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언어학

색인 언어학

일반적으로 언어학(言語學)은 인간의 언어를 연구하는 학문이.

316 처지: CFG, DOAJ, 러시아어 로마자 표기법, 럿거스 대학교, 람다 대수, 래리 월, 랑그와 파롤, 데네예니세이어족, 데이비드 멈퍼드, 데이비드 크리스털, 더하기표와 빼기표, 돌간인, 동도베라이어족, 동명사, 동계어, 동부 남슬라브어군, 동일성, 동사 (품사),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 레프 비고츠키, 로린 마젤, 로버트 블러스트, 로지반 문법, 루트비히 라이히하르트, 루살로메, 뤼스 이리가레, 르네 드 소쉬르, 류드밀라 푸티나, 리버럴 아츠 칼리지, 리처드 프랜시스 버턴, 린위탕, 링귀스트 리스트, 말뭉치, 말뭉치 언어학, 매사추세츠 대학교 애머스트, 마르크 후츠코, 마르톤피 페렌츠, 마르틴 루터, 마르틴 하이데거, 마리 스미스 존스, 마사이족, 모리스 할레, 모어, 명사 (품사), 문법, 문법 교수, 문장 (언어학), 문체, 문체론, 문화간 의사소통, ..., 미승우, 각룡류, 방언학, 개별언어학, 발화효과행위, 발화행위, 반지의 제왕, 반사역, 반사역 구문, 간잠 벵카타수바이아, 간음 (동음이의), 강범모, 박트리아-마르기아나 고고학적 복합체, 박승빈, 강영세, 가산, 거대담론, 베르나쿨라, 베른하르드 칼그렌, 결정적 시기 가설, 게랄트 괴팅, 게오르기우스 아그리콜라, 버트런드 러셀, 버줌, 고대 그리스의 교육,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고종석, 고증학, 과학혁명의 구조, 과학사, 복수 (동음이의), 공시언어학, 병속의 글월, 변별적 자질, 변형생성문법의 이론, 부호전환, 그래머톨러지, 그림 형제, 기계 번역, 기초과학, 브라질의 역사, 비교언어학, 김중종, 김선기 (1907년), 대모음 추이, 대한민국의 학술지 목록, 구문 분석, 구조주의, 구조주의 언어학, 구성주의, 국제 음성 기호, 국제 언어학 올림피아드, 국제 SIL, 국제한국언어학회, 국어, 국어의 서법, 남아프리카 공화국, 내파음, 난독증, 나무 (동음이의), 나비어, 등어선, 드라비다한국어족, 디미트리에 칸테미르, 노엄 촘스키, 노아즈 노츠, 논리학의 역사, 논항 돌출 위계, 다중심언어, 다야스 도쿠가와가, Forvo, 스뫼르고스보르드, 스와스모어 칼리지, 용어 색인, 우비흐어, 우크라이나계 캐나다인, 튜플, 회화체 보조어, 요나스 바사나비추스, 요스트 기퍼트, 요세프 융만, 힐데가르디스 빙겐시스, 자오위안런, 잠바티스타 비코, 장자 (책), 장자크 나티에, 장영준 (언어학자),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히다시 유디트, 페르시아어, 페니키아, , 크림 고트어, 포스트구조주의, 폴 키파스키, 이론언어학, 이마누엘 칸트, 이민행 (1959년), 이넉 파월, 이희승, 이윤재 (1888년), 이온 코테아누, 이산어, 인도 문화권, 인도유럽조어, 인도유럽어족, 인류학, 인문 계열, 인문주의 시대의 교육, 인문학, 인지과학, 인지언어학, 인지심리학, 일치 위계, 일선동조론, 음운론, 음성학, 의미, 의미론, 젠더 (동음이의), 제노글로시, 제임스 글릭, , 전사 (언어학), 전산언어학, 정문과 비문, 정보 이론, 정진숙 (출판인), 정순기, 저우유광, 조동사, 조지 레이코프, 조지 킹슬리 지프, 조선 세종, 조선의 어문학, 조선상고사감, 존 랭쇼 오스틴, 존 맥스웰 쿳시, 졸탄, 종교학, Σ, 주제 우세 언어, 주석학, 주시경, 지혜의 집, 지프의 법칙, 찰스 케이 오그던, 창의성, 천국의 발견, 카 포스카리 베네치아 대학교, 카렐리야인, 카렐리야어, 캘빈 칼리지, 캅카스 알바니아, 컴퓨터 과학, 코끼리는 생각하지 마, 코다이 졸탄, 쿠르간 가설, 유피테르, 유한 상태 기계, 파벨 요제프 샤파리크, 파드레 파드로네, 파울 게오르크 폰 묄렌도르프, 파푸아뉴기니, 융합과학, 위격, 상2단활용, 상흔, 생물언어학, 생물성 위계, 탄자니아, 타밀족, 타밀어, , 수 (문법), 수동태, 영어, 오노 스스무, 예일 로마자 표기법, 현대 과학, 형용사, 형태소, 형식 언어, 형식과학, 최적성 이론, 최현배, 어족, 어파, 어휘론, 어역, 어학, 언론정보학, 언어, 언어 본능, 언어의 사멸, 언어지리학, 언어행위, 언어학대사전, 행위자 (문법), 행위자 명사, 얀 니에치스와프 보두앵 드 쿠르트네, 에르네스트 르낭, 에른스트 비그포르스, 에릭 도널드 허시 2세, 에드워드 클리마, 에스놀로그, 에식스 대학교, 헤르만 그라스만, 헤르만 파울, 여러 언어에서의 파랑과 초록의 구별, 헬레나 노르베리 호지, 여성학, 역사언어학, 허웅 (1918년), 엄마와 아빠, 키릴로스 (9세기), 사모트라케의 아리스타르코스, 삶의 정황, 삼한어, 프랑크푸르트 대학교, 프로발 다슈굽토, 프로타고라스, 석주명, 터키어 로마자, 세라 로런스 칼리지, 서법, 서진규, 서수 (언어학), 서양 철학, 속담, 토머스 쿤, 토머스 영, 앨버트 갤러틴, 야코프 그림, 알렉산드라 마리아 라라, 알렉산드르 홀로도비치, 알고리즘, 한국십진분류법, 안재홍, 안토니오 그람시, 안티스테네스, 아라이 하쿠세키, 아브자드, 아누만 라차톤, 아이신기오로 울히춘, 학문 목록, 앙드레조르주 오드리쿠르, 텍스트언어학, 셈족, 신경과학, 신경언어학, 신숙주, 심리언어학, 시릴 노먼 힌셜우드, 시제, 시씨식사사, 워드 웨이즈, 움베르토 에코, 외래어, 외국어, 화제화, 와타나베 쇼이치, J. R. R. 톨킨, 1928년, 1948년, 7월 11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266 더) »

CFG

CFG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언어학와 CFG · 더보기 »

DOAJ

스웨덴의 룬드 대학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DOAJ(Directory of Open Access Journal)는 이용자가 무료로 정기간행물의 모든 내용을 읽고, 다운로드하고, 복사하고, 배포하고, 인쇄할 수 있. 이 사이트는 공공자금을 받아서 운영.

새로운!!: 언어학와 DOAJ · 더보기 »

러시아어 로마자 표기법

시아어를 로마자로 표기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 학계에서는 오랫동안 학술 전자법을 사용해 왔으며 이에 기초하여 만들어진 러시아의 국가표준()은 유엔에서 공식적으로 채택되어 사용되고 있. 마찬가지로 학술 전자법에 기초하여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는 모든 키릴 문자로 된 텍스트를 전자할 수 있는 표준안을 제정하였.

새로운!!: 언어학와 러시아어 로마자 표기법 · 더보기 »

럿거스 대학교

럿거스 대학교(Rutgers University)는 미국 뉴저지 주에 위치 해 있으며, 뉴저지 주에서는 그 규모면에서 가장 큰 고등 교육기관이.

새로운!!: 언어학와 럿거스 대학교 · 더보기 »

람다 대수

수(λ-calculus, lambda-calculus)는 이론 컴퓨터과학 및 수리논리학에서 변수의 네임 바인딩과 대입의 방법을 이용하여 함수 정의, 함수 적용, 귀납적 함수 추상화를 수행하고 수학 연산을 표현하는 형식 체계이.

새로운!!: 언어학와 람다 대수 · 더보기 »

래리 월

리 월 래리 월(Larry Wall, 1954년 9월 27일 ~)은 컴퓨터 프로그래머이자 저자로, 1987년 펄 프로그래밍 언어를 작성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

새로운!!: 언어학와 래리 월 · 더보기 »

랑그와 파롤

랑그(Langue)와 파롤(Parole)은 구조주의 언어학의 시초인 소쉬르가 처음 사용한 낱말들로, 언어활동(불어: langage)에서 사회적이고 체계적 측면을 랑그라고 하였고 개인적이고 구체적인 발화의 실행과 관련된 측면을 파롤이라고 불. 랑그와 파롤은 서로 상반되지만 서로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

새로운!!: 언어학와 랑그와 파롤 · 더보기 »

데네예니세이어족

예니세이어족(Dene-Yeniseian languages)은 북아메리카의 나데네어족과 북아시아 시베리아의 예니세이어족을 하나의 어족으로 보았을 때의 가설상의 어족이.

새로운!!: 언어학와 데네예니세이어족 · 더보기 »

데이비드 멈퍼드

이비드 브라이언트 멈퍼드(1937년 6월 11일~)는 미국의 수학자로, 대수기하학과 패턴론의 연구로 유명.

새로운!!: 언어학와 데이비드 멈퍼드 · 더보기 »

데이비드 크리스털

이비드 크리스털(1941년 7월 6일 ~)은 영국의 언어학자이.

새로운!!: 언어학와 데이비드 크리스털 · 더보기 »

더하기표와 빼기표

thumb 더하기표(+)와 빼기표(−)는 각각 덧셈(+)과 뺄셈(−)을 나타내는 기호로, 그 외에도 양(陽)과 음(陰), 이익과 손실, 초과와 부족, Rh식 혈액형 등 여러 가지 뜻을 나타내기 위해 쓰이는 기호이.

새로운!!: 언어학와 더하기표와 빼기표 · 더보기 »

돌간인

인 (가끔은 долган, тыа-кихи, саха)은 타이미르 자치구와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에 거주하는 투르크계 민족이.

새로운!!: 언어학와 돌간인 · 더보기 »

동도베라이어족

동도베라이어족은 뉴기니 섬의 도베라이 반도의 3개 언어로 이루어진 어족으로 2천여 명 달하는 사람들만이 이 어족의 언어들을 사용하고 있.

새로운!!: 언어학와 동도베라이어족 · 더보기 »

동명사

동명사는 언어학에서의 준동사의 일종으로, 인구어로 동사가 명사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사용되게 되는 것. 그 때문에, 글 안에서 주어나 목적어가 될 수 있. 동사로서의 기능도 그대로 가지고 있고, 목적어, 보어, 부사구를 수반할 수 있어 명사구를 형성.

새로운!!: 언어학와 동명사 · 더보기 »

동계어

언어학에서, 동계어 (同系語, cognates co-+gnatus, 예) nasci '태어나다')는, 어느 한 단어가, 다른 한개의 언어와 일치하는 기원이 있는 단어로서, 이는 이 단어가 다른 언어의 단어들과 함께 (아마도 공통조상어의) 원래의 어느 단어에서 변화되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자면, 영어 단어 night(밤)는, 다른 언어에 있는 단어들(예) 프랑스어 nuit, 독일어 nackt, 산스크리트어의 nakti-)과 같은 어원을 가진다, 일상적으로 사용할 때는, 단순히 단어간의 동의어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동계어는 굳이 같은 의미를 가질 필요는 없다. dish (접시,영어)나 Tisch (탁자,독일어), starve(굶주리다, 영어)나 sterben(죽다, 독일어), head (머리, 영어)나 chef (우두머리/머리, 프랑스어) 의 경우는, 동계어라는 용어가 의미 분화가 일어나 결국 전혀 다른 단어가 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게다가 다른 의미를 지니고 있는, 언어적인 변화를 거친 동계어는 아예 발음상으로도 닮아 있지 않을 수 있다. cow (소)와 beef(소고기)는 둘다 똑같은 인도-유럽어족적인 루트 *gou- 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 cow의 경우에는 독일어족을 통해 발달되었지만, beef의 경우에는 이탈리아어파와 로망스어군을 거쳐 영어에 편입되었다. 또한, 동계어는 다른 언어에서 가져온 외래어에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영어의 To pay (돈을 내다)와 프랑스어의 payer가 유사한 것은 영어가 프랑스와 같이 갈리아-로망스어에서 분화된 노르웨이어의 단어에서 이를 빌려 온 데에서 기인한다.

