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야전군

색인 야전군

NATO 병과기호 표준에 따른 아군 보병 야전군 표시 야전군(野戰軍, Field Army) 또는 간단히 군(軍, Army)은 군대에서 군단보다 크고, 군집단보다 작은 부대 편성 단위를 가리키는 용어이.

85 처지: A 분견군, APP-6A, B 분견군, C 분견군, 독일 국방군의 군 목록, 독일 육군 (1935년–1945년), 독일 연방군 편제, 베트남 군사원조사령부, 베오그라드 공세, 버마 방면군, 북지나 방면군, 부대, 부대 마크, 대한민국 육군, 대한민국의 병역 제도, 국군의무사령부, , 군단, 군집단, 군사 조직, 군사학, 남지나 방면군, 당직근무 (군대), 슈타이너 분견군, 장진호 전투, 일본 제국 육군의 군 목록, 제10군 (미국), 제11SS기갑군, 제12군 (독일 국방군), 제12군집단, 제14방면군, 제15군 (일본군), 제17군 (독일 국방군), 제1·2차 원주 전투, 제1근위전차군, 제1군 (독일 국방군), 제1군 (독일 제국), 제1군 (미국), 제1군 (이탈리아), 제1군 (영국), 제1군 (프랑스), 제1군단 (대한민국-미국), 제1캐나다군, 제1야전군 (대한민국), 제21군 (소련), 제26군 (소련), 제2군 (독일 국방군), 제2군 (독일 제국), 제2군 (미국), 제2군 (영국), ..., 제2작전사령부, 제37군 (소련), 제38군 (소련), 제3군 (독일 제국), 제3야전군 (대한민국), 제40군 (소련), 제4군 (독일 제국), 제4군 (미국), 제4군 (일본군), 제5기갑군, 제5군 (독일 제국), 제5적기군, 제6군 (독일 국방군), 제6군 (독일 제국), 제6군 (미국), 제7군 (독일 제국), 제7군 (미국), 제8군 (미국), 제8군 (영국), 제9군 (독일 국방군), 제9군 (미국), 전투지원부대, 중국인민지원군, 지상작전사령부, 참모총장, 육군, 육상자위대의 활동 중인 부대 목록, 팔로군, 연안방어최고사령부, 키예프 전투 (1941년), 사이고 다카모리, 항공작전사령부, 압록강군, 신사군, 6정.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35 더) »

A 분견군

A 분견군() 또는 팔켄하우젠 분견군()은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제국의 야전군급 사령부이.

새로운!!: 야전군와 A 분견군 · 더보기 »

APP-6A

APP-6A, 지상 체계용 군사 기호(Military Symbols for Land Based Systems)은 군사 지도에서 사용되는 각종 기호의 NATO 표준으로 1999년 12월 공개되었.

새로운!!: 야전군와 APP-6A · 더보기 »

B 분견군

B 분견군() 또는 가에데 분견군()은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제국의 야전군급 사령부이.

새로운!!: 야전군와 B 분견군 · 더보기 »

C 분견군

C 분견군() 또는 슈트란츠 분견군()은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제국의 야전군급 사령부이.

새로운!!: 야전군와 C 분견군 · 더보기 »

독일 국방군의 군 목록

이 문서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의 모든 육군 목록이.

새로운!!: 야전군와 독일 국방군의 군 목록 · 더보기 »

독일 육군 (1935년–1945년)

독일 육군은 1935년부터 1945년까지 독일 국방군 내의 지상군 병과였.

새로운!!: 야전군와 독일 육군 (1935년–1945년) · 더보기 »

독일 연방군 편제

독일 연방군의 편제()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

새로운!!: 야전군와 독일 연방군 편제 · 더보기 »

베트남 군사원조사령부

베트남 군사원조사령부(Military Assistance Command, Vietnam), MACV(mack vee)는 베트남 전쟁 동안 베트남 공화국에 주둔한 모든 군사 조직을 통솔하던 미국의 통합 전투 사령부였.

새로운!!: 야전군와 베트남 군사원조사령부 · 더보기 »

베오그라드 공세

베오그라드 공세()는 1944년 9월 14일부터 11월 24일에 걸쳐 소련의 붉은 군대와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불가리아 인민군이 연합하여 베오그라드를 점령한 나치 독일의 독일 국방군을 축출한 군사 작전이.

