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심훈

색인 심훈

심훈(沈熏, 1901년 9월 12일 ~ 1936년 9월 16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소설가, 시인, 언론인, 영화 배우, 영화 감독, 각본가로 본명은 심대섭(沈大燮)이.

63 처지: 동아일보, 먼동이 틀 때 (1927년 영화), 방정환, 박헌영, 강홍식, 계용묵, 그날이 오면, 기독교 근본주의, 기독교 우파, 브나로드 운동, 김구 (드라마), 김성수 (1891년), 대한여자기독교청년회연합회, 두껍아 두껍아, 남궁억, 농촌 활동, 당진 필경사, 이 달의 독립운동가, 이 달의 문화 인물, 이란 (독립운동가), 이명우 (영화 감독), 이범석 (1900년), 이광수, 이관술, 이승만 (1903년), 이창용 (영화인), 이해승, 일제 강점기, 정성훈 (성우),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 주인규, 주세죽, 청송 심씨, 유달영, 윤백남, 윤극영, 상록구, 상록수, 상록수 (1961년 영화), 상록수 (1978년 영화), 상록수역, 현진건, 최용신, 최용신기념관, 염군사, 삼천리 (일제 강점기의 잡지), 해풍 (동음이의), 한국 현대시사, 한국의 현대 문학 작가 목록, 한진포구, ..., 신일선, 심 (성씨), 심명섭, 심경석, 심우섭 (1890년), 심훈문학상, 시인, KBS HDTV 문학관, 1930년, 1935년, 8월 13일, 9월 12일, 9월 16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3 더) »

동아일보

《동아일보》(東亞日報, Dong-A Ilbo)는 신문 발행 업체인 동아일보사가 서울에서 발행하는 대한민국의 일간 신문이.

새로운!!: 심훈와 동아일보 · 더보기 »

먼동이 틀 때 (1927년 영화)

《먼동이 틀 때》는 1927년 심훈 원작·각색·감독의 한국 영화이.

새로운!!: 심훈와 먼동이 틀 때 (1927년 영화) · 더보기 »

방정환

방정환(方定煥, 1899년 11월 9일~1931년 7월 23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아동문화운동가, 어린이 교육인, 사회운동가이며 어린이날의 창시자이.

새로운!!: 심훈와 방정환 · 더보기 »

박헌영

박헌영(朴憲永, 1900년 5월 28일? 충청남도 예산 ~ 1956년 12월 5일?)은 조선의 공산주의 독립운동가, 언론인, 노동운동.

새로운!!: 심훈와 박헌영 · 더보기 »

강홍식

강홍식(姜弘植, 1902년 12월 9일 ~ 1971년 10월 9일)은 일제 강점기와 해방 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활동하던 영화 감독, 영화 배우, 가수이.

새로운!!: 심훈와 강홍식 · 더보기 »

계용묵

용묵(桂鎔默, 1904년 9월 8일 ~ 1961년 8월 9일)은 대한민국의 소설가, 시인, 수필가, 기자, 작가, 기업가이.

새로운!!: 심훈와 계용묵 · 더보기 »

그날이 오면

이 오면.

새로운!!: 심훈와 그날이 오면 · 더보기 »

기독교 근본주의

독교 근본주의()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부터 영국과 미국의 보수적 복음주의 신학자들이 자유주의 신학에 반대하면서 주창한 기독교 신학사조를 말. 최근에는 이슬람 근본주의처럼 신학이나 종교에서 전통적 교리를 고수하며 다른 종교는 물론 개혁적인 변화에 반대하는 사조를 나타내는 말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 이 단어는 말 자체로 근본주의로서 종교 뿐만이 아닌 각국의 문화 내지 관습 및 인간의 기본 존엄성 또한 포함하고 있. 포스트모더니즘 시대를 맞이하여 기독교 근본주의는 큰 도전을 맞이하고 있. 기독교 근본주의의 5대 주장은, ① 성경의 무오(無誤) ② 그리스도의 동정녀 탄생 ③ 그리스도의 대속적 죽음 ④ 육체의 부활 ⑤ 그리스도의 재림 등이.

