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양자 전기역학

색인 양자 전기역학

양자장론에서, 양자 전기역학(量子電氣力學, quantum electrodynamics, 약자 QED)은 고전 전자기학을 양자화하여 얻는 이론이.

64 처지: CP 위반, CPT 정리, 러시아 과학자의 목록, 도모나가 신이치로, 동전기학, 로이 J. 글라우버, 리처드 파인만, 미세 구조 상수, 게이지 보손, 게이지 이론, 보른-인펠트 이론, 별난 원자, 변칙 (물리학), 광자, 블라디미르 포크, 글루온, 굴절, 나라별 노벨상 수상자 목록, 디랙 방정식, 디랙 연산자,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목록, 스튀켈베르크 작용, 우주, 슈윙거 모형, 자기 홀극, 자기회전비율, 자이베르그-위튼 불변량, 자외선 파탄, 장 (물리학), 재규격화군, 힘 (물리), 페르마의 원리, 페예-일리오풀로스 모형, 이휘소, 적분가능계, 적외선 문제, 점근 자유성, 점입자, 전자기장, 전자기파, 전하 켤레 대칭, 줄리언 슈윙거, 차단 (물리학), 초선택 규칙, 콜먼-맨듈라 정리, 콜먼-와인버그 모형, 파울리-빌라르 조절, 휘호 테트로더, 색가둠, 양-밀스 이론, ..., 양자 맥놀이, 양자광학, 양자장론, 양자역학, 양자화 (물리학), 사승 상호작용, 사카타 쇼이치, 사쿠라이 상, 플럭손, 프리먼 다이슨, 섭동 이론 (양자역학), 약한 상호작용, 원자 단위계, QED.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4 더) »

CP 위반

물리학에서 CP 대칭성 깨짐(CP violation)은 물리적 현상이 패리티 대칭(P)과 전하 켤레 대칭(C)을 조합한 CP 대칭을 깨는 것이.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CP 위반 · 더보기 »

CPT 정리

양자장론에서, CPT 정리(-定理)란 모든 상대론적 양자장론은 CPT 대칭을 따른다는 정리.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CPT 정리 · 더보기 »

러시아 과학자의 목록

'''카를 에른스트 폰 베어'''.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러시아 과학자의 목록 · 더보기 »

도모나가 신이치로

모나가 신이치로(1906년 3월 31일 ~ 1979년 7월 8일)는 일본의 물리학자이.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도모나가 신이치로 · 더보기 »

동전기학

동전기학(動電氣學)은 전하와 전류 사이의 전자기적 성질을 다루는 학문이.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동전기학 · 더보기 »

로이 J. 글라우버

이 제이 글라우버(1925년 9월 1일~) 는 미국인 물리학자이.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로이 J. 글라우버 · 더보기 »

리처드 파인만

리처드 필립스 파인만(/ˈfaɪnmən/|파인먼, 1918년 5월 11일 ~ 1988년 2월 15일)은 미국의 물리학자이.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리처드 파인만 · 더보기 »

미세 구조 상수

미세 구조 상수(微細構造常數,, 기호 α) 또는 조머펠트 미세 구조 상수(Sommerfeld -)는 전자기력의 세기를 나타내는 물리상수.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미세 구조 상수 · 더보기 »

게이지 보손

이지 보손()은 게이지 이론에서 힘을 매개하는 보손이.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게이지 보손 · 더보기 »

게이지 이론

양자장론에서, 게이지 이론()이란 그 라그랑지언이 국소적으로 대칭인 장론이.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게이지 이론 · 더보기 »

보른-인펠트 이론

이론물리학에서, 보른-인펠트 이론(Born-Infeld異論)은 비선형 전자기 이론의.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보른-인펠트 이론 · 더보기 »

별난 원자

별난 원자(exotic atom)는 원자에서 일부 아원자 입자가 같은 전하의 다른 입자로 대체된 물질이.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별난 원자 · 더보기 »

변칙 (물리학)

양자론에서, 변칙(變則, 어노멀리)이란 이론의 고전적 작용의 대칭이 양자화를 거치면서 깨지는 현상이.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변칙 (물리학) · 더보기 »

광자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광자 · 더보기 »

블라디미르 포크

블라디미르 알렉산드로비치 포크 (1898–1974)는 러시아의 물리학자.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블라디미르 포크 · 더보기 »

글루온

온(), 접착자(接着子), 또는 붙임알은 강한 상호작용을 매개하는 기본입자.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글루온 · 더보기 »

