9월 11일 ~ 1948년 1월 27일)은 조선의 왕족이자 대한제국의 황족, 관료, 교육인으로 흥선대원군의 종손(從孫)이며 남연군의 증손이.

새로운!!: 송병준와 이달용 · 더보기 »

이용구

이용구(李容九, 1868년 양력 2월 14일(음력 1월 21일) 경상북도 상주 ~ 1912년 양력 5월 22일)는 대한제국 말기에 일진회 회장을 지내며 한일 병합 조약 체결 찬성 여론을 이끌었.

새로운!!: 송병준와 이용구 · 더보기 »

이용한 (1875년)

이용한(李容漢, 1875년 음력 11월 19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송병준와 이용한 (1875년) · 더보기 »

이재명 (1887년)

이재명(李在明, 1887년 ~ 1910년 9월 13일)은 대한제국 시기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송병준와 이재명 (1887년) · 더보기 »

이희간

이희간(李喜侃, 일본식 이름: 梅田二郞(우메다 지로), 1875년 1월 9일 ~ ?)은 일제 강점기의 기업인 겸 공작원으로 본적은 평안남도 순천군 순천면이.

새로운!!: 송병준와 이희간 · 더보기 »

이종춘 (관료)

이종춘(李鐘春, ? ~ ?)은 대한제국 말기에 국민동지찬성회 간사를 지낸 인물로, 본관은 덕수이.

새로운!!: 송병준와 이종춘 (관료) · 더보기 »

이석규 (1910년)

이석규(李碩奎, 일본식 이름:大東國男 또는 大東碩奎, 1910년 ~ 1986년)는 친일파 인사로 일진회 회장을 지낸 이용구의 아들이.

새로운!!: 송병준와 이석규 (1910년) · 더보기 »

이토 히로부미

이토 히로부미(1841년 10월 16일 ~ 1909년 10월 26일)는 에도 시대 후기의 무사(조슈 번사)이자 일본 제국의 헌법학자, 정치가이.

새로운!!: 송병준와 이토 히로부미 · 더보기 »

이학재 (실업인)

이학재(李學宰, ? ~ ?)는 대한제국 말기의 보부상 지도자로, 한일 병합 조약 체결을 촉구하며 여러 단체에서 활동.

새로운!!: 송병준와 이학재 (실업인) · 더보기 »

이시영 (1868년)

이시영(李始榮, 문화어: 리시영, 1868년 12월 3일 한성부 ~ 1953년 4월 17일)은 조선, 대한제국의 관료이자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며 교육자, 정치인이.

새로운!!: 송병준와 이시영 (1868년) · 더보기 »

이완용

이완용(李完用, 1858년 7월 17일(음력 6월 7일) ~ 1926년 양력 2월 12일)은 대한제국의 외교관, 정치가이.

새로운!!: 송병준와 이완용 · 더보기 »

일진회

일진회(一進會)는 1904년 8월 송병준과 독립협회 출신 윤시병, 유학주, 동학교 이용구 등이 조직한 대한제국 시기의 대표적인 친일적인 성격을 띄고 있는 단체이.

새로운!!: 송병준와 일진회 · 더보기 »

일한합방기념탑

일한합방기념탑(日韓合邦記念塔)은 1934년에 일본의 도쿄에 세워진 탑이.

새로운!!: 송병준와 일한합방기념탑 · 더보기 »

을미사변

명성황후 추정 사진 을미사변(乙未事變)은 1895년 10월 8일 경복궁(景福宮)에서 명성황후 민씨가 조선 주재 일본 공사 미우라 고로(三浦梧樓)의 지휘 아래 일본군 한성 수비대 미야모토 다케타로(宮本竹太郞) 등에게 암살된 사건이.

새로운!!: 송병준와 을미사변 · 더보기 »

은진 송씨

은진 송씨(恩津 宋氏)는 충청남도 논산시 은진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송병준와 은진 송씨 · 더보기 »

정미칠적

정미칠적(丁未七賊)은 대한제국에서 을사늑약 체결 2년 후인 1907년 7월에 체결된 한일신협약(제3차 한일협약 또는 정미7조약) 조인에 찬성한 내각 대신 일곱 친일파를 가리.