새로운!!: 언어학와 동계어 · 더보기 »

동부 남슬라브어군

동부 남슬라브어군은 발칸 반도 동쪽의 불가리아, 마케도니아 공화국 지역의 슬라브어파 언어들의 어군이.

새로운!!: 언어학와 동부 남슬라브어군 · 더보기 »

동일성

동일성(同一性, , 아이덴티티)은 다른 사물에서 대립구분되면서 변함없이 동등하게 존재하는 개개의 성질을 말. 그러한 대립구분되는 개개의 성질이 없다는 의미를 가진 차이성과는 대립되는 용어이.

새로운!!: 언어학와 동일성 · 더보기 »

동사 (품사)

동사(動詞, Verb) 또는 움직이는 사람이나 사물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품사이.

새로운!!: 언어학와 동사 (품사) · 더보기 »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

온 바티스타 알베르티(Leon Battista Alberti, 1404년 2월 18일 ~ 1472년 4월 25일)는 이탈리아 초기 르네상스의 철학자이자 건축가이.

새로운!!: 언어학와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 · 더보기 »

레프 비고츠키

비고츠키(Lev Semenovich Vygotsky, Лев Семенович Выготский, 1896년 11월 17일 ~ 1934년 6월 11일)는 구소련의 심리학자로, 벨라루스 출신이.

새로운!!: 언어학와 레프 비고츠키 · 더보기 »

로린 마젤

린 마젤(Lorin Varencove Maazel, 1930년 3월 6일 ~ 2014년 7월 13일 《연합뉴스》 2014년 7월 14일 강의영 기자.)은 프랑스 출신의 미국 지휘자, 바이올린 연주자 및 작곡가이.

새로운!!: 언어학와 로린 마젤 · 더보기 »

로버트 블러스트

버트 앤드루 블러스트( 1940년 ~)는 미국의 언어학자로 역사언어학, 사전 편찬, 민족학 등 여러 영역에 걸쳐 연구 활동을 하였.

새로운!!: 언어학와 로버트 블러스트 · 더보기 »

로지반 문법

반은 술어논리를 토대로 한 인공어이.

새로운!!: 언어학와 로지반 문법 · 더보기 »

루트비히 라이히하르트

비히 라이히하르트(1813년 10월 23일 ~ 1848년 4월 3일경)는 독일의 지리학자이자, 탐험가이.

새로운!!: 언어학와 루트비히 라이히하르트 · 더보기 »

루살로메

살로메 루 안드레아스살로메(Lou Andreas-Salomé, 1861년 2월 12일 ~ 1937년 1월 5일)는 독일의 작가이자 정신분석학자이.

새로운!!: 언어학와 루살로메 · 더보기 »

뤼스 이리가레

스 이리가레(Luce Irigaray, 1932년~)는 벨기에에서 태어난 페미니스트, 철학자, 언어학자, 정신분석학자이자 문화이론가이.

새로운!!: 언어학와 뤼스 이리가레 · 더보기 »

르네 드 소쉬르

르네 드 소쉬르(1868–1943)는 스위스의 수학자이자 에스페란티스토이.

새로운!!: 언어학와 르네 드 소쉬르 · 더보기 »

류드밀라 푸티나

밀라 알렉산드로브나 푸티나(1958년 2월 6일 ~)는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전 영부인이.

새로운!!: 언어학와 류드밀라 푸티나 · 더보기 »

리버럴 아츠 칼리지

리버럴 아츠 칼리지(liberal arts college)는 일반적으로 미국의 4년제 대학 중 학부 중심 대학으로서 전공과 더불어 리버럴 아츠 프로그램을 중요한 교과 과정으로 운영하는 대학을 말. 리버럴 아츠(liberal arts)라 함은 고전 그리스의 전통에서 내려오는 자유롭고 폭넓은 학문 수양을 뜻. 리버럴 아츠 교육은 유럽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지만, 현재는 미국의 대학 교육 기관들이 강하게 연계된 교육 시스템으로 뿌리를.

새로운!!: 언어학와 리버럴 아츠 칼리지 · 더보기 »

리처드 프랜시스 버턴

리처드 프랜시스 버턴 (1890년) 리처드 프랜시스 버턴 경(KCMG, 1821년 3월 19일 ~ 1890년 10월 20일)은 영국의 탐험가, 인류학자, 작가, 언어학자, 번역가, 군인, 외교관이.

새로운!!: 언어학와 리처드 프랜시스 버턴 · 더보기 »

린위탕

린위탕(林語堂: 임어당, 1895년 10월 10일 ~ 1976년 3월 26일)은 중국의 소설가이자 문명비평가이.

새로운!!: 언어학와 린위탕 · 더보기 »

링귀스트 리스트

링귀스트 리스트(LINGUIST List)는 대규모 온라인 언어학 정보 자료집이.

새로운!!: 언어학와 링귀스트 리스트 · 더보기 »

말뭉치

말뭉치 또는 코퍼스()는 자연언어 연구를 위해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언어의 표본을 추출한 집합이.

새로운!!: 언어학와 말뭉치 · 더보기 »

말뭉치 언어학

말뭉치언어학()은 '실제 언어' 혹은 실제 언어의 샘플을 이용하여 언어를 공부하는 응용언어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언어학와 말뭉치 언어학 · 더보기 »

매사추세츠 대학교 애머스트

매사추세츠 대학교 애머스트 캠퍼스(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는 매사추세츠 주의 애머스트 대학가에 위치한 주립 대학으로 매사추세츠 대학교의 5개의 캠퍼스(보스턴, 로우웰, 다트머스, 의과대학)중 중심이 되는 메인 캠퍼스이.

새로운!!: 언어학와 매사추세츠 대학교 애머스트 · 더보기 »

마르크 후츠코

Mark Hučko (2008) 마르크 후츠코(1947년 9월 15일, 브라티슬라바)는 슬로바키아의 언어학자이.

새로운!!: 언어학와 마르크 후츠코 · 더보기 »

마르톤피 페렌츠

마르톤피 페렌츠 (부다페스트, 1945년 6월 13일 ~ 부다페스트, 1991년 6월 13일) 는 헝가리의 언어학자이.

새로운!!: 언어학와 마르톤피 페렌츠 · 더보기 »

마르틴 루터

마르틴 루터(1483년 11월 10일~1546년 2월 18일)는 독일의 종교개혁가이.

새로운!!: 언어학와 마르틴 루터 · 더보기 »

마르틴 하이데거

마르틴 하이데거(1889년 9월 26일 ~ 1976년 5월 26일)는 메스키르히에서 출생한 독일의 철학자이.

새로운!!: 언어학와 마르틴 하이데거 · 더보기 »

마리 스미스 존스

마리 스미스 존스(Marie Smith Jones, 1918년 5월 14일 ~ 2008년 1월 21일)는 중남부 알래스카(Southcentral Alaska)의 에야크어의 마지막 남은 사용자였.

새로운!!: 언어학와 마리 스미스 존스 · 더보기 »

마사이족

마사이족 마사이족(Maasai)은 동아프리카의 유목 부족으로 원래 나일사하라어족의 샤리나일어군에 속하는 동수단어를 쓰는 사람들을 가리키는 언어학 용어이.

새로운!!: 언어학와 마사이족 · 더보기 »

모리스 할레

모리스 할레(1923년 7월 2일 ~ 2018년 4월 2일)는 미국의 언어학자이.

새로운!!: 언어학와 모리스 할레 · 더보기 »

모어

모어(母語)란 사람이 태어나서 처음 습득하여 익힌 언어를 말. 모국어(母國語), 제1언어(L1, first language) 등으로도 부른.

새로운!!: 언어학와 모어 · 더보기 »

명사 (품사)

명사(名詞), 또는 이름씨는 일반적으로 사물, 사람, 장소의 이름을 나타내는 품사이.

새로운!!: 언어학와 명사 (품사) · 더보기 »

문법

문법(文法)은 언어의 사용과 관련된 규칙들을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언어학와 문법 · 더보기 »

문법 교수

언어학에서 문법 교수의 종류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있.

새로운!!: 언어학와 문법 교수 · 더보기 »

문장 (언어학)

언어학에서 문장(文章) 또는 월은 완결된 의미를 표현하기 위하여 의미적 관계를 이루는 요소들이 결합된 것으로, '어떠한 느낌이나 사상·생각 등을 글자로 적어 나타낸 것'이.

새로운!!: 언어학와 문장 (언어학) · 더보기 »

문체

문체(文體)는 문장의 형태로 구어체, 문어체, 논문체, 서한체, 서사체, 간결체, 만연체, 강건체, 우유체, 건조체, 화려체 등으로 사용.

새로운!!: 언어학와 문체 · 더보기 »

문체론

문체론(文體論)은 문체를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언어학와 문체론 · 더보기 »

문화간 의사소통

문화간 의사소통(Intercultural communication, cross-cultural communication)은 글로벌 커뮤니케이션의 한 형태이.

새로운!!: 언어학와 문화간 의사소통 · 더보기 »

미승우

미승우(米昇右, 1930년 ~ 1988년 5월 14일)는 대한민국의 수필가 및 국어국문학자 겸 한글학자이며 박물학자 겸 언어학자이.

새로운!!: 언어학와 미승우 · 더보기 »

각룡류

각룡류(角龍類, 케라톱시아 또는 케라토피아, 뿔이 있는 얼굴이라는 의미)은 각각류의 하위 분류이.

새로운!!: 언어학와 각룡류 · 더보기 »

방언학

방언학()은 방언에 대해 연구하는 언어학이.

새로운!!: 언어학와 방언학 · 더보기 »

개별언어학

별언어학(個別言語學)은 개별 언어에 대하여 연구하는 학문, 즉 한국어학, 영어학, 프랑스어학 등의 총칭 내지 통칭 명칭이.

새로운!!: 언어학와 개별언어학 · 더보기 »

발화효과행위

발화효과행위란 발화의 결과로 듣는 이를 설득하고, 놀라게 하고, 기쁘게 하고 하는 등의 효과를.

새로운!!: 언어학와 발화효과행위 · 더보기 »

발화행위

발화행위는 언어행위의 구성요소이.

새로운!!: 언어학와 발화행위 · 더보기 »

반지의 제왕

《반지의 제왕》(약자 LotR)은 존 로널드 루엘 톨킨이 지은 3부작 판타지 소설이.

새로운!!: 언어학와 반지의 제왕 · 더보기 »

반사역

언어학에서, 반사역(anticausative)이라는 용어는 다음의 경우에 사용.

새로운!!: 언어학와 반사역 · 더보기 »

반사역 구문

반사역 구문(anticausative syntax)이란, 언어학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그 안에 함의된 행위자가 없는 자발적 과정을 표현하는 구문을 의미.

새로운!!: 언어학와 반사역 구문 · 더보기 »

간잠 벵카타수바이아

잠 벵카타수바이아(1913년 8월 23일 ~)는 인도의 언어학자, 저술가, 평론가, 사전 편찬자이.

새로운!!: 언어학와 간잠 벵카타수바이아 · 더보기 »

간음 (동음이의)

음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언어학와 간음 (동음이의) · 더보기 »

강범모

강범모(姜汎模, 1958년 7월 30일 ~)는 대한민국의 언어학자, 저술가이자 교수이.

새로운!!: 언어학와 강범모 · 더보기 »

박트리아-마르기아나 고고학적 복합체

박트리아-마르기아나 고고학 복합 건물 (Bactria-Margiana Archaeological Complex; BMAC)는 오늘날의 아프가니스탄 북부와 투르크메니스탄에 존재했던 청동기 시대의 문화이.

