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에스페란토

색인 에스페란토

에스페란토 협회가있는 나라 에스페란토의 녹색 기 에스페란토(Esperanto)는 세계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인공어이.

176 처지: A, Ĥ, Ŭ, Ĝ, Ĉ, , B, C, E, EO, 러시아 과학자의 목록, 랭-8, 도기 보나, 독일의 국명, 라 에스페로, 라우마주의, 라친카, 레몽 슈바르츠, 레나토 코르세티, 레토 로세티, 로마자, 로즈 섬 공화국, 로지반, 루도비코 라자로 자멘호프, 루이 드 보프롱, 르네 드 소쉬르, 리시쥔, 링구아프랑카노바, 마영태, 모리스 르네 프레셰, 모질라 지역화, 무자이코, 무성 후치경 파찰음, 뮌헨 선언, 미국인의 명칭, 미야모토 마사오, 미야자와 겐지, 강철군화, 가마이시 선, 거꾸로 된 파테마, 베르틸 벤네르그렌, 버기 줄러,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보아보무, 볼라퓌크, 북아메리카 에스페란토 연맹, 불로뉴 선언, 블라디미르 쾨펜, 비아위스토크, 빅스비 (가상 비서), ..., 김억, 대격, 대니얼 태멋, 대우 에스페로, 대한민국 영문 표기 논쟁, 구글 번역, 구스타프 욘 람스테트, 국제어, 듀오링고, 네이버 파파고, 노시로, 녹성기 아래서의 기도, , 니 칸투!, F, FC 안양, ISO 639, ISO 639-1, ISO/IEC 8859, ISO/IEC 8859-3, 슬로비오, 울리히 린스, 자멘호프의 날, 재버워키, 클로드 피롱, 폴란드 국제방송, 이도, 이보 라페나, 이재현 (1917년), 이중기,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이사 (음반), 인류인주의, 인공어, 인테르링구아, 제1대 첼우드의 세실 자작 로버트 세실, 제1서, 조지 오웰, 조지 소로스, 조선에스페란토문화사, 조선에스페란토협회, 중립 모레스네, 중국망, 중국국제방송,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차단된 위키백과의 문서들, 지구어, 체 언도르, 초기 에스페란토, 카렐 피치, 카지미에시 베인, 컬로처이 칼만, 유럽 연합의 이름, 유럽 연합의 언어, 유럽-민주-에스페란토, 유로클론, 유로화 관련 언어 문제, 유성 후치경 파찰음, 윌리엄 올드, 수사 (품사), 오모토, 오스기 사카에, 오사카 외국어대학, 호르헤 카마초, 호모글리프, 예브게니 이오시포비치 미할스키, 현대 에스페란토 언어변화, 형용사, 어족, 언어, 언어 창작자, 언어별 기초 회화, 언어별 위키백과 목록, 에스페란토 (동음이의), 에스페란토 동사, 에스페란토 문자, 에스페란토 문학, 에스페란토 문화, 에스페란토 공화국, 에스페란토 기본 예문집, 에스페란토 대회, 에스페란토 음악, 에스페란토 위키백과, 에스페란토 상징, 에스페란토 어원, 에스페란토 센 플렉시오, 에스페란토 원어민, 에스페란토를 유럽 연합의 공용어로, 지금!, 에스페란토기, 에스페란토의 역사, 에스페란토화, 에스페란티도, 에스페란티스토, 헝가리 에스페란토 협회, 헤르츠베르크 암 하르츠, 헥토어 호들러, 푼다멘토 데 에스페란토, 표음문자, 씨벌교황, 프란츠 요나스, 프라하 선언, 프로발 다슈굽토, 프로젝트 구텐베르크, 석주명, 세계 에스페란토 협회, 세계무민족성협회, 서커시치 아르파드, 야마다 선, 야쿠르트 (음료), 한무협, 한국에스페란토협회, 한국외국어대학교, 안고로이, 안우생, 안토니 그라보프스키, 하나마키 시, 아르카이캄 에스페란톰, 아이두, 시라카와 히데키, 후타바테이 시메이, 홍형의, 외젠 랑티, Lernu!, OK Computer, RI, 12월 15일, 1887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26 더) »

