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04 처지: 도서출판 기파랑, 독립문 (1984년 드라마), 독립협회, 독립신문, 만민공동회, 민영익, 박은식, 박중양, 박유철, 박시창, 건국훈장 대통령장 수훈자 목록, 고려혁명당, 김동삼, 김명준 (1870년), 김규식, 김구, 김낙헌, 김철 (1886년), 김옥균, 김성수 (1891년), 김필순, 김학규 (1900년), 대한매일신보, 대한민국 임시 정부,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각료,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국무총리,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수반 목록, 대한민국의 역사, 대원군 (드라마), 국채보상운동, 남궁억, 남자현, 나석주, 딜쿠샤, 노백린, 노익형, 장도빈, 편강렬, 이 달의 독립운동가, 이동녕, 이동휘, 이경희 (1880년), 이광 (1879년), 이규풍, 이용익, 이승훈 (1864년), 이회영, 이유필, 이상룡 (1858년), 이상재, ...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54 더) »
도서출판 기파랑
서출판 기파랑(耆婆郞)은 대한민국의 출판사이.
독립문 (1984년 드라마)
독립문(獨立門)은 KBS1TV에서 1984년 1월 1일부터 1984년 12월 30일까지 방영되었던 대하드라마이.
독립협회
독립협회에 모인 민중들 독립협회(獨立協會)는 1896년 7월 2일 설립된 조선과 대한제국의 시민사회단체이.
보다 양기탁와 독립협회
독립신문
독립신문 초판 독립신문(獨立新聞)은 1896년 4월 7일에 한국에서 최초로 발간된 민간 신문이자 한글, 영문판 신문이었.
보다 양기탁와 독립신문
만민공동회
만민공동회(萬民共同會) 또는 관민공동회(官民共同會)는 조선말, 대한제국의 대토론회, 시민운동이자 시민사회단체로 독립협회에서 처음 주관하였다가 1898년 4월을 기점으로 독립협회의 영향력에서 독자적인 민중대회, 단체로 성장.
보다 양기탁와 만민공동회
민영익
민영익 민영익(閔泳翊, 1860년~1914년 중국 상하이)은 조선의 정치인이.
보다 양기탁와 민영익
박은식
박은식(朴殷植, 1859년 10월 25일(음력 9월 30일) ~ 1925년 11월 1일)은 일제 강점기의 학자, 언론인, 독립운동가, 교육자, 애국계몽운동가, 정치가이.
보다 양기탁와 박은식
박중양
박중양(朴重陽, 일본식 이름: 朴忠重陽 호추 시게요, 1872년 5월 3일 ~ 1959년 4월 23일)은 일본과 대한제국의 관료, 외교관이며, 일제시대의 관료, 사상가이.
보다 양기탁와 박중양
박유철
박유철(朴維徹, 1938년 1월 15일 ~)은 대한민국의 기관단체장이.
보다 양기탁와 박유철
박시창
박시창(朴始昌, 1903년 11월 5일 ~ 1986년 6월 7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겸 군인이자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소장이며 사회운동가 겸 사회기관단체장이었.
보다 양기탁와 박시창
건국훈장 대통령장 수훈자 목록
민국의 독립에 끼친 공로를 인정받아 건국훈장 중 대통령장(大統領章)을 받은 독립유공자를 다룬 문서이.
고려혁명당
혁명당은 1926년 4월 5일 현익철, 양기탁 등의 독립 운동가들이 결성한 사회주의적 항일 단체이.
보다 양기탁와 고려혁명당
김동삼
동삼(金東三, 1878년 6월 23일 ~ 1937년 4월 13일)은 한국의 독립 운동가이.
보다 양기탁와 김동삼
김명준 (1870년)
명준(金明濬, 일본식 이름: 金田明, 1870년 양력 10월 26일 ~ ?)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자 대한제국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의 사회 운동가, 교육자, 언론인, 대한민국의 언론인이.
