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아산군

색인 아산군

아산군(牙山郡)은 원래 아산시 북부의 염치읍·음봉면·둔포면·영인면·인주면 지역을 관할했던 군이.

88 처지: 도고면, 도농복합시, 동학 농민 운동, 만공 (승려), 모산 수학여행 참사, 배방읍, 박동익 (1939년), 강명화 자살 사건, 박상돈, 강필선 (1918년), 복거일, 복기왕, 부군면 통폐합, 부용산 윤영렬 묘역, 부암정 (별장), 김갑순, 김영진 (1876년), 김완진 (1877년),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 남충희, 노인도, 포산 (승려), 이민영 (1877년), 이어령, 이석구 (1897년), 이십삼부, 전동장, 전해섭, 정난교, 조승희, 천안시 갑, 천안시 병, 천안시 을, 충청남도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의 행정 구역, 유혁로, 윤명선 (1900년), 윤고려, 윤보선, 윤광선, 윤득실, 윤일선, 윤취동, 윤치명, 윤치병, 윤치영, ..., 윤치오, 윤치호, 윤치호의 사상, 윤치성, 윤치소, 윤치왕, 윤유선 (의사), 윤상구 (1904년), 윤영렬, 윤영구 (1923년), 윤영선 (1896년), 윤호 (1542년), 윤웅렬, 탕정면, 오세현, 온양 방씨, 온양동, 온양면, 온양군, 온양시, 호서 지방, 최양락, 여민루, 연안 유씨, 성재기 (조선), 해평 윤씨 (1835년), 아산 (동음이의), 아산 장씨, 아산시, 신창군 (충청남도), 신창역 (아산), 십삼도, 원덕상, 원의상, 원응상, 원은상, 원훈상, 홍세화.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38 더) »

도고면

면(道高面)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아산시에 있는 면이.

새로운!!: 아산군와 도고면 · 더보기 »

도농복합시

농복합시(都農複合市) 또는 도농통합시(都農統合市)란 도시(동) 지역과 농촌(읍, 면) 지역이 통합된 형태의 시를 말. 대한민국에서는 1995년 지방자치제의 시행으로 인해 시(市)와 주변 군(郡) 통합하면서 많은 도농복합시가 탄생하였.

새로운!!: 아산군와 도농복합시 · 더보기 »

동학 농민 운동

동학 농민 혁명(東學農民革命), 동학 혁명(東學革命), 동학 농민 운동(東學農民運動) 또는 동학 농민 전쟁(東學農民戰爭)은 1894년 동학 지도자들과 동학 교도 및 농민들에 의해 일어난 민중의 무장 봉기를 가리.

새로운!!: 아산군와 동학 농민 운동 · 더보기 »

만공 (승려)

만공 만공(滿空, 1871년 4월 26일(음력 3월 7일) ~ 1946년 10월 20일)은 조선과 일제 강점기의 승려이자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아산군와 만공 (승려) · 더보기 »

모산 수학여행 참사

모산 수학여행 참사(毛山修學旅行慘事)는 1970년 10월 14일 충청남도 아산군 배방면 공수리 모산역 부근에 위치하던 건널목을 건너던 관광버스가 열차에 부딪혀 일어난 사고이.

새로운!!: 아산군와 모산 수학여행 참사 · 더보기 »

배방읍

배방읍(排芳邑)은 충청남도 아산시의 동남부에 위치한 읍이.

새로운!!: 아산군와 배방읍 · 더보기 »

박동익 (1939년)

박동익(朴東翊, 1939년 4월 15일 ~)은 대한민국의 공무원, 지방자치단체장이.

새로운!!: 아산군와 박동익 (1939년) · 더보기 »

강명화 자살 사건

강명화 자살 사건 또는 강명화 정사 사건은 1923년 평양의 권번 기생 강명화와 그녀의 연인이던 칠곡군 출신 장병천이 집안의 결혼 반대에 자살한 정사(情死) 사건이.

새로운!!: 아산군와 강명화 자살 사건 · 더보기 »

박상돈

박상돈(朴商敦, 1949년 9월 3일 ~)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아산군와 박상돈 · 더보기 »

강필선 (1918년)

강필선(姜弼善, 1918년 ~ 1990년 9월 22일)은 일제 강점기에 만주국에서 활동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아산군와 강필선 (1918년) · 더보기 »

복거일

복거일(卜鉅一, 1946년 3월 20일 ~)은 충청남도 아산군 출신의 작가로, 소설과 시, 수필 등을 집. 대전상업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

새로운!!: 아산군와 복거일 · 더보기 »

복기왕

복기왕(卜箕旺, 1968년 4월 10일 ~)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아산군와 복기왕 · 더보기 »

부군면 통폐합

부군면 통폐합(府郡面 統廢合)은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가 시행한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도의 위치·관할 구역 변경 및 부·군의 명칭·위치·관할 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1913년 12월 29일 공포)에 의하여 대대적인 행정 구역 개편을 단행(13도 12부 220군)한 것이.

