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알데바란

색인 알데바란

알데바란(Aldebaran, α Tau / α Tauri)은 황소자리의 알파 별이.

36 처지: 능동적 외계 지능 찾기, 멘칼리난, 반지름순 항성 목록, 베텔게우스, 겨울의 대삼각형, 겨울철의 별자리, 겉보기등급 순 항성 목록, 고유운동, 북극성, G형 주계열성, 자전축의 세차운동, 크툴루 신화의 요소, 적색거성, 적색초거성, 점성술의 역사, 점성술의 항성, 점성학적 시대, 제11천년기 이후, 제6천년기, 제9천년기, 절대등급 순 항성 목록, 카펠라, 파이어니어 10호, 엘 나스, 항성, 항성분류, 항성진화, 알데바란 b, 아랍어, 아크투루스, 테트라비블로스, 시리우스, 황도대, 황소자리, 황소자리의 항성 목록, 확인되지 않은 외계 행성 목록.

능동적 외계 지능 찾기

보이저 금제 음반 뒷면 능동적 외계 지능 찾기(Active SETI)는 외계인을 찾아 나서는 SETI 프로젝트의 방법으로 외계인에게 메시지를 보내서 그들의 응답을 받는 방법이.

새로운!!: 알데바란와 능동적 외계 지능 찾기 · 더보기 »

멘칼리난

셀레스티아로 멘칼리난 A와 B를 시뮬레이션한 것. 멘칼리난(Menkalinan, Menkarlina)은 마차부자리에 있는 별로, 지구에서 85광년 정도 떨어져 있. 바이어 명명법에 의하면 마차부자리 베타로 읽. 멘칼리난은 아랍어로 منكب ذي العنان(만키브 시-르-이난)라고 표기하며, 이는 '고삐를 쥔 자의 어깨'라는 뜻이.

새로운!!: 알데바란와 멘칼리난 · 더보기 »

반지름순 항성 목록

의 크기를 보여주는 그림. 1. 수성 2. 지구 3. 목성 4. 시리우스 5. 알데바란 6. 베텔게우스 가시광선으로 본 방패자리 UY 아래는 현재까지 관측된 별들을 반지름이 큰 순서대로 정렬한 표이.

새로운!!: 알데바란와 반지름순 항성 목록 · 더보기 »

베텔게우스

베텔게우스 또는 베텔기우스()(바이어 명명법으로 표기하여 오리온자리 알파, α Ori)는 밤하늘에서 여덟 번째로 밝으면서 오리온자리에서 두 번째로 밝은 별이.

새로운!!: 알데바란와 베텔게우스 · 더보기 »

겨울의 대삼각형

울의 대삼각형(앞쪽 가운데)을 포함한 겨울철의 밤하늘. 겨울의 대삼각형()은 겨울 밤하늘에 보이는 세 개의 별을 이은 성군으로, 큰개자리의 시리우스, 오리온자리의 베텔게우스, 작은개자리의 프로키온을 이은 천구상의 정삼각형이.

새로운!!: 알데바란와 겨울의 대삼각형 · 더보기 »

겨울철의 별자리

울철의 별자리는 일반적으로 겨울철(동지 ~ 입춘)에 북반구의 밤하늘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별자리들을 의미.

새로운!!: 알데바란와 겨울철의 별자리 · 더보기 »

겉보기등급 순 항성 목록

시리우스는 밤하늘에서 가장 밝게 보이는 항성이다. 아래 목록은 겉보기 등급이 낮은 100개의 항성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이.

새로운!!: 알데바란와 겉보기등급 순 항성 목록 · 더보기 »

고유운동

유운동(proper motion, 固有運動)은 한 항성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천구 위에서 위치를 바꾸는 것을 말. 고유운동은 각속도로 표시되며, 지구상 관측자의 시선과 직각 방향의 값이.

새로운!!: 알데바란와 고유운동 · 더보기 »

북극성

세차운동에 따른 북극성의 변화.

새로운!!: 알데바란와 북극성 · 더보기 »

G형 주계열성

문학에서 G V는 항성이 분광형상 G임과 함께, 주계열 상태라는 뜻의 V 상태에 있음을 의미하는 용어이.

새로운!!: 알데바란와 G형 주계열성 · 더보기 »

자전축의 세차운동

의 세차운동: 지구는 (흰색 화살표 방향으로) 하루에 한번씩 자전하며, 그 축은 (흰색원을 따라) 천천히 회전하며, 거의 25,800년에 걸쳐 그 회전의 주기를 마친다. 자전축의 세차운동(自轉軸之 歲差運動, axial precession)은 천문학에서 천체의 자전축의 방향에서 일어나는 중력으로 인한 느리고 연속적인 변화이.