새로운!!: 언어학와 박트리아-마르기아나 고고학적 복합체 · 더보기 »

박승빈

박승빈(朴勝彬, 1880~1943)은 한국의 법률가, 교육자, 국어학자, 사회운동가이.

새로운!!: 언어학와 박승빈 · 더보기 »

강영세

강영세(姜英世, 1952년 3월 22일~)는 대한민국의 언어학자이.

새로운!!: 언어학와 강영세 · 더보기 »

가산

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언어학와 가산 · 더보기 »

거대담론

(巨大談論)은 철학이나 언어학을 비롯한 인문학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서, 어떤 담론의 구조나 체계에서 상부단계나 포괄적 단계에 속한 담론을 뜻. 담론에 대한 자기지시적인 담론도 거대담론이 될 수가 있. 서양인문학에서 거대담론을 지칭하는 용어는 "상위의", "상부의", "더 높은 수준/수위/층위/단계의", "포괄적 단계의" 정도의 뜻을 가진 고대 그리스어 접두사인 meta와 "담론"이라는 어휘의 유래가 된 라틴어의 discursus(뛰어다니다)이 결합해 만들어.

새로운!!: 언어학와 거대담론 · 더보기 »

베르나쿨라

베르나쿨라()는 한 나라 또는 지역에서 사용하는 언어를 가리.

새로운!!: 언어학와 베르나쿨라 · 더보기 »

베른하르드 칼그렌

스 베른하르드 요한네스 칼그렌(1889년 10월 15일 ~ 1978년 10월 20일)은 스웨덴의 중국학자, 언어학자이며, 스웨덴의 중국학의 수준을 수준급 학문으로 올려놓은 석학이.

새로운!!: 언어학와 베른하르드 칼그렌 · 더보기 »

결정적 시기 가설

정적 시기 가설(critical period hypothesis)은 언어 습득에는 결정적 시기가 있다는 언어학 및 심리학 가설이.

새로운!!: 언어학와 결정적 시기 가설 · 더보기 »

게랄트 괴팅

팅(1923년 6월 9일 ~ 2015년 5월 19일)은 전 동독의 기독민주연합 정치인이.

새로운!!: 언어학와 게랄트 괴팅 · 더보기 »

게오르기우스 아그리콜라

오르기우스 아그리콜라 (Georgius Agricola, 1494년 3월 24일 ~ 1555년 11월 21일) 는 독일의 광물학자이자 의사이.

새로운!!: 언어학와 게오르기우스 아그리콜라 · 더보기 »

버트런드 러셀

제3대 러셀 백작 버트런드 아서 윌리엄 러셀(Bertrand Arthur William Russell, 3rd Earl Russell, OM, FRS, 1872년 5월 18일 ~ 1970년 2월 2일)은 영국의 수학자, 철학자, 수리논리학자, 역사가, 사회 비평가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1 May 2003.

새로운!!: 언어학와 버트런드 러셀 · 더보기 »

버줌

버줌(Burzum)은 노르웨이의 블랙 메탈 밴드이.

새로운!!: 언어학와 버줌 · 더보기 »

고대 그리스의 교육

고대 그리스 세계 고대 그리스에서 교육은 폴리스 형성기에 시작되어 헬레니즘기를 거쳐 고대 그리스 후기에 이르는 기간의 교육과 관련된 사항들을 의미.

새로운!!: 언어학와 고대 그리스의 교육 · 더보기 »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1646년 7월 1일 ~ 1716년 11월 14일)는 독일의 철학자이자 수학자이.

새로운!!: 언어학와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 더보기 »

고종석

종석(高宗錫, 1959년 9월 22일 ~)은 전라남도 여수시 출신의 전직 언론인이며 문학가, 수필가이자 언어학자이.

새로운!!: 언어학와 고종석 · 더보기 »

고증학

증학(考證學)은 중국 명말 청초에 문헌학, 언어학을 중심으로 객관적·실증적 태도를 견지하며 발전한 유학의 한 분파를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언어학와 고증학 · 더보기 »

과학혁명의 구조

학혁명의 구조⟫(더 스트럭처 오브 사이언티픽 레볼루션스)는 철학자 토머스 S. 쿤이 저술한 과학사에 대한 책이.

새로운!!: 언어학와 과학혁명의 구조 · 더보기 »

과학사

학사(History of science)는 자연세계에서 인류의 역사적 발전을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언어학와 과학사 · 더보기 »

복수 (동음이의)

복수는 다음을 일컫는 말이.

새로운!!: 언어학와 복수 (동음이의) · 더보기 »

공시언어학

공시언어학()은 통시언어학()에 상대되는 개념으로 언어학의 연구 관점 중 하나이.

새로운!!: 언어학와 공시언어학 · 더보기 »

병속의 글월

병속의 글월: 사람은 얼마나 야릇한가, 말은 또 얼마나 야릇한가, 그리고 사람은 말로 무엇을 해야 하는가(The Message in the Bottle: How Queer Man is, How Queer Language is, and What One Has to Do with the Other)는 기호학에 관한 와커 퍼시(Walker Percy)의 에세이 모음으로서 1975년에 나왔.

새로운!!: 언어학와 병속의 글월 · 더보기 »

변별적 자질

변별적 자질(distinctive feature)이란 언어학에서 음운학 구조를 분석하는 가장 기본이 되는 단위이.

새로운!!: 언어학와 변별적 자질 · 더보기 »

변형생성문법의 이론

《변형생성문법의 이론》()은 1957년에 출판된 노엄 촘스키의 저서이.

새로운!!: 언어학와 변형생성문법의 이론 · 더보기 »

부호전환

언어학적으로, 부호전환(符號轉換, code-switching, 코드 스위칭, 코드 바꾸기)은 대화에서 하나 이상의 언어 혹은 방언을 사용할 때 그것을 교체하여 사용하는 행위를 말.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동시에 사용하는 것은 부호혼용이.

새로운!!: 언어학와 부호전환 · 더보기 »

그래머톨러지

머톨러지(Grammatology)는 1952년 언어학자인 이그네이스 겔브가 문자에 대한 학술 연구회에서 처음 사용한 용어로, 문자에 대한 유형 분류 체계와 문자의 구조적인 특성에 대한 분석, 문어와 구어의 관계 등을 포함하며 넓은 의미에서 몇몇 철학자들은 문해에 대한 연구 및 철학, 종교, 과학, 행정 등 사회 조직의 다양한 분야에서의 영향에 대한 연구 또한 포함시.

새로운!!: 언어학와 그래머톨러지 · 더보기 »

그림 형제

림 형제 그림 형제는 독일의 야코프 그림()과 빌헬름 그림()이.

새로운!!: 언어학와 그림 형제 · 더보기 »

기계 번역

번역(機械飜譯)은 인간이 사용하는 자연 언어를 컴퓨터를 사용하여 다른 언어로 번역하는 일을 말. '자동 번역'이.

새로운!!: 언어학와 기계 번역 · 더보기 »

기초과학

학(基礎科學, Fundamental science 또는 Basic science)이란 공학이나 응용과학 따위의 밑바탕이 되는 순수과학으로 자연 과학의 기초 원리와 이론에 대한 학문을 뜻. 통상적인 의미로 기초과학은 영리 활동을 목적에 두지 않은 순수한 지적 호기심에서 나오는 학문의 진리 탐구 자체를 목적으로 하는 학문 분야라는 뜻에서 '순수과학'(純粹科學, Pure science)이.

새로운!!: 언어학와 기초과학 · 더보기 »

브라질의 역사

선사시대부터 토착민이 살았지만 브라질의 역사는 보통 포르투갈인이 건너온 뒤의 역사를 일컫.

새로운!!: 언어학와 브라질의 역사 · 더보기 »

비교언어학

비교언어학()은 같은 기원을 가진 언어들의 관계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어나는 언어의 변화를 다루는 학문이.

새로운!!: 언어학와 비교언어학 · 더보기 »

김중종

중종(金中鐘, 1926년 음력 4월 2일(5월 3일) ~ 2009년 10월 20일)은 대한민국의 비전향 장기수이.

새로운!!: 언어학와 김중종 · 더보기 »

김선기 (1907년)

선기(金善琪, 1907년 3월 21일 ~ 1992년 11월 11일)는 대한민국의 언어학자, 한글학자이며 교육자이.

새로운!!: 언어학와 김선기 (1907년) · 더보기 »

대모음 추이

모음 추이(大母音推移)는 중세 영어 후기(15세기 초)에 시작되어 근대 영어 시기(17세기)에 종결된, 영어의 모음 체계에서 나타난 일련의 변화를 말. 중세 영어 시기에 강세가 있는 7개의 장모음 모두에 대해, 장음 위치가 1단 이상 높아지는 변화가 있었.

새로운!!: 언어학와 대모음 추이 · 더보기 »

대한민국의 학술지 목록

본 문서는 대한민국의 학술지 목록이.

새로운!!: 언어학와 대한민국의 학술지 목록 · 더보기 »

구문 분석

언어학에서 구문 분석(構文分析)은 문장을 그것을 이루고 있는 구성 성분으로 분해하고 그들 사이의 위계 관계를 분석하여 문장의 구조를 결정하는 것을 말. 컴퓨터 과학에서 파싱((syntactic) parsing)은 일련의 문자열을 의미있는 토큰(token)으로 분해하고 이들로 이루어진 파스 트리(parse tree)를 만드는 과정을 말.

새로운!!: 언어학와 구문 분석 · 더보기 »

구조주의

조주의(構造主義)는 인문학과 사회 과학 등 다양한 학문에 영향을 미친 철학의 사상 흐름의 하나로, 근본 요소들 사이의 상호 관계 위에 정신적, 언어적, 사회적, 문화적 '구조'가 성립하며, 그 구조에서 특정 개인이나 문화의 의미가 생산된다는 관점이.

새로운!!: 언어학와 구조주의 · 더보기 »

구조주의 언어학

조주의 언어학(構造主義 言語學)은 소쉬르에 의해 시작되어 20세기 전반 언어학계를 지배했던 언어철학 및 언어 연구 방법론을 말. 이 관점에서 볼 때, 언어는 하나의 체계로 존재하기 때문에 개별적인 문법요소보다는 요소 간의 관계를 통해 설명해야.

새로운!!: 언어학와 구조주의 언어학 · 더보기 »

구성주의

성론(構成論) 또는 구성주의(構成主義)이란 다음과 같은 것을 가리.

새로운!!: 언어학와 구성주의 · 더보기 »

국제 음성 기호

국제 음성 기호 (2015년 개정) 국제 음성 기호 (2015년 개정) 한국어판 국제 음성 기호(國際音聲記號,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IPA) 또는 만국 음성 기호(萬國音聲記號)는 언어학에서 주로 사용되는 음성 기록 체계를 말. 현존하는 모든 언어의 소리를 독자적이고 정확하면서 표준적인 방법으로 표시하기 위해 이 기호 체계가 고안되었으며, 언어학자외에도 언어장애 병리사나 발성 치료사, 외국어 교수자, 말뭉치 연구자, 번역가 등이 일상생활에서 이 기호체계를 활용하고 있. 2005년에 확장된 형태는 약 107개의 기본 문자와 55개의 구별기호로 구성되어 있. 국제 음성 기호의 기호는 크게 (기본) 문자, 구별기호, 초분절요소 등의 3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 이들은 또 다시 세부적으로 나눌 수 있는데 기본 문자의 경우 모음과 자음으로 나눌 수 있. 음성을 표시하는 방법에서 표준화를 염두에 두고 만들어졌기 때문에 이러한 기호들은 크게 바뀌지는 않으나 이를 관할하는 국제 음성 협회에 의해 기호가 덧붙여지거나 빠지거나 수정.

새로운!!: 언어학와 국제 음성 기호 · 더보기 »

국제 언어학 올림피아드

국제 언어학 올림피아드(International Linguistics Olympiad, IOL)는 국제 과학 올림피아드에 속한 대회로 2003년 불가리아 보로베츠에서 처음 개최되었.

새로운!!: 언어학와 국제 언어학 올림피아드 · 더보기 »

국제 SIL

국제 SIL (國際 -; SIL International)은 세계 성경번역 선교회(WBT)의 자매기관으로서, 원이름은 하계 언어학 연구소(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이.

