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순정효황후

색인 순정효황후

순정효황후 윤씨(純貞孝皇后 尹氏, 1894년 양력 9월 19일(음력 8월 20일) ~ 1966년 양력 2월 3일)는 대한제국의 황후이자 일제 강점기의 이왕비, 이왕대비였.

71 처지: 덕인당 김씨, 덕혜옹주, 덕혜옹주 (영화), 덕안군, 마지막 황후 윤비, 명성황후, 민규호, 박인덕, 강인희, 박정희, 박창복, 김명길 (1894년), 김복수, 김용진 (1878년), 대한제국 순종, 대한제국의 기념장, 대한제국의 역대 황제, 대한제국의 황실, 대원군 (드라마), 남경민 (배우), 남양주시, 남산골 한옥마을, 낙선재, 효정왕후, 장서희, 이방자, 이건 (대한제국 황족), 이진 (황족), 이왕, 이왕가, 의친왕, 제기동 해풍부원군 윤택영 재실, 조선의 역대 왕비, 조선의 역대 왕대비, 조선의 역대 왕세자빈, 조선왕릉, 종묘, 창덕궁, 첩지머리, 유릉, 유경운, 유병덕 (공무원), 윤덕영, 윤무구, 윤두수, 윤일선, 윤의섭 (조선귀족), 윤철구, 윤택영, 윤영구 (1868년), ..., 윤신지, 윤홍섭, 순명효황후, 순종황후어차, 옥인동 서용택 가옥, 어여머리, 사시 (시호), 성옥염, 서봉장, 송석원, 해평 윤씨, 한희순, 한일도서협정으로 반환된 도서 목록, 신정왕후 (조선), 홍유릉, 황후, 왕공족, 1894년, 1966년, 2월 3일, 8월 20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21 더) »

덕인당 김씨

덕인당 김씨(德仁堂 金氏, 이름은 김숙(金淑) 또는 김수덕(金修德), 1880년 12월 22일 ~ 1964년 1월 14일)는 고종의 서자(庶子)이고 순종의 이복 서제(異服 庶弟)인 의친왕 이강(義親王 李堈) 前 대한제국 대리청정공 겸 대한적십자사 총재의 아내이.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덕인당 김씨 · 더보기 »

덕혜옹주

덕혜옹주(德惠翁主, 1912년 5월 25일 ~ 1989년 4월 21일)는 조선의 제26대 왕이자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였던 고종과 귀인 양씨 사이에서 태어난 고명딸이.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덕혜옹주 · 더보기 »

덕혜옹주 (영화)

《덕혜옹주》는 권비영의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2016년 하반기에 개봉한 박해일, 손예진 주연 대한민국의 픽션영화이.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덕혜옹주 (영화) · 더보기 »

덕안군

덕안군 이재덕(德安君 李載悳, 1852년 3월 18일 ~ 1877년 6월 5일)은 조선후기의 문신이자 왕족이며 대한제국의 황족으로 덕흥대원군 12대손이며, 장조의 서장남 은언군(恩彦君)의 양 증손이.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덕안군 · 더보기 »

마지막 황후 윤비

《마지막 황후 윤비》는 1966년 공개된 대한민국의 영화이.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마지막 황후 윤비 · 더보기 »

명성황후

쪽.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명성황후 · 더보기 »

민규호

민규호(閔奎鎬, 1836년 8월 20일 ~ 1878년 10월 15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이자 척신으로, 민유중의 아들 민진원의 5대손이.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민규호 · 더보기 »

박인덕

박인덕(朴仁德, 일본식 이름: 永河仁德, 1896년 9월 24일 ~ 1980년 4월 3일)은 한국의 여성주의 운동가, 초등, 중학교 교사이자 대학 교수이고, 사상가, 언론인, 작가이며 사회사업가이.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박인덕 · 더보기 »

강인희

강인희(1919년 3월 1일 ~ 2001년 1월 20일)는 한국의 요리 연구가이며 교육자이.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강인희 · 더보기 »