새로운!!: 아산군와 부군면 통폐합 · 더보기 »

부용산 윤영렬 묘역

부용산 윤영렬 묘역(芙蓉山尹英烈墓域) 또는 부용산 윤보선 대종묘(芙蓉山尹潽善大宗廟)는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객사리 산 3-1번지 부용산에 마련된 조선 말기의 장군 윤영렬, 한진숙 일가족의 묘역이.

새로운!!: 아산군와 부용산 윤영렬 묘역 · 더보기 »

부암정 (별장)

부암정(傅巖亭) 또는 윤가정원(尹家庭園)은 서울 종로구 부암동에 있던 독립운동가 겸 철학자 윤치호의 별장이.

새로운!!: 아산군와 부암정 (별장) · 더보기 »

김갑순

갑순, 1910년 무렵 김갑순(金甲淳, 일본식 이름: 金井甲淳, 1872년 5월 22일 ~ 1961년 6월)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자,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기업인, 자본가이.

새로운!!: 아산군와 김갑순 · 더보기 »

김영진 (1876년)

영진(金英鎭, 일본식 이름: 金子英鎭, 1876년 5월 26일 ~ 1947년 1월 16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리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새로운!!: 아산군와 김영진 (1876년) · 더보기 »

김완진 (1877년)

완진(金完鎭, 1877년 음력 2월 17일 ~ 1948년 양력 2월 17일)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유교 계열 인물이.

새로운!!: 아산군와 김완진 (1877년) · 더보기 »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

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는 1950년 5월 30일 실시되었.

새로운!!: 아산군와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 · 더보기 »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

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는 1954년 5월 20일 치러진 국회의원 선거로 총 19개의 선거구에서 19인이 당선되었으며, 선거인 886,133명 중 803,272명이 투표를 하여 90.6%의 투표율을 기록하였.

새로운!!: 아산군와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 · 더보기 »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

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는 1963년 11월 26일 시행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이.

새로운!!: 아산군와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 · 더보기 »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

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는 1967년 6월 8일 치러진 국회의원 선거로 1개의 선거구에서 1인을 선출하는 소선거구제를 취해 총 9개의 선거구에서 9인이 당선되었으며, 선거인 1,389,451명(부재자선거인수: 48,196명) 중 1,128,986명(부재자투표수: 45,773명)이 투표를 하여 81.3%의 투표율을 기록하였.

새로운!!: 아산군와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 · 더보기 »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

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는 1971년 5월 25일 치러진 국회의원 선거로 1개의 선거구에서 1인을 선출하는 소선거구제를 취해 총 12개의 선거구에서 12인이 당선되었으며, 선거인 1,389,017명(부재자선거인수: 45,224명) 중 1,039,784명(부재자투표수: 43,417명)이 투표를 하여 74.9%의 투표율을 기록하였.

새로운!!: 아산군와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 · 더보기 »

남충희

충희(南忠熙, 1955년 1월 1일 ~)는 대한민국의 기업인이었고, 정치인이.

새로운!!: 아산군와 남충희 · 더보기 »

노인도

인도(盧仁道,1935년 8월 18일 ~)는 대한민국의 제14대 국회의원이.

새로운!!: 아산군와 노인도 · 더보기 »

포산 (승려)

산, 1939년 무렵 포산(飽山) 또는 포산당 혜천(飽山堂 慧天, 1912년 10월 12일 ~ 1971년 9월 6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불교 조계종 승려였.

새로운!!: 아산군와 포산 (승려) · 더보기 »

이민영 (1877년)

이민영(李敏寧, 1877년 음력 2월 9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아산군와 이민영 (1877년) · 더보기 »

이어령

이어령(李御寧, 1934년 1월 15일(음력 1933년 11월 13일) ~)은 대한민국 前 문화부 장관를 지낸 대학 교수, 소설가이자 작가 겸 저술가, 사회기관단체인 겸 사회운동가, 정치가, 문학평론가, 시사평론가이.

새로운!!: 아산군와 이어령 · 더보기 »

이석구 (1897년)

이석구(李奭求, 일본식 이름: 李山奭求 또는 李山奭, 1897년 ~ ?)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관료이.