새로운!!: 야전군와 베오그라드 공세 · 더보기 »

버마 방면군

버마 방면군(緬甸方面軍), 호출부호 모리부대는 버마에 주둔하였던 일본 제국 육군의 방면군이.

새로운!!: 야전군와 버마 방면군 · 더보기 »

북지나 방면군

북지나 방면군()은 중일 전쟁에 참가하여 베이징에 본부를 두고 화베이 지역에서 작전등의 활동을 하던 일본 제국 육군의 방면군이.

새로운!!: 야전군와 북지나 방면군 · 더보기 »

부대

부대(部隊)는 일정한 규모로 편성된 군대 조직을 뜻.

새로운!!: 야전군와 부대 · 더보기 »

부대 마크

부대 마크(部隊mark)는 군인이 소속부대를 나타내기 위하여 착용하는 마크이.

새로운!!: 야전군와 부대 마크 · 더보기 »

대한민국 육군

3사단 수색부대 대한민국 육군(大韓民國 陸軍)은 대한민국의 지상군 전력으로서 대한민국 국군(國軍)의 3군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예산도 가장 많. 2017년 12월 기준으로 대한민국 육군에는 39개 사단(기계화 보병 사단 6개수도, 8, 11, 20, 26, 30, 보병 사단 16개, 향토 방위 사단 12개, 동원 보병 사단 5개)으로 이루어져 있.

새로운!!: 야전군와 대한민국 육군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병역 제도

민국의 병역 제도는 '국민개병제'를 원칙으로 한 징병제이.

새로운!!: 야전군와 대한민국의 병역 제도 · 더보기 »

국군의무사령부

국군의무사령부(國軍醫務司令部, The Armed Force Medical Command, AFMC)는 군진의학을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대한민국 국방부의 기능 사령부이.

새로운!!: 야전군와 국군의무사령부 · 더보기 »

에는 다음과 같은 동음이의어가 있.

새로운!!: 야전군와 군 · 더보기 »

군단

NATO 병과기호 표준에 따른 아군 보병 군단 표시 군단(軍團)은 야전군과 사단의 중간에 해당하는 전술 단위 부대이.

새로운!!: 야전군와 군단 · 더보기 »

군집단

APP-6A 기준 군집단 기호 군집단(軍集團) 또는 집단군(集團軍)은 다수의 야전군으로 구성되어 무기한으로 자급자족이 가능한 군사 조직의 부대 단위이.

새로운!!: 야전군와 군집단 · 더보기 »

군사 조직

부대 단위(部隊單位, military unit)는 일정한 편제에 따라 조직한 군대의 구성 단위로 군사 작전이나 군사 행정의 기준이 되고 명령이나 임무 수행의 단위.

새로운!!: 야전군와 군사 조직 · 더보기 »

군사학

전화 통신 방법을 배우는 미군들. 1917년. 군사학(軍事學)은 군사 및 군사와 관련된 것에 대하여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야전군와 군사학 · 더보기 »

남지나 방면군

방면군()은 중일 전쟁에 참전한 일본 제국 육군의 방면군이.

새로운!!: 야전군와 남지나 방면군 · 더보기 »

당직근무 (군대)

당직근무는 대한민국을 포함한 세계 여러 나라의 군대에서 일과시간이 지난 이후의 시간에 부대경비 및 상황보고를 목적으로 운용.

새로운!!: 야전군와 당직근무 (군대) · 더보기 »

슈타이너 분견군

슈타이너 분견군()은 야전군보다 작고 군단보다 규모가 큰 임시 편제로 1945년 4월 21일 베를린 공방전 당시 총통 아돌프 히틀러에 의해 서류상으로만 편성된 부대였.

새로운!!: 야전군와 슈타이너 분견군 · 더보기 »

장진호 전투

장진호 전투(長津湖戰鬪), 또는 장진 저수지 전역, 장진 저수지 전투는 한국 전쟁의 결정적 전투 중 하나였.

새로운!!: 야전군와 장진호 전투 · 더보기 »

일본 제국 육군의 군 목록

음은 일본 제국 육군의 군, 방면군, 총군의 목록이.

새로운!!: 야전군와 일본 제국 육군의 군 목록 · 더보기 »

제10군 (미국)

미국 제10군(이하 10군)는 태평양 전역에서 활약했던 미국 육군의 야전군이.