김규식
식(金奎植, 1881년 2월 28일 ~ 1950년 12월 10일)은 대한제국의 종교가, 교육자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 운동가, 통일운동가, 정치가, 학자, 시인, 사회운동가, 교육자였다 언더우드 선교사의 비서, 경신학교의 교수와 학감 등을 지내고 미국에 유학하였.
보다 양기탁와 김규식
김구
(金九, 1876년 8월 29일 ~ 1949년 6월 26일)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종교인, 교육자, 통일운동가, 정치인이.
보다 양기탁와 김구
김낙헌
낙헌(김락헌)金洛憲, 1874년 양력 7월 28일(음력 6월 15일) ~ 1919년 양력 7월 2일)은 구한말과 일제 강점기 초기의 법조인으로, 조선총독부 중추원 부찬의를 지냈다.
보다 양기탁와 김낙헌
김철 (1886년)
(金澈, 1886년 10월 15일 ~ 1934년 6월 29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
김옥균
옥균(金玉均, 1851년 2월 23일 ~ 1894년 3월 28일)은 조선 말기의 정치가, 사상가, 급진개화파이.
보다 양기탁와 김옥균
김성수 (1891년)
성수(金性洙, 1891년 10월 11일 ~ 1955년 2월 18일)는 대한제국의 교육인 겸 언론인·기업인·근대주의 운동가였으며, 일제 강점기 말기에 친일 행적 논란이 있. 대한민국 초기 정치인, 언론인, 교육인, 서예가였.
김필순
순 김필순(金弼淳 1878년 6월 25일 ~ 1919년 9월 1일) 은 대한제국의 의사 이자 일제강점기에는 만주로 건너가 독립군 주치의로 활약한 독립운동가이.
보다 양기탁와 김필순
김학규 (1900년)
학규(金學奎, 1900년 11월 24일 ~ 1967년 9월 20일)는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며, 일제 강점기에 한국광복군에서 활동하였.
대한매일신보
매일신보 창간호 《대한매일신보(大韓每日申報)》는 1904년 2월에 일어난 러일 전쟁을 취재하기 위해 대한제국에 왔던 영국인 어니스트 베델이 양기탁을 비롯해 민족 진영 인사들에게 도움받아 1904년 7월 18일에 창간한 신문으로서 일제시대의 매일신보와 현재 서울신문의 전신이.
보다 양기탁와 대한매일신보
대한민국 임시 정부
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 1919년 ~ 1948년)는 1919년 3월 1일 경성(京城)에서 선포된 3·1 독립선언에 기초하여 일본 제국의 대한제국 침탈과 식민 통치를 부인하고 한반도 내외의 항일 독립운동을 주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1919년 4월 11일 중화민국 상하이에서 설립된 대한민국의 망명정부이.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각료
민국 임시정부의 각료는 1919년 4월부터 1948년 7월 22일까지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복무하였던 각료들의 명단이.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국무총리
민국 임시정부의 국무총리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선출한 국무총리로 초기에는 내각의 수반이었다가, 대통령제 확립 이후에는 2인자로, 이후에는 국무령이라는 이름으로 내각 수반 역할을 수행하다가, 주석제 설치 이후 국무령은 내각의 2인자로 지명되었.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수반 목록
민국 임시 정부의 수반 목록은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존재하던 기간의 대통령, 국무령, 주석의 명단이.
대한민국의 역사
민국은 해방이후 3년간의 미국, 소련의 신탁통치 중 신탁통치 후 정권을 잡으려는 세력간의 치열한 항쟁을 거쳐 김구, 이승만을 중심으로 하는 "임시정부" 세력이 주도권을 잡으면서 시작.
대원군 (드라마)
《대원군(大院君)》은 MBC 정통 사극 조선왕조 오백년 시리즈의 열한 번째이자 마지막 작품으로, 1990년 5월 6일부터 1990년 12월 23일까지 방영되었.