박정희

박정희(朴正熙, 1917년 11월 14일 ~ 1979년 10월 26일)는 대한민국의 제5·6·7·8·9대 대통령이.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박정희 · 더보기 »

박창복

박창복 상궁(朴昌福 尙宮, 1906년 ~ 1981년) 은 김명길 상궁과 함께 순정효황후 윤씨를 모셨던 창덕궁 낙선재 시절의 상궁이.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박창복 · 더보기 »

김명길 (1894년)

명길 상궁(金命吉 尙宮, 1894년 ~ 1983년)은 대한제국의 마지막 상궁 나인 가운데 한 사람이.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김명길 (1894년) · 더보기 »

김복수

복수(金福綏, 1872년 12월 2일 ~ 1950년 6월 10일)는 일제 강점기의 여성으로 윤덕영의 부인이.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김복수 · 더보기 »

김용진 (1878년)

용진(金容鎭, 1878년 ~ 1968년 2월 14일)은 한국의 서화가이.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김용진 (1878년) · 더보기 »

대한제국 순종

순종(純宗, 1874년 3월 25일(음력 2월 8일) ~ 1926년 4월 25일)은 대한제국 제2대 황제이자, 한반도 역사상 마지막 군주이.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대한제국 순종 · 더보기 »

대한제국의 기념장

종 성수 50주년 기념장(上)고종 망육순·등극 40주년 기념장(中)황태자 가례 기념장(下) 순종 즉위 기념장(上)순종 남서순행 기념장(中)상패(下) 대한제국의 기념장(大韓帝國의 記念章)은 국가적 행사, 업적, 날 등을 기념하기 위하여 대한제국 표훈원이 제작하여 참가자나 관계자를 대상으로 수여한 휘장을 말.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대한제국의 기념장 · 더보기 »

대한제국의 역대 황제

음은 대한제국의 역대 황제 목록이.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대한제국의 역대 황제 · 더보기 »

대한제국의 황실

덕수궁 석조전에서 황실 가족 (1918년) 대한제국의 황실(大韓帝國皇室)은 조선 왕실의 후계로 대한제국의 성립 때부터 한일 병합 조약으로 멸망할 때까지 실질적인 황실의 주인이었.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대한제국의 황실 · 더보기 »

대원군 (드라마)

《대원군(大院君)》은 MBC 정통 사극 조선왕조 오백년 시리즈의 열한 번째이자 마지막 작품으로, 1990년 5월 6일부터 1990년 12월 23일까지 방영되었.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대원군 (드라마) · 더보기 »

남경민 (배우)

경민(南慶敏,, 1987년 10월 27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남경민 (배우) · 더보기 »

남양주시

양주시청 1청사(구 미금시청) 남양주시(南楊州市)는 대한민국 경기도의 중동부에 위치하고 있는 시이.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남양주시 · 더보기 »

남산골 한옥마을

산골 한옥마을(南山골 韓屋마을)은 서울특별시 중구 필동의 남산골공원에 있는 한옥 마을이.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남산골 한옥마을 · 더보기 »

낙선재

낙선재(樂善齋)는 1847년에 지어진 창덕궁의 건물이.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낙선재 · 더보기 »

효정왕후

효정왕후(孝定王后, 1831년 3월 6일(음력 1월 22일) ~ 1904년 1월 2일(1903년 음력 11월 15일))는 조선의 제24대 왕 헌종(憲宗)의 계비(繼妃)이.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효정왕후 · 더보기 »

장서희

장서희(張瑞希, 1972년 1월 5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장서희 · 더보기 »

이방자

이방자(李方子, 1901년 11월 4일 ~ 1989년 4월 30일)는 일본 제국의 황족이자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태자 의민태자 은(懿愍太子 垠)의 비이.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이방자 · 더보기 »

이건 (대한제국 황족)