새로운!!: 송병준와 정미칠적 · 더보기 »

정광조 (1883년)

정광조(鄭廣朝, 일본식 이름: 川上廣朝, 1883년 ~ 1953년)는 일제 강점기에 주로 활동한 천도교 지도자이.

새로운!!: 송병준와 정광조 (1883년) · 더보기 »

조인성 (일진회)

조인성(? ~ ?)은 대한제국 말기에 일진회 조사국위원장으로 활동했던 인물이.

새로운!!: 송병준와 조인성 (일진회) · 더보기 »

조중응

조중응(趙重應, 1860년 11월 4일(음력 9월 22일) ~ 1919년 양력 8월 25일)은 조선 말기의 관료이며, 정미칠적과 경술국적에 포함된 인물이.

새로운!!: 송병준와 조중응 · 더보기 »

조선공로자명감

조선공로자명감(朝鮮功勞者銘鑑)은 조선총독부가 1935년에 출간한 1910년부터 1935년까지 25년 간 일제통치에 협력한 민관 공로자를 직접 선정한 명단이.

새로운!!: 송병준와 조선공로자명감 · 더보기 »

조선귀족

조선귀족(朝鮮貴族)은 1910년에 대한제국과 일본 제국 사이에 〈한일 병합 조약〉이 체결됨에 따라 일본 제국 정부가 일본의 화족 제도를 준용하여 대한제국의 고위급 인사들에게 봉작하고자 창출한 특수 계급이.

새로운!!: 송병준와 조선귀족 · 더보기 »

조선일보

2000년 이후의 조선일보 메인타이틀 《조선일보》(朝鮮日報,)는 대한민국의 신문 출판 기업인 조선일보사(朝鮮日報社,)가 대한민국 서울에서 발행하는 조간 일간지이.

새로운!!: 송병준와 조선일보 · 더보기 »

조선일보에 대한 비판

조선일보는 1920년에 창간된 대한민국의 주요 일간지이.

새로운!!: 송병준와 조선일보에 대한 비판 · 더보기 »

조선총독부 중추원

조선총독부 중추원(中樞院)은 일제 강점기 당시 조선총독부의 자문기관으로 존재한 기관이.

새로운!!: 송병준와 조선총독부 중추원 · 더보기 »

창씨개명

와 한글이 혼용되어 있다. 일본식 성명 강요() 또는 창씨개명()은 1940년 2월부터 1945년 8월 광복 직전까지 일본 제국이 조선인에게 일본식 성씨를 정하여 쓰도록 강요한 것을 말. 1939년 11월 10일, 조선총독부는 '조선민사령(朝鮮民事令)'을 개정(제령 제19호)하여 조선에서도 일본식 씨명제(氏名制)를 따르도록 규정하고, 1940년 2월 11일부터 8월 10일까지 '씨(氏)'를 정해서 제출할 것을 명령하였.

새로운!!: 송병준와 창씨개명 · 더보기 »

창원 구씨

창원 구씨(昌原 仇氏)는 경상남도 창원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송병준와 창원 구씨 · 더보기 »

천진교

(天眞敎)는 김연국(金演局, ? ∼1944년)이 세운 동학의 일파이.

새로운!!: 송병준와 천진교 · 더보기 »

친일반민족행위 195인 명단

일반민족행위 195인 명단(親日反民族行爲195人名單)은 2007년 12월 6일 대한민국의 대통령 소속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반민규명위, 위원장 성대경)가 노무현 대통령과 국회에 보고한 일제 강점기 중기 친일반민족행위 관련자 195명에 관한 명단이.

새로운!!: 송병준와 친일반민족행위 195인 명단 · 더보기 »

친일파 708인 명단 - 일진회

일파 708인 명단 - 일진회는 2002년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모임에서 발표한 친일파 708인 명단 가운데 일진회 관련자 9명의 명단이.

