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안국동 윤보선가

색인 안국동 윤보선가

안국동 윤보선가(安國洞 尹潽善家)는 종로구 안국동과 가회동이 경계를 이루는 곳에 위치하였.

23 처지: 마포장, 무교장, 반계 윤웅렬 별장, 경교장, 공덕귀, 관훈동 민씨 가옥, 북촌 한옥마을, 부용산 윤영렬 묘역, 부암정 (별장), 대한민국의 사적 (제401호 ~ 제500호), 낙산장, 장급 저택, 이화장, 전동장, 침산장, 윤보선, 윤치영, 윤치호 묘역, 삼청장, 서울특별시의 민속문화재, 한국민주당, 한국내셔널트러스트, 안동장 (동음이의).

마포장

마포장(馬浦莊)은 1946년부터 1947년까지 이승만과 프란체스카 도너 내외가 거주하던 서울 마포구의 저택이.

새로운!!: 안국동 윤보선가와 마포장 · 더보기 »

무교장

무교장(無僑莊)은 1945년 11월부터 1950년 6월까지 서울특별시 마포구 무교동에 한국의 독립운동가 겸 부통령 성재 이시영 일가가 살던 저택이었.

새로운!!: 안국동 윤보선가와 무교장 · 더보기 »

반계 윤웅렬 별장

반계 윤웅렬 별장(磻溪 尹雄烈 別莊) 또는 반계 윤웅렬 별서(磻溪 尹雄烈 別書)는 대한제국 시기에 법부대신과 군부대신을 지낸 반계 윤웅렬이 당시 도성 내에 유행하던 성홍열 등을 피해 지내기 위해 도성 밖 경승지로 첫 손에 꼽히던 창의문 밖 부암동에 조성한 별장이.

새로운!!: 안국동 윤보선가와 반계 윤웅렬 별장 · 더보기 »

경교장

경교장(京橋莊)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29 (평동)에 위치하고 있는 일제 강점기에 건축된 일본식 주택이.

새로운!!: 안국동 윤보선가와 경교장 · 더보기 »

공덕귀

공덕귀(孔德貴, 1911년 4월 21일 ~ 1997년 11월 24일, 경남 통영)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교육자, 사회사업가이자 여성운동가, 신학자, 종교인, 사회기관단체인, 야당운동가이며, 영부인으로 대한민국의 제4대 대통령 윤보선의 두 번째 아내이.

새로운!!: 안국동 윤보선가와 공덕귀 · 더보기 »

관훈동 민씨 가옥

훈동 민씨 가옥(寬勳洞閔氏家屋)은 원래 서울특별시 종로구 관훈동 30-1에 소재하고 있었으며, 남산한옥마을로 이전하기 전 문화재 지정 명칭은 '관훈동 이진승가옥'이었.

새로운!!: 안국동 윤보선가와 관훈동 민씨 가옥 · 더보기 »

북촌 한옥마을

북촌 한옥마을 북촌 한옥마을은 경복궁과 창덕궁, 종묘의 사이에 위치한 서울의 전통(일제 강점기 시대 전후의 근현대) 한옥 거주 지역이.

새로운!!: 안국동 윤보선가와 북촌 한옥마을 · 더보기 »

부용산 윤영렬 묘역

부용산 윤영렬 묘역(芙蓉山尹英烈墓域) 또는 부용산 윤보선 대종묘(芙蓉山尹潽善大宗廟)는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객사리 산 3-1번지 부용산에 마련된 조선 말기의 장군 윤영렬, 한진숙 일가족의 묘역이.

새로운!!: 안국동 윤보선가와 부용산 윤영렬 묘역 · 더보기 »

부암정 (별장)

부암정(傅巖亭) 또는 윤가정원(尹家庭園)은 서울 종로구 부암동에 있던 독립운동가 겸 철학자 윤치호의 별장이.

새로운!!: 안국동 윤보선가와 부암정 (별장)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사적 (제401호 ~ 제500호)

사적(史蹟)은 기념물 가운데 선사시대의 유적 및 고분, 정치 및 전쟁에 관한 유적, 제사ㆍ신앙에 관한 유적, 산업ㆍ교통ㆍ토목에 관한 유적, 교육ㆍ사회사업 관계 유적, 분묘와 비석 등의 유적으로 중요한 것을 말. 다음은 대한민국 문화재청이 지정한 대한민국의 사적지 목록이.

새로운!!: 안국동 윤보선가와 대한민국의 사적 (제401호 ~ 제500호) · 더보기 »

낙산장

낙산장(駱山莊)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동숭동에 위치하던 기와집으로,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정치인인 조성환과 신익희의 자택이.