새로운!!: 아산군와 이석구 (1897년) · 더보기 »

이십삼부

23부제 이십삼부제(二十三府制, 23부제)는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에 시행된 조선의 지방 제도로, 최상위 행정 구역을 부(府)로 개편하고 그 하위 행정 구역을 군(郡) 으로 명칭을 통일하여 부군제(府郡制)라고도 부른.

새로운!!: 아산군와 이십삼부 · 더보기 »

전동장

전동장(典洞莊)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견지동 85-18에 있었던 조선 후기의 무신 윤웅렬과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계몽사상가, 교육인인 좌옹 윤치호가 살던 대저택을 말. 전동장과는 별도로 안국동의 윤보선 사저는 안동장이라고 불. 1860년경부터 1905년까지 윤웅렬이 거주했고, 1905년부터 1945년까지는 좌옹 윤치호가 거주하던 저택으로 본래는 윤치호의 아버지 윤웅렬이 매입한 자택이었.

새로운!!: 아산군와 전동장 · 더보기 »

전해섭

전해섭(全海燮, 1952년 2월 15일 ~)은 대한민국의 레슬링 선수이.

새로운!!: 아산군와 전해섭 · 더보기 »

정난교

정난교(鄭蘭敎, 1863년 1월 23일 ~ 1944년 12월 28일)는 조선 후기, 대한제국의 무신, 군인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아산군와 정난교 · 더보기 »

조승희

조승희(1984년 1월 18일 ~ 2007년 4월 16일)는 2007년 4월 16일 미국 버지니아 폴리테크닉 주립 대학교에서 발생한 버지니아 공대 총기 난사 사건의 범인이.

새로운!!: 아산군와 조승희 · 더보기 »

천안시 갑

안시 갑은 대한민국 국회의 국회의원이 대표하는 지역구로,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일부 지역을.

새로운!!: 아산군와 천안시 갑 · 더보기 »

천안시 병

안시 을은 대한민국 국회의 국회의원이 대표하는 지역구로,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와 서북구에 걸쳐 있. 현 지역구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윤일규 (초선, 2018년~)이.

새로운!!: 아산군와 천안시 병 · 더보기 »

천안시 을

안시 을은 대한민국 국회의 국회의원이 대표하는 지역구로,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일부 지역을.

새로운!!: 아산군와 천안시 을 · 더보기 »

충청남도 (일제 강점기)

일제 강점기 시대의 충청남도청 청사 충청남도(忠淸南道)는 일제 강점기 시대였던 1910년부터 1945년까지 존재했던 행정 구역 가운데 하나로 도청 소재지는 대전부이며 면적은 8,106.44km2(1940년 당시 기준), 인구는 1,575,945명(1940년 당시 기준), 인구 밀도는 194.4명/km2이.

새로운!!: 아산군와 충청남도 (일제 강점기) · 더보기 »

충청남도의 행정 구역

충청남도의 행정 구역은 8시 7군, 25읍, 145면, 43동으로 구성되어 있. 충청남도의 면적은 8,629km2로 전국 총면적의 8.6%를 차지하며, 전국 6위에 해당.

새로운!!: 아산군와 충청남도의 행정 구역 · 더보기 »

유혁로

유혁로(柳赫魯 / 柳赫老, 1851년 3월 9일 ~ 1945년 5월 15일)는 조선 후기와 대한제국의 무신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아산군와 유혁로 · 더보기 »

윤명선 (1900년)

윤명선(尹明善, 1900년 9월 1일 - 1946년 2월 21일)은 일제 강점기 조선과 만주국의 관료, 럭비 선수, 문인이.

새로운!!: 아산군와 윤명선 (1900년) · 더보기 »

윤고려

윤고려 윤고려(尹高麗, 1891년 4월 14일 ~ 1913년 12월 28일)는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교육자, 사회운동가로 본명은 김고려, 김고라였.

새로운!!: 아산군와 윤고려 · 더보기 »

윤보선

윤보선(尹潽善, 1897년 8월 26일 ~ 1990년 7월 18일)은 대한민국의 제4대 대통령을 역임한 정치인이.

새로운!!: 아산군와 윤보선 · 더보기 »

윤광선

윤광선, 1935년 윤광선(尹光善, 1898년 11월 17일 ~ 1950년)은 일제 강점기의 낙농, 경영인이자, 미군정기의 통역관이었.

새로운!!: 아산군와 윤광선 · 더보기 »

윤득실

윤득실(尹得實, 1768년 - 1823년 9월 25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관료였.

새로운!!: 아산군와 윤득실 · 더보기 »

윤일선

윤일선(尹日善, 1896년 10월 5일 ~ 1987년 6월 22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의사, 대학교수, 대학총장, 사회 운동가이.