새로운!!: 언어학와 국제 SIL · 더보기 »

국제한국언어학회

국제한국언어학회(國際韓國言語學會,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ICKL)는 한국어와 언어학 분야에서 의사 소통의 촉진, 또 이에 대한 정보의 전달, 지식의 증진에 기여하는 학술 단체이.

새로운!!: 언어학와 국제한국언어학회 · 더보기 »

국어

국어(國語), 국가언어(國家言語, national language) 또는 국민언어(國民言語)는 언어학적으로 어느 국가나 민족 · 국민에 있어 중추적으로 사용되는 표준적인 언어를 지시하는 개념이.

새로운!!: 언어학와 국어 · 더보기 »

국어의 서법

국어의 서법(敍法,mood)은 언어학 중 국어학에서 쓰이는 용어이.

새로운!!: 언어학와 국어의 서법 · 더보기 »

남아프리카 공화국

아프리카 공화국(RSA)은 아프리카 대륙 최남단에 자리한 공화국이.

새로운!!: 언어학와 남아프리카 공화국 · 더보기 »

내파음

음(內破音)은 폐에서 나온 호기를 쓰지 않고 조음하는 닿소리 중 하나이.

새로운!!: 언어학와 내파음 · 더보기 »

난독증

독증(難讀症, dyslexia) 또는 독서 장애(讀書障礙)는 문자를 읽고 철자를 구분하거나 내용을 이해하는 정확성이나 유연성에 장애가 있는 학습 장애를 가리.

새로운!!: 언어학와 난독증 · 더보기 »

나무 (동음이의)

무(南無, 鑼舞, Namu)는 다음과 같은 뜻을.

새로운!!: 언어학와 나무 (동음이의) · 더보기 »

나비어

비어(Na'vi 語)는 2009년에 개봉한 영화 《아바타》에 등장하는 가공의 언어(즉, 인공어)로서, 판도라 위성에 사는 인간형 종족인 나비족이 사용하는 언어이.

새로운!!: 언어학와 나비어 · 더보기 »

등어선

등어선(isogloss)이란 언어학의 용어로서, 어음, 어의, 언어형식, 악센트 등 일정한 동질의 요소가 분포되어있음을 가정하여 언어의 특성이 다른 지역을 가르는 관념상의 선이.

새로운!!: 언어학와 등어선 · 더보기 »

드라비다한국어족

비다한국어족()은 드라비다어족과 한국어, 일본어족이 같은 기원을 가진다는 가정을 토대로 제안된 가설 상의 어족이.

새로운!!: 언어학와 드라비다한국어족 · 더보기 »

디미트리에 칸테미르

1716년에 출간된 저서 《몰다비아에 관한 서술》(Descriptio Moldaviae)에 그려진 디미트리에 칸테미르의 초상화 1973년 소련에서 발행된 우표에 그려진 디미트리에 칸테미르의 초상화 디미트리에 칸테미르(1673년 10월 26일 ~ 1723년 8월 21일)는 몰다비아 공국 출신의 문인이자 학자이.

새로운!!: 언어학와 디미트리에 칸테미르 · 더보기 »

노엄 촘스키

에이브럼 노엄 촘스키(1928년 12월 7일 ~)는 미국의 언어학자, 철학자, 인지 과학자, 역사가, 사회비평가, 정치운동가, 아나키스트, 저술가이며, 극좌파학자이.

새로운!!: 언어학와 노엄 촘스키 · 더보기 »

노아즈 노츠

《노아즈 노츠》()는 이케자와 하루토()가 그린 일본의 판타지, 모험 만화.

새로운!!: 언어학와 노아즈 노츠 · 더보기 »

논리학의 역사

리학의 역사는 타당한 추론을 탐구하는 학문인 논리학의 발전사를 말. 형식논리학은 고대의 중국, 인도, 그리스에서 발전.

새로운!!: 언어학와 논리학의 역사 · 더보기 »

논항 돌출 위계

항 돌출 위계(argument prominence hierarchy) 혹은 논항 돋들림 위계란 언어학에서 여러 언어들에 보편적인 언어 현상을 통일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체계적 위계 중 하나로서, 논항의 의존형태 빈도에 관한 것을 의미.

새로운!!: 언어학와 논항 돌출 위계 · 더보기 »

다중심언어

중심언어 또는 복수중심언어(pluricentric language, polycentric language)는 복수의 규범화된 판(표준어 또는 이에 준하는 것)이 존재하는 언어를 말하며, 주로 여러 나라에 걸쳐 같은 언어의 현지판이 발생하는 경우를 일컫는다  예를 들어 영어, 프랑스어, 포르투갈어, 독일어, 한국어, 스페인어, 스웨덴어, 아르메니아어 및 중국어는 다중심언어의 특성을 갖고 있는 예로 소. 이와 상대 개념으로 오직 한 종류의 표준화된 언어만이 존재하는 언어로 단일중심언어(monocentric language)라는 개념이 존재하며, 러시아어 와 일본어를 그 예로 들 수 있. 같은 언어에 바탕을 둔 다른 언어들이 각자의 지역에서 사용되어 이윽고 표준어로 규정되는 예는 말레이시아어와 인도네시아어 또는 힌디어 와 우르두어에서처럼 존재.

새로운!!: 언어학와 다중심언어 · 더보기 »

다야스 도쿠가와가

야스 도쿠가와가(田安徳川家)는 도쿠가와씨의 분가인 고산쿄 중 으뜸인 가문이.

새로운!!: 언어학와 다야스 도쿠가와가 · 더보기 »

Forvo

Forvo(포보, 또는 포르보)는 여러가지 다른 언어의 단어의 발음을 들을 수 있는 사이트이.

새로운!!: 언어학와 Forvo · 더보기 »

스뫼르고스보르드

일반 가정집의 스뫼르고스보르드 스뫼르고스보르드()는 스웨덴 요리에서 부페 형식의 식사를 뜻. 이는 흔히 휴일의 잔치에서 가족과 손님이 각자 음식을 원하는 만큼 덜어서 먹. 식당에서 이 용어는 많은 종류의 작은 접시들을 늘여놓은 부페식 요리로 고정된 금액 안에서 각자가 원하는 만큼 선택해서 먹을 수 있. 전통적인 스웨덴의 스뫼르고스보르드는 차갑고 뜨거운 음식.

새로운!!: 언어학와 스뫼르고스보르드 · 더보기 »

스와스모어 칼리지

스와스모어 칼리지()는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 필라델피아에서 남서쪽으로 20분 정도 떨어진 스와스모어에 있는 칼리지이.

새로운!!: 언어학와 스와스모어 칼리지 · 더보기 »

용어 색인

용어 색인은 철자법 순서대로 책이나 저서에서 서술된 주요 단어를 명시하는 것을 말. 콘코던스(concordance).

새로운!!: 언어학와 용어 색인 · 더보기 »

우비흐어

우비흐어(Ubykh)는 1990년대까지 우비흐인에 의하여 쓰였던 북서캅카스어파의 언어이.

새로운!!: 언어학와 우비흐어 · 더보기 »

우크라이나계 캐나다인

우크라이나계 캐나다인(Ukrainian Canadian)는 우크라이나 혈통을 가진 캐나다 국적을 쥔 사람이.

새로운!!: 언어학와 우크라이나계 캐나다인 · 더보기 »

튜플

(tuple)은 유한 개의 사물의 순서있는 열거이.

새로운!!: 언어학와 튜플 · 더보기 »

회화체 보조어

언어학에서, 회화체 보조어(discourse particle)란, 화자의 태도나 화자간의 관계 등을 나타내는 표현을 뜻.

새로운!!: 언어학와 회화체 보조어 · 더보기 »

요나스 바사나비추스

요나스 바사나비추스 요나스 바사나비추스(1851년 11월 23일 ~ 1927년 2월 16일)는 리투아니아의 역사학자, 언어학자이자 19세기 말기의 리투아니아 문화부흥 운동의 주도자 중 한 사람이.

새로운!!: 언어학와 요나스 바사나비추스 · 더보기 »

요스트 기퍼트

요스트 기퍼트 요스트 기퍼트(1956년 3월 12일 ~)는 독일의 언어학자, 코카서스학자이며 독일 프랑크푸르트 대학교 경험언어학부 비교언어학과 교수이.

새로운!!: 언어학와 요스트 기퍼트 · 더보기 »

요세프 융만

요세프 융만 요세프 융만 (Josef Jungmann, 1773년 7월 16일 후들리체 - 1847년 11월 14일 프라하)은 체코어의 발전에 큰 기여를 한 언어학자이자 철학자, 작가, 번역가이.

새로운!!: 언어학와 요세프 융만 · 더보기 »

힐데가르디스 빙겐시스

Illumination from the ''Liber Scivias'' showing Hildegard receiving a vision and dictating to her scribe and secretary 빙엔의 힐데가르트(힐데가르트 폰 빙엔;, 1098년 – 1179년 9월 17일)은 축복받은 힐데가르트(Blessed Hildegard) 또는 성 힐데가르트(Saint Hildegard)로도 알려져 있. 그녀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성인이.

새로운!!: 언어학와 힐데가르디스 빙겐시스 · 더보기 »

자오위안런

자오위안런(조원임,, 1892년 9월 3일 ~ 1982년 2월 2일)은 중화민국 출신의 언어학자이자, 수학자로, 중국어의 표음부호 연구에 영향을 준 사람이.

새로운!!: 언어학와 자오위안런 · 더보기 »

잠바티스타 비코

잠바티스타 비코 잠바티스타 비코(Giambattista Vico, 1668년~1744년)는 이탈리아의 철학자이.

새로운!!: 언어학와 잠바티스타 비코 · 더보기 »

장자 (책)

《장자》는 도가 계열의 책으로 여러 사람의 글들을 편집한 것이.

새로운!!: 언어학와 장자 (책) · 더보기 »

장자크 나티에

장자크 나티에(프랑스어: Jean-Jacques Nattiez, 1945년 12월 30일) 는 음악 기호학자이며 기호론자, 종족음악학자이고 몬테리올 대학교 이 대악학음악하과학교숭읻악기호학을 공부하였.

새로운!!: 언어학와 장자크 나티에 · 더보기 »

장영준 (언어학자)

장영준(張榮俊, 1964년 1월 3일 ~) 은 대한민국의 언어학자 겸 저술가이.

새로운!!: 언어학와 장영준 (언어학자) · 더보기 »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실베이니아 대학교 캠퍼스 210px 펜실베이니아 대학교(University of Pennsylvania)는 흔히 유펜(UPenn) 혹은 펜 Penn으로도 불리며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 필라델피아에 있는 아이비 리그 사립 대학이.

새로운!!: 언어학와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 더보기 »

히다시 유디트

히다시 유디트 (부다페스트, 1948년 7월 11일 ~) 는 헝가리의 언어학자, 언어학과 교수이.

새로운!!: 언어학와 히다시 유디트 · 더보기 »

페르시아어

르시아어(فارسی 혹은 پارسی) 간칭 파사어(波斯語)는 이란을 중심으로 한 중동 지역에서 사용되는, 인도이란어파에 속하는 언어이며, 아랍어와 마찬가지로 표기에는 아랍 문자가 사용되나, 아랍어와는 전혀 다른 언어이며, 힌디어, 싱할라어, 영어, 러시아어와 같은 인도유럽어족의 언어이.

새로운!!: 언어학와 페르시아어 · 더보기 »

페니키아

아()는 고대 가나안의 북쪽에 근거지를 둔 고대 문명이.

새로운!!: 언어학와 페니키아 · 더보기 »

(Perl)은 래리 월이 만든 인터프리터 방식의 프로그래밍 언어 혹은 그 인터프리터 소프트웨어를 가리.

새로운!!: 언어학와 펄 · 더보기 »

크림 고트어

림 고트어는 크림 반도에서 사용된 고트어의 방언이.

새로운!!: 언어학와 크림 고트어 · 더보기 »

포스트구조주의

스트구조주의(post-structuralism) 또는 후기 구조주의는 1960년대와 1970년대에 국제적 명성을 얻은 일련의 20세기 중반 프랑스, 대륙 철학자들과 비평 이론가들의 이질적인 작업을 나타내기 위하여 미국의 학자들에 의하여 고안된 명칭이.