새로운!!: 야전군와 제10군 (미국) · 더보기 »

제11SS기갑군

제11 SS 기갑군()은 1944년 11월부터 1945년 2월까지 당시 바익셀 집단군 사령관이었던 SS제국지도자 하인리히 힘러에 의해 명목상으로만 편성된 야전군이.

새로운!!: 야전군와 제11SS기갑군 · 더보기 »

제12군 (독일 국방군)

제12군()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국방군 육군의 일부로 전쟁 말 발터 벵크 장군의 지휘하에 패잔 부대들을 규합하여 임시로 편성된 군세이.

새로운!!: 야전군와 제12군 (독일 국방군) · 더보기 »

제12군집단

제12군집단()은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에 서부 전선에서 활약한 미국 육군의 군집단이.

새로운!!: 야전군와 제12군집단 · 더보기 »

제14방면군

제14방면군(第14方面軍)는 일본 제국 육군의 방면군 중의 하나로 남방군 휘하의 군대였.

새로운!!: 야전군와 제14방면군 · 더보기 »

제15군 (일본군)

제 15군(第15軍(だいじゅうごぐん))은 일본 제국 육군의 의 하나이.

새로운!!: 야전군와 제15군 (일본군) · 더보기 »

제17군 (독일 국방군)

17 군()은 독일 국방군의 야전군 중 하나이.

새로운!!: 야전군와 제17군 (독일 국방군) · 더보기 »

제1·2차 원주 전투

제1·2차 원주 전투 (Bataille de Wonju), 또는 원주 전역이나 동부 전선 제3차 공세서부 전선은 1·4 후퇴이.

새로운!!: 야전군와 제1·2차 원주 전투 · 더보기 »

제1근위전차군

제1근위전차군()는 적기군과 러시아 육군 소속의 근위 칭호를 가진 기갑 야전군이.

새로운!!: 야전군와 제1근위전차군 · 더보기 »

제1군 (독일 국방군)

독일 제1군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육군의 일부였.

새로운!!: 야전군와 제1군 (독일 국방군) · 더보기 »

제1군 (독일 제국)

제1군최고사령부()는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제국의 야전군급 사령부이.

새로운!!: 야전군와 제1군 (독일 제국) · 더보기 »

제1군 (미국)

미국 제1군("First in Deed")은 1918년 8월 10일에 창설된 가장 오래된 미국 육군의 첫 번째 야전군으로, 현재는 예비군을 동원하여 훈련하고 전시에 소집하는 역할을 하고 있.

새로운!!: 야전군와 제1군 (미국) · 더보기 »

제1군 (이탈리아)

이탈리아 제1군(Italian First Army)은 과거 이탈리아에 존재했던 육군 야전군이.

새로운!!: 야전군와 제1군 (이탈리아) · 더보기 »

제1군 (영국)

영국 제1군(First Army)은 제1차 세계 대전 중이던 1914년에 창설된 영국의 야전군이.

새로운!!: 야전군와 제1군 (영국) · 더보기 »

제1군 (프랑스)

제1군 (1re Armée)은 프랑스의 야전군으로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활약했던 군대이.

새로운!!: 야전군와 제1군 (프랑스) · 더보기 »

제1군단 (대한민국-미국)

미 제1군단()은 1971년 7월 1일부터 1980년 3월 14일까지 군단, 1980년 3월 14일부터 1992년 7월 1일까지 야전군으로서 존재했던 대한민국 육군과 주한 미국 육군의 다국적 연합 부대였.

새로운!!: 야전군와 제1군단 (대한민국-미국) · 더보기 »

제1캐나다군

제1캐나다군은 캐나다 육군의 편성 단위로, 제2차 세계 대전 기간인 1944년 7월부터 1945년 5월 5일까지 서부 전선에서 복무.

새로운!!: 야전군와 제1캐나다군 · 더보기 »

제1야전군 (대한민국)

제1야전군사령부(第一野戰軍司令部), 별명 "통일대"(統一臺)는 한반도 군사 분계선을 기준으로 남한의 동부 전선을 책임지고 있는 대한민국 육군의 첫 번째 야전군으로, 강원도 원주시에 사령부를 두고 있. (강원 원주 지역 방송에서 야전군사령부를 이전 한다고 한다).

새로운!!: 야전군와 제1야전군 (대한민국) · 더보기 »

제21군 (소련)

제21군()은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존재했던 소련군의 야전군이.

새로운!!: 야전군와 제21군 (소련) · 더보기 »

제26군 (소련)

제26군()은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소련군에서 활동한 야전군이.