이건(李鍵, 1909년 10월 28일 ~ 1990년 12월 21일) 는 일본의 육군 군인이.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이건 (대한제국 황족) · 더보기 »

이진 (황족)

원손 이진(元孫 李晉, 1921년 8월 18일 ~ 1922년 5월 11일)은 대한제국의 황족으로, 일제 강점기 이왕가의 원손이자 영친왕의 장남이며, 이구의 형이.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이진 (황족) · 더보기 »

이왕

이왕(李王)은 일제 강점기 한국에서 사용되던 직위로 1910년 한일 병합 조약 체결 이후 대한제국의 황족을 일본의 왕공족으로 대우하면서 대한제국 황제에게 붙인 칭호이.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이왕 · 더보기 »

이왕가

이왕가(李王家)는 1910년 한일 병합 조약 이후 대한제국 황실을 왕공족의 일개 가문으로 격하하여 부르는 명칭이.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이왕가 · 더보기 »

의친왕

의친왕 이강(義親王 李堈, 1877년 3월 30일 ~ 1955년 8월 16일)은 조선의 왕족이고 대한제국 황족 종실이며 고종의 다섯째 아들(서자)이자 대한민국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의친왕 · 더보기 »

제기동 해풍부원군 윤택영 재실

풍부원군 윤택영 재실(海豊府院君尹澤榮齋室)은 일반 살림집이 아니고, 윤씨 일가의 재실이었.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제기동 해풍부원군 윤택영 재실 · 더보기 »

조선의 역대 왕비

조선의 왕비와 대한제국의 황후(朝鮮의 王妃와 大韓帝國의 皇后)는 조선 시대 국왕이나 대한제국 황제의 정실 부인(正宮)으로서 중궁(中宮)의 자리에 있던 사람을 말. 흔히 중전(中殿, 중궁전의 준말)이라고 하며 이외에도 국모(國母), 내전(內殿), 곤전(坤殿), 곤위(壼位), 곤극(壼極), 성녀(聖女) 등의 여러 이칭이 있. 왕비의 자리에 오르는 것에는 여러가지 경우가 있었는데, 일반적으로는 국가에서 금혼령(禁婚令)을 내리고 간택 절차를 거쳐 세자빈에 책봉되면 훗날 세자인 남편이 왕위에 올라 자신도 왕비가 되는 것이었.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조선의 역대 왕비 · 더보기 »

조선의 역대 왕대비

조선의 왕대비(朝鮮의 王大妃)는 조선 시대 왕비의 지위(地位) 중 하나로서 일반적으로 임금의 어머니를 말. 흔히 대비(大妃, 왕대비의 준말)라고 하며 이외에도 국모(國母), 모후(母后), 자성(慈聖), 자전(慈殿), 자위(慈闈) 등의 여러 이칭이 있.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조선의 역대 왕대비 · 더보기 »

조선의 역대 왕세자빈

왕세자빈(王世子嬪)은 조선에서 왕세자의 정배(正配, 嫡室)에게 내린 작위이.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조선의 역대 왕세자빈 · 더보기 »

조선왕릉

조선왕릉(朝鮮王陵)은 조선의 역대 왕과 왕비, 추존왕들의 무덤을 총칭하는 말로, 일반적으로 1897년에 수립된 대한제국의 역대 황제와 황후의 무. 조선왕릉은 삼국 시대와 고려 시대의 왕릉 제도의 영향을 받았는데, 고구려의 호석(護石)제도는 신라와 고려를 거쳐 조선왕릉에 그대로 전해졌고, 조선왕릉의 전체적인 형태는 공민왕의 무덤인 현정릉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았.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조선왕릉 · 더보기 »

종묘

종묘(宗廟)는 조선 왕조의 역대 국왕들과 왕후들의 신주를 모시고 제례를 봉행하는 유교 사당이.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종묘 · 더보기 »