새로운!!: 언어학와 포스트구조주의 · 더보기 »

폴 키파스키

스키(René Paul Viktor Kiparsky, 1941년 1월 28일 ~)는 미국의 언어학자이.

새로운!!: 언어학와 폴 키파스키 · 더보기 »

이론언어학

이론언어학()은 언어학의 한 분과이.

새로운!!: 언어학와 이론언어학 · 더보기 »

이마누엘 칸트

이마누엘 칸트(1724년 4월 22일 ~ 1804년 2월 12일)는 근대 계몽주의를 정점에 올려놓았고 독일 관념철학의 기초를 놓은 프로이센의 철학자이.

새로운!!: 언어학와 이마누엘 칸트 · 더보기 »

이민행 (1959년)

이민행(언어학자)은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독어독문학과와 대학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

새로운!!: 언어학와 이민행 (1959년) · 더보기 »

이넉 파월

이넉 파월(1912년 6월 16일 ~ 1998년 2월 8일)은 영국의 정치가, 고대학자, 언어학자, 시인이.

새로운!!: 언어학와 이넉 파월 · 더보기 »

이희승

이희승(李熙昇, 1896년 6월 9일(음력 4월 29일) ~ 1989년 11월 27일)는 대한민국의 국어학자, 시인, 수필가이.

새로운!!: 언어학와 이희승 · 더보기 »

이윤재 (1888년)

이윤재(李允宰, 1888년 12월 25일 ~ 1943년 12월 8일)는 일제 강점기의 언어학자이.

새로운!!: 언어학와 이윤재 (1888년) · 더보기 »

이온 코테아누

이온 코테아누(1920년 10월 6일 ∼ 1997년 12월 11일)는 루마니아의 언어학자이.

새로운!!: 언어학와 이온 코테아누 · 더보기 »

이산어

이산어(파사이산)는 태국의 북동부 이산 지방에서 사용되는 언어이.

새로운!!: 언어학와 이산어 · 더보기 »

인도 문화권

인도 문화권 인도 문화권(Indosphere)은 언어학자 제임스 매티소프가 제기한 개념으로, 인도를 중심으로 인도의 언어·문화적 영향을 받은 지역을 말. 즉, 인도·파키스탄·방글라데시·스리랑카 북부를 제외한 동남아시아 지역을 일컫.

새로운!!: 언어학와 인도 문화권 · 더보기 »

인도유럽조어

인도유럽조어(Proto-Indo-European language, PIE)는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언어들의 근간이 되었으리라고 여겨지는 언어이며, 이를 현대의 언어학자들이 재구성한 조어를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언어학와 인도유럽조어 · 더보기 »

인도유럽어족

인도유럽어족(印度-語族)은 유럽과 서아시아, 남아시아에 살고 있는 민족들의 언어가 속하는 어족이.

새로운!!: 언어학와 인도유럽어족 · 더보기 »

인류학

인류학(人類學)은 인간에 관한 모든 것을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언어학와 인류학 · 더보기 »

인문 계열

인문 계열은 인문과학, 사회과학을 필두로 하여 인간 사회의 문화와 사회 질서 및 역사와 그 문화에 따른 언어학(영어, 한글)을 탐구 및 연구하는 교육 과정을 의미.

새로운!!: 언어학와 인문 계열 · 더보기 »

인문주의 시대의 교육

인문주의 시대의 교육은 14세기부터 15세기에 걸친 인문주의 운동 시기에 이루어진 교육활동을 의미하며, 흔히 르네상스기의 교육, 문예부흥기의 교육이라고 말.

새로운!!: 언어학와 인문주의 시대의 교육 · 더보기 »

인문학

학자 플라톤 인문학(人文學)은 인간과 인간의 근원문제, 인간의 사상과 문화에 관해 탐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언어학와 인문학 · 더보기 »

인지과학

인지과학(認知科學)은 인간의 마음과 동물 및 인공적 지적 시스템(artificial intelligent systems)에서 정보처리가 어떻게 일어나는가를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 다르게 표현한다면 인지과학은 인간의 마음 (뇌의 작동 및 몸의 움직임의 제어 포함)의 과정 및 내용과, 동물 및 인공적 지적 시스템에서의 지능(Intelligence)의 정보적 표상(표현)과 그 작동 과정을 연구하는 종합적, 다학문적 과학이.

새로운!!: 언어학와 인지과학 · 더보기 »

인지언어학

인지언어학()은 인간 마음의 본질, 더 나아가 인간의 본질을 규명하기 위한 학제적 연구의 일환으로서 ‘언어, 몸과 마음, 문화’의 상관성을 밝히려는 언어 이론이.

새로운!!: 언어학와 인지언어학 · 더보기 »

인지심리학

인지심리학(認知心理學, cognitive psychology)은 정보처리 관점에서의 인지활동을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언어학와 인지심리학 · 더보기 »

일치 위계

일치 위계(agreement hierarchy)란 언어학에서 여러 언어들에 보편적인 언어 현상을 통일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체계적 위계 중 하나로서, 일치에 관한 것을 의미.

새로운!!: 언어학와 일치 위계 · 더보기 »

일선동조론

일선동조론() 또는 일한동조론()은 야마토 민족과 한민족(조선민족)이 같은 뿌리에서 나왔다는 이론이.

새로운!!: 언어학와 일선동조론 · 더보기 »

음운론

음운론(音韻論)은 언어학의 하위 분야의 하나로 특정 개별 언어 또는 여러 언어의 소리 체계를 연구하는 분야이.

새로운!!: 언어학와 음운론 · 더보기 »

음성학

음성학(音聲學)은 사람의 말소리(와 수어에서 이와 관련 있는 요소)를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언어학와 음성학 · 더보기 »

의미

언어학에서 의미(意味) 또는 뜻은 글쓴이나 화자가 드러내는 바, 또 읽은이나 듣는이에게 나타내는 바를 가리.

새로운!!: 언어학와 의미 · 더보기 »

의미론

의미론(意味論)은 언어학의 기본 분야 중의 하나로 말이나 글의 의미 또는 뜻을 연구하는 분야이.

새로운!!: 언어학와 의미론 · 더보기 »

젠더 (동음이의)

젠더(Gender)는 다음을 가리.

새로운!!: 언어학와 젠더 (동음이의) · 더보기 »

제노글로시

제노글로시()란 어떤 언어를 배우지도 않았는데 어떤 이유로 인해서 그 언어를 습득하게 된 현상을 말. 대부분의 현상은 일시적으로 나타나고, 그 때 사용했던 언어에 대한 기억은 일정 시간이 흐르면 사라진다고 알려져 있. 심리학자들에겐 인정받지만 언어학자들에겐 인정받지 못. 실제 사례로는 2007년 9월에 스코틀랜드에서 영어를 거의 모르는 체코 출신의 모터사이클 선수 Matěj Kůs가 머리를 다친 후 의료진들에게 영어로 유창하게 설명했던 사례가 있. 이러한 현상의 원인은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았.

새로운!!: 언어학와 제노글로시 · 더보기 »

제임스 글릭

제임스 글릭(1954년 8월 1일 ~)은 미국의 저술가로, 특히 근·현대과학사에 관한 대중 과학서적들을 다수 저술하였.

새로운!!: 언어학와 제임스 글릭 · 더보기 »

절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언어학와 절 · 더보기 »

전사 (언어학)

전사(轉寫, transcription)는 언어학에서 언어의 음성을 일정한 규칙에 근거해 문자 표기하는 것을 말. 즉, 「음성→문자」의 과정을 가리키는 것으로, 「문자→문자」의 과정인 전자(transliteration)와 대를 이루는 개념이.

새로운!!: 언어학와 전사 (언어학) · 더보기 »

전산언어학

전산언어학(電算言語學)은 전산학과 언어학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학제간 학문으로 전산적인 관점에서 자연언어의 통계적인 모형과 논리적인 모형을 다루는 분야를 말. 이때 모형은 언어학의 특정 하위 분야에 제한되지 않. 전산언어학자들은 초기에는 대부분 전산학자들로 컴퓨터를 이용한 자연언어처리를 전공하던 학자들이었.

새로운!!: 언어학와 전산언어학 · 더보기 »

정문과 비문

언어학에서 정문(正文)과 비문(非文)은 각각 문법에 맞는 문장과 맞지 않는 문장을 말. 생성문법론에서는 자연어 문장의 정문과 비문을 구분할 때 그 언어를 모어로 습득한 사람의 직관을 기준으.

새로운!!: 언어학와 정문과 비문 · 더보기 »

정보 이론

정보 이론(情報理論)은 최대한 많은 데이터를 매체에 저장하거나 채널을 통해 통신하기 위해 데이터를 정량화하는 응용 수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언어학와 정보 이론 · 더보기 »

정진숙 (출판인)

정진숙(鄭鎭肅, 1912년 11월 5일 ~ 2008년 8월 22일)은 일제 강점기의 금융인, 대한민국의 출판인, 기업인, 사회기관단체인이며, 을유문화사의 창립 멤버의 한 사람이.

새로운!!: 언어학와 정진숙 (출판인) · 더보기 »

정순기

정순기(Jong Sun Gi, ? ~)는 북한의 언어학자, 사전 편찬자이.

새로운!!: 언어학와 정순기 · 더보기 »

저우유광

저우유광(1906년 1월 13일 ~ 2017년 1월 14일)은 중국의 경제학자이자 언어학자이.

새로운!!: 언어학와 저우유광 · 더보기 »

조동사

언어학에서 말하는 조동사란, 동사와 같은 형태를 가지지만, 다른 동사와 이어져서 상, 법 등의 문법 기능을 나타내는 단어이.

새로운!!: 언어학와 조동사 · 더보기 »

조지 레이코프

조지 레이코프(George Lakoff, 1941년 5월 24일 ~)는 미국의 인지언어학자로 개인들의 삶은 복잡한 현상을 설명할 때 이용하는 핵심적 은유에 영향을 받는다는 이론으로 널리 알려졌.

새로운!!: 언어학와 조지 레이코프 · 더보기 »

조지 킹슬리 지프

조지 킹슬리 지프(George Kingsley Zipf, 1902~1950)는 미국의 언어학자이자 문헌학자이.

새로운!!: 언어학와 조지 킹슬리 지프 · 더보기 »

조선 세종

조선 세종(朝鮮 世宗, 1397년 5월 15일 (음력 4월 10일) ~ 1450년 3월 30일 (음력 2월 17일), 재위 1418년 ~ 1450년)은 조선의 제4대 군주이며 언어학자이.

새로운!!: 언어학와 조선 세종 · 더보기 »

조선의 어문학

이 문서는 조선의 언어학과 문학에 대해 설명한 글이.

새로운!!: 언어학와 조선의 어문학 · 더보기 »

조선상고사감

조선상고사감(朝鮮上古史鑑)은 한국 고대사에 관한 저서이.

새로운!!: 언어학와 조선상고사감 · 더보기 »

존 랭쇼 오스틴

존 랭쇼 오스틴(John Langshaw "J. L." Austin, 1911. 3.26 – 1960.2.8)은 영국의 언어철학자이.

새로운!!: 언어학와 존 랭쇼 오스틴 · 더보기 »

존 맥스웰 쿳시

존 맥스웰 쿳시노벨상 딱지 존 맥스웰 쿳시(1940년 2월 9일 ~)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의 작가로, 2003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

새로운!!: 언어학와 존 맥스웰 쿳시 · 더보기 »

졸탄

졸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언어학와 졸탄 · 더보기 »

종교학

양한 종교들의 상징 종교학(宗敎學)은 종교에 대한 학문이.

새로운!!: 언어학와 종교학 · 더보기 »

Σ

Σ, σ, ς()는 18번째 그리스 문자이.

새로운!!: 언어학와 Σ · 더보기 »

주제 우세 언어

주제 우세 언어(主題優勢言語)는 언어학에서, 문장의 화제(주제)가 통사론적으로 정해져서 명시적으로 드러나며 이에 비해 주어는 중시되지 않는 언어를 이르는 용어이.