새로운!!: 심훈와 기독교 근본주의 · 더보기 »

기독교 우파

독교 우파(Christian Right) 또는 기독교 보수주의는 미국에서는 복음주의 기독교인들을 정치에 끌어들이기 위한 초교파적 사회운동을 뜻하며, 한국에서도 반공주의와 친미주의, 창조론 찬양 등의 보수적인 정치이념을 갖고 있고, 초교파적인 기독교 정치, 사회운동을 뜻.

새로운!!: 심훈와 기독교 우파 · 더보기 »

브나로드 운동

브나로드 운동()은 1930년대 초에 일어났던 한국의 학생 운동이.

새로운!!: 심훈와 브나로드 운동 · 더보기 »

김구 (드라마)

《김구》(金九)는 독립운동가 백범 김구의 생애를 다룬 광복 50주년 기념드라마로, KBS1TV에서 1995년 8월 5일부터 1995년 9월 24일까지 총 16부작으로 방영되었으며, 1997년에는 3부작으로 편집되어 다큐드라마 《백범 김구》로 방영되었.

새로운!!: 심훈와 김구 (드라마) · 더보기 »

김성수 (1891년)

성수(金性洙, 1891년 10월 11일 ~ 1955년 2월 18일)는 대한제국의 교육인 겸 언론인·기업인·근대주의 운동가였으며, 일제 강점기 말기에 친일 행적 논란이 있. 대한민국 초기 정치인, 언론인, 교육인, 서예가였.

새로운!!: 심훈와 김성수 (1891년) · 더보기 »

대한여자기독교청년회연합회

국YWCA연합회(Young Women's Christian Association of Korea)는 대한민국에서 조직된 기독교 민간단체 기독교여자청년회를 망라한 청년운동 및 여성운동 단체이.

새로운!!: 심훈와 대한여자기독교청년회연합회 · 더보기 »

두껍아 두껍아

〈두껍아 두껍아〉는 한국의 전래 동요로, 기원을 알 수 없이 예로부터 전해오던 노래이.

새로운!!: 심훈와 두껍아 두껍아 · 더보기 »

남궁억

서 남궁억 선생상(속초초등학교) 남궁 억(南宮 檍, 1863년 12월 27일 ~ 1939년 4월 5일)은 대한제국 조선 왕조 말기의 교육자, 계몽운동가이며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교육가, 사회운동가, 시인, 작사가, 작곡가, 언론인이.

새로운!!: 심훈와 남궁억 · 더보기 »

농촌 활동

농촌 활동은 방학기간 동안 대학생들이 단체로 농촌 지역에서 부족한 일손을 거들면서 노동의 의미와 농촌의 실정을 이해하는 활동을 말. 줄여서, 농활이.

새로운!!: 심훈와 농촌 활동 · 더보기 »

당진 필경사

당진 필경사(唐津 筆耕舍)는 충청남도 당진군 송악읍에 있는 일제강점기의 건축물이.

새로운!!: 심훈와 당진 필경사 · 더보기 »

이 달의 독립운동가

이 달의 독립운동가는 대한민국 국가보훈처가 선정하여 발표하는 한국의 독립운동가 명단이.

새로운!!: 심훈와 이 달의 독립운동가 · 더보기 »

이 달의 문화 인물

이 달의 문화 인물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가 1990년 7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재발굴하는 기회로 만들기 위해 선정했던 인물들이.

새로운!!: 심훈와 이 달의 문화 인물 · 더보기 »

이란 (독립운동가)

이란(李欄, 1925년 ~ 2011년 11월 9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심훈와 이란 (독립운동가) · 더보기 »

이명우 (영화 감독)

이명우(李明雨, 일본식 이름: 瀨戶明, 1903년 ~ ?)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건국 초기의 영화 감독이.

