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십주

색인 십주

10주(十住,, ten abodes)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25 처지: 도 (불교), 반야, 반야심경, 바라밀, 보살, 보살 수행계위, 보살영락본업경, 불교 용어 목록/ㄷ, 불교 용어 목록/ㅇ, 불교 용어 목록/정, 구경각, 등각, 인 (불교), 인위와 과위, 인왕경, , 주 (4상), 오십이위, 삼도, 십회향, 십주, 십지, 십행, 십신, 화엄경.

도 (불교)

불교 용어로서의 도(道)는 대표적인 뜻으로는 길 또는 진리를 뜻하는데, 구체적으로는 다음의 여러 가지 뜻이 있.

새로운!!: 십주와 도 (불교) · 더보기 »

반야

반야(般若)는 산스크리트어 프라즈냐(प्रज्ञा prajñā) 또는 팔리어 빤냐(paññā)를 음에 따라 번역한 낱말로, 뜻에 따라 번역하여 지혜(智慧)라고도 하며 간단히 지(智) 또는 혜(慧).

새로운!!: 십주와 반야 · 더보기 »

반야심경

《반야심경》(般若心經)은 《대반야바라밀다경》의 요점을 간략하게 설명한 짧은 경전으로, 당나라 삼장법사인 현장(玄裝)이 번역한 것이.

새로운!!: 십주와 반야심경 · 더보기 »

바라밀

바라밀(婆羅蜜) 또는 바라밀다(波羅蜜多)는 산스크리트어 빠라미따(पारमिता pāramitā)를 음에 따라 번역한 것으로, 완전한 상태구극(究極)의 상태최고의 상태를 뜻.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사상 > 초기 대승불교의 사상 > 6바라밀,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6바라밀: 六婆羅蜜 바라밀이란 빠라미따(Paramita)의 음사(音寫)로서 완전·구극(究極)·최고의 상태라는 뜻인데, 불교의 교리상으로는 도피안(到彼岸), 즉 이상경(理想境)으로 들어가는 것을 말하며, 현실의 차안(此岸)에서 이상의 피안으로 사람들을 넘기기 위한 행(行)이라는 점에서 도(度)라고도 번역.

새로운!!: 십주와 바라밀 · 더보기 »

보살

거란의 요나라시기 제작된 관세음보살상: 유희좌 자세를 취하고 있다 보살(菩薩)은 부처(깨달은 사람 또는 존재)가 되기 위해 수행하는 사람(초기불교 경전-니까야에서의 정의), 또는 여러 생을 거치며 선업을 닦아 높은 깨달음의 경지에 다다른 위대한 사람을 뜻. 특히 대승불교에서 강조되었.

새로운!!: 십주와 보살 · 더보기 »

보살 수행계위

보살 수행계위(菩薩修行階位)는 보살 즉 보살승(菩薩乘)의 수행자 즉 대승불교의 수행자가 처음 보리심(菩提心)을 발한 후 수행의 공덕을 쌓아서 불과(佛果) 즉 부처의 상태에 도달하기까지 거쳐가는 단계 또는 계위(階位)를 말. 보살의 수행계위보살수행의 계위 또는 보살계위(菩薩階位).

새로운!!: 십주와 보살 수행계위 · 더보기 »

보살영락본업경

《보살영락본업경(菩薩瓔珞本業經)》(K.530, T.1485)은 대승불교의 경전으로, 보살의 본업(本業)인 10주(十住)10행(十行)10회향(十廻向)10지(十地)등각(等覺)묘각(妙覺)의 42현성(四十二賢聖)의 수행과 그에 따라 증득되는 수행의 결과 또는 과보를 설한 경전이.

새로운!!: 십주와 보살영락본업경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ㄷ

(斷見)은 세간(世間)과 자아(自我)는 사후(死後)에 완전히 소멸된다는 견해로, 즉 인과의 상속, 업(業)의 상속 또는 심상속(心相續)을 부정하는 견해이.