국채보상운동
국채 보상 운동(國債報償運動)은 일본 제국이 대한제국을 경제적으로 예속시키고자 제공한 차관 1300만원을 국민들이 갚고자 한 운동으로, 김광제, 서상돈 등이 제안하였.
보다 양기탁와 국채보상운동
남궁억
서 남궁억 선생상(속초초등학교) 남궁 억(南宮 檍, 1863년 12월 27일 ~ 1939년 4월 5일)은 대한제국 조선 왕조 말기의 교육자, 계몽운동가이며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교육가, 사회운동가, 시인, 작사가, 작곡가, 언론인이.
보다 양기탁와 남궁억
남자현
자현(南慈賢, 1872년 12월 7일 ~ 1933년 8월 22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
보다 양기탁와 남자현
나석주
석주(羅錫疇, 1892년 ~ 1926년 12월 28일)는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
보다 양기탁와 나석주
딜쿠샤
샤(Dilkusha) 또는 앨버트 테일러 가옥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2길 17(행촌동 1-88번지)에 자리잡고 있는 일제 강점기에 건축된 지상 2층 규모의 서양식 주택으로, 대한제국 및 일제 강점기 조선에서 활동하던 미국의 기업인 겸 언론인 앨버트 테일러와 그의 아내 메리 린리 테일러가 살던 곳이.
보다 양기탁와 딜쿠샤
노백린
백린 노백린(盧伯麟, 1875년 양력 2월 15일(음력 1월 10일)~1926년 양력 1월 22일)은 대한제국의 군인, 계몽사상가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비행사이.
보다 양기탁와 노백린
노익형
익형(盧益亨, 일본식 이름: 瑞原益亨)은 일제 강점기의 출판인이자 언론인이.
보다 양기탁와 노익형
장도빈
장도빈(張道斌, 1888년 10월 22일 ~ 1963년 9월 12일)은 한민족의 독립운동가이자 국학자이.
보다 양기탁와 장도빈
편강렬
의성단원들의 무죄 석방 보도, 구속된 의성단장 형의 강제 퇴거명령에 경찰에 협박장을 보낸 의성단, 독립운동 3단체의 통합 편강렬(片康烈, 1892년 ~ 1928년)은 한국의 항일운동가이.
보다 양기탁와 편강렬
이 달의 독립운동가
이 달의 독립운동가는 대한민국 국가보훈처가 선정하여 발표하는 한국의 독립운동가 명단이.
이동녕
이동녕(李東寧, 1869년 2월 17일 ~ 1940년 3월 13일)은 대한제국의 계몽운동가·언론인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였.
보다 양기탁와 이동녕
이동휘
이동휘(李東輝,, 1873년 6월 20일 ~ 1935년 1월 31일)는 대한제국의 군인, 정치가이자 한국의 사회주의 계열 독립운동가이.
보다 양기탁와 이동휘
이경희 (1880년)
이경희(李慶熙, 1880년 6월 11일 ~ 1949년 12월 4일)는 대한제국의 교육자이자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구한 말 신민회의 회원이자, 일제 강점기 당시 의열단과 신간회의 주요 멤버의 한 사람이.
이광 (1879년)
이광(李光, 1879년 ~ 1966년)은 대한민국의 항일독립운동가이.
이규풍
이규풍(李奎豊, 1865년 ~ 1932년)은 대한제국 말기와 일제 강점기 때의 독립 운동가로 만주와 시베리아 등지에서 활동하였.
보다 양기탁와 이규풍
이용익
이용익(李容翊, 1854년 ~ 1907년 2월)은 조선 말기, 대한제국의 정치인·관료·외교관이며 고려대학교의 전신인 보성학교의 설립자이.
보다 양기탁와 이용익
이승훈 (1864년)
이승훈 이승훈 (李昇薰, 1864년 3월 25일(음력 2월 18일) ~ 1930년 5월 9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이.
이회영
이회영(李會榮, 1867년 4월 21일 (음력 3월 17일) ~ 1932년 11월 17일)은 대한제국의 교육인, 사상가이자 일제 강점기의 한국의 아나키스트 계열의 독립운동가이.
