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슈뢰딩거 방정식

색인 슈뢰딩거 방정식

에르빈 슈뢰딩거 슈뢰딩거 방정식(Schrödinger方程式)은 비상대론적 양자역학적 계의 시간에 따른 진화를 나타내는 선형 편미분 방정식이.

76 처지: 데이비슨-거머 실험, 루프 양자중력, 물리학,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 물리학의 역사, 배열 상호작용, 밀도 행렬, 밀도범함수 이론, 가리움 효과, 베셀 함수, 경로 적분 공식화, 고체물리학, 골드스톤 보손, 보어 모형, 계 (물리학), 불확정성 원리, 분자역학, 부분파 방법, 그로스-피타옙스키 방정식, 블로흐 파, 구면좌표계, 드 브로이-봄 이론, 디랙 방정식, 다중 우주론, 다세계 해석, 슈뢰딩거 묘사, 편미분방정식, 클라인-고든 방정식, 퍼텐셜 단, 폴 디랙, 이론화학, 적분가능계, 제1원리 계산, 전파 인자, 주 양자수, 중첩 원리, 준자유 전자 모형, 초전도 현상, 초유체, 치터베베궁, 유효 포텐셜, 유한 퍼텐셜 우물, 파동 함수, 파동-입자 이중성, 파동역학, 상미분방정식, 상자 속 입자, 상호작용 묘사, 수소, 혼성 궤도, ..., 양자 조화 진동자, 양자 화학, 양자장론, 양자역학, 양자역학의 수학 공식화, 에르빈 슈뢰딩거, 에어리 함수, 헬만-파인만 정리, 역학 (물리학), 연속 방정식, 엑시톤, 산란 이론, 플랑크 상수, 섭동 이론 (양자역학), 하이젠베르크 묘사, 핵력, 아로노프-봄 효과, 시간, 시간 변화, 원자, 원자 모형, 원자 궤도, 원자 단위계, 확률 흐름, K·p 섭동 이론, WKB 근사.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26 더) »

데이비슨-거머 실험

이비슨-거머 실험(Davisson–Germer experiment)은 1927년에 클린턴 데이비슨과 레스터 거머가 한 실험으로, 전자같은 입자들이 파동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는 드브로이 가설을 검증하였.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데이비슨-거머 실험 · 더보기 »

루프 양자중력

격자 루프 양자중력() 또는 고리 양자중력은 중력(Gravity)의 양자적 속성을 설명하기 위해 개발된 이론이.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루프 양자중력 · 더보기 »

물리학

물리학(物理學)은 물질과,리처드 파인만은 원자론을 다루는 《파이만의 물리학 강의》(The Feynman Lectures on Physics)에서 "대격변이 일어나 모든 과학 지식이 없어진다고 해도, 다음의 단 한 문장만 다음 세대에 전달되면 다시 모든 과학 지식이 구축될 수 있다고 믿습.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물리학 · 더보기 »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List of unsolved problems in physics)는 물리학 분야의 미해결 문제들로 이론적인 의미로는 기존 이론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특정한 관측 현상 및 실험 결과들을 의미.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 · 더보기 »

물리학의 역사

물리학은 물질의 구조, 운동과 그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을 분석하는 학문이.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물리학의 역사 · 더보기 »

배열 상호작용

배열 상호작용(Configuration interaction, CI)은 비상대론적 슈뢰딩거 방정식을 풀기 위한 하트리-포크 이후의 선형 변분법이.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배열 상호작용 · 더보기 »

밀도 행렬

양자역학에서 밀도 행렬(density matrix)는 어떤 양자상태들의 고전적인 의미에서 통계적인 분포를 나타내는 도구이.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밀도 행렬 · 더보기 »

밀도범함수 이론

밀도범함수 이론(Density functional theory, DFT)은 물질, 분자 내부에 전자가 들어있는 모양과 그 에너지를 양자 역학으로 계산하기 위한 이론의 하나이.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밀도범함수 이론 · 더보기 »

가리움 효과

리움 효과(screening effect)는 다전자 원자에서 전자와 전자간 반발력이 원자핵과 전자 사이의 인력을 부분적으로 상쇄시키는 효과를 말.Olmsted,John, Gregory M. Williams 《Chemistry - 4th ed.》, John Wiley & Sons, Inc., 2006, pp.301-302 가리움 효과가 생기면 전자에 전자가 느끼는 원자핵과의 인력이 감소하는데, 이때 전자에게 작용하는 원자핵의 알짜 전하량을 유효핵전하(effective nuclear charge).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가리움 효과 · 더보기 »

