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아프로아시아어족

색인 아프로아시아어족

아프로아시아어족 언어의 사용 지역(노란색) 아프로아시아어족(Afro-Asiatic languages)은 북아프리카와 동아프리카, 사헬, 서아시아 등에서 쓰이는 240여 언어의 어족이.

50 처지: 동부쿠시어군, 동남아시아, 몰타, 몰타어, 바레인 아랍어, 고립어 (비교언어학), 관체어, 그으즈어, 노스트레이트어족, 다르푸르, 다리자어, ISO 639, 히브리어, 페니키아, 페니키아어, 이란의 문화, 이집트 아랍어, 이집트어, 인도유럽어족, 콥트어, 쿠시어파, 유럽의 언어, 탄자니아, 오로모인, 오모어파, 현대 표준 아랍어, 어족, 언어, 언어별 숫자 목록, 엘람어, 성 (문법), 소말리어, 함족, 안달루시아 아랍어, 하우사어, 하플로그룹 E (Y-DNA), 암하라어, 아랍어, 아람어, 아카드어, 아파르어, 아프리카, 아프리카의 언어, 셈족, 셈어군, 셈어파, 티그레어, 티그리냐어, 시리아어, 후투족.

동부쿠시어군

동부쿠시어군은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쿠시어파에 속한 30여개의 언어로 구성된 어군이.

새로운!!: 아프로아시아어족와 동부쿠시어군 · 더보기 »

동남아시아

동남아시아(東南-, 월남어:Dông Nam Á(東南亞)는 아시아의 세부지역 중 하나이다. 판의 경계에 있으며(일본 포함) 지진과 화산 활동이 활발하다. 동남아시아는 지리적으로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

새로운!!: 아프로아시아어족와 동남아시아 · 더보기 »

몰타

몰타 공화국()은 남유럽에 위치한 나라로 수도는 발레타이.

새로운!!: 아프로아시아어족와 몰타 · 더보기 »

몰타어

몰타어(Malti, Lingwa Maltija)는 몰타 공화국에서 공용어로서 쓰이고 있는 언어이.

새로운!!: 아프로아시아어족와 몰타어 · 더보기 »

바레인 아랍어

바레인 구어체 아랍어는 아랍어의 방언으로 바레인의 시아파 바하르나가 사용하고 사우디 동부 주 일부 지역과 오만에서도 쓰인.

새로운!!: 아프로아시아어족와 바레인 아랍어 · 더보기 »

고립어 (비교언어학)

립어(孤立語, language isolate), 또는 고립된 언어(孤立된 言語)는 비교 언어학에서 친연관계로 밝혀진 언어가 없이 홀로 분포하는 언어이.

새로운!!: 아프로아시아어족와 고립어 (비교언어학) · 더보기 »

관체어

어()는 스페인 카나리아 제도의 토착민인 관체인이 쓰던 말이.

새로운!!: 아프로아시아어족와 관체어 · 더보기 »

그으즈어

으즈어 창세기 29장 11-16절 그으즈어(ግዕዝ, Gəʿəz, IPA:, Ge'ez) 또는 에티오피아어는 고대 남부 셈어(South Semitic language)로, 현재 아프리카의 뿔에 있는 에리트레아와 북부 에티오피아에서 평민의 언어로 발. 그 후 악숨 왕국과 에티오피아 제국 법정(Ethiopian imperial court)에서 쓰였.

새로운!!: 아프로아시아어족와 그으즈어 · 더보기 »

노스트레이트어족

스트레이트어족은 유라시아 대륙의 인도유럽어족, 우랄어족, 알타이어족 그리고 카르트벨리어족을 포함하는 어족이.

새로운!!: 아프로아시아어족와 노스트레이트어족 · 더보기 »

다르푸르

수단 지도 다르푸르(Darfur,, "푸르족의 집"이라는 뜻)는 수단의 서쪽 끝단의 지역이.

새로운!!: 아프로아시아어족와 다르푸르 · 더보기 »

다리자어

리자어 또는 데리자어는 마그레브 구어체 아랍어의 한 종류이.

새로운!!: 아프로아시아어족와 다리자어 · 더보기 »

ISO 639

ISO 639는 전 세계의 언어 명칭에 고유 부호를 부여하는 국제 표준이.

새로운!!: 아프로아시아어족와 ISO 639 · 더보기 »

히브리어

히브리어(이브리트)는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셈어파로 분류되는 언어이.

새로운!!: 아프로아시아어족와 히브리어 · 더보기 »

페니키아

아()는 고대 가나안의 북쪽에 근거지를 둔 고대 문명이.

새로운!!: 아프로아시아어족와 페니키아 · 더보기 »

페니키아어

아어(𐤃𐤁𐤓𐤉𐤌 𐤊𐤍𐤏𐤍𐤉𐤌, dabarīm Kanaʿanīm)는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셈어파 가나안어에 속하는 페니키아인(Phenician)들이 쓰던 언어이.