새로운!!: 아산군와 윤일선 · 더보기 »

윤취동

윤취동(尹取東, 1798년 7월 18일 ~ 1863년 12월 21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효자, 문신으로 윤두수의 7대손이며 증조는 돈령부사 윤세겸(尹世謙)이고 조부는 낭청을 지내고 증 호조참의와 증 비서원승에 추증된 윤발(尹潑)이.

새로운!!: 아산군와 윤취동 · 더보기 »

윤치명

윤치명(尹致明, 1885년 10월 27일(음력 9월 20일) ~ 1944년 양력 4월 21일)은 대한제국 말기의 관료 겸 교육자이.

새로운!!: 아산군와 윤치명 · 더보기 »

윤치병

윤치병(尹致昞, 1880년 음력 6월 4일 - 1940년 양력 1월 24일)은 한말의 무신, 군인이.

새로운!!: 아산군와 윤치병 · 더보기 »

윤치영

윤치영(尹致暎, 1898년 2월 10일 ~ 1996년 2월 9일)은 대한민국의 친일파겸 사상가, 정치인, 언론인이.

새로운!!: 아산군와 윤치영 · 더보기 »

윤치오

윤치오(尹致旿, 1869년 9월 10일 ~ 1950년 12월 22일)는 구한말의 교육자이며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아산군와 윤치오 · 더보기 »

윤치호

윤치호(尹致昊, 일본식 이름:, 1865년 1월 23일 ~ 1945년 12월 9일)는 조선, 대한제국의 개혁, 민권운동가·문신이자 외교관·언론인·교육자, 한국의 정치가·교육자·사상가·언론인·종교가이며 기독교운동가였.

새로운!!: 아산군와 윤치호 · 더보기 »

윤치호의 사상

윤치호 본 문서는 윤치호의 사상에 대하여 설명.

새로운!!: 아산군와 윤치호의 사상 · 더보기 »

윤치성

윤치성(尹致晟, 1875년 음력 3월 2일 - 1936년 양력 8월 11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군인, 관료,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아산군와 윤치성 · 더보기 »

윤치소

윤치소 내외 윤치소(尹致昭, 1871년 8월 25일 ~ 1944년 2월 20일)는 조선 말기의 문신, 정치인이자 일제 강점기의 금융인 겸 기업인이.

새로운!!: 아산군와 윤치소 · 더보기 »

윤치왕

윤치왕(尹致旺, 일본식 이름: 이토 지오(伊東致旺), 1895년 2월 17일 ~ 1982년 12월 21일)은 일제 강점기의 산부인과, 외과 의사이자 의학자, 의학 교육자이며 대한민국의 산부인과 의사, 군의관이.

새로운!!: 아산군와 윤치왕 · 더보기 »

윤유선 (의사)

윤유선 박사, 1956년 윤유선(尹裕善, 1910년 9월 3일 - 1987년)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피부과, 비뇨기과, 나병과의사, 대학 교수, 연구인이.

새로운!!: 아산군와 윤유선 (의사) · 더보기 »

윤상구 (1904년)

윤상구(尹相求, 일본식 이름: 伊東相求, 1904년 ~ ?)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관료이.

새로운!!: 아산군와 윤상구 (1904년) · 더보기 »

윤영렬

윤영렬(尹英烈, 1854년 4월 15일 ~ 1939년 11월 4일)은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의 군인 겸 정치가이.

새로운!!: 아산군와 윤영렬 · 더보기 »

윤영구 (1923년)

윤영구(尹英求, 1923년 9월 17일 ~ 1991년 3월 8일)는 대한민국의 기업인 겸 공무원이.

새로운!!: 아산군와 윤영구 (1923년) · 더보기 »

윤영선 (1896년)

윤영선(尹永善, 1896년 12월 25일 ~ 1988년 2월 6일)은 일제 강점기의 기업인이자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아산군와 윤영선 (1896년) · 더보기 »

윤호 (1542년)

윤호(尹皞, 1542년 - 1589년 1월 25일)는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아산군와 윤호 (1542년) · 더보기 »

윤웅렬

윤웅렬(尹雄烈, 1840년 5월 18일(음력 4월 17일) ~ 1911년 양력 9월 22일)은 조선 말기의 무신, 군인이며 개화파 정치인, 대한제국의 계몽운동가이.

새로운!!: 아산군와 윤웅렬 · 더보기 »

탕정면

탕정면(湯井面)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아산시에 있는 면이.