새로운!!: 심훈와 이명우 (영화 감독) · 더보기 »

이범석 (1900년)

이범석(李範奭, 1900년 10월 20일 ~ 1972년 5월 11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겸 군인이자 대한민국의 정치가 겸 저술가이.

새로운!!: 심훈와 이범석 (1900년) · 더보기 »

이광수

이광수(李光洙), 1892년 3월 4일 평안북도 정주군 ~ 1950년 10월 25일)는 조선,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소설가, 언론인, 시인, 문학평론가, 작가, 반민족행위자이다. 본관은 전주이며, 조선 목조의 장남 안원대군의 후손이다. 사상가, 기자, 번역가, 자유주의 운동가이기도 했다. 일제 강점기에 한민족 독립 운동에 참여, 신한청년당,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참여하였고, 임정 사료편찬위원회 그리고 신한청년당의 독립운동지 신한청년(新韓靑年)에도 주필로서 참여하였다. 그는 아시아 근대 문학과 지성의 태동기에서 대한의 재생과 광복을 꿈꾸고 기획하였으며, 여성 해방과 자유 연애론을 주장하기도 했다. 언론인 활동으로 일제 강점기에서 동아일보 편집국장과 조선일보 부사장을 지냈고 또한 문학 번역가로도 활동하며 영미권의 작품을 한글로 번안하여 국내에 소개하기도 했다. 1909년 첫 작품 사랑인가를 발표한 이후 일본 유학 중에 소설과 시, 논설 등을 발표하였고, 귀국 후 오산학교에서 교편을 잡다가 망명, 1919년 도쿄(東京)의 조선인 유학생의 2·8 독립 선언을 주도했으며, 2·8 독립 선언서를 기초한 후 3·1 운동 전후 상하이로 건너가 상하이 임시정부에 참가하고 그후 독립운동지 신한청년 등에서 주필을 역임하였다. 또한 임시정부의 일원으로 활동하며 대한제국의 독립의 정당성과 의지를 세계에 알리는데 노력했다. 또한 임시정부에서 발간하는 기관지인 《독립신문사》 사장을 맡아 활동했다. 하지만 허영숙이 상하이로 찾아와 귀국을 종용하자 상하이에서 독립운동을 접고 1921년 3월 귀국하여 허영숙과 결혼하였다. 종학원에서 철학, 윤리, 심리, 종교 등을 강의했고 경성학교와 경신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쳤다. 잡지《개벽》에 《소년에게》를 발표하여 출판법위반으로 입건되었다가 석방되었으며 1922년 5월 개벽지(誌)에 《민족개조론》을 발표하여 우리민족이 쇠퇴한 것은 도덕적 타락 때문이라고 했다. 1923년 《동아일보》에 입사하여 편집국장을 지내고, 1933년 《조선일보》 부사장을 거치는 등 언론계에서 활약하면서 《재생(再生)》, 《마의태자(麻衣太子)》, 《단종애사(端宗哀史)》, 《흙》 등 많은 작품을 쓰는 등 독립운동을 계속해서 전개하였다. 1937년 수양동우회(修養同友會) 사건으로 투옥되었다가 반 년 만에 병보석되었는데, 이때부터 본격적인 친일 행위로 기울어져 1939년에는 친일어용단체인 조선문인협회(朝鮮文人協會) 회장이 되었으며 같은 달 20일 조선문인협회 회장으로 협회 주체 전선(戰線) 병사 위문대·위문문 보내기 행사를 주도하였다. 