굴절

컵 뒤의 무늬가 굴절에 의해 일그러져 보인다. 굴절(屈折)은 파동이 매질의 경계에서 속도 차이로 인해 방향을 바꾸는 현상을 말.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굴절 · 더보기 »

나라별 노벨상 수상자 목록

국가별 노벨상 수상자 목록은 1901년 부터 수여되고 있는 노벨상의 나라별 수상자 및 단체의 목록이.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나라별 노벨상 수상자 목록 · 더보기 »

디랙 방정식

랙 방정식(Dirac 方程式)은 스핀이 ½인 페르미온을 나타내는 상대론적 양자 파동 방정식이.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디랙 방정식 · 더보기 »

디랙 연산자

미분기하학과 이론물리학에서, 디랙 연산자(Dirac演算子)는 라플라스 연산자의 제곱근인 미분 연산자이.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디랙 연산자 · 더보기 »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목록

음은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사람 목록이.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목록 · 더보기 »

스튀켈베르크 작용

스튀켈베르크 작용()은 질량을 가진 벡터장이 실수 스칼라장에 1차원 가환 아핀 표현으로 작용하는 이론이.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스튀켈베르크 작용 · 더보기 »

우주

우주(宇宙)란 과학적으로 또는 철학적으로 존재하는 모든 것의 총체라 정의 할 수도 있. 표준국어대사전은 무한한 시간과 만물을 포함하고 있는 끝없는 공간의 총체로 정의..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우주 · 더보기 »

슈윙거 모형

양자장론에서, 슈윙거 모형()은 디랙 페르미온을 가진 2차원 양자 전기역학이.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슈윙거 모형 · 더보기 »

자기 홀극

항상 자석은 쪼개어질 경우 다른 N극과 S극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아무리 잘게 조게고 어떠한 조건을 달아도 양극은 항상 존재하게 된다. 그렇다면 한 극만을 지니는 입자 혹은 물질은 존재할 수 없는가? 이에 대한 논의는 곧 가장 기초적이고 기본적인 물리학의 논의로 파고들게 되고, 새로운 입자의 존재에 대해 예측하게끔 했다. 지금까지도 이에 대한 논의는 이루어지고 있으며, 근 100년 전부터 이루어진 예측들은 자기 홀극의 존재의 필연성 혹은 수많은 예측들을 낳았다. 자기 홀극(磁氣홀極, magnetic monopole)은 홀극의 꼴의 자기장을 만드는 가상의 물질 또는 입자이.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자기 홀극 · 더보기 »

자기회전비율

자기회전비율(磁氣回轉比率, gyromagnetic ratio, magnetogyric ratio)은 어떤 물체나 계의 자기모멘트와 각운동량의 비이.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자기회전비율 · 더보기 »

자이베르그-위튼 불변량

위상수학에서, 자이베르그-위튼 불변량(זייברג-Witten不變量)은 4차원 매끄러운 다양체의 불변량의 하나로, 게이지 이론의 자기 홀극 모듈러스 공간의 성질을.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자이베르그-위튼 불변량 · 더보기 »

자외선 파탄

자외선 파탄은 고전적인 이론에서 레일리-진스 법칙에 따른 이상적인 흑체의 복사 에너지를 계산할 때 짧은 파장대에서 보이는 오류를 의미한다. 레일리-진스 법칙에 따른 검은선과, 플랑크 법칙에 따른 파란선을 비교하면 오류가 확연히 드러난다. 자외선 파탄은 고전적인 복사 이론에서 자외선보다 짧은 파장대의 복사가 실제보다 과대하게 예측되어 에너지가 무한대가 되어 버리는 것을 의미.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자외선 파탄 · 더보기 »

장 (물리학)

막대자석의 자기장 장(場, field)또는 마당이란 공간상의 각 지점마다 다른 값을 갖는 물리량을 일컫는 용어이.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장 (물리학) · 더보기 »

재규격화군

양자장론과 응집물질물리학에서, 재규격화군(再規格化群, renormalization group, 약자 RG) 또는 되맞춤군은 주어진 계가 서로 다른 눈금에서 관측하였을 때 서로 다른 현상이 나타나는 정도를 나타내는 수학적.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재규격화군 · 더보기 »

힘 (물리)

물리학에서 힘(프랑스어, 영어: Force)은 물체의 운동, 방향 또는 구조를 변화시키는 원인이.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힘 (물리) · 더보기 »