보다 양기탁와 이회영
이유필
임시의정원 동료들과 함께. 앞줄 맨왼쪽 연두색 원이 이유필 이유필(李裕弼, 1885년 11월 28일~1945년 11월 29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가이.
보다 양기탁와 이유필
이상룡 (1858년)
이상룡(李相龍, 1858년 12월 28일 ~ 1932년 6월 15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며 본관은 고성(固城)이고 1925년 9월 24일부터 1926년 1월까지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국무령을 역임하였.
이상재
이상재(李商在, 1850년 10월 26일 ~ 1927년 3월 29일)는 조선후기, 대한제국의 정치인으로 개화파 운동가였으며, 일제 강점기 조선 시대의 교육자, 청년운동가,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 언론인이.
보다 양기탁와 이상재
이성림 (1900년)
이성림(李成林, 1900년 ~ ?)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 운동가, 대한민국의 공무원이.
이하영
이하영(李夏榮, 1858년 8월 15일 ~ 1929년 2월 27일)은 조선 말기의 통역관, 외교관이자 대한제국의 정치인, 일제 강점기의 기업인으로 일제로부터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보다 양기탁와 이하영
이필주
이필주(李弼柱, 1870년 1월 13일(1869년 음력 12월 12일) ~ 1942년 4월 21일)는 한국의 감리교 목사이며 독립운동가이.
보다 양기탁와 이필주
이시영 (1868년)
이시영(李始榮, 문화어: 리시영, 1868년 12월 3일 한성부 ~ 1953년 4월 17일)은 조선, 대한제국의 관료이자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며 교육자, 정치인이.
일제 강점기
일제강점기(1910년 8월 29일 ~ 1945년 8월 15일)는 한국의 역사에서 한국의 근현대사를 시대별로 나누었을 때 주요 시대 중 하나로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가 일본 제국의 식민 지배 아래 놓였던 시기이.
보다 양기탁와 일제 강점기
일제 강점기의 교육
일제 강점기의 한국의 교육은 1910년 8월 29일 한일합방조약부터 1945년 8월 15일 대한민국의 독립 사이에 있었던 교육현상과 교육기관의 양상을 의미.
의군부
의군부(義軍府)는 일제강점기 한국의 무장독립운동단체, 군정부(軍政府)이.
보다 양기탁와 의군부
제주 양씨
제주 양씨(濟州 梁氏)는 제주도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보다 양기탁와 제주 양씨
정의부
정의부(正義府)는 1924년 만주에서 조직되었던 항일 무장독립운동 단체, 군정부(軍政府)이.
보다 양기탁와 정의부
조선민족혁명당
당수 우사 김규식 조선민족혁명당은 상해 임시정부를 둘러싼 독립운동 단체들이 일본과 싸우기 위하여 통일동맹을 하여 만들어진 단체로 5당이 모여 결성이 되었.
보다 양기탁와 조선민족혁명당
조성환 (1875년)
이시영 조성환(曺成煥, 1875년 ~ 1948년 10월 7일)은 대한제국의 군인이자 일제 강점기 한국의 독립운동가이.
주시경
주시경(周時經, 1876년 12월 22일 ~ 1914년 7월 27일)은 조선의 언어학자이자 국문학자이.
보다 양기탁와 주시경
지청천
청천(池靑天, 1888년 2월 15일 ~ 1957년 1월 15일)은 일제 강점기 조선의 항일 독립운동가 겸 군인이었으며, 만주에서 독립군 활동을 지휘하다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광복군 창설에 참여하여 광복군사령관·광복군 총사령관 등을 역임하였고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는 정치가 겸 정당인으로 활동하였.
보다 양기탁와 지청천
차이석
이시영 차이석(車利錫, 1881년 ~ 1945년 9월)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이.
보다 양기탁와 차이석
채상덕
상덕(蔡相悳, ? ~ 1926년) 호는 심호(深湖), 황해도 사리원 출신이.