1940년 2월 15일자 『매일신보』에 「국민문학의 의의」를 게재하고 황민화운동을 지지하였으며, 2월 20일자 『매일신보』의 「창씨(創氏)와 나」에서는 자신의 이름을 향산광랑(香山光郞)으로 바꾼 이유를 밝히고, 일제의 창씨개명 정책을 지지하기도 하였다. 3월부터 7월까지 『녹기(綠旗)』에 「진정 마음이 만나서야말로」를 연재하였으며, 9월 직접 작사한 노래 「지원병 장행가(壯行歌)」가 경성중앙방송국 제2방송에서 방송되었다. 12월에는 『국민총력』에 지원병훈련소 참관기인 「지원병훈련소의 하루」를 발표하였고, 황도학회 발기인으로 참여하였다. 1941년 일본어 산문집 『동포에 부침』이 박문서관(博文書館)에서 간행되었다. 8월 임전대책협의회의 발기인으로 참여하였고, 1941년 9월 3∼5일자 『매일신보』에 「반도민중의 애국운동」을 게재해 일본의 대동아공영권(大東亞共榮圈)을 지지하였다. 12월 조선임전보국단 전시생활부장으로, 영미타도대강연회에서 ‘사상 함께 영미를 격멸하라’라는 주제로 강연을 하기도 하였다. 1942년 5월 조선임전보국단이 주최한 징병제도 연설회에서는 ‘획기적 대선물’이라는 제목으로 연설하였으며, 『신시대』 1942년 4월호 「징병과 여성」을 게재해 징병제 실시를 환영하는 입장을 보였다. 6월 조선문인협회 주최의 ‘일본 군인이 되는 마음가짐’을 듣는 좌담회, 11월 도쿄에서 열린 제1회 대동아문학자대회에 참가하였다. 1943년 4월 조선문인보국회 이사로 선출되었고, 11월 임시특별지원병제도 경성익찬회 종로위원회 실행위원과 연사로 활동하였다. 같은 달 최남선 등과 함께 일본 내 한국인 유학생들의 입대를 권유하는 ‘선배 격려대’에 참여하였다. 1944년 6월 조선문인보국회 평의원, 결전태세즉응(決戰態勢卽應) 재선(在鮮) 문학자 총궐기대회 의장을 맡았다. 8월 적국항복 문인대강연회에서 ‘전쟁과 문학’이란 제목으로 강연을하였으며, 11월 제3회 대동아문학자대회에 참석하였다. 1945년 2월 대화동맹 준비위원 겸 이사, 6월 조선언론보국회 명예회원과 대의당(大義黨) 위원이 되었다. 해방 이후로 백범일지의 교정, 윤문과 안창호의 일대기 집필을 직접 맡아 주관하기도 했다. 1949년 반민특위에 기소가 제기됐으나 석방되었고, 1950년 6월 한국 전쟁때는 서울에 있다가 북한 인민군에게 납북되었다. 그간 생사불명이다가 1950년 만포(滿浦)에서 병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순한글체 소설을 쓰는 등 소설 문학의 새로운 역사를 개척하기도 하였다. 소설가로는 구한 말과 일제 강점기 시대 동안 '만인의 연인'이라는 별명과 함께 청소년 남녀 문인들의 우상이었고, 최남선, 홍명희와 더불어 조선의 3대 천재로 대표되었던 인물이었다. 자는 보경(寶鏡), 호는 춘원(春園)·고주(孤舟)·외배·올보리·장백산인(長白山人)이며, 필명으로 춘원생, 경서학인(京西學人), 노아자닷뫼당백, Y생, 장백, 장백산인 등을 썼다.