페르마의 원리

르마의 원리(Fermat's principle)는 빛의 진행 경로에 대한 설명으로, 빛은 최단 시간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택한다는 것이.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페르마의 원리 · 더보기 »

페예-일리오풀로스 모형

예-일리오풀로스 모형()은 초대칭을 기본적 벡터 초장의 D항으로 깨는 모형이.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페예-일리오풀로스 모형 · 더보기 »

이휘소

벤저민 휘소 리(1935년 1월 1일 ~ 1977년 6월 16일) 또는 한국명 이휘소(李輝昭)는 일제 강점기 조선에서 태어난 한국계 미국인 이론물리학자이.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이휘소 · 더보기 »

적분가능계

수학과 물리학에서, 적분가능계(積分可能系) 또는 가적계(可積系) 또는 가적분계(可積分系)는 대략 무한한 수의 운동 상수들이 존재하여, 완전히 풀 수 있는 계를 뜻. 여러 가지 정의가 있으나, 고전역학적 계의 경우 보통 리우빌 적분가능성()을 의미.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적분가능계 · 더보기 »

적외선 문제

적외선 문제(赤外線問題)은 양자전기역학 등의 양자장론에서 아주 낮은 에너지를 가진 가상광자에 의하여 각종 파인만 도표의 값이 무한하게 되는 문제.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적외선 문제 · 더보기 »

점근 자유성

점근 자유성(漸近自由性, asymptotic freedom)은 높은 에너지 눈금에서 결합 상수가 0으로 수렴하는 현상을 말. 따라서 높은 에너지에서는 게이지 힘을 느끼는 입자는 마치 자유입자처럼 행동하나, 낮은 에너지에서는 그렇지 않. 이에 따라, 높은 에너지에서는 건드림이론을 적용할 수 있으나, 낮은 에너지에서는 그렇지 않. 대표적인 예로 양자색역학과 비선형 시그마 모형이 있. 재규격화군 이론에 따르면, 높은 에너지 눈금에서 결합상수는 무한대로 발산하거나, 0으로 수렴하거나, 아니면 어떤 유한한 값으로 수렴할 수 있. 첫 번째 경우는 이론이 그 눈금을 벗어나면 더 이상 적용할 수 없다는 것을 뜻하고, 결합상수가 발산하는 눈금을 "란다우 눈금"이라고 부른.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점근 자유성 · 더보기 »

점입자

점입자(占粒子, 이상적 입자)는 물리학에서 매우 여러 분야에 걸쳐 사용되며 하나의 이상입자.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점입자 · 더보기 »

전자기장

전자기장(電磁氣場, electromagnetic field, 약자 EMF)은 벡터장인 전기장과 자기장을 총칭하여 이르는 말이.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전자기장 · 더보기 »

전자기파

횡파라고 볼 수 있다. 위 그림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진행하는 직선 편광된 전자기파를 보여준다. 전기장은 수직 평면에서 진동하고 자기장은 수평 평면에서 진동한다. 전자기파에서 전기장과 자기장은 위상이 같고 항상 서로 90°를 이룬다. 전자기파(電磁氣波) 또는 전자기복사(電磁氣輻射, Electromagnetic radiation, EMR)는 특정 전자기적인 과정에 의해 복사되는 에너지이.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전자기파 · 더보기 »

전하 켤레 대칭

양자장론에서, 전하 켤레 대칭(charge conjugation symmetry) 또는 C-대칭(C-symmetry)은 입자를 같은 스핀을 가지는 반입자로 바꾸는 대칭이.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전하 켤레 대칭 · 더보기 »

줄리언 슈윙거

줄리언 시모어 슈윙거(1918년 2월 12일-1994년 7월 16일)는 미국의 이론 물리학자.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줄리언 슈윙거 · 더보기 »

차단 (물리학)

물리학에서, 차단(遮斷)는 어떤 물리량의 계산 과정에서 부여하는 최대 및 최솟값이.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차단 (물리학) · 더보기 »

초선택 규칙

양자역학에서, 초선택 규칙(超選擇規則)은 특정한 꼴의 중첩 상태의 존재를 막는 규칙이.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초선택 규칙 · 더보기 »

콜먼-맨듈라 정리

양자장론에서, 콜먼-맨듈라 정리()은 대부분의 이론에서는 각운동량과 4차원 운동량을 제외한 모든 연속적 보존량은 로런츠 스칼라라는 정리.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콜먼-맨듈라 정리 · 더보기 »