베셀 함수

수학에서, 베셀 함수(Bessel function)는 헬름홀츠 방정식을 원통좌표계에서 변수분리할 때 등장하는 특수 함수.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베셀 함수 · 더보기 »

경로 적분 공식화

양자역학에서 경로 적분(經路積分, path integral)은 해밀턴의 원리를 일반화하여 양자론을 기술하는 방법이.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경로 적분 공식화 · 더보기 »

고체물리학

물리학(固體物理學, Solid-state physics)은 고체의 성질에 대한 연구를 하는 물리학의 한 분과이.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고체물리학 · 더보기 »

골드스톤 보손

스톤 보손() 또는 난부-골드스톤 보손()은 자발 대칭 깨짐을 갖는 이론에서 등장하는 질량이 0인 보손이.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골드스톤 보손 · 더보기 »

보어 모형

수소 원자의 보어 모형 원자물리학에서 보어 모형은 원자의 구조를 마치 태양계처럼 양전하를 띤 조그만 원자핵 주위를 전자들이 원형 궤도를 따라 돌고 있는 것으로 묘사하는 원자 모형이.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보어 모형 · 더보기 »

계 (물리학)

닫힌 계와 그 경계의 개요 계(系, system) 또는 물리계는 구성 요소들을 체계적으로 통일한 조직을 일컫.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계 (물리학) · 더보기 »

불확정성 원리

불확정성 원리(不確定性原理, uncertainty principle)는 양자 역학에서 맞바꿈 관측량(commuting observables)이 아닌 두 개의 관측가능량(observable)을 동시에 측정할 때, 둘 사이의 정확도에는 물리적 한계가 있다는 원리.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불확정성 원리 · 더보기 »

분자역학

분자역학 (약자 MM)이란, 분자의 컨포메이션의 안정성과 컨포메이션 사이의 에너지 차이를 원자 사이에 작용하는 힘에 따른 위치 에너지의 총 합에 따라 계산하는 방법이.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분자역학 · 더보기 »

부분파 방법

물리학에서, 부분파 방법(部分波方法, method of partial waves)은 산란 문제를 구면 조화 함수에 대한 성분인 부분파(部分波, partial wave)로 분해하여 푸는 방법이.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부분파 방법 · 더보기 »

그로스-피타옙스키 방정식

응집물질물리학에서, 그로스-피타옙스키 방정식(Gross-Питаевский方程式)은 여러 개의 비상대론적인 보손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운동 방정식이.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그로스-피타옙스키 방정식 · 더보기 »

블로흐 파

실리콘 결정속의 블로흐 파 블로흐 파(Bloch wave) 또는 블로흐 상태(Bloch state)란 주기적인 퍼텐셜 상의 입자에 대한 파동 함수.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블로흐 파 · 더보기 »

구면좌표계

면좌표계 (球面座標係, spherical coordinate system)는 3차원 공간 상의 점들을 나타내는 좌표계의 하나로, 보통 (r, \theta, \phi).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구면좌표계 · 더보기 »

드 브로이-봄 이론

물리학의 양자역학의 해석 방법 중의 하나로 양자역학의 해석방법에서 주류적인 코펜하겐 해석 이외의 해석방법 중의 하나이.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드 브로이-봄 이론 · 더보기 »

디랙 방정식

랙 방정식(Dirac 方程式)은 스핀이 ½인 페르미온을 나타내는 상대론적 양자 파동 방정식이.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디랙 방정식 · 더보기 »

다중 우주론

중 우주론(多重宇宙論)은, 우주가 여러 가지 일어나는 일들과 조건에 의해 통상적으로 갈래가 나뉘어, 서로 다른 일이 일어나는 우주가 사람들이 알지 못하는 곳에서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는 이론이.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다중 우주론 · 더보기 »

다세계 해석

양자역학에서, 다세계 해석(多世界解釋)은 양자역학에서 나타나는 여러 역설적인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양자역학의 해석이.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다세계 해석 · 더보기 »

슈뢰딩거 묘사

슈뢰딩거 묘사(Schrödinger picture)란 연산자는 시간과 무관하지만 상태 벡터를 시간의존적으로 놓는 양자역학의 수식화이.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슈뢰딩거 묘사 · 더보기 »

편미분방정식

수학에서, 편미분 방정식(偏微分方程式,, 약자 PDE)은 여러 개의 독립 변수로 구성된 함수와 그 함수의 편미분으로 연관된 방정식이.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편미분방정식 · 더보기 »

클라인-고든 방정식

양자장론에서, 클라인-고든 방정식(Klein-Gordon方程式) 또는 클레인-고르돈 방정식은 (유사) 스칼라 장을 다루는 상대론적 파동 방정식이.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클라인-고든 방정식 · 더보기 »

