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아도

색인 아도

아도(阿道)는 아도(我道) 또는 아두(阿頭).

26 처지: 능가사, 도리사 사적, 묵호자, 건봉사, 법흥왕, 고구려, 고구려의 불교, 계림사, 대흥사, 대원사 (보성군), 구미 대둔사 대웅전, 구미시, 나주 죽림사 극락보전, 운주사지, 전등사, 전진 (오호 십육국), 직지사, 천진보탑, 순도 (고구려), 선암사, 소수림왕, 해동고승전, 한국 불교의 역사, 한중 관계, 아도 (동음이의), 신라의 불교.

능가사

웅전 능가사(楞伽寺)는 전라남도 고흥군 점암면 성기리 369에 있는 조계종 사찰이.

새로운!!: 아도와 능가사 · 더보기 »

도리사 사적

리사사적(桃李寺事蹟)은 구미시 해평면 냉산에 있는 도리사의 사적과 그 창건자인 아도의 행장록(行狀綠)이.

새로운!!: 아도와 도리사 사적 · 더보기 »

묵호자

묵호자(墨胡子: fl. 5세기)는 5세기 경 신라에 불교를 처음으로 전했다는 고승이.

새로운!!: 아도와 묵호자 · 더보기 »

건봉사

봉사(乾鳳寺)는 강원도 고성군에 위치한 대한불교조계종 소속 사찰이.

새로운!!: 아도와 건봉사 · 더보기 »

법흥왕

법흥왕(法興王, ? ~ 540년 7월, 재위: 514년 ~ 540년)은 신라의 제23대 임금이.

새로운!!: 아도와 법흥왕 · 더보기 »

고구려

(高句麗, 기원전 37년 ~ 668년)는 한국의 고대 국가 중 하나로, 백제 및 신라와 함께 삼국 시대를 구성한 주요 국가이.

새로운!!: 아도와 고구려 · 더보기 »

고구려의 불교

의 불교는 소수림왕(小獸林王).2년(372)에 전진(前秦)왕 부견(符堅)이 사신(使臣)과 함께 순도(順道)를 보내 불상과 불경(佛經)을 전한 것이 그 시초이.

새로운!!: 아도와 고구려의 불교 · 더보기 »

계림사

림사(鷄林寺)는 경상북도 김천시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소속 사찰이.

새로운!!: 아도와 계림사 · 더보기 »

대흥사

흥사(大興寺)는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에 위치한 두륜산 도립공원 내의 절이.

새로운!!: 아도와 대흥사 · 더보기 »

대원사 (보성군)

원사(大原寺)는 전라남도 보성군 문덕면 죽산리에 위치한 사찰이.

새로운!!: 아도와 대원사 (보성군) · 더보기 »

구미 대둔사 대웅전

미 대둔사 대웅전(龜尾 大芚寺 大雄殿)은 경상북도 구미시 옥성면 옥관리, 대둔사에 있는 대웅전이.

새로운!!: 아도와 구미 대둔사 대웅전 · 더보기 »

구미시

미시(龜尾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중서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아도와 구미시 · 더보기 »

나주 죽림사 극락보전

주 죽림사 극락보전(羅州 竹林寺 極樂寶殿)은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읍 풍림리에 있는 건축물이.

새로운!!: 아도와 나주 죽림사 극락보전 · 더보기 »

운주사지

화순 운주사지(和順雲住寺址)는 사적 제312호로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영구산 기슭에 있던 절터이.

새로운!!: 아도와 운주사지 · 더보기 »

전등사

전등사(傳燈寺)는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의 정족산에 위치한 사찰이.

새로운!!: 아도와 전등사 · 더보기 »

전진 (오호 십육국)

위진 남북조 시대(220~589) 왕조들의 계통도: 위진 시대는 220~420, 남북조 시대는 439~589 전진(前秦, 351년~394년)은 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때 티베트계 저족(氐族)에 의해 건국된 나라이.

새로운!!: 아도와 전진 (오호 십육국) · 더보기 »

직지사

직지사 입구 직지사(直指寺)는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운수리 황악산(黃嶽山)에 위치한 사찰이.

새로운!!: 아도와 직지사 · 더보기 »

천진보탑

보탑(天眞寶塔)은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계룡산 내에 봉우리처럼 우뚝 솟아있는 자연바위로, 사람의 손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 아닌 자연 그대로의 탑이.

새로운!!: 아도와 천진보탑 · 더보기 »

순도 (고구려)

순도(順道, 생몰년 미상)는 4세기 인물로 372년(고구려 소수림왕 2년)에 전진(前秦)의 왕 부견(符堅: 재위 357~385)의 사자를 따라 불교를 전했는데,동양사상 > 한국의 사상 > 삼국시대의 사상 > 삼국시대의 불교사상 > 순도,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이것은 한국으로 불교가 공식적으로 최초로 전래된 기록이.

새로운!!: 아도와 순도 (고구려) · 더보기 »

선암사

선암사(仙巖寺)는 전라남도 순천시의 조계산에 위치한 사찰이.

새로운!!: 아도와 선암사 · 더보기 »

소수림왕

소수림왕(小獸林王, ? ~ 384년, 재위: 371년~384년)은 고구려 제17대 군주이.

새로운!!: 아도와 소수림왕 · 더보기 »

해동고승전

《해동고승전(海東高僧傳)》은 삼국 시대에 활약했던 승려들의 열전을 모아 놓은 책으로, 고려 고종 2년(1215)에 각훈(覺訓)이 편찬한 현존하는 책 가운데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승려 전기이.

새로운!!: 아도와 해동고승전 · 더보기 »

한국 불교의 역사

국 불교의 역사 또는 한국 불교사는 한국에서 전개된 불교의 역사이.

새로운!!: 아도와 한국 불교의 역사 · 더보기 »

한중 관계

국과 중국 사이에서 관계의 역사는 매우 깊은데, 과거부터 고구려와 백제, 신라는 양나라, 당나라 등과 문화, 무역 교류를 하였.

새로운!!: 아도와 한중 관계 · 더보기 »

아도 (동음이의)

아도은 다음 뜻이 있.

새로운!!: 아도와 아도 (동음이의) · 더보기 »

신라의 불교

신라의 불교에 대한 전래 기록으로는, 제13대 미추왕(味鄒王) 2년(263)에 고구려의 승려아도(阿道)가 와서 불교를 전했다는 설, 19대 눌지왕(訥祗王: 재위 417∼458) 때 고구려의 승려 묵호자(墨胡子)가 모례(毛禮)의 집에 머물러 불교를 선양했다는 설, 21대 소지왕(炤知王: 재위 479∼500) 때 승려 아도(我道)가 시자(侍者) 3인과 같이 모례(毛禮)의 집에 있다가 아도는 먼저 가고 시자들은 포교했다는 설 등이 있으나 어느 것이 맞는지 알 수 없. 이와 같이 불교의 전래에 대한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민승(民僧)이 들어와 공식외교를 통하지 않고 포교를 한 것이 고구려와 백제의 불교 와의 차이점이.

새로운!!: 아도와 신라의 불교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아도화상.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