새로운!!: 언어학와 주제 우세 언어 · 더보기 »

주석학

주석학(註釋學) 혹은 석의학(釋義學)이란 주석에 근거한 이론적 방법적 체계화를 구축하는 학문이.

새로운!!: 언어학와 주석학 · 더보기 »

주시경

주시경(周時經, 1876년 12월 22일 ~ 1914년 7월 27일)은 조선의 언어학자이자 국문학자이.

새로운!!: 언어학와 주시경 · 더보기 »

지혜의 집

250px 지혜의 집(House of wisdom)은 9세기 경 아바스 왕조 기간동안 이라크의 바그다드에 설립 된 번역 전문 기관을 칭하는 말이.

새로운!!: 언어학와 지혜의 집 · 더보기 »

지프의 법칙

의 법칙(Zipf's law)은 수학적 통계를 바탕으로 밝혀진 경험적 법칙으로, 물리 및 사회 과학 분야에서 연구된 많은 종류의 정보들이 지프 분포에 가까운 경향을 보인다는 것을 뜻. 지프 분포는 이산 멱법칙 확률분포와 관계된 확률분포의 하나이.

새로운!!: 언어학와 지프의 법칙 · 더보기 »

찰스 케이 오그던

스 케이 오그던(1889년 6월 1일 ~ 1957년 3월 20일)은 영국의 언어학자, 철학자, 작가이.

새로운!!: 언어학와 찰스 케이 오그던 · 더보기 »

창의성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창조적인 사람으로 잘 알려져 있다. 창의성(創意性)은 새로운 생각이나 개념을 찾아내거나 기존에 있던 생각이나 개념들을 새롭게 조합해 내는 것과 연관된 정신적이고 사회적인 과정이.

새로운!!: 언어학와 창의성 · 더보기 »

천국의 발견

《천국의 발견》()은 하리 뮐리스의 1992년작 네덜란드어 소설 작품이.

새로운!!: 언어학와 천국의 발견 · 더보기 »

카 포스카리 베네치아 대학교

Palazzo Giustinian 대강당 Aula Baratto 카포스카리 대로 성 욥 캠퍼스 성 세바스티아누스 캠퍼스 산타마리아 캠퍼스 연구소 카 포스카리 베네치아 대학교()는 이탈리아의 베네치아에 있는 이탈리아의 국립대학이.

새로운!!: 언어학와 카 포스카리 베네치아 대학교 · 더보기 »

카렐리야인

리야인은 핀우그리아어파 언어인 카렐리야어를 쓰는 민족으로 오늘날 러시아의 카렐리야 공화국과 핀란드 동부에 약 75만 명이 살고 있. 20세기 때 많은 수의 카렐리야인은 카렐리야를 떠날 수밖에 없었.

새로운!!: 언어학와 카렐리야인 · 더보기 »

카렐리야어

리야어()는 핀란드어와 가까운 관계에 있는 핀우그리아어파 언어 변종(linguistic variety)이.

새로운!!: 언어학와 카렐리야어 · 더보기 »

캘빈 칼리지

미국 캘빈 칼리지 그랜드 래피즈, 미시간 주 미국 캘빈 칼리지 캘빈 칼리지(Calvin College) 혹은 칼빈 칼리지는 미국 미시간 주 그랜드래피즈에 위치한 개신교 개혁주의 전통을 따르는 명문 사립 리버럴 아츠 칼리.

새로운!!: 언어학와 캘빈 칼리지 · 더보기 »

캅카스 알바니아

387년 아르메니의 분할 이후의 카프카스 알바니아, 아르차크와 우티크의 아르메니아 속국들이 모두 다 같이 있는 쿠라 강의 (빨간 점선으로 윤곽이 그려진) 오른쪽 제방을 포함했을 때이다. 알바니아(라틴어:Albānia, 그리스어:Ἀλβανία,James Stuart Olson, Albanía. An Ethno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ussian and Soviet Empires. 옛 아르메니아어: Աղուանք, 아루안크, 파르티아어: 아르드한, 중세 페르시아어: 아르란, 오늘날 발칸 반도에 있는 국가 알바니아와 구분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카프카스 알바니아라고 한다. 그 나라 이름의 근원은 밝혀지지 않았다.Robert H. Hewsen. "Ethno-History and the Armenian Influence upon the Caucasian Albanians", in: Samuelian, Thomas J. (Ed.), Classical Armenian Culture. Influences and Creativity. Chicago: 1982, pp. 27-40.Bosworth, Clifford E.. Encyclopædia Iranica.)는 오늘날 아제르바이잔과 부분적으로 남부 다게스탄으로 영토를 확장했던 동캅카스의 나라에 대한 역사적인 이름이.

새로운!!: 언어학와 캅카스 알바니아 · 더보기 »

컴퓨터 과학

학()은 전산 이론,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중점을 둔 정보과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언어학와 컴퓨터 과학 · 더보기 »

코끼리는 생각하지 마

《코끼리는 생각하지 마-미국 진보 세력은 왜 선거에서 패배하는가》(Don't think of an elephant!: know your values and frame the debate: the essential guide for progressives)는 미국의 언어학자 조지 레이코프(George Lakoff)가 쓴 정치서적이.미국내 보수주의와 진보주의를 비교하고 있으며, 제목과 표지에 나오는 '코끼리'는 미국 공화당을 상징.번역은 영어권 사회과학서적 번역자 유나영씨가 맡았.

새로운!!: 언어학와 코끼리는 생각하지 마 · 더보기 »

코다이 졸탄

이 졸탄 코다이 졸탄(1882년 12월 16일 ~ 1967년 3월 6일)은 헝가리의 작곡가, 민속음악자, 교육자, 언어학자이자 철학자이.

새로운!!: 언어학와 코다이 졸탄 · 더보기 »

쿠르간 가설

르간 가설에 의한 쿠르간 문화의 변천과 확대 쿠르간 가설에 의한 인도유럽어족의 확대 전차(인도이란어군와 관련이 깊다고 한다)의 확대 쿠르간 가설()은 러시아 남부에 있었던 쿠르간 문화가 인도유럽조어의 화자였다고 하는 가설이.

새로운!!: 언어학와 쿠르간 가설 · 더보기 »

유피테르

유피테르 (Iuppiter 또는 Iupiter, 속격 Iovis) 또는 요베(Jove)는 고대 로마의 종교와 로마 신화에서 하늘과 천둥의 신이자 모든 신들의 왕이.

새로운!!: 언어학와 유피테르 · 더보기 »

유한 상태 기계

유한 상태 기계(finite-state machine, FSM) 또는 유한 오토마톤(finite automaton, FA; 복수형: 유한 오토마타 finite automata)는 컴퓨터 프로그램과 전자 논리 회로를 설계하는데에 쓰이는 수학적 모델이.

새로운!!: 언어학와 유한 상태 기계 · 더보기 »

파벨 요제프 샤파리크

벨 요제프 샤파리크 파벨 요제프 샤파리크(1795년 5월 13일 ~ 1861년 6월 26일)는 슬로바키아의 시인, 작가, 역사가, 언어학자이.

새로운!!: 언어학와 파벨 요제프 샤파리크 · 더보기 »

파드레 파드로네

《파드레 파드로네》("내 아버지, 내 주인"이라는 뜻)또는 빠드레 빠드로네는 이탈리아의 형제 감독 비토리오와 파올로 타비아니감독이 독학으로 언어학자가 된 가비노 레다의 자서전을 소재로 만든 영화이.

새로운!!: 언어학와 파드레 파드로네 · 더보기 »

파울 게오르크 폰 묄렌도르프

울 게오르크 폰 묄렌도르프(1848년 ~ 1901년) 혹은 한국이름 목인덕(穆麟德)은 독일 출신의 외교관 겸 언어학자로 조선에서 외교 고문으로 활동한 전력으로 널리 알려진 인물이.

새로운!!: 언어학와 파울 게오르크 폰 묄렌도르프 · 더보기 »

파푸아뉴기니

아뉴기니의 주 파푸아뉴기니 독립국(), 약칭 파푸아뉴기니()는 오세아니아의 나라이.

새로운!!: 언어학와 파푸아뉴기니 · 더보기 »

융합과학

융합과학(融合科學)은 과학, 기술 및 인문사회과학 등의 세분화된 학문들의 결합, 통합 및 응용을 통하여 만들어진 새로운 과학 분야를 말. 20세기 중엽부터 21세기에 이르러 학문과 기술의 수렴 및 융합의 흐름이 전개되었.

새로운!!: 언어학와 융합과학 · 더보기 »

위격

Hypostasis(그리스어: ὑπόστασις, 位格, 위격)는 근본적인 상태 또는 다른 모든 것이 있게하는 기본이되고 근원되는 실체를 가리.

새로운!!: 언어학와 위격 · 더보기 »

상2단활용

상2단활용이란,일본어의 문어문법에 있는 동사의 활용의 하나이다, 모든 활용 어미에 오십음도의 イ단 또는 ウ단의 음을 넣고, 거기에「る、れ、よ」가 붙는 형으로 변화.

새로운!!: 언어학와 상2단활용 · 더보기 »

상흔

《상흔》(The Scar)은 자칭 'weird fiction' 작가인 영국 런던 출신 차이나 미에빌의 세 번째 장편소설이.

새로운!!: 언어학와 상흔 · 더보기 »

생물언어학

생물언어학()은 언어학에서 인지과학이나 생성문법에 가까운 학파가 행하고 있는 언어학 연구이. 신경과학·생물학과 생성문법에서 가정되는 언어능력을 묶어, 뇌과학·생물학의 연구결과에 따라 언어능력의 존재, 메카니즘, 기원 등을 밝혀내려고 시도하고 있.

새로운!!: 언어학와 생물언어학 · 더보기 »

생물성 위계

생물성 위계(animacy hierarchy) 혹은 명사류 위계(nominal hierarchy)란 언어학에서 여러 언어들에 보편적인 언어 현상을 통일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체계적 위계 중 하나로서, 생물성에 관한 것을 의미.

새로운!!: 언어학와 생물성 위계 · 더보기 »

탄자니아

자니아 연합공화국(아랍어: جمهورية تنزانيا الاتحادية)은 동아프리카에 있는 나라이며, 1961년에 독립한 탕가니카와 1963년에 독립한 잔지바르가 1964년에 통합하여 생긴 나라이.

새로운!!: 언어학와 탄자니아 · 더보기 »

타밀족

밀 민족은 기록된 역사를 이천년 이상 거슬러 올라가는 남아시아의 민족이.

새로운!!: 언어학와 타밀족 · 더보기 »

타밀어

밀어(தமிழ்)는 드라비다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가장 오랫동안 살아남은 고전 언어 중 하나이며 현대에도 활발히 쓰이는 언어이.

새로운!!: 언어학와 타밀어 · 더보기 »

수에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언어학와 수 · 더보기 »

수 (문법)

언어학에서 수(數)는 말, 특히 명사, 대명사 및 이에 연결된 동사 등의 어형변화 또는 활용에 관한 문법 규칙 가운데 하나이며, 개체가 얼마나 있는가를 헤아리는 구분 개념에 관한 것이.

새로운!!: 언어학와 수 (문법) · 더보기 »

수동태

수동태(受動態, passive voice) 또는 피동태(被動態)는 언어학에서 말하는 태 중의 하나로, 어떤 문장의 주어가 그 문장의 동사가 나타내는 행위의 피행위자일 경우를 의미.

새로운!!: 언어학와 수동태 · 더보기 »

영어

영어(英語)는 영국의 잉글랜드에서 기원한 서게르만어군 언어이.

새로운!!: 언어학와 영어 · 더보기 »

오노 스스무

오노 스스무(1919년 - 2008년)는 일본의 언어학자이.

새로운!!: 언어학와 오노 스스무 · 더보기 »

예일 로마자 표기법

예일 로마자 표기법(Yale Romanization)은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미군이 동아시아의 언어를 로마자로 표기하기 위해 만든 체계이.

새로운!!: 언어학와 예일 로마자 표기법 · 더보기 »

현대 과학

20세기에 와서 이루어진 과학 활동을 현대 과학(現代科學)이.