퍼텐셜 단

셜 계단(step potential)은 양자역학과 산란이론에서 쓰이는 모델 시스템이.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퍼텐셜 단 · 더보기 »

폴 디랙

랙(1902년 8월 8일 ~ 1984년 10월 20일)은 영국의 이론물리학자이.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폴 디랙 · 더보기 »

이론화학

이론화학이란, 이론적인 모델과 수식을 바탕으로 기존 실험 사실을 설명하거나 미지의 물질의 성질을 예측하는 연역적인 화학의 방법론 중 하나이.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이론화학 · 더보기 »

적분가능계

수학과 물리학에서, 적분가능계(積分可能系) 또는 가적계(可積系) 또는 가적분계(可積分系)는 대략 무한한 수의 운동 상수들이 존재하여, 완전히 풀 수 있는 계를 뜻. 여러 가지 정의가 있으나, 고전역학적 계의 경우 보통 리우빌 적분가능성()을 의미.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적분가능계 · 더보기 »

제1원리 계산

제1원리 계산법 (Ab initio quantum chemistry methods)은 양자화학에 그 기본 바탕을 둔 계산화학방법이.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제1원리 계산 · 더보기 »

전파 인자

양자역학과 양자장론에서, 전파 인자(電波因子, propagator) 또는 퍼뜨리개는 입자가 (위치 또는 운동량 기저의)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시간 변화를 겪을 확률 진폭이.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전파 인자 · 더보기 »

주 양자수

주 양자수(principal quantum number)는 네 개의 양자수(주 양자수, 방위 양자수, 자기 양자수, 스핀 양자수)중의 하나로 n 으. 주 양자수는 오직 양의 정수의 값만을 가질 수 있. 이는 오비탈의 전체적인 크기를 결정하는 양자수이며, 특히 수소 원자의 오비탈에서는 각 오비탈의 에너지 준위를 결정하는 유일한 양자수.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주 양자수 · 더보기 »

중첩 원리

중첩 원리(重疊原理)는 선형 미분 방정식의 해의 선형 결합이 선형 미분 방정식의 또다른 해가 된다는 원리.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중첩 원리 · 더보기 »

준자유 전자 모형

응집물질물리학에서, 준자유 전자 모형(準自由電子模型, nearly free electron model)은 결정 격자를 자유 전자가 거의 자유롭게 통과한다는 가정 아래 결정의 띠구조를 다루는 모형이.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준자유 전자 모형 · 더보기 »

초전도 현상

섬네일 초전도 현상(超傳導現象)은 어떤 물질이 전기 저항이 0이 되고 내부 자기장을 밀쳐내는 등의 성질을 보이는 현상으로, 대체로 그 물질의 온도가 영하 240˚C 이하로 매우 낮거나 구리나 은과 같은 도체의 경우에는, 불순물이나 다른 결함으로 인해 저항이 어느 값 이상으로 감소하지 않는 한계가 있. 절대영도 근처에서도 실제 구리 시료의 저항은 0이 아닌 값을.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초전도 현상 · 더보기 »

초유체

유체(超流體)는 물리학에서 점성이 전혀 없는 유체를 말. 따라서 초유체는 마찰 없이 영원히 회전할 수 있. 초유체 현상은 양자역학적인 현상으로 보스-아인슈타인 응축 모형으로 설명.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초유체 · 더보기 »

치터베베궁

베베궁()이란 디랙 방정식을 따르는 페르미온이 겪는 진동의.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치터베베궁 · 더보기 »

유효 포텐셜

유효 퍼텐셜 또는 가짜 퍼텐셜은 물리학에서 복잡한 체계를 단순화하는 개산이.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유효 포텐셜 · 더보기 »

유한 퍼텐셜 우물

무한 퍼텐셜 우물은 이상적인 계로서 양자 역학의 기본 개념을 잘 내포하고 있지만 실제로 구현되기 어렵.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유한 퍼텐셜 우물 · 더보기 »

파동 함수

양자역학에서, 파동 함수(波動函數, wavefunction)는 양자역학적 계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복소 함수이다. 고전적인 파동 방정식을 따르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지만, 고전적인 파동과는 여러 면에서 다르다. 파동 함수의 절댓값의 제곱은 입자가 특정 위치에 존재할 확률 밀도 함수이다 (보른 해석, Born interpretation). 수학적으로, 파동 함수의 집합은 힐베르트 공간을 이룬다. 즉, 파동 함수는 힐베르트 공간 안의 벡터로 간주할 수 있다.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파동 함수 · 더보기 »