새로운!!: 심훈와 이광수 · 더보기 »

이관술

이관술(李觀述, 1902년 ~ 1950년)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사상가, 노동운동가이.

새로운!!: 심훈와 이관술 · 더보기 »

이승만 (1903년)

이승만(李承萬, 1903년 ~ 1975년)은 대한민국의 서양화가, 연극무대장치감독, 삽화가이.

새로운!!: 심훈와 이승만 (1903년) · 더보기 »

이창용 (영화인)

이창용(李創用, 일본식 이름: 廣川創用, 1907년 ~ 1961년 8월 27일)은 일제 강점기에 주로 활동한 영화 촬영기사이며 영화 제작자이.

새로운!!: 심훈와 이창용 (영화인) · 더보기 »

이해승

청풍군 이해승(淸豐君 李海昇, 1890년 6월 22일 ~ 1958년)은 조선말기의 왕족 종친이자 대한제국의 황족이며 일제 강점기 조선귀족이.

새로운!!: 심훈와 이해승 · 더보기 »

일제 강점기

일제강점기(1910년 8월 29일 ~ 1945년 8월 15일)는 한국의 역사에서 한국의 근현대사를 시대별로 나누었을 때 주요 시대 중 하나로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가 일본 제국의 식민 지배 아래 놓였던 시기이.

새로운!!: 심훈와 일제 강점기 · 더보기 »

정성훈 (성우)

정성훈(鄭聖勳, 1978년 11월 1일 ~)은 한국의 남자 성우.

새로운!!: 심훈와 정성훈 (성우) · 더보기 »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 통칭 카프()는 1925년 8월에 결성된 사회주의 문학단체이.

새로운!!: 심훈와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 · 더보기 »

주인규

주인규(1901년? - 1956년 9월)는 일제강점기 한국의 탤런트 겸 영화배우이자 노동운동가였.

새로운!!: 심훈와 주인규 · 더보기 »

주세죽

주세죽(朱世竹, 1901년 6월 2일 ~ 1953년)은 일제 강점기 한국의 사회주의 계열의 독립운동가, 언론인이며 국외에서 활동한 사회주의 운동가이.

새로운!!: 심훈와 주세죽 · 더보기 »

청송 심씨

청송 심씨(靑松 沈氏)는 경상북도 청송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심훈와 청송 심씨 · 더보기 »

유달영

유달영(柳達永, 1911년 4월 8일 ~ 2004년 10월 27일)은 대한민국의 농학자, 사회 운동가, 수필가이.

새로운!!: 심훈와 유달영 · 더보기 »

윤백남

윤백남(尹白南, 1888년 11월 7일 ~ 1954년 9월 29일)은 일제 강점기부터 활동한 대한민국의 예술가이.

새로운!!: 심훈와 윤백남 · 더보기 »

윤극영

윤극영(尹克榮, 1903년 9월 6일~1988년 11월 15일)은 동요 〈반달〉을 작사·작곡한 대한민국의 동요 작곡가이자 동화 작가이.

새로운!!: 심훈와 윤극영 · 더보기 »

상록구

상록구(常綠區)는 대한민국 경기도 안산시 동부에 있는 구이.

새로운!!: 심훈와 상록구 · 더보기 »

상록수

《상록수》(常綠樹)는 작가 심훈이 1935년에 발표한 장편 소설이.

새로운!!: 심훈와 상록수 · 더보기 »

상록수 (1961년 영화)

《상록수》는 1961년 공개된 대한민국의 영화이.

새로운!!: 심훈와 상록수 (1961년 영화) · 더보기 »

상록수 (1978년 영화)

《상록수》는 1978년에 한국에서 개봉한 임권택 감독의 영화이.

새로운!!: 심훈와 상록수 (1978년 영화) · 더보기 »

상록수역

상록수역(常綠樹驛)은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에 위치한 안산선 상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전철역이.

새로운!!: 심훈와 상록수역 · 더보기 »

현진건

현진건(玄鎭健, 1900년 8월 9일 ~ 1943년 4월 25일)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 조선(朝鮮)의 작가, 소설가 겸 언론인,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심훈와 현진건 · 더보기 »

최용신

용신(崔容信, 1909년 8월 12일 ~ 1935년 1월 23일)은 일제 강점기의 농촌계몽운동가이며 경기도 수원군 반월면 사리(현재 경기도 안산시 본오동)에서 봉사한 농촌운동가이.

새로운!!: 심훈와 최용신 · 더보기 »

최용신기념관

용신기념관(崔容信紀念館, Choi Yongshin Memorial Hall)은 심훈 소설 《상록수》여주인공 ‘채영신’ 의 실존 인물인 최용신(1909 ~ 1935)을 기리고자 안산시가 2007년 상록구 본오동 879-4(샘골서길 64) 상록수 공원 내에 건립한 공립박물관이.