새로운!!: 안국동 윤보선가와 낙산장 · 더보기 »

장급 저택

장급 저택 또는 장(莊)이란 조선 말기와 일제 강점기, 대한민국 건국 초기에 거물급 정치인들이나 대학자들이 살던 저택 혹은 규모가 큰 개인 자택에 붙이던 존칭이었.

새로운!!: 안국동 윤보선가와 장급 저택 · 더보기 »

이화장

이화장(梨花莊)은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 이승만이 거주하던 곳으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뒤쪽 낙산 기슭에 있. 동쪽으로 창신동, 남쪽으로 충신동, 서쪽으로 연건동, 북쪽으로는 동숭동에 둘러싸인 마름모꼴의 지형을 이룬 언덕진 곳에 위치하고 있. 이 가옥은 본채, 별채인 조각당, 그리고 여러 부속건물들로 구성되어 있. 본채는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인 이승만 내외가 살던 곳이고, 조각당은 1948년 7월 20일 대통령에 당선된 이승만이 이곳에 조각 본부를 두고 초대 내각을 구상한 곳이.

새로운!!: 안국동 윤보선가와 이화장 · 더보기 »

전동장

전동장(典洞莊)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견지동 85-18에 있었던 조선 후기의 무신 윤웅렬과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계몽사상가, 교육인인 좌옹 윤치호가 살던 대저택을 말. 전동장과는 별도로 안국동의 윤보선 사저는 안동장이라고 불. 1860년경부터 1905년까지 윤웅렬이 거주했고, 1905년부터 1945년까지는 좌옹 윤치호가 거주하던 저택으로 본래는 윤치호의 아버지 윤웅렬이 매입한 자택이었.

새로운!!: 안국동 윤보선가와 전동장 · 더보기 »

침산장

산장(砧山莊)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 정치인인 박중양이 1908년 혹은 1906년부터 1959년까지 거주하던 자택이었.

새로운!!: 안국동 윤보선가와 침산장 · 더보기 »

윤보선

윤보선(尹潽善, 1897년 8월 26일 ~ 1990년 7월 18일)은 대한민국의 제4대 대통령을 역임한 정치인이.

새로운!!: 안국동 윤보선가와 윤보선 · 더보기 »

윤치영

윤치영(尹致暎, 1898년 2월 10일 ~ 1996년 2월 9일)은 대한민국의 친일파겸 사상가, 정치인, 언론인이.

새로운!!: 안국동 윤보선가와 윤치영 · 더보기 »

윤치호 묘역

윤치호 묘역 또는 윤치호 일가 묘역은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 석곡1리 330-2번지에 있는 구한말의 독립운동가 겸 계몽사상가 윤치호 일가의 묘역을 말. 근처 둔포면 신항1리는 윤보선, 윤일선, 윤치호의 고향으로 윤보선 대통령 생가와 윤일선 가옥, 윤제형 가옥, 윤승구 가옥 등이 소재해 있.

새로운!!: 안국동 윤보선가와 윤치호 묘역 · 더보기 »

삼청장

삼청장에서 망중한을 보내는 김규식 (1946년) 삼청장(三淸莊)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부주석 김규식의 개인 사저였.

새로운!!: 안국동 윤보선가와 삼청장 · 더보기 »

서울특별시의 민속문화재

서울특별시의 민속문화재는 민속문화재 중에서 서울특별시 내에 있는 문화재를 의미.

새로운!!: 안국동 윤보선가와 서울특별시의 민속문화재 · 더보기 »

한국민주당

국민주당(韓國民主黨, Korea Democratic Party, 영문약칭 KDP)은 미군정기와 대한민국의 보수주의적, 부르주아적 자유주의 정치 정당의 하나이.

새로운!!: 안국동 윤보선가와 한국민주당 · 더보기 »

한국내셔널트러스트

국내셔널트러스트(The National Trust of Korea)는 각종 개발사업으로 사라져버릴 위기에 처해 있는 자연환경과 문화유산을 시민들의 기부금과 증여를 통해 보존대상지를 매입하거나 확보해 보존하는 활동을 하는 단체이.

새로운!!: 안국동 윤보선가와 한국내셔널트러스트 · 더보기 »

안동장 (동음이의)

안동장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안국동 윤보선가와 안동장 (동음이의)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윤보선 대통령 가옥, 윤보선 사저, 윤보선가, 안국동 공덕귀가, 안국동 윤보선 가, 안국동 윤보선 사저, 안국동윤보선가, 안동궁, 안동장.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