콜먼-와인버그 모형

양자장론에서, 콜먼 와인버그 모형은 복사보정으로 인하여 자발 대칭 깨짐이 일어나는 스칼라 양자 전기역학 모형이.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콜먼-와인버그 모형 · 더보기 »

파울리-빌라르 조절

울리-빌라르 조절(-調節)은 실재하지 않는 아주 무거운 입자를 삽입하는, 조절의 한 방법이.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파울리-빌라르 조절 · 더보기 »

휘호 테트로더

휘호 마르틴 테트로더(1895–1931)는 네덜란드의 이론물리학자이.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휘호 테트로더 · 더보기 »

색가둠

물리학에서, 가둠()이란 어떤 게이지 이론의 모든 유한한 에너지 상태가 게이지 불변인 성질이.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색가둠 · 더보기 »

양-밀스 이론

양-밀스 이론()은 리 군 SU(n)을 기반으로 하는 게이지 이론이.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양-밀스 이론 · 더보기 »

양자 맥놀이

물리학에서 양자 맥놀이 (Quantum beats) 현상은 준고전이론으로는 설명되지 않지만 양자적 계산, 특히 QED에 의해서 설명되는 간단한 예이.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양자 맥놀이 · 더보기 »

양자광학

양자광학(量子光學)은 광학의 한 분야로, 빛의 특성과 매질과의 상호 작용을 양자 역학적 관점에서 설명.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양자광학 · 더보기 »

양자장론

물리학에서, 양자장론(量子場論) 혹은 양자 마당 이론은 장을 기술하는 양자 이론이.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양자장론 · 더보기 »

양자역학

양자역학(量子力學)은 분자, 원자, 전자, 소립자와 미시적인 계의 현상을 다루는 즉, 작은 크기를 갖는 계의 현상을 연구하는 물리학의 분야이.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양자역학 · 더보기 »

양자화 (물리학)

물리학에서, 양자화(量子化)란 좁은 의미에서 거시적으로 연속적인 양을 어떤 기본 단위(양자)의 정수배로 측정하는 양으로 재해석하는 것을 뜻. 예를 들어, 고전적으로 연속적으로 나타내어지는 전하는 미지적으로는 기본전하의 정수배(혹은 쿼크의 경우 ⅓배)로 나타내어.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양자화 (물리학) · 더보기 »

사승 상호작용

양자장론에서, 4승 상호작용(四乘相互作用, quartic interaction)이란 그 라그랑지안이 \phi^4꼴의 상호작용 항을 포함하는 스칼라장 φ를 다루는 이론이.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사승 상호작용 · 더보기 »

사카타 쇼이치

사카타 쇼이치(1911년 1월 18일 ~ 1970년 10월 16일)는 일본의 물리학자이며 전 나고야 대학 교수이.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사카타 쇼이치 · 더보기 »

사쿠라이 상

2010년 사쿠라이 상 수상자 J. J. 사쿠라이 이론 입자 물리학상(J.)은 이론 입자물리학에서 뛰어난 업적을 기리는 상이.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사쿠라이 상 · 더보기 »

플럭손

럭손()은 전자기 선속의 양자이.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플럭손 · 더보기 »

프리먼 다이슨

리먼 존 다이슨(1923년 12월 15일 ~)은 영국 태생의 미국인 물리학자이자 수학자이.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프리먼 다이슨 · 더보기 »

섭동 이론 (양자역학)

양자역학에서, 섭동 이론(perturbation theory, 攝動理論) 또는 미동 이론(微動理論)이란 해밀토니언에 작은 항이 더해졌을 때 그 에너지 준위 등이 바뀌는 정도를 다루는 이론이.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섭동 이론 (양자역학) · 더보기 »

약한 상호작용

약한 상호작용(弱 - 相互作用)은 물리학의 네 가지 기본상호작용 중 하나이.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약한 상호작용 · 더보기 »

원자 단위계

원자 단위계(au)는 원자 물리학, 전자기학, 양자전기역학등에서 자주 쓰이는 단위로써 전자의 특성에 보다 집중하기 위한 단위계이.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원자 단위계 · 더보기 »

QED

QED는 다음과 같은 뜻을 가지고 있.

새로운!!: 양자 전기역학와 QED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양자 전기 역학, 양자 전자 역학, 양자전기역학, 양자전자역학.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