창덕궁

창덕궁(昌德宮)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 있는 조선 시대 궁궐로 동쪽으로 창경궁과 맞닿아 있. 경복궁의 동쪽에 있어서 조선 시대에는 창경궁과 더불어 동궐(東闕)이라 불. 창덕궁은 비교적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는 중요한 고궁이며, 특히 창덕궁 후원은 한국의 유일한 궁궐후원이라는 점과 한국의 정원을 대표한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높.《글로벌 세계대백과》〈창덕궁〉 1997년에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창덕궁 · 더보기 »

첩지머리

첩지머리 첩지는 한복에서 족두리나 아얌 등 머리장식을 할 때 머리를 고정하기 위해 착용하던 머리 장식을 말. 첩지는 머리를 단정하게 하기 위해 머리 정 가운데에 꽂았.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첩지머리 · 더보기 »

유릉

유릉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유릉 · 더보기 »

유경운

유경운 상궁(劉景雲 尙宮, 1893년 - 1971년)은 창덕궁의 지밀상궁으로 있었며, 속칭 '곰배대감'댁인 철종 형님의 댁에서 누동궁(樓洞宮) 나인으로 있다가 당시 세도가 윤덕영(尹德榮)의 소개로 창덕궁으로 옮겨와 순종을 모셨.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유경운 · 더보기 »

유병덕 (공무원)

유병덕(兪炳德, 1932년 - 2000년 6월 20일)은 대한민국의 공무원, 정치인, 기업인이.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유병덕 (공무원) · 더보기 »

윤덕영

윤덕영(尹德榮, 1873년 12월 27일 ~ 1940년 10월 18일)은 조선과 대한제국의 관료로, 본관은 해평이.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윤덕영 · 더보기 »

윤무구

윤무구(尹無咎, 1915년 ~ 1975년)는 대한민국의 변호사로, 본적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이.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윤무구 · 더보기 »

윤두수

윤두수(尹斗壽, 1533년~1601년)는 조선 중기의 문신(文臣)·정치인이자 성리학자, 작가, 시인이며, 서인(西人)의 일원이.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윤두수 · 더보기 »

윤일선

윤일선(尹日善, 1896년 10월 5일 ~ 1987년 6월 22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의사, 대학교수, 대학총장, 사회 운동가이.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윤일선 · 더보기 »

윤의섭 (조선귀족)

윤의섭(尹毅燮, 1912년 3월 8일 ~ 1966년 2월 25일)은 일제 강점기의 조선귀족으로, 본관은 해평, 본적은 경성부 종로구 계동정이.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윤의섭 (조선귀족) · 더보기 »

윤철구

윤철구(尹徹求)는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이자 외척이.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윤철구 · 더보기 »

윤택영

윤택영(尹澤榮, 1876년 ~ 1935년 10월 24일)은 조선의 문신이자 정치인이며 대한제국의 관료, 일제 강점기의 조선 귀족이었.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윤택영 · 더보기 »

윤영구 (1868년)

윤영구(尹寗求, 1868년 ~ ?)는 대한제국말의 관료이자 일제 강점기의 역사학자이.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윤영구 (1868년) · 더보기 »

윤신지

윤신지(尹新之, 1582년 ~ 1657년)는 조선의 문신으로 선조의 부마이.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윤신지 · 더보기 »

윤홍섭

윤홍섭(尹弘燮) 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한국민주당에서 활동한 대한민국 초기의 정치인이.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윤홍섭 · 더보기 »

순명효황후

순명효황후 민씨(純明孝皇后 閔氏, 1872년 11월 20일(음력 10월 20일) ~ 1904년 11월 5일(음력 9월 28일))는 대한제국 순종 황제의 정후(正后)이.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순명효황후 · 더보기 »

순종황후어차

순종황후어차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와룡동, 창덕궁에 있는 영국 다임러사가 1914년에 제작한 리무진으로 순정효황후(純貞孝皇后)가 주로 탔던 것으로 알려진 자동차이.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순종황후어차 · 더보기 »