새로운!!: 야전군와 제26군 (소련) · 더보기 »

제2군 (독일 국방군)

2 군()은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활동한 독일 국방군의 야전군이.

새로운!!: 야전군와 제2군 (독일 국방군) · 더보기 »

제2군 (독일 제국)

제2군최고사령부()는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제국의 야전군급 사령부이.

새로운!!: 야전군와 제2군 (독일 제국) · 더보기 »

제2군 (미국)

미국 제2군()은 미국 육군의 두 번째 야전군이.

새로운!!: 야전군와 제2군 (미국) · 더보기 »

제2군 (영국)

영국 제2군은 영국 육군의 야전군으로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때 활동.

새로운!!: 야전군와 제2군 (영국) · 더보기 »

제2작전사령부

제2작전사령부 "무열대"(第二作戰司令部 "武烈臺", Second Operational Command)는 대구광역시 수성구에 본부를 두고 있는 대한민국 육군의 두 번째 야전군이.

새로운!!: 야전군와 제2작전사령부 · 더보기 »

제37군 (소련)

제37군()은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존재했던 소련군의 야전군이.

새로운!!: 야전군와 제37군 (소련) · 더보기 »

제38군 (소련)

제38군() 또는 제38적기군은 1941년 창설되어 1991년 해체된 소련군의 야전군이.

새로운!!: 야전군와 제38군 (소련) · 더보기 »

제3군 (독일 제국)

제3군최고사령부()는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제국의 야전군급 사령부이.

새로운!!: 야전군와 제3군 (독일 제국) · 더보기 »

제3야전군 (대한민국)

제3야전군 "선봉대"(第三野戰軍 "先鋒臺")는 경기도 용인시에 본부를 두고 있는 대한민국 육군의 세 번째 야전군이.

새로운!!: 야전군와 제3야전군 (대한민국) · 더보기 »

제40군 (소련)

제40군은 1941년부터 1945년까지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1979년부터 1990년대까지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기간 동안 있었던 소련군의 야전군이.

새로운!!: 야전군와 제40군 (소련) · 더보기 »

제4군 (독일 제국)

제4군최고사령부()는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제국의 야전군급 사령부이.

새로운!!: 야전군와 제4군 (독일 제국) · 더보기 »

제4군 (미국)

미국 제4군(Fourth United States Army)은 미국 육군의 야전군이.

새로운!!: 야전군와 제4군 (미국) · 더보기 »

제4군 (일본군)

제4군(第4軍)은 일본 제국 육군의 군이.

새로운!!: 야전군와 제4군 (일본군) · 더보기 »

제5기갑군

제5기갑군()은 서부 기갑군 또는 에버바흐 기갑군으로 알려진 나치 독일의 기갑군으로 유럽 서부 지역과 북아프리카에서 연합군과 싸웠.

새로운!!: 야전군와 제5기갑군 · 더보기 »

제5군 (독일 제국)

제5군최고사령부()는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제국의 야전군급 사령부이.

새로운!!: 야전군와 제5군 (독일 제국) · 더보기 »

제5적기군

제5군()은 러시아 연방 육군의 극동 군관구 소속 야전군이.

새로운!!: 야전군와 제5적기군 · 더보기 »

제6군 (독일 국방군)

제6군은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활동했던 독일 국방군의 야전군이.

새로운!!: 야전군와 제6군 (독일 국방군) · 더보기 »

제6군 (독일 제국)

제6군최고사령부()는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제국의 야전군급 사령부이.

새로운!!: 야전군와 제6군 (독일 제국) · 더보기 »

제6군 (미국)

미국 제6군()는 알라모 부대로도 알려져 있는 미국 육군의 야전군이.

새로운!!: 야전군와 제6군 (미국) · 더보기 »

제7군 (독일 제국)

제7군최고사령부()는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제국의 야전군급 사령부이.

새로운!!: 야전군와 제7군 (독일 제국) · 더보기 »

제7군 (미국)

미국 제7군(Seventh United States Army; SUSA)은 제2차 세계 대전 중에서 서부 전선 남쪽에서 활약한 미국 육군의 야전군이었.

새로운!!: 야전군와 제7군 (미국) · 더보기 »

제8군 (미국)

미국 제8군()은 미국 육군의 야전군이자, 대한민국에 주둔하는 주한 미군의 지상군이.