보다 양기탁와 채상덕
청년학우회
청년학우회(靑年學友會)는 1909년 2월부터 1910년 11월까지 활동한 청년 계몽운동 목적의 시민단체이자 신민회의 측면 조직 단체였.
보다 양기탁와 청년학우회
유동열
유동열 (柳東說, 1879년 3월 26일 ~ 1950년 10월 18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
보다 양기탁와 유동열
유길준
유길준(兪吉濬, 1856년 양력 11월 21일(음력 10월 24일) ~ 1914년 양력 9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외교관, 작가이며 대한제국의 정치가·개화 사상가·계몽운동가이.
보다 양기탁와 유길준
윤광선
윤광선, 1935년 윤광선(尹光善, 1898년 11월 17일 ~ 1950년)은 일제 강점기의 낙농, 경영인이자, 미군정기의 통역관이었.
보다 양기탁와 윤광선
윤기섭
1943년 5월 중경에서 열린 '재중 한인대회'에서. 사진 왼 쪽이 우사 김규식. 그 옆에 안경을 쓴 사람이 윤기섭 윤기섭(尹琦燮, 1887년 ~ 1959년)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이.
보다 양기탁와 윤기섭
윤치영
윤치영(尹致暎, 1898년 2월 10일 ~ 1996년 2월 9일)은 대한민국의 친일파겸 사상가, 정치인, 언론인이.
보다 양기탁와 윤치영
윤치오
윤치오(尹致旿, 1869년 9월 10일 ~ 1950년 12월 22일)는 구한말의 교육자이며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보다 양기탁와 윤치오
윤치호
윤치호(尹致昊, 일본식 이름:, 1865년 1월 23일 ~ 1945년 12월 9일)는 조선, 대한제국의 개혁, 민권운동가·문신이자 외교관·언론인·교육자, 한국의 정치가·교육자·사상가·언론인·종교가이며 기독교운동가였.
보다 양기탁와 윤치호
윤치성
윤치성(尹致晟, 1875년 음력 3월 2일 - 1936년 양력 8월 11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군인, 관료, 독립운동가이.
보다 양기탁와 윤치성
윤필오
윤필오(尹弼五, 1860년 음력 9월 10일 ~ 1924년 양력 3월 30일)는 대한제국의 교육인, 관료이자 일제 강점기 초기의 관료, 시민운동가였.
보다 양기탁와 윤필오
윤웅렬
윤웅렬(尹雄烈, 1840년 5월 18일(음력 4월 17일) ~ 1911년 양력 9월 22일)은 조선 말기의 무신, 군인이며 개화파 정치인, 대한제국의 계몽운동가이.
보다 양기탁와 윤웅렬
오동진 (1889년)
오동진(吳東振, 1889년 ~ 1944년신재홍(申載洪),, 국사편찬위원회, 1989년, 219~233쪽.)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
오성환 (1895년)
오성환(吳成煥, 1895년 8월 26일 ~ 1964년 7월 15일)은 일제 강점기 때의 독립 운동가로 고려혁명당을 세워 활동.
옥관빈
옥관빈(玉觀彬, 1887년? 1891년? - 1933년 8월 1일)은 대한제국의 계몽운동가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언론인, 기업인이었.
보다 양기탁와 옥관빈
현익철
현익철(玄益哲, 1890년 평안북도 박천 ~ 1938년 창사 남목청)은 일제 강점기의 대한민국의 독립 운동가이.
보다 양기탁와 현익철
현순
현순(玄楯, 1880년 2월 28일 ~ 1968년 7월 11일)은 일제 강점기 감리교회의 목사이며 한국의 독립운동가, 목회자이.
보다 양기탁와 현순
어니스트 베델
어니스트 토머스 베델(대한제국 성명(姓名): 裵說(배설), 1872년 11월 3일 ~ 1909년 5월 1일)은 1904년에서 1909년까지 대한제국에서 활동한 영국인 언론인, 신문기자이.