새로운!!: 아프로아시아어족와 페니키아어 · 더보기 »

이란의 문화

이 문서는 이란의 문화에 관한 것이.

새로운!!: 아프로아시아어족와 이란의 문화 · 더보기 »

이집트 아랍어

이집트 아랍어(마스리)는 이집트에서 사용되는 아랍어이.

새로운!!: 아프로아시아어족와 이집트 아랍어 · 더보기 »

이집트어

이집트어는 고대 이집트 시대부터 이슬람 정복으로 이집트가 아랍 문화로 바뀌기 전까지 이집트 지역에서 쓰인던 공용 언어이.

새로운!!: 아프로아시아어족와 이집트어 · 더보기 »

인도유럽어족

인도유럽어족(印度-語族)은 유럽과 서아시아, 남아시아에 살고 있는 민족들의 언어가 속하는 어족이.

새로운!!: 아프로아시아어족와 인도유럽어족 · 더보기 »

콥트어

콥트어와 이집트 아랍어로 쓰인 옛 카이로교회의 문구 콥트어(Met.Remenkīmi)는 아프리카아시아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고대 이집트어의 직계이.

새로운!!: 아프로아시아어족와 콥트어 · 더보기 »

쿠시어파

시어파는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하위 그룹으로 셈어파와 마찬가지로 쿠시라는 성서에 나오는 인물에서 유. 이 어파의 가장 대표적인 언어인 오로모어는 2400만가량이 사용.

새로운!!: 아프로아시아어족와 쿠시어파 · 더보기 »

유럽의 언어

주요 유럽 언어의 지도 유럽의 언어는 유럽에서 쓰이는 언어를 말. 인도유럽어족뿐만 아니라 투르크어족, 북카프카스어족, 우랄어족, 아프로아시아어족도 이에.

새로운!!: 아프로아시아어족와 유럽의 언어 · 더보기 »

탄자니아

자니아 연합공화국(아랍어: جمهورية تنزانيا الاتحادية)은 동아프리카에 있는 나라이며, 1961년에 독립한 탕가니카와 1963년에 독립한 잔지바르가 1964년에 통합하여 생긴 나라이.

새로운!!: 아프로아시아어족와 탄자니아 · 더보기 »

오로모인

오로모인(Oromo)은 아프리카에 사는 민족 중 하나이.

새로운!!: 아프로아시아어족와 오로모인 · 더보기 »

오모어파

오모어파는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어파로 아프리카의 북동부에서 주로 쓰인.

새로운!!: 아프로아시아어족와 오모어파 · 더보기 »

현대 표준 아랍어

스하(اللغة العربية الفصحى, al-luġatu l-ʿarabiyyatu l-fuṣḥā, 앗루가툴 아라비야툴 후스하, 순정 아랍어, Modern Standard Arabic)는 아랍어에 있어서의 표준 아랍어를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아프로아시아어족와 현대 표준 아랍어 · 더보기 »

어족

현존하는 자연어 어족들의 분포 어족(語族)은 언어학에서 하나의 공통된 조어(祖語)에서 갈라나왔다고 추정되는 여러 언어들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

새로운!!: 아프로아시아어족와 어족 · 더보기 »

언어

언어(言語)에 대한 정의는 여러가지 시도가 있었.

새로운!!: 아프로아시아어족와 언어 · 더보기 »

언어별 숫자 목록

아래의 표들은 여러 언어에서 0부터 10까지를 표기할 때 쓰이는 수사(數詞)들을 나열한 것이.

새로운!!: 아프로아시아어족와 언어별 숫자 목록 · 더보기 »

엘람어

엘람어는 사멸어로 고대 엘람인들에 의해 쓰였.

새로운!!: 아프로아시아어족와 엘람어 · 더보기 »

성 (문법)

일부 언어의 문법에서 성(性) 또는 문법성(文法性, grammatical gender)은 명사가 보편적으로 갖는 문법적 요소의 일종이.

새로운!!: 아프로아시아어족와 성 (문법) · 더보기 »

소말리어

소말리어()는 소말리족의 언어로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쿠시어파에 속. 소말리족의 주된 거주지인 아프리카 동부의 "아프리카의 뿔", 즉 소말리아, 에티오피아, 지부티, 케냐 북동부에서 사용.

새로운!!: 아프로아시아어족와 소말리어 · 더보기 »

함족

족(Hamites)은 에티오피아·사하라·수단 지역을 포함하는 아프리카 북동부에 사는 사람들로, 큰 키와 폭이 좁은 코, 갈색 피부를 지니고 낙타와 양, 염소 등을 키우며 산. 언어는 함셈어족에 속하는 함어이.