옥인동 서용택 가옥

옥인동 서용택 가옥(玉仁洞 徐龍澤 家屋)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옥인동에 있던 한옥이.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옥인동 서용택 가옥 · 더보기 »

어여머리

어여머리는 조선 시대에 궁중에서나 양반집의 아녀자들이 예장할 때 머리에 얹은 큰 머리이.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어여머리 · 더보기 »

사시 (시호)

사시(私諡)는 근대 이전 한국, 중국에서 개인에게 붙이는 이름으로, 시호를 받지 못한 개인에게 친구, 문인, 개인, 단체 등에서 붙이는 시호를 가리.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사시 (시호) · 더보기 »

성옥염

성옥염 상궁(成玉艶 尙宮, 1920년 ~ 2001년 5월 4일)은 창덕궁 낙선재 궁인 가운데 끝까지 남았었던 세 사람(김명길, 박창복)의 상궁 중에서 가장 젊은 상궁이었.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성옥염 · 더보기 »

서봉장

훈일등 서봉대수장 훈이등 서봉장 겸 훈일등 부장(上)훈삼등 서봉중수장(中)훈사등 서봉소수장(下) 훈오등 서봉소수장(上)훈육등 서봉소수장(下) 훈일등 서봉대수장을 패용한 순정효황후 서봉장(瑞鳳章)은 대한제국의 훈장 가운데 하나이며 여성에게 수여되는 훈장이.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서봉장 · 더보기 »

송석원

송석원(松石園)은 지금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옥인동 47번지 일대 옥류동 계곡에 있던 천수경이 살던 집의 이름이자, 그 주변 지역을 1700년대 중반부터 1800년대 중반까지 부르던 명칭이면서, 같은 지역에 들어선 윤덕영의 자택 벽수산장(碧樹山莊)의 원래 이름이.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송석원 · 더보기 »

해평 윤씨

평 윤씨(海平 尹氏)는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해평 윤씨 · 더보기 »

한희순

희순 상궁(韓熙順 尙宮, 1889년 ~ 1972년 1월 5일)은 대한제국 조선 시대 마지막 주방 상궁으로, 사라질 뻔한 궁중 요리를 현대적으로 되살리고 계승, 발전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한희순 · 더보기 »

한일도서협정으로 반환된 도서 목록

2011년 12월 6일 도서에 관한 대한민국 정부와 일본국 정부 간의 협정 발효에 따라 일본에서 대한민국으로 반환이 완료된 1205권의 도서 목록이.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한일도서협정으로 반환된 도서 목록 · 더보기 »

신정왕후 (조선)

신정왕후(神貞王后, 1809년 1월 21일(1808년 음력 12월 6일) ~ 1890년 6월 4일(음력 4월 17일))는 조선의 추존왕 문조의 아내이며 헌종의 어머니이.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신정왕후 (조선) · 더보기 »

홍유릉

홍릉과 유릉은 대한민국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에 있는 능으로 홍릉(洪陵)은 대한제국의 초대황제 고종 광무제와 명성황후 민씨의 능이며, 유릉(裕陵)은 대한제국 2대 황제 순종 융희제과 순명효황후 민씨와 순정효황후 윤씨의 능이.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홍유릉 · 더보기 »

황후

황후(皇后)는 황제의 정실 부인으로, 궁정에서 태상황태후와 태황태후와 황태후 다음으로 높은 자리를.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황후 · 더보기 »

왕공족

왕공족(王公族)은 한일 병합 조약 이후 일본제국 정부에서 대한제국 황족에 대해 규정한 신분으로, 일본 황족에 준하는 것이었.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왕공족 · 더보기 »

1894년

1894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1894년 · 더보기 »

1966년

1966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1966년 · 더보기 »

2월 3일

2월 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4번째(윤년일 경우도 3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2월 3일 · 더보기 »

8월 20일

8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2번째(윤년일 경우 23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순정효황후와 8월 20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순정 효황후, 순정효 황후, 순정효황후 윤씨, 순정황후.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