새로운!!: 야전군와 제8군 (미국) · 더보기 »

제8군 (영국)

영국 제8군(Eighth Army)은 제2차 세계 대전 중이던 1941년에 창설된 영국의 야전군이.

새로운!!: 야전군와 제8군 (영국) · 더보기 »

제9군 (독일 국방군)

제9군()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에 활동했던 독일 국방군 육군의 야전군였.

새로운!!: 야전군와 제9군 (독일 국방군) · 더보기 »

제9군 (미국)

미국 제9군()은 제2차 세계 대전 북서 유럽 전역에서 활약한 미국의 야전군이.

새로운!!: 야전군와 제9군 (미국) · 더보기 »

전투지원부대

2009년에 재정된 전투지원여단의 조직 테이블 전투지원부대 혹은 전투유지부대()는 미국 육군의 개편으로 야전군, 군단, 사단의 지원사령부(FASCOM)(COSCOM)(DISCOM)와 군단 지원단, 지역 지원단을 모듈형 부대로 개편한 전투근무지원(CSS) 부대이.

새로운!!: 야전군와 전투지원부대 · 더보기 »

중국인민지원군

전쟁기념관에 전시된 중국인민지원군의 무기들 중국인민지원군(中國人民志願軍)는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지원한 중화인민공화국의.

새로운!!: 야전군와 중국인민지원군 · 더보기 »

지상작전사령부

상작전사령부는 제1야전군과 제3야전군을 병합하여 설립할 예정인 전투 사령부이.

새로운!!: 야전군와 지상작전사령부 · 더보기 »

참모총장

모총장(參謀總長)은 육해공의 선임 장교이.

새로운!!: 야전군와 참모총장 · 더보기 »

육군

육군(陸軍)은 지상 전투를 주임무.

새로운!!: 야전군와 육군 · 더보기 »

육상자위대의 활동 중인 부대 목록

육상자위대의 조직 구조 방면대 및 예하 사단의 배치도 다음은 육상자위대의 규모별 부대 목록이.

새로운!!: 야전군와 육상자위대의 활동 중인 부대 목록 · 더보기 »

팔로군

(바루쥔)은 1937년 7월 중일전쟁이 발발하자 중국 공산당 휘하 독립적 성향을 가진 부대로 중국 국민혁명군 예하 제8로군(1937.8)으로 편성됐고, 얼마 뒤 제18집단군(1937.9)으로 개편됐지만 팔로군이라고 계속 불리었.

새로운!!: 야전군와 팔로군 · 더보기 »

연안방어최고사령부

연안방어최고사령부()은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제국의 야전군급 사령부이.

새로운!!: 야전군와 연안방어최고사령부 · 더보기 »

키예프 전투 (1941년)

예프 전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이 우크라이나에서 진행한 소련 군대에 대한 거대한 포위전의 이름이.

새로운!!: 야전군와 키예프 전투 (1941년) · 더보기 »

사이고 다카모리

사이고 다카모리(1828년 1월 23일 ~ 1877년 9월 24일)는 에도 시대와 메이지 시대에 걸쳐 활동한 정치인이.

새로운!!: 야전군와 사이고 다카모리 · 더보기 »

항공작전사령부

항공작전사령부 "불사조(航空作戰司令部, Aviation Operations Command, 이하 항작사)는 육군 항공대에 대한 통합 지휘 및 관리를 전담하는 육군 본부 예하의 기능 사령부이.

새로운!!: 야전군와 항공작전사령부 · 더보기 »

압록강군

압록강군()은 일본 제국 육군의 부대 편제 중 하나였다. 러일 전쟁에 따라 1905년 1월에 편성되어 만주군에 편입되어, 한반도에 배치되었다. 봉천 전투에 참가했다가. 1906년 1월 20일에 재향했다.

새로운!!: 야전군와 압록강군 · 더보기 »

신사군

신사군은 중화민국의 국민혁명군 소속의 부대로 1937년에 설립되었.

새로운!!: 야전군와 신사군 · 더보기 »

6정

6정(六停)은 544년(진흥왕 5년)부터 9주 5소경 체제가 정립된 685년(신문왕 5년)까지 신라의 지역 최고 군사조직으로서 행정조직의 기능을 겸하였고, 이후 9주 5소경 체제를 마련하는데 기반이 된 조직이.

새로운!!: 야전군와 6정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야전군 (군사).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