보다 양기탁와 어니스트 베델
서광범
서광범(徐光範, 1859년 11월 8일 ~ 1897년 7월 17일 또는 8월)은 조선 말기의 문신, 정치가이며 개화파 사상가이.
보다 양기탁와 서광범
서울신문
《서울신문》(서울新聞)은 현재 발간 중인 대한민국 신문 중 하나로, 일시적으로 《대한매일》(大韓每日) 제호로 발간하였.
보다 양기탁와 서울신문
서재필
서재필(徐載弼, 1864년 1월 7일 ~ 1951년 1월 5일, 미국 귀화명은 필립 제이슨(Philip Jaisohn))은 조선의 무신, 대한제국의 정치인, 언론인이자 미국 국적의 한국 독립운동가, 의사였.
보다 양기탁와 서재필
손정도
이시영 사이) 손정도(孫貞道, 1872년 7월 26일 ~ 1931년 2월 19일)는 한국의 독립운동가, 감리교 목사이.
보다 양기탁와 손정도
송병조
이시영 송병조(宋秉祚, 1877년 12월 23일 - 1942년 2월 2일)는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
보다 양기탁와 송병조
함태영
영(咸台永, 1873년 10월 22일 ~ 1964년 10월 24일)은 대한제국의 법관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종교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보다 양기탁와 함태영
한국의 독립운동
국의 독립운동(韓國-獨立運動)은 대한민국의 대표적 역사운동이.
안공근
안공근(安恭根, 1889년 7월 11일 ~ 1939년 5월 30일)은 일제강점기의 독립 운동가, 교육자이며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외교관이자 한인애국단의 조직에 참여하였.
보다 양기탁와 안공근
안정근
안정근(安定根, 1885년 1월 17일 ~ 1949년 3월 17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
보다 양기탁와 안정근
안창호
안창호(安昌浩, 1878년 11월 9일 ~ 1938년 3월 10일)는 대한제국의 교육개혁운동가 겸 애국계몽운동가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교육자, 정치가이.
보다 양기탁와 안창호
하응선
응선(河應善, ? ∼ 1884년 12월)은 조선 말기의 무신, 군인으로 갑신정변에 참여하였다가 정변 실패 후 홍영식, 박영교, 사관생도 7명과 함께 처형당.
보다 양기탁와 하응선
신민부
신민부(新民府)는 한국의 항일 독립운동단체, 군정부(軍政府)이.
보다 양기탁와 신민부
신민회
신민회(新民會)는 상동감리교회 부설 공옥학교의 교사들과 상동감리교회 담임목사였던 전덕기 목사를 중심으로 기독교 이념을 바탕으로 조직된 민족 운동을 위한 개신교 감리교회 및 장로교회 지원을 받은 항일 비밀결사.
보다 양기탁와 신민회
신흥무관학교
신흥무관학교(新興武官學校)는 1911년 서간도(길림성 류하현)에서 개교한 독립군 양성 기관으로, 현 경희대학교(慶熙大學校)의 전신이.
보다 양기탁와 신흥무관학교
신석린
신석린(申錫麟, 일본식 이름: 平林麟四朗, 1865년 1월 9일 ~ 1948년 2월 14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보다 양기탁와 신석린
홍병기
홍병기(洪秉箕, 1869년 11월 5일 ~ 1949년 1월 26일)는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
보다 양기탁와 홍병기
105인 사건
105인 사건(百五人事件)은 1911년에 일어난 일본이 한국의 민족운동을 탄압하기 위한 사건들 중 하나이.
보다 양기탁와 105인 사건
1911년
1911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양기탁와 1911년
1913년
1913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양기탁와 1913년
1926년
1926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양기탁와 1926년
4월 20일
4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0번째(윤년일 경우 111번째) 날에 해당.
보다 양기탁와 4월 20일
4월 5일
4월 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95번째(윤년일 경우 96번째) 날에 해당.
보다 양기탁와 4월 5일
또한 우강 양기탁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