새로운!!: 심훈와 최용신기념관 · 더보기 »

염군사

염군사(焰群社)는 일제 강점기에 결성된 신경향파 문학 단체이.

새로운!!: 심훈와 염군사 · 더보기 »

삼천리 (일제 강점기의 잡지)

삼천리(三千里)란, 1929년 6월 일제 강점기 조선 경성부에서 발행된 취미, 시사 중심의 월간 종합 잡지를 말. 김동환, 김동인, 이광수, 염상섭 정지용, 나혜석, 김일엽, 장면 등이 필진으로 참여하였.

새로운!!: 심훈와 삼천리 (일제 강점기의 잡지) · 더보기 »

해풍 (동음이의)

풍이라는 단어는 다음과 같은 동음이의가 있.

새로운!!: 심훈와 해풍 (동음이의) · 더보기 »

한국 현대시사

국 현대시는 근대시라고도 명명되며, 정형시의 율격을 벗어난 자유시와 산문시를 말. 한국 현대시사는 191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시대적 상황을 바탕으로 현대시가 변화해 온 역사이.

새로운!!: 심훈와 한국 현대시사 · 더보기 »

한국의 현대 문학 작가 목록

음은 한국의 현대 문학 작가 목록이.

새로운!!: 심훈와 한국의 현대 문학 작가 목록 · 더보기 »

한진포구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한진리에 있. 삼국시대에는 당나라와 해상 무역을 한 항구였.

새로운!!: 심훈와 한진포구 · 더보기 »

신일선

신일선(申一仙, 1912년 9월 21일 ~ 1990년 6월 3일)은 일제 강점기의 배우 겸 가수이.

새로운!!: 심훈와 신일선 · 더보기 »

심 (성씨)

심(沈)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심훈와 심 (성씨) · 더보기 »

심명섭

심명섭(沈明燮, 1898년 ~ 1950년?)은 대한민국의 감리교 목사이.

새로운!!: 심훈와 심명섭 · 더보기 »

심경석

심경석(沈耕奭, 1932년 6월 4일 ~)은 대한민국의 아동문학가 겸 저술가이.

새로운!!: 심훈와 심경석 · 더보기 »

심우섭 (1890년)

심우섭(沈友燮, 1890년 ~ 1946년 3월 6일)은 일제 강점기의 소설가, 언론인, 방송인, 수필가이.

새로운!!: 심훈와 심우섭 (1890년) · 더보기 »

심훈문학상

심훈문학상은 심훈의 문학적 업적을 기리고 문학창작 활동을 지원하며 신인작가 발굴에 목적을 두고 1997년부터 매년 전국적으로 공모하는 문학상이.

새로운!!: 심훈와 심훈문학상 · 더보기 »

시인

시인(詩人)은 시 를 전문적으로 짓는 사람을 말. 원로 시인, 여성 시인, 낭만파 시인, sns 시인 등이 있.최근 인터넷 및 SNS가 발달함에 따라 온라인 상으로 창작시를 발표하는 사례가 늘고있.

새로운!!: 심훈와 시인 · 더보기 »

KBS HDTV 문학관

《HDTV 문학관》은 한국방송공사의 단막극 드라마 시리즈 중 하나로, 유명한 소설 작품을 영상화하여 호평을 받았던 기존의 《TV 문학관》을 HD 시대에 맞게 2005년부터 다시 만든다는 의도를 가지고 100편 완성을 목표로 제작 · 방영되었.

새로운!!: 심훈와 KBS HDTV 문학관 · 더보기 »

1930년

1930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심훈와 1930년 · 더보기 »

1935년

1935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심훈와 1935년 · 더보기 »

8월 13일

8월 1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25번째(윤년일 경우 22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심훈와 8월 13일 · 더보기 »

9월 12일

9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55번째(윤년일 경우 25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심훈와 9월 12일 · 더보기 »

9월 16일

9월 1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59번째(윤년일 경우 26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심훈와 9월 16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심 훈, 심대섭, 심훈 (1901년), 해풍 심대섭, 해풍 심훈.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