새로운!!: 십주와 불교 용어 목록/ㄷ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ㅇ

아가사(阿迦舍)는 허공(虛空)의 다른 말이.

새로운!!: 십주와 불교 용어 목록/ㅇ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정

불교 용어로서의 정에는 다음의 용어들이 있.

새로운!!: 십주와 불교 용어 목록/정 · 더보기 »

구경각

삼매에 든 고타마 붓다 (석굴암) 구경각(究竟覺, ultimate enlightenment, final enlightenment, supreme enlightenment)은 불교의 수행이 완성되어 증득(證得)하게 된 완전한 깨달음을 가리키는데 곧 부처의 상태를 이룬 것이나 부처가 되는 자리를 뜻. 구경각을 가리키는 다른 낱말로는 다음의 것들이 있.

새로운!!: 십주와 구경각 · 더보기 »

등각

불교에서 등각(等覺)은 다음의 세 가지 뜻으로 사용되고 있.

새로운!!: 십주와 등각 · 더보기 »

인 (불교)

불교 용어인 인(因)은 다음을 뜻.

새로운!!: 십주와 인 (불교) · 더보기 »

인위와 과위

인위(因位)와 과위(果位)는 불교의 수행과 수행에 의해 증득되는 결과 또는 도달하는 경지에 관련된 용어이.

새로운!!: 십주와 인위와 과위 · 더보기 »

인왕경

《인왕경(仁王經)》은 동일한 원본의 두 가지 한역 경전인 《불설인왕반야바라밀경(佛說仁王般若波羅蜜經)》(K.19, T.245)와 《인왕호국반야바라밀다경(仁王護國般若波羅蜜多經)》(K.1340, T.246)의 약칭이.

새로운!!: 십주와 인왕경 · 더보기 »

주에는 다음과 같은 동음이의어가 있.

새로운!!: 십주와 주 · 더보기 »

주 (4상)

주(住,, vivartasthāyin)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십주와 주 (4상) · 더보기 »

오십이위

52위(五十二位)는 대승불교에서 보살 즉 대승불교의 수행자의 수행계위를 52가지로 나눈 것으로, 10신(十信)10주(十住)10행(十行)10회향(十廻向)10지(十地)등각(等覺)묘각(妙覺)을 말. 대승불교의 경전과 논서에서는 보살 수행계위의 수와 명칭에 차이가 있으므로, 이런 점에서 52위는 여러 보살 수행계위 체계들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십주와 오십이위 · 더보기 »

삼도

3도(三道,, mārga-traya,, three paths)는 부파불교와 대승불교에서 공통적으로 인정하고 있는 수행(修行)의 3단계인 견도(見道)수도(修道)무학도(無學道)를 말. 즉, 3도는 성문과 보살 모두에게 해당하는 수행의 3단계이.

새로운!!: 십주와 삼도 · 더보기 »

십회향

10회향(十廻向, 十迴向,, ten dedications, ten dedications of merit)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십주와 십회향 · 더보기 »

십주

10주(十住,, ten abodes)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십주와 십주 · 더보기 »

십지

10지(十地,,, ten stages)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십주와 십지 · 더보기 »

십행

10행(十行)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십주와 십행 · 더보기 »

십신

10신(十信,, ten stages of faith)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십주와 십신 · 더보기 »

화엄경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줄여서 《화엄경(華嚴經)》() 또는 《잡화경(雜華經)》()은 초기 대승불교의 가장 중요한 경전 중 하나로,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성전 > 6001 > 화엄경,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화엄경: 華嚴經 원명은 부다아바탐사카 나마 마하바이풀랴 수트라(Buddha­avatamsaka­nama­mahavaipulya­sutra)이고 자세하게 말해서 이라 부른.

새로운!!: 십주와 화엄경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10발취, 10법주, 10주, 10지주, 10심주, 관정주, 동진주, 방편구족주, 발심주, 법왕자주, 불퇴주, 정심주, 초발심주, 치지주, 생귀주, 수행주, 십발취, 십법주, 십지주, 십심주, 십해.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