새로운!!: 송병준와 친일파 708인 명단 - 일진회 · 더보기 »

친일파 708인 명단 - 조선귀족

일파 708인 명단 - 조선귀족은 2002년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모임에서 발표한 친일파 708인 명단 가운데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거나 물려받은 115명의 명단이.

새로운!!: 송병준와 친일파 708인 명단 - 조선귀족 · 더보기 »

친일파 708인 명단 - 중추원

일파 708인 명단 - 중추원은 2002년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모임에서 발표한 친일파 708인 명단 가운데 조선총독부 중추원 관련자들의 명단이.

새로운!!: 송병준와 친일파 708인 명단 - 중추원 · 더보기 »

친일파 708인 명단 - 친일단체

일파 708인 명단 - 친일단체는 2002년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모임에서 발표한 친일파 708인 명단 가운데 친일단체 관련자 21명의 명단이.

새로운!!: 송병준와 친일파 708인 명단 - 친일단체 · 더보기 »

유학주

유학주(兪鶴柱, ? ~ ?)는 대한제국 말기에 일진회 부회장과 평의장을.

새로운!!: 송병준와 유학주 · 더보기 »

윤갑병

윤갑병(尹甲炳, 일본식 이름: 平沼秀雄, 1863년 8월 28일 ~ 1943년 1월 5일)은 일제 강점기에 여러 친일단체에서 활동했던 인물로, 본적은 경성부 명륜정이.

새로운!!: 송병준와 윤갑병 · 더보기 »

윤길병

윤길병(尹吉炳, ? ~ ?)은 조선 말기의 개화파 인물로 일진회 부회장을.

새로운!!: 송병준와 윤길병 · 더보기 »

윤치호

윤치호(尹致昊, 일본식 이름:, 1865년 1월 23일 ~ 1945년 12월 9일)는 조선, 대한제국의 개혁, 민권운동가·문신이자 외교관·언론인·교육자, 한국의 정치가·교육자·사상가·언론인·종교가이며 기독교운동가였.

새로운!!: 송병준와 윤치호 · 더보기 »

윤택영

윤택영(尹澤榮, 1876년 ~ 1935년 10월 24일)은 조선의 문신이자 정치인이며 대한제국의 관료, 일제 강점기의 조선 귀족이었.

새로운!!: 송병준와 윤택영 · 더보기 »

윤시병

윤시병(尹始炳, 1851년 2월 1일(음력 1월 1일) ~ 1932년 2월 5일)은 조선 말기의 무신이자 개화파 인물로, 초기 일진회 조직을 주.

새로운!!: 송병준와 윤시병 · 더보기 »

최영년

영년(崔永年, 1859년 음력 2월 6일 ~ 1935년 양력 8월 29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언론인이.

새로운!!: 송병준와 최영년 · 더보기 »

최시형

시형(崔時亨, 1827년 ~ 1898년)은 조선의 종교인, 교육자, 사상가이자 동학의 제2대 교주이.

새로운!!: 송병준와 최시형 · 더보기 »

양재익

양재익(梁在翼, ? ~ ?)은 대한제국 말기에 일진회 회원으로 활동했던 인물이.

새로운!!: 송병준와 양재익 · 더보기 »

염중모

염중모(廉仲模, 1862년 10월 6일 ~ 1935년 1월 11일)는 대한제국 시기에는 일진회 회원을, 일제 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새로운!!: 송병준와 염중모 · 더보기 »

사랑과 결혼

《사랑과 결혼》은 1995년 4월 22일부터 1995년 10월 15일까지 방영된 MBC 주말연속극이.

새로운!!: 송병준와 사랑과 결혼 · 더보기 »

선우일

선우 일(鮮于 日, 1881년 1월 6일 ~ 1936년 8월 14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언론인이.

새로운!!: 송병준와 선우일 · 더보기 »

선우순

선우 순(鮮于(金+筍), 1891년 3월 ~ 1933년 8월 8일)은 일제 강점기의 언론인으로 친일 단체에서 활동.

새로운!!: 송병준와 선우순 · 더보기 »

손병희

손병희(孫秉熙, 1861년 4월 8일 ~ 1922년 5월 19일)는 천도교(동학) 지도자이자 한국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송병준와 손병희 · 더보기 »

송병선

송병선(宋秉璿 1836년 ∼ 1905년)은 조선 말기의 유학자이.