새로운!!: 알데바란와 자전축의 세차운동 · 더보기 »

크툴루 신화의 요소

이 항목은 하워드 필립스 러브크래프트의 크툴후 신화에 등장하는 가상의 존재들을 정리한 것이.

새로운!!: 알데바란와 크툴루 신화의 요소 · 더보기 »

적색거성

적색거성(赤色巨星, red giant)은 헤르츠스프룽-러셀 도표에 따른 항성 분류에서 작거나 중간 정도의 질량을 가진 밝고 거대한 별이.

새로운!!: 알데바란와 적색거성 · 더보기 »

적색초거성

적색초거성 등 거대한 천체와 태양계를 비교한 그림. 가장 바깥쪽의 구체가 적색초거성 베텔게우스로 목성 궤도에 이른다. 지구 궤도와 비슷한 크기의 별이 황새치자리 R, 그 안쪽 밝은 쪽은 청색초거성 리겔, 어두운 쪽은 적색 거성 알데바란이다. 핵합성으로 만들어진 중원소들이 층을 이루고 있다. 적색초거성(Red supergiant, RSG)은 분광형 K~M, 광도분류 I에 속하는 항성들을 일컫.

새로운!!: 알데바란와 적색초거성 · 더보기 »

점성술의 역사

의 관찰과 지상의 사건 사이의 관련성에 대한 점성술(占星術, astrology)의 신앙은 세계관과 언어 그리고 사회적 문화의 많은 요소를 포함하는 인간 역사의 여러 국면에 영향을 주어오고 있. 인도유럽어 민족에서, 점성술은 신과의 소통하는 신호로써 계절적 변화를 예언하고 천체의 주기를 해석하는데 사용된 달력 체계에 뿌리를 두고 기원전 삼천년을 거슬러 올. 17세기까지, 정성술은 학문의 전통으로 여겨졌고 천문학의 발전에 도움이 되었.

새로운!!: 알데바란와 점성술의 역사 · 더보기 »

점성술의 항성

원동천(原動天, ''primum mobile'')을 보여준다. 점성술에서, 특정 별 혹은 항성은 중요성이 있다고 여. 역사적으로, 점성가들에게는 천체들이 항성이든 행성이든 신성이나 초신성과 같은 천문 현상이든 혹은 혜성이나 유성과 같은 태양계의 다른 현상이든, 모두 "별들"로 여겨졌.

새로운!!: 알데바란와 점성술의 항성 · 더보기 »

점성학적 시대

점성학적 시대(占星學的 時代, astrological age)는 점성술에서 지구 거주자들의 발전에 있어서 특히 문화와 사회 정치에 관련있는 주요한 변화를 전제로 하는 기간이.

새로운!!: 알데바란와 점성학적 시대 · 더보기 »

제11천년기 이후

블랙홀의 상상도. 우주 먼 미래의 대부분의 예측도로, 우주 먼 미래에는 이 블랙홀만이 유일하게 남아있는 천체로 예상된다. 태양이 적색거생일 때, 가상의 지구의 모습, 지금으로부터 약 79억 년 후 일이다. 제11천년기 이후는 기원후 10001년 이후의 세기이.

새로운!!: 알데바란와 제11천년기 이후 · 더보기 »

제6천년기

제6천년기(第六千年期, 6th millennium)은 그레고리력으로 5001년 1월 1일부터 6000년 12월 31일까지를 뜻. 이는 서기로 여섯 번째 시기의 천년이라는 뜻이.

새로운!!: 알데바란와 제6천년기 · 더보기 »

제9천년기

제9천년기(第九千年期, 9th millennium)은 그레고리력으로 8001년 1월 1일부터 9000년 12월 31일까지를 뜻. 이는 서기로 아홉 번째 시기의 천년이라는 뜻이.

새로운!!: 알데바란와 제9천년기 · 더보기 »

절대등급 순 항성 목록

아래 목록은 절대등급 순서로 밝은 별부터 어두운 별까지 나열한 것이.

새로운!!: 알데바란와 절대등급 순 항성 목록 · 더보기 »

카펠라

마차부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이.

새로운!!: 알데바란와 카펠라 · 더보기 »

파이어니어 10호

조립중인 파이어니어 10호 파이어니어 10호의 발사 파이어니어 10호(Pioneer 10)는 1972년 3월 3일 발사되어, 처음으로 소행성대를 탐사하고 목성을 관찰한 우주선이.

새로운!!: 알데바란와 파이어니어 10호 · 더보기 »

엘 나스

엘나스 또는 황소자리 베타(β Tau)는 겉보기 등급 1.65로 황소자리에서 두 번째로 가장 밝은 별이.(알파별은 알데바란) 이 별은 지구로부터 134 광년 떨어져 있으며 화학적으로 특이한 성질을 보이는 분광형 B7의 거성이.