새로운!!: 아프로아시아어족와 함족 · 더보기 »

안달루시아 아랍어

안달루시아 구어체 아랍어는 알안달루스 지역에서 사용되었던 아랍어의 방언이었.

새로운!!: 아프로아시아어족와 안달루시아 아랍어 · 더보기 »

하우사어

right right 하우사어는 하우사족들의 언어이.

새로운!!: 아프로아시아어족와 하우사어 · 더보기 »

하플로그룹 E (Y-DNA)

룹 E (Y-DNA)의 분포도 하플로그룹 E (Y염색체)는 인류 Y-염색체 DNA 하플로그룹의 일종이.

새로운!!: 아프로아시아어족와 하플로그룹 E (Y-DNA) · 더보기 »

암하라어

암하라어(아마른냐)는 셈어파에 속하는 언어이며 에티오피아의 공용어이.

새로운!!: 아프로아시아어족와 암하라어 · 더보기 »

아랍어

아랍어(اللغة العربية, 유엔 지명 표준화 회의 식 표기: al-lughatu l-ʻarabīyah, 알루가툴 아라비야, العَرَبِيَّة, al-ʻarabiyyah, 알아라비야, عَرَبِيّ ʻarabī, 아라비)는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셈어파에 속하는 언어 중 하나이다. 주로 서아시아 및 북아프리카의 아랍권에서 사용된다. 표기로 아랍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하며 굴절어에 속한다.

새로운!!: 아프로아시아어족와 아랍어 · 더보기 »

아람어

아람어(아라마야 / 아라미트)는 한때 시리아 지방, 메소포타미아에서 기원전 500년경부터 기원후 600년 무렵까지 고대 오리엔트 지방의 국제어로 사용되었으며, 아프로아시아어족의 셈어파의 북서셈어군에 속하는 언어이.

새로운!!: 아프로아시아어족와 아람어 · 더보기 »

아카드어

아카드어로된 길가메시 서사시의 대홍수 신화의 점토판 아카드어 (lišānum akkadītum)는 셈어파이며 고대 메소포타미아 특히 아시리아인과 바빌로니아인들에서 쓰였.(아시로-바빌로니아어이라 불린다.). 최초의 검증된 셈어파의 언어인 그것은 고대 수메르어에서 유래한 쐐기 문자를 사용하였.

새로운!!: 아프로아시아어족와 아카드어 · 더보기 »

아파르어

아파르어(Afar language)는 아프로아시아어족의 언어이며, 쿠시어파에 속. 이 언어는 지부티, 에리트레아, 에티오피아의 아파르인들이 사용.

새로운!!: 아프로아시아어족와 아파르어 · 더보기 »

아프리카

아프리카의 인공위성 합성사진 아프리카(Africa, 음역: 아비리가(阿非利加))는 아시아 다음으로 면적이 넓고 인구가 많은 대륙이.

새로운!!: 아프로아시아어족와 아프리카 · 더보기 »

아프리카의 언어

아프리카에서는 약 2,146개의 언어가 사용되고 있.

새로운!!: 아프로아시아어족와 아프리카의 언어 · 더보기 »

셈족

셈족(Semites 또는 Semitic)이라는 낱말은 성경의 창세기에 나오는 인물로 노아의 세 아들 중의 장남인 셈("이름"을 의미한다)에서 만들어진 말이.

새로운!!: 아프로아시아어족와 셈족 · 더보기 »

셈어군

셈어군은 함셈어족의 5개 어군 가운데 하나를 이루고 있. 나머지 4개 어군은 이집트어군·베르베르어군·차드어군·쿠시어군이.

새로운!!: 아프로아시아어족와 셈어군 · 더보기 »

셈어파

셈어파(-語派)는 중동(서남아시아와 북아프리카) 전역과 동아프리카 북부에 걸쳐서 3억 8천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는 언어들이.

새로운!!: 아프로아시아어족와 셈어파 · 더보기 »

티그레어

어는 에리트레아의 언어 중 하나이.

새로운!!: 아프로아시아어족와 티그레어 · 더보기 »

티그리냐어

리냐어(Tigrinya) 는 에리트레아의 공용어 중 하나이.

새로운!!: 아프로아시아어족와 티그리냐어 · 더보기 »

시리아어

시리아어는 시리아, 레바논, 터키, 이라크를 중심으로 한 중동의 기독교도에 의해서 사용된 고전어이.

새로운!!: 아프로아시아어족와 시리아어 · 더보기 »

후투족

후투족(Hutu)은 중앙 아프리카의 르완다와 부룬디에 거주하는 세개의 부족중 하나이.

새로운!!: 아프로아시아어족와 후투족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아프리카 아시아 어족,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셈함어족, 햄어족, 함샘어족, 함셈어족.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