파동-입자 이중성

양자역학에서, 파동-입자 이중성(波動粒子二重性, wave–particle duality)은 모든 물질이 입자와 파동의 성질을 동시에 지니는 성질이.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파동-입자 이중성 · 더보기 »

파동역학

동역학(波動力學, wave mechanics)은 전자와 같은 물질입자의 운동상태를 기술하기 위한 양자역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파동역학 · 더보기 »

상미분방정식

상미분 방정식(常微分方程式,, 약자 ODE)은 미분 방정식의 일종으로, 구하려는 함수가 하나의 독립 변수만을 가지고 있는 경우를 가리.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상미분방정식 · 더보기 »

상자 속 입자

상자 속 입자() 또는 무한 퍼텐셜 우물(infinite potential well)은 양자역학에서 다루는 가장 기본적인 문제 중의 하나로, 입자가 무한히 깊은 퍼텐셜 우물에 갇혀 있어 나가지 못하는 시스템을 말. 여기에서 입자가 벽과 충돌할 땐 에너지와 운동량이 모두 보존되는 완전 탄성 충돌이 일어난다고 가정.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상자 속 입자 · 더보기 »

상호작용 묘사

양자역학에서, 상호작용 묘사(相互作用描寫, interaction picture)는 양자역학적 계의 상태 벡터와 관측가능량 연산자가 서로 다른 해밀토니언을 따라 변화하는 묘사.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상호작용 묘사 · 더보기 »

수소

수소(水素)는 주기율표의 가장 첫 번째(1족 1주기) 화학 원소로, 원소 기호는 H(←)이.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수소 · 더보기 »

혼성 궤도

혼성 오비탈(混成─)은 화학에서 화학 결합을 정성적으로 설명하기 쉽게 하기 위해 원자 오비탈의 혼합을 통해 만들어진 모양이나 방향성이 원래의 오비탈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오비탈이.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혼성 궤도 · 더보기 »

양자 조화 진동자

양자 조화 진동자(量子調和振動子)는 양자 물리계의 하나로, 고전적 조화 진동자를 양자화하여 얻. 양자역학에서 해석적으로 풀 수 있는 몇 안되는 계 가운.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양자 조화 진동자 · 더보기 »

양자 화학

양자화학이란 화학의 분야 중 하나로, 양자역학의 여러 원리를 화학의 여러 문제에 적용하여 원자와 전자의 움직임부터 분자구조와 물성 또는 화학 반응을 이론적으로 설명하는 학문 분야이.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양자 화학 · 더보기 »

양자장론

물리학에서, 양자장론(量子場論) 혹은 양자 마당 이론은 장을 기술하는 양자 이론이.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양자장론 · 더보기 »

양자역학

양자역학(量子力學)은 분자, 원자, 전자, 소립자와 미시적인 계의 현상을 다루는 즉, 작은 크기를 갖는 계의 현상을 연구하는 물리학의 분야이.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양자역학 · 더보기 »

양자역학의 수학 공식화

양자역학의 수학적 공식화는 양자역학에 등장하는 개념들과 공식을 수학적으로 엄밀하게 서술하는 것이.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양자역학의 수학 공식화 · 더보기 »

에르빈 슈뢰딩거

에르빈 루돌프 요제프 알렉산더 슈뢰딩거(1887년 8월 12일 - 1961년 1월 4일)는 슈뢰딩거 방정식을 비롯한 양자 역학에 대한 기여로 유명한 오스트리아의 물리학자이.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에르빈 슈뢰딩거 · 더보기 »

에어리 함수

에어리 함수의 그래프 수학에서, 에어리 함수(Airy function)는 특수 함수의 한 종. 두 개가 있으며, 기호는 Ai와 Bi.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에어리 함수 · 더보기 »

헬만-파인만 정리

양자역학에서, 헬만-파인만 정리는 특정 매개변수에 대한 총 에너지의 도함수를, 동일한 매개변수에 대한 해밀토니언에서 유도되는 기댓값과 연관시.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헬만-파인만 정리 · 더보기 »

역학 (물리학)

역학(力學)은 물리학의 한 분야로, 외력을 받고 있는 물체의 정지 또는 운동 상태를 설명하고 예측하는 자연 과학이.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역학 (물리학) · 더보기 »

연속 방정식

물리학에서 연속 방정식(連續方程式, continuity equation)은 어떤 물리량이 보존되는 상태로 이송되는 것을 기술하는 방정식이.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연속 방정식 · 더보기 »