새로운!!: 송병준와 송병선 · 더보기 »

송종헌

송종헌(宋鍾憲, 일본식 이름: 野田鍾憲, 1876년 10월 19일 ~ 1949년 5월 21일)은 송병준의 아들이며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새로운!!: 송병준와 송종헌 · 더보기 »

송시열

송시열(宋時烈, 1607년 12월 30일(음력 11월 12일) ~ 1689년 7월 19일(음력 6월 3일))은 조선의 문신·성리학자이.

새로운!!: 송병준와 송시열 · 더보기 »

통감부

통감기(統監旗) 한국통감부 청사 통감부(統監府)는 일본 제국이 을사늑약을 체결한 뒤 대한제국 한성부에 설치했던 정치와 군사 관련 업무를 보는 관청이.

새로운!!: 송병준와 통감부 · 더보기 »

함태영

영(咸台永, 1873년 10월 22일 ~ 1964년 10월 24일)은 대한제국의 법관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종교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송병준와 함태영 · 더보기 »

한국

국(韓國) 또는 조선(朝鮮)은 한민족의 나라를 말. 현대사에서 한국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

새로운!!: 송병준와 한국 · 더보기 »

한국의 역사에 대한 오해 목록

국사 상식의 오류와 진실은 한국사에서 그동안 잘못 알려진 상식을 모아놓은 문서이.

새로운!!: 송병준와 한국의 역사에 대한 오해 목록 · 더보기 »

한국정

국정(韓國正, ? ~ ?)은 대한제국 말기에 일진회와 자위단원호회 회원으로 활동했던 인물이.

새로운!!: 송병준와 한국정 · 더보기 »

한자통일회이등박문추도회

자통일회이등박문추도회(漢字統一會伊藤博文追悼會)는 1909년 12월에 대한제국에서 조직된 단체이.

새로운!!: 송병준와 한자통일회이등박문추도회 · 더보기 »

한일 병합 조약

일 병합 조약() 또는 한국 병합에 관한 조약()은 1910년 8월 22일에 조인되어 8월 29일 발효된 대한제국과 일본 제국 사이에 일방적인 위력에 의해 이루어진 합병조약(合倂條約)이.

새로운!!: 송병준와 한일 병합 조약 · 더보기 »

한성부민회

성부민회(漢城府民會)는 1907년(융희 2년) 9월 유길준 등에 의해 자치단체를 지향하면서 한성부에서 결성된 대한제국의 정치 단체이.

새로운!!: 송병준와 한성부민회 · 더보기 »

안태준

안태준(安泰俊, ? ~ ?)은 대한제국 말기에 일진회 회원으로 활동했던 인물이.

새로운!!: 송병준와 안태준 · 더보기 »

신광희

신광희(申光熙, 1877년 음력 11월 12일 ~ ?)는 대한제국의 군인 출신 언론인이.

새로운!!: 송병준와 신광희 · 더보기 »

신응희

신응희(申應熙, 1858년/1859년 11월 2일 ~ 1928년 2월 12일)는 조선 후기·대한제국의 무신,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새로운!!: 송병준와 신응희 · 더보기 »

원종 (불교)

원종(圓宗)은 대한제국 말기에 창립된 불교 종단이.

새로운!!: 송병준와 원종 (불교) · 더보기 »

원세기

원세기(元世基, ? ~ ?)는 대한제국 말기에 일진회와 자위단원호회 회원으로 활동했던 인물이.

새로운!!: 송병준와 원세기 · 더보기 »

1857년

1857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송병준와 1857년 · 더보기 »

1904년

1904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송병준와 1904년 · 더보기 »

1913년

1913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송병준와 1913년 · 더보기 »

2007년 5월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송병준와 2007년 5월 · 더보기 »

2월 1일

2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2번째(윤년일 경우도 3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송병준와 2월 1일 · 더보기 »

8월 20일

8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2번째(윤년일 경우 23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송병준와 8월 20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노다 헤이지로, 제암 송병준.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