새로운!!: 알데바란와 엘 나스 · 더보기 »

항성

이다. 항성(恒星) 또는 붙박이별은 막대한 양의 플라스마(전리된 기체)가 중력으로 뭉쳐서 밝게 빛나는 구(球)형 천체이.

새로운!!: 알데바란와 항성 · 더보기 »

항성분류

항성분류(恒星分類, stellar classification)는 항성들을 특정 기준에 따라 구별하는 것을 의미.

새로운!!: 알데바란와 항성분류 · 더보기 »

항성진화

양의 일생. 태양은 주계열 상태로 약 100억 년을 유지할 수 있다. 항성진화(恒星進化) 또는 별의 진화(stellar evolution)는 항성의 일생에 걸쳐 일어나는 변화과정을 일컫는 말이.

새로운!!: 알데바란와 항성진화 · 더보기 »

알데바란 b

알데바란 b 또는 알데바란 Ab는 황소자리 방향으로 지구로부터 약 65광년 떨어져 있다고 추측되는 외계 행성이.

새로운!!: 알데바란와 알데바란 b · 더보기 »

아랍어

아랍어(اللغة العربية, 유엔 지명 표준화 회의 식 표기: al-lughatu l-ʻarabīyah, 알루가툴 아라비야, العَرَبِيَّة, al-ʻarabiyyah, 알아라비야, عَرَبِيّ ʻarabī, 아라비)는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셈어파에 속하는 언어 중 하나이다. 주로 서아시아 및 북아프리카의 아랍권에서 사용된다. 표기로 아랍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하며 굴절어에 속한다.

새로운!!: 알데바란와 아랍어 · 더보기 »

아크투루스

아크투루스(Arcturus, α Boötis, 발음)는 봄 밤하늘에 보이는 별자리 중 하나인 목동자리의 알파별로, 밝기는 -0.05등급으로 목동자리에서는 가장 밝고, 북쪽 하늘에서는 가장 밝은 별이며, 전 하늘을 통틀어 -1.5등급인 시리우스와 -0.7등급인 카노푸스 다음으로 세 번째로 밝은 별이.

새로운!!: 알데바란와 아크투루스 · 더보기 »

테트라비블로스

''Quadripartitum'', 1622 테트라비블로스(Τετράβιβλος)('네 권의 책')은 '효과'라는 뜻의 그리스어 아포텔레스마티카(Αποτελεσματικά)와 '네 부분'이라는 뜻의 라틴어 콰드리파르티툼(Quadripartitum)으로, 그리고 점성사서(占星四書)로도 알려져 있는, 2세기에 알렉산드리아의 학자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90~168년경)에 의해 쓰여진 철학과 점성술의 실천에 관한 문헌이.

새로운!!: 알데바란와 테트라비블로스 · 더보기 »

시리우스

큰개자리. 화살표가 시리우스. 시리우스(Sirius)는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로, 천랑성(天狼星), 낭성(狼星), 큰개자리 알파라 부르.

새로운!!: 알데바란와 시리우스 · 더보기 »

황도대

황도대의 원: 유대교 회당에 있는 이 6세기의 모자이크로 포장한 바닥은 그리스-비잔티움의 요소가 혼합되어 있다. 이스라엘, 베이트 알파. 태양을 공전하는 궤도에 있는 지구는 천구에서 태양이 주야평분선(청백색 선)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는 황도(붉은색 선)을 따라 움직이는 것으로 보이게 만든다. 황도대(黃道帶,, 그리스어: ζῳδιακός, 조디아코스)는 점성술과 역사적 천문학 모두에서, 한 해 동안에 천구를 가로지르는 태양의 외견상 경로인 황도를 중심으로 하는 천체 경도의 30°씩의 구간들의 원이.

새로운!!: 알데바란와 황도대 · 더보기 »

황소자리

황소자리(Taurus, 기호: ♉)는 오리온 자리의 북서쪽에 놓인 별자리로, 황도 12궁에 속. 황소자리는 우측에서 오리온자리를 향해 뿔을 내미는 황소의 앞부분의 모습이.

새로운!!: 알데바란와 황소자리 · 더보기 »

황소자리의 항성 목록

이 문서는 황소자리에 있는 별들을 다루고 있. 겉보기 등급이 밝은 것부터 어두운 별의 순서로 정렬하였.

새로운!!: 알데바란와 황소자리의 항성 목록 · 더보기 »

확인되지 않은 외계 행성 목록

적색 왜성 주위를 돌고 있는, 가상의 목성형 외계 행성을 예술가가 상상하여 그린 작품. 만약 존재가 공식적으로 입증된 행성이 아래 목록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 해당 행성의 자료를 외계 행성이 확인된 항성 목록의 표로 옮겨 주시기 바랍.

새로운!!: 알데바란와 확인되지 않은 외계 행성 목록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HIP 21421, SAO 94027, 코르 타우리, 황소자리 알파.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