엑시톤

엑시톤(exciton)은 절연체 또는 반도체 내에서 전자와 양공이 결합하여 만든 준입자.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엑시톤 · 더보기 »

산란 이론

산란 이론(Scattering theory)는 수학이나 물리학에서 파동 혹은 입자의 산란에 대한 이해의 학문적.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산란 이론 · 더보기 »

플랑크 상수

랑크 상수(Planck常數, Planck constant, 기호 h)는 입자의 에너지와 드브로이 진동수의 비 (h.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플랑크 상수 · 더보기 »

섭동 이론 (양자역학)

양자역학에서, 섭동 이론(perturbation theory, 攝動理論) 또는 미동 이론(微動理論)이란 해밀토니언에 작은 항이 더해졌을 때 그 에너지 준위 등이 바뀌는 정도를 다루는 이론이.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섭동 이론 (양자역학) · 더보기 »

하이젠베르크 묘사

이젠베르크 묘사(Heisenberg picture)란 상태 벡터는 시간과 무관하지만 연산자를 시간의존적으로 놓는 양자역학의 수식화이.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하이젠베르크 묘사 · 더보기 »

핵력

중성 파이온에 의해 매개되는 강한 양성자-중성자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파인만 도표. 시간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흐른다. 개별적인 쿼크 입자들로 그린 같은 도표. 여기서는 근원적인 강한 상호작용이 어떻게 '''핵력'''을 만들어내는지 알 수 있다. 직선은 쿼크를 나타내고 색색의 고리는 글루온을 나타낸다. 양성자, 중성자, 파이온에 결합되어 있는 글루온들은 표시되지 않았다. 핵력(핵자-핵자 상호작용 혹은 잔류 강한 핵력이라고도 부름)은 두 개 이상의 핵자들 사이에 작용하는 힘으로, 양성자와 중성자가 결합하여 원자핵을 형성하는 근원이.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핵력 · 더보기 »

아로노프-봄 효과

아로노프-봄 효과(Aharanov–Bohm effect)는 전자기장 텐서가 0인 지점에서도 대전된 입자가 전자기력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효. 1959년 야키르 아로노프()와 데이비드 봄이 발견하였.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아로노프-봄 효과 · 더보기 »

시간

시간(時間)은 사물의 변화를 인식하기 위한 개념이.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시간 · 더보기 »

시간 변화

물리학에서, 시간 변화(時間變化, time evolution)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계의 상태가 바뀌는 과정이.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시간 변화 · 더보기 »

원자

원자(原子, atom)는 화학 반응을 통해 더 쪼갤 수 없는 단위를 말. 현대 물리학의 관점에서 볼 때 원자는 원자핵과 전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원자핵은 중성자와 양성자로 구성.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원자 · 더보기 »

원자 모형

원자 모형은 원자를 쉽게 이해하기 위해 눈으로 볼 수 없는 원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원자 모형 · 더보기 »

원자 궤도

음 5 개의 원자 궤도의 모양은 1s, 2s, 2px, 2py, 2pz 이다. 두 가지 색상은 각 영역에서 파동 함수의 위상 또는 부호를 나타낸다. 이것은 하나의 전자의 좌표에 의존하는 ψ (x, y, z) 함수의 그래프이다. 확률 밀도를보다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ψ (x, y, z) 2 함수의 길쭉한 모양을 보려면 아래의 d- 오비탈 그래프를 참조 물질은 원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원자는 원자핵과 전자로 이루어져 있. 그 전자가 있는 전자껍질을 원자 궤도 또는 원자 오비탈이.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원자 궤도 · 더보기 »

원자 단위계

원자 단위계(au)는 원자 물리학, 전자기학, 양자전기역학등에서 자주 쓰이는 단위로써 전자의 특성에 보다 집중하기 위한 단위계이.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원자 단위계 · 더보기 »

확률 흐름

확률 흐름(probability current)은 양자역학에서 확률 밀도의 흐름의 정도를 나타내는 값이.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확률 흐름 · 더보기 »

K·p 섭동 이론

응집물질물리학에서, k·p 섭동 이론(k·p perturbation theory)은 띠구조를 다루는 섭동 이론의.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K·p 섭동 이론 · 더보기 »

WKB 근사

양자역학에서, WKB 근사(WKB近似)는 슈뢰딩거 방정식을 풀 때, 순수하게 양자역학적인 효과가 작아 파동 함수의 진폭 또는 위상이 거의 일정하다는 가정 아래 푸는 근사법이.

새로운!!: 슈뢰딩거 방정식와 WKB 근사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슈뢰딩거방정식, 슈뢰딩거의 방정식, 슈뢰딩거의 파동방정식.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