새로운!!: 언어학와 현대 과학 · 더보기 »

형용사

형용사(形容詞, Adjective) 또는 그림씨는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품사이.

새로운!!: 언어학와 형용사 · 더보기 »

형태소

형태소(形態素)는 언어학에서 (일반적인 정의를 따르면) 일정한 의미가 있는 가장 작은 말의 단위로 발화체 내에서 따로 떼어낼 수 있는 것을 말. 즉, 더 분석하면 뜻이 없어지는 말의 단위이.

새로운!!: 언어학와 형태소 · 더보기 »

형식 언어

형식 언어는 유한한 종류의 문자로 이루어진 유한한 길이의 문자열의 집합을 말. 형식 언어는 수학, 논리학, 언어학, 정보 이론 등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또한 계산가능성 이론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

새로운!!: 언어학와 형식 언어 · 더보기 »

형식과학

형식과학(形式科學)은 이론적 형식 체계와 관련된 학리적 연구이.

새로운!!: 언어학와 형식과학 · 더보기 »

최적성 이론

적성 이론 (Optimality Theory, 줄여서 OT)은 1993년 언어학자 알란 프린스와 폴 스몰렌스키가 제안한 언어학적 모델이.

새로운!!: 언어학와 최적성 이론 · 더보기 »

최현배

현배(崔鉉培, 1894년 10월 19일 ~ 1970년 3월 23일)는 대한민국의 국어학자, 한글학자이며 교육자이.

새로운!!: 언어학와 최현배 · 더보기 »

어족

현존하는 자연어 어족들의 분포 어족(語族)은 언어학에서 하나의 공통된 조어(祖語)에서 갈라나왔다고 추정되는 여러 언어들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

새로운!!: 언어학와 어족 · 더보기 »

어파

어파(語派)란 언어학에서 같은 어족에서 분화되어 어족과 같은 일정한 언어적 단일체를 이루다가 다시 분화한 일련의 언어들을 일컫는 말이.

새로운!!: 언어학와 어파 · 더보기 »

어휘론

어휘론(語彙論)은 낱말과 의미, 낱말 간 관계, 단어군, 전체 어휘를 연구하는 언어학의 한 부분이.

새로운!!: 언어학와 어휘론 · 더보기 »

어역

언어학에서 어역 (語域)은 특정의 목적이나 특정의 사회적인 장면에서 사용되는 언어변이형의.

새로운!!: 언어학와 어역 · 더보기 »

어학

어학(語學)은 모국어 이외의 언어를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언어학와 어학 · 더보기 »

언론정보학

언론정보학(言論情報學) 또는 커뮤니케이션학(- 學)은 인간 생활의 전반을 아우르는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에 대해 탐구하는 학문의 영역이.

새로운!!: 언어학와 언론정보학 · 더보기 »

언어

언어(言語)에 대한 정의는 여러가지 시도가 있었.

새로운!!: 언어학와 언어 · 더보기 »

언어 본능

《언어 본능》(The Language Instinct)은 스티븐 핑커의 언어학 저서이.

새로운!!: 언어학와 언어 본능 · 더보기 »

언어의 사멸

언어학에서 사멸(死滅, language death)이란 특정 언어를 구사하는 화자들의 언어 능력이 줄어들거나 우세 언어의 영향을 받아 열세 언어가 어휘, 어법, 문법을 차례로 잠식당하여 언어체계가 무너지는 현상을 말. 언어붕괴로 부르.

새로운!!: 언어학와 언어의 사멸 · 더보기 »

언어지리학

언어지리학()은 한 언어 안의 방언적 변이나 친근한 언어들 사이의 변이를 지도 위에 표시함으로써, 각 변의 동태적 관계를 지리적, 사회적, 문화적 측면에서 파악하려는 언어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언어학와 언어지리학 · 더보기 »

언어행위

언어행위(言語行為, speech act, 화행, 언어를 통해 이루어지는 행위)이론은 1960년대 영국의 언어학자들이 창시한 언어학 이론이다.‘언어란 무엇인가’보다는 ‘언어는 무엇을 하는가’에 초점을 둔 언어학의 한 학파를 뜻하기도 한다. 특히 영국의 심리철학가 존 오스틴(John Austin)의 저서 《How to Do Things with Words》(1962)(이 제목은 '어떻게 말로 행위하는가' 또는 '말로 행위하는 법'으로 번역될 수 있다)#주1 에서 가장 완벽하게 소개되었다. 오스틴은 발화란 진위를 따질 수 있는 명제의 생산 말고 다른 것일 수도 있음에 주목하였다. 언어행위는 “집단의 한 구성원이 방해받지 않고 생산한 하나의 발언이 특정 기능(또는 행위)로 다른 구성원들에게 받아들여지는, 집단 상호작용 과정”으로 정의할 수 있다. 소그룹 담화에서 대화의 턴(turn)이 각각의 언어행위라 할 수 있다. 그 후 존 설(John Searle), 맥스 블랙(Max Black)과 같은 일상언어학파 철학자들이 여러 방법으로 다양하게 발전시켰다. 1970년 이래 언어행위이론(화행이론)은 문학평론의 이론과 실제에 큰 영향을 끼쳤다. 또 문학일반론, 특히 산문 서술의 이론을 재정립하는 모델로 사용되어 왔다.

새로운!!: 언어학와 언어행위 · 더보기 »

언어학대사전

언어학대사전()은 일본 산세이도(三省堂) 출판사가 간행하는 언어학 사전이.

새로운!!: 언어학와 언어학대사전 · 더보기 »

행위자 (문법)

행위자는 언어학에서, 술어가 나타내는 동작의 주체 또는 원인을 말. 주제 역할의 하나이며, 활격언어에서는 주어로서 표시.

새로운!!: 언어학와 행위자 (문법) · 더보기 »

행위자 명사

언어학에서, 행위자 명사 (라틴어로 노멘 아젠티스 nomen agentis)는 동작을 나타내는 다른 단어에서 파생된 단어이며, 그 해당 작업을 수행하는 독립체를 식별.

새로운!!: 언어학와 행위자 명사 · 더보기 »

얀 니에치스와프 보두앵 드 쿠르트네

1900년경의 보두앵 드 쿠르트네이. 얀 니에치스와프 보두앵 드 쿠르트네이(1845년 3월 13일 ~ 1929년 11월 3일)는 언어학자이자 슬라브학자로, 낱소리와 이음에 대한 이론으로 잘 알려져 있. 러시아 제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대학에서 활동했으며, 말년에는 독립한 폴란드의 바르샤바 대학교에 있었.

새로운!!: 언어학와 얀 니에치스와프 보두앵 드 쿠르트네 · 더보기 »

에르네스트 르낭

에르네스트 르낭 조제프 에르네스트 르낭(Joseph Ernest Renan, 1823년~1892년)은 프랑스의 언어학자·철학자·종교사가·비평가이.

새로운!!: 언어학와 에르네스트 르낭 · 더보기 »

에른스트 비그포르스

270px 에른스트 비그포르스(Ernst Johannes Wigforss, 1881년 1월 24일 ~ 1977년 1월 2일)는 스웨덴의 언어학자(방언학자)이자, 스웨덴 사회민주노동당의 핵심 인물로 스웨덴 재정부 장관을 지낸 저명한 정치인이.

새로운!!: 언어학와 에른스트 비그포르스 · 더보기 »

에릭 도널드 허시 2세

에릭 도널드 허시 2세(Eric Donald Hirsch, Jr., 1928년 3월 22일생)는 미국의 교육학자이고 문학평.

새로운!!: 언어학와 에릭 도널드 허시 2세 · 더보기 »

에드워드 클리마

에드워드 클리마(Edward Klima, 1931년 6월 21일 ~ 2008년 9월 25일)는 수화를 연구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는 언어학자이.

새로운!!: 언어학와 에드워드 클리마 · 더보기 »

에스놀로그

에스놀로그(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는 국제 SIL (공식적으로는 하계 언어학 연구소-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로 알려져 있음)의 웹 및 인쇄 출판물로서, 주로 화자들에게 본토어로 성경을 제공할 목적으로 잘 알려지지 않은 언어들을 연구하는 기독교 언어학 봉사 단체이.

새로운!!: 언어학와 에스놀로그 · 더보기 »

에식스 대학교

에식스 대학교(University of Essex)는 영국 잉글랜드 콜체스터에 위치한 공립 종합대학이.

새로운!!: 언어학와 에식스 대학교 · 더보기 »

헤르만 그라스만

헤르만 귄터 그라스만(1809년 4월 15일 ~ 1877년 9월 26일)은 독일의 수학자이자 언어학자이.

새로운!!: 언어학와 헤르만 그라스만 · 더보기 »

헤르만 파울

헤르만 파울(Hermann Paul, 1846년 8월 7일 ~ 1921년 12월 29일)은 독일의 언어학자로, 젊은이 문법학파의 가장 뛰어난 이론가였.

새로운!!: 언어학와 헤르만 파울 · 더보기 »

여러 언어에서의 파랑과 초록의 구별

가시광선의 스펙트럼을 어떤 이름으로 부르는지는 문화에 따라 다르다. 현대 유럽어에서는 대략 520–570 nm 영역을 "녹색"(green)이라 하지만, 언어에 따라서는 450–530 nm 정도("파랑/초록")나 530–590 nm 정도("초록/노랑") 정도를 녹색이라 부르기도 한다. 여러 언어 가운데에는 파랑과 초록을 구별하는 언어도 있고, 구별하지 않는 언어도 있. 또, 짙은 파랑과 옅은 파랑을 농도나 채도만 차이나는 같은 파란색이 아닌, 별개의 색으로 여기는 언어도 있. 브렌트 벌린과 폴 케이의 1969년 연구 〈Basic Color Terms: Their Universality and Evolution〉에 따르면, 한 언어에서 파란색과 초록색을 구별하기 전까지는 갈색, 자주색, 분홍색, 주황색과 회색을 구별하는 낱말이 나타나지 않. 색을 나타내는 낱말이 발전되는 과정은 그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하얀색/검정색(또는 밝음/어두움), 빨간색과 초록색/노랑색의 구별로부터 시작.

새로운!!: 언어학와 여러 언어에서의 파랑과 초록의 구별 · 더보기 »

헬레나 노르베리 호지

헬레나 노르베리-호지, 2006년 헬레나 노르베리 호지(1946년 2월 ~)는 스웨덴 출신의 언어학자이자 에코페미니스트이며 에콜로지 및 문화를 위한 국제 협회(ISEC)의 발기인이자 대표이.

새로운!!: 언어학와 헬레나 노르베리 호지 · 더보기 »

여성학

《미즈 메거진》 표지, 2009년 봄호 방글라데시 다카의 세계 여성의 날 행진. 2005년 3월 8일. 여성학(女性學)은 학제성(interdisciplinarity)이 있는 간학문적·다학문적 연구분야로서, 사회·문화적 구성물인 젠더와, 여성들의 기여, 권력과 젠더간의 연관성을.

새로운!!: 언어학와 여성학 · 더보기 »

역사언어학

역사언어학()은 같은 기원을 가진 언어들의 관계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어나는 언어의 변화를 다루는 학문이.

새로운!!: 언어학와 역사언어학 · 더보기 »

허웅 (1918년)

웅(許雄, 1918년 10월 30일 ~ 2004년 1월 26일)은 대한민국의 국어학자, 한글학자, 언어학자로, 한글학회 회장 겸 이사장과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교수(정년 퇴임 이후 명예교수)를 역임하였.

새로운!!: 언어학와 허웅 (1918년) · 더보기 »

엄마와 아빠

언어학에서, 엄마와 아빠(Mama and papa)는 전 세계의 많은 언어에서 소리 나, 또는 그와 비슷한 단어가 엄마나 아빠에 해당하는 단어와 일치하는 현상을 말. 이는, 등의 양순음과 등의 개모음이 가장 발음하기 쉽기 때문이며, 이러한 단어가 여러 언어에서 발견되더라도 해당 언어들의 동족 관계에 대한 근거가 될 수 없.

새로운!!: 언어학와 엄마와 아빠 · 더보기 »

키릴로스 (9세기)

성 키릴로스와 성 메토디우스 형제 키릴로스또는 키릴루스(827년 ~ 869년 2월 14일)는 동로마 제국의 기독교 수사이자 신학자이며 선교사이자 언어학자였.