새로운!!: 아산군와 탕정면 · 더보기 »

오세현

오세현(吳世賢, 1968년 6월 15일 ~)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아산군와 오세현 · 더보기 »

온양 방씨

온양 방씨(溫陽 方氏)는 충청남도 아산시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아산군와 온양 방씨 · 더보기 »

온양동

온양1동 ~ 온양6동(溫陽洞)은 충청남도 아산시의 행정동이.

새로운!!: 아산군와 온양동 · 더보기 »

온양면

온양면은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면이.

새로운!!: 아산군와 온양면 · 더보기 »

온양군

온양군(溫陽郡)은 한국의 옛 행정구역으로, 지금의 아산시 온양동을 중심으로 아산시 동남부의 배방읍·송악면·탕정면 지역을 관할했던 군이.

새로운!!: 아산군와 온양군 · 더보기 »

온양시

온양시(溫陽市)는 충청남도에 있던 시였.

새로운!!: 아산군와 온양시 · 더보기 »

호서 지방

호서 지방 호서 지방(湖西地方)은 대전광역시, 충청남도, 충청북도, 세종특별자치시 일대를 가리키는 한국의 지역 구분 용어이.

새로운!!: 아산군와 호서 지방 · 더보기 »

최양락

양락(崔陽洛, 1962년 5월 20일 ~)은 대한민국의 희극인이.

새로운!!: 아산군와 최양락 · 더보기 »

여민루

여민루(慮民樓)는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에 있는, 조선시대 아산군 관아 입구에 세웠던 문루 건물이.

새로운!!: 아산군와 여민루 · 더보기 »

연안 유씨

연안 유씨(延安 劉氏)는 황해남도 연안군을 관향으로 삼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아산군와 연안 유씨 · 더보기 »

성재기 (조선)

성재기(成載琦, 1821년 ~ ?)는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아산군와 성재기 (조선) · 더보기 »

해평 윤씨 (1835년)

평윤씨 부인(海平尹氏 夫人, 1835년 - 1920년)은 조선 말과 대한제국, 일제 강점기 초기의 여성 지식인으로, 한글로 된 《윤상공 선정록고》(尹相公善政錄攷)를.

새로운!!: 아산군와 해평 윤씨 (1835년) · 더보기 »

아산 (동음이의)

아산은 다음을 뜻.

새로운!!: 아산군와 아산 (동음이의) · 더보기 »

아산 장씨

아산 장씨(牙山 蔣氏)는 충청남도 아산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아산군와 아산 장씨 · 더보기 »

아산시

아산시(牙山市)는 대한민국 충청남도 북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아산군와 아산시 · 더보기 »

신창군 (충청남도)

신창군(新昌郡)은 충청남도의 폐지된 행정 구역으로, 신창면을 중심으로 아산시 서남부의 선장면·도고면 등 3개 면 지역을 관할했던 군이.

새로운!!: 아산군와 신창군 (충청남도) · 더보기 »

신창역 (아산)

신창(순천향대)역(新昌(順天鄕大)驛)은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 행목리에 있는 장항선의 철도역이.

새로운!!: 아산군와 신창역 (아산) · 더보기 »

십삼도

십삼도 십삼도제(十三道制, 13도제)는 1896년 8월 4일에 시행된 조선의 지방 제도로, 직전년도인 1895년 6월 23일부터 시행된 23부제를 폐지하고 종전의 조선 팔도 중 남부(충청·전라·경상)와 북부(평안·함경)의 5개 도를 남·북도로 나누었.

새로운!!: 아산군와 십삼도 · 더보기 »

원덕상

원덕상(元悳常, 일본식 이름: 元村肇, 1883년 11월 7일 ~ 1961년 3월 15일)은 일제 강점기의 의사 겸 금융인, 기업인이며 일제 강점기 중반 경기도 도평의회 의원과 경성부 부협의회 의원에 출마하여 당선되었고,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새로운!!: 아산군와 원덕상 · 더보기 »

원의상

원의상(元宜常, 일본식 이름: 元村壽完, 1891년 9월 8일 ~ ?)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아산군와 원의상 · 더보기 »

원응상

원응상 원응상(元應常, 1869년 8월 20일 ~ 1958년 8월 20일)은 조선 말기,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 미군정기의 관료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새로운!!: 아산군와 원응상 · 더보기 »

원은상

원은상(元殷常, 1874년 2월 27일 ~ ?)은 대한제국의 군인이며,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아산군와 원은상 · 더보기 »

원훈상

원훈상(元勛常, 일본식 이름: 元村重盛, 1881년 ~ ?)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아산군와 원훈상 · 더보기 »

홍세화

홍세화(洪世和, 1947년 12월 10일 ~)는 대한민국의 작가이자, 사회운동가, 언론인이.

새로운!!: 아산군와 홍세화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