새로운!!: 언어학와 키릴로스 (9세기) · 더보기 »

사모트라케의 아리스타르코스

사모트라케의 아리스타르코스(기원전 220년 ? - 기원전 143년 ?)는 호메로스의 서사시를 연구했던 학자일 뿐만 아니라 언어학에 큰 영향력을 가진 인물이.

새로운!!: 언어학와 사모트라케의 아리스타르코스 · 더보기 »

삶의 정황

삶의 정황()은 성서비평학에서 쓰는 개념이.

새로운!!: 언어학와 삶의 정황 · 더보기 »

삼한어

삼한어(三韓語)란, 고대 한반도의 삼한(마한, 진한, 변한)에서 사용되던 언어의 총칭이.

새로운!!: 언어학와 삼한어 · 더보기 »

프랑크푸르트 대학교

요한 볼프강 괴테 프랑크푸르트암마인 대학교(Johann Wolfgang Goethe-Universität Frankfurt am Main)는 독일 헤센 주 프랑크푸르트암마인에 있는 공립 대학이.

새로운!!: 언어학와 프랑크푸르트 대학교 · 더보기 »

프로발 다슈굽토

발 다슈굽토(1953–)는 인도의 언어학자이자 에스페란티스.

새로운!!: 언어학와 프로발 다슈굽토 · 더보기 »

프로타고라스

스 (기원전 490년경/485년 - 기원전 415년/410년)는 고대 그리스의 대표적인 소피스트이.

새로운!!: 언어학와 프로타고라스 · 더보기 »

석주명

석주명(石宙明, 1908년 10월 17일 ~ 1950년 10월 6일)은 대한민국의 나비 연구가이자 생물학자, 곤충학자, 동물학자, 언어학자, 박물학자, 제주도연구가이.

새로운!!: 언어학와 석주명 · 더보기 »

터키어 로마자

현대 터키어는 로마자.

새로운!!: 언어학와 터키어 로마자 · 더보기 »

세라 로런스 칼리지

세라 로런스 칼리지()는 미국 뉴욕 주 웨스트체스터 군 용커스에 위치한 사립 리버럴 아츠 칼리지이.

새로운!!: 언어학와 세라 로런스 칼리지 · 더보기 »

서법

서법(敍法)은 언어학에서 쓰이는 용어로, 동사의 형태론적 굴절이나 교착으로 양태나 화행의 의미를 전달하는 것을 말. 무드(mood).

새로운!!: 언어학와 서법 · 더보기 »

서진규

서진규(1948년 ~)는 미국 육군 예비역 영관급 장교이자 작가이.

새로운!!: 언어학와 서진규 · 더보기 »

서수 (언어학)

서수(序數)(ordinal)는 언어학에서 순서를 나타내는 수의 쓰임방식이.

새로운!!: 언어학와 서수 (언어학) · 더보기 »

서양 철학

서양 철학(西洋哲學)은 서양에서 이루어진 철학적인 생각과 관련된 용어로, 동양 철학이나 다양한 지역에 존재하는 토착 철학들과 대비.

새로운!!: 언어학와 서양 철학 · 더보기 »

속담

속담(俗談)은 예로부터 한 민족 혹은 사회에서 사람들 사이에서 널리 말하여져서 굳어진 어구로 전해지는 말이.

새로운!!: 언어학와 속담 · 더보기 »

토머스 쿤

머스 새뮤얼 쿤 (Thomas Samuel Kuhn, 1922년 7월 18일 - 1996년 6월 17일)은 미국의 과학사학자이자 과학철학자이.

새로운!!: 언어학와 토머스 쿤 · 더보기 »

토머스 영

머스 영 토머스 영(Thomas Young, 1773년 6월 13일~1829년 5월 10일)은 영국의 의사, 물리학자, 생리학자, 언어학자이.

새로운!!: 언어학와 토머스 영 · 더보기 »

앨버트 갤러틴

에이브러햄 알폰스 앨버트 갤러틴(Abraham Alfonse Albert Gallatin, 1761년 1월 29일 - 1849년 8월 12일)는 미국의 민속학자, 언어학자, 정치가, 외교관이.

새로운!!: 언어학와 앨버트 갤러틴 · 더보기 »

야코프 그림

야코프 그림 야코프 루트비히 카를 그림(Jakob Ludwig Carl Grimm, 1785년 1월 4일 ~ 1863년 9월 20일)은 독일의 언어학자이자 동화 수집.

새로운!!: 언어학와 야코프 그림 · 더보기 »

알렉산드라 마리아 라라

알렉산드라 마리아 라라(1978년 11월 12일 -)는 루마니아와 독일의 배우이.

새로운!!: 언어학와 알렉산드라 마리아 라라 · 더보기 »

알렉산드르 홀로도비치

알렉산드르 알렉세예비치 홀로도비치(1906년 5월 24일 ~ 1977년 3월 20일)는 러시아의 한국어학자이.

새로운!!: 언어학와 알렉산드르 홀로도비치 · 더보기 »

알고리즘

알고리즘(라틴어, 독일어: Algorithmus)은 수학과 컴퓨터 과학, 언어학 또는 관련 분야에서 어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련의 절차를 공식화한 형태로 표현한 것을 말. 알고리즘은 연산, 데이터 진행 또는 자동화된 추론을 수행.

새로운!!: 언어학와 알고리즘 · 더보기 »

한국십진분류법

국십진분류법(韓國十進分類法, KDC: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은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도서분류체계이.

새로운!!: 언어학와 한국십진분류법 · 더보기 »

안재홍

안재홍(安在鴻, 1891년 12월 30일 ~ 1965년 3월 1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 통일운동가, 정치가이며 언론인, 역사가, 언어학자이.

새로운!!: 언어학와 안재홍 · 더보기 »

안토니오 그람시

안토니오 그람시(1891년 1월 22일 ~ 1937년 4월 27일)는 사회주의와 공산주의 그리고 반 파시즘을 주장한 이탈리아 지식인, 정치인 그리고 지도자와 사상가였.

새로운!!: 언어학와 안토니오 그람시 · 더보기 »

안티스테네스

안티스테네스(c. 기원전 445년-기원전 365년경)는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로 소크라테스 제자 중 하나이.

새로운!!: 언어학와 안티스테네스 · 더보기 »

아라이 하쿠세키

아라이 하쿠세키 아라이 하쿠세키(1657년 3월 24일 ~ 1725년 6월 29일)는 에도 중기의 무사, 유학자 겸 정치인이.

새로운!!: 언어학와 아라이 하쿠세키 · 더보기 »

아브자드

아 자음 문자의 첫 다섯 글자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자음문자(子音文字, consonantary) 또는 아브자드(abjad)는 음소 문자로 구성된 문자 시스템의 하나로, 자음(子音)의 음소마다 한개의 문자(음소문자)를 갖. 각 기호가 일반적으로나 늘 닿소리를 표현하는 데 쓰인.

새로운!!: 언어학와 아브자드 · 더보기 »

아누만 라차톤

아누만 라차톤은 상점에서 손님을 끌기 위해 내거는 장식부처럼 태국 문화에서 별로 중요해 보이지 않는 것들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이 그림은 낭꽉으로, 방콕의 상점에 걸려 있는 행운을 가져다주는 부적이다. 프라야 아누만 라차톤(1888년 - 1969년)은 근현대 태국에서 가장 중요한 학자군에 속하는 인물이.

새로운!!: 언어학와 아누만 라차톤 · 더보기 »

아이신기오로 울히춘

아이신기오로 울히춘(1958년 ~)은 중국 출신으로 현재 일본에 거주하고 있는 언어학자이.

새로운!!: 언어학와 아이신기오로 울히춘 · 더보기 »

학문 목록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언어학와 학문 목록 · 더보기 »

앙드레조르주 오드리쿠르

앙드레조르주 오드리쿠르(André-Georges Haudricourt, 1911년-1996년)는 프랑스의 인류학자, 언어학자이.

새로운!!: 언어학와 앙드레조르주 오드리쿠르 · 더보기 »

텍스트언어학

텍스트언어학(- 言語學)은 텍스트를 의사소통 시스템으로 다루는 언어학 분야이.

새로운!!: 언어학와 텍스트언어학 · 더보기 »

셈족

셈족(Semites 또는 Semitic)이라는 낱말은 성경의 창세기에 나오는 인물로 노아의 세 아들 중의 장남인 셈("이름"을 의미한다)에서 만들어진 말이.

새로운!!: 언어학와 셈족 · 더보기 »

신경과학

비둘기의 소뇌에 위치한 뉴런 (Santiago Ramón y Cajal, 1899) 신경과학(神經科學, Neuroscience)은 뇌를 포함한 모든 신경계에 대해서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언어학와 신경과학 · 더보기 »

신경언어학

신경언어학(神經言語學)은 언어 능력과 두뇌에 관한 관계를 연구하는 언어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언어학와 신경언어학 · 더보기 »

신숙주

신숙주(申叔舟, 1417년 8월 2일 (음력 6월 20일) ~ 1475년 7월 23일 (음력 6월 21일))는 조선 전기의 성리학자·문신·정치가이며 언어학자, 외교관이.

새로운!!: 언어학와 신숙주 · 더보기 »

심리언어학

심리언어학(心理言語學)은 언어습득과 언어사용 시 작용하는 인간의 내재적, 정신적 과정을 과학적으로 연구하고 설명하려는 학문이.

새로운!!: 언어학와 심리언어학 · 더보기 »

시릴 노먼 힌셜우드

시릴 노먼 힌셜우드 노벨상 딱지 시릴 노먼 힌셜우드 경(PRS, 1897년 6월 19일 ~ 1967년 10월 9일)은 영국의 화학자이자 언어학자, 철학자이.

새로운!!: 언어학와 시릴 노먼 힌셜우드 · 더보기 »

시제

시제는 말 속에서 규정되는 언어학적인 시간을 나타내는 문법 범주이.

새로운!!: 언어학와 시제 · 더보기 »

시씨식사사

《시씨식사사》()는 중화민국 초기의 언어학자인 자오위안런이 쓴 서로 다른 성조의 shi (스)로만 되어 있는 유희시(遊戱詩)이.

새로운!!: 언어학와 시씨식사사 · 더보기 »

워드 웨이즈

《워드 웨이즈》()는 로골로지 분야의 학술 잡지이.

새로운!!: 언어학와 워드 웨이즈 · 더보기 »

움베르토 에코

움베르토 에코(1932년 1월 5일 ~ 2016년 2월 19일)는 알레산드리아에서 태어난 이탈리아의 기호학자, 미학자, 언어학자, 철학자, 소설가, 역사학자이.

새로운!!: 언어학와 움베르토 에코 · 더보기 »

외래어

외래어(外來語)란 고유어가 아닌 외국에서 들여와 자국어(自國語)처럼 사용하는 말을 일컫.

새로운!!: 언어학와 외래어 · 더보기 »

외국어

외국어(外國語)는 모국이 아닌 다른 나라의 말을 말.

새로운!!: 언어학와 외국어 · 더보기 »

화제화

화제화(話題化) 또는 주제화(主題化)는 언어학에서는 형태적 수단, 문법적 수단, 음성적인 수단을 이용하여, 문장의 일부의 단어를 화제(주제)로 설정하는 어법을 뜻. 또한 그렇게 만들어진 문장은 화제화 구문, 주제화문 등으로 불린.

새로운!!: 언어학와 화제화 · 더보기 »

와타나베 쇼이치

와타나베 쇼이치().

새로운!!: 언어학와 와타나베 쇼이치 · 더보기 »

J. R. R. 톨킨

존 로널드 로얼 톨킨(John Ronald Reuel Tolkien, J. R. R. 톨킨, CBE, 1892년 1월 3일~1973년 9월 2일)은 영국의 영어학 교수이자 작가이.

새로운!!: 언어학와 J. R. R. 톨킨 · 더보기 »

1928년

1928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언어학와 1928년 · 더보기 »

1948년

194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언어학와 1948년 · 더보기 »

7월 11일

7월 1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92번째(윤년일 경우 19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언어학와 7월 11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언어학자.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