A

A, a는 로마자의 첫 번째 글자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A · 더보기 »

Ĥ

Code2000, Sylfaen, Pragmatica로 나타낸 대문자 Ĥ와 소문자 ĥ. Ĥ, ĥ는 에스페란토의 11번째 글자로, 무성 연구개 마찰음() 또는 무성 구개수 마찰음()을.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Ĥ · 더보기 »

Ŭ

Ŭ, ŭ는 에스페란토의 반모음 문자이자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서 사용되는 문자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Ŭ · 더보기 »

Ĝ

Ĝ, 소문자로 ĝ는 로마자 G에 곡절 부호를 올린 글자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Ĝ · 더보기 »

Ĉ

Ĉ, ĉ는 에스페란토의 4번째 글자로, 무성 후치경 파찰음 을.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Ĉ · 더보기 »

ᅟᅠᆨᆫ(ᅟᅠᆨᆫ, 기역니은)은 한글 낱자 ㄱ과 ㄴ을 겹쳐 놓은 것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ᇺ · 더보기 »

B

B, b는 로마자의 두 번째 글자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B · 더보기 »

C

C, c는 로마자의 세(3) 번째 글자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C · 더보기 »

E

E, e는 로마자의 다섯 번째 글자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E · 더보기 »

EO

EO, Eo, eo는 다음 뜻을 가지고 있.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EO · 더보기 »

러시아 과학자의 목록

'''카를 에른스트 폰 베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러시아 과학자의 목록 · 더보기 »

랭-8

랭-8(Lang-8)은 언어 교환 소셜 네트워크 웹사이트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랭-8 · 더보기 »

도기 보나

보나의 상징 도기 보나(Toki Pona)는 캐나다의 번역가이자 언어학자인 소냐 엘렌 키사(Sonja Lang)가 고안한 인공어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도기 보나 · 더보기 »

독일의 국명

독일을 가리키는 명칭은 유럽의 중앙부에 위치한 독일의 지리적 위치와 수많은 종족과 소국가로 나뉜 오랜 역사 때문에 유럽의 다른 나라들에 대한 명칭들보다 상대적으로 다양.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독일의 국명 · 더보기 »

라 에스페로

에스페로(라 에스페로, 희망)는 라자로 자멘호프가 1891년에 쓴 에스페란토 시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라 에스페로 · 더보기 »

라우마주의

우마주의()는 에스페란토의 정체성을 세계공용어로 정의하는 기존의 에스페란토 운동과 달리, 일종의 언어적 소수민족으로 정의하는 사상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라우마주의 · 더보기 »

라친카

()는 벨라루스어를 표기하는 라틴 문자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라친카 · 더보기 »

레몽 슈바르츠

몽 슈바르츠(1894–1973)는 프랑스의 작가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레몽 슈바르츠 · 더보기 »

레나토 코르세티

르세티(1941–)는 이탈리아의 언어학자이자 에스페란티스토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레나토 코르세티 · 더보기 »

레토 로세티

마리오 로세티(1909–1994)는 스위스의 시인이자 에스페란티스토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레토 로세티 · 더보기 »

로마자

문자() 또는 로마자()는 세계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문자이며, 음소 문자 체계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로마자 · 더보기 »

로즈 섬 공화국

섬 공화국()은 이탈리아 리미니 근처 아드리아 해에 있던 마이크로네이션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로즈 섬 공화국 · 더보기 »

로지반

반(La Lojban)은 인공언어 로글란(Loglan)을 모태로 하여 언어의 완전한 기능성을 목표로 1987년에 개발된 인공어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로지반 · 더보기 »

루도비코 라자로 자멘호프

비코 라자로 자멘호프(1859년 12월 15일 - 1917년 4월 14일)는 에스페란토를 창제한 안과 의사.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루도비코 라자로 자멘호프 · 더보기 »

루이 드 보프롱

이 드 보프롱()은 프랑스의 교사이자 에스페란티스토이며, 이후 이도를 대신 지지하였.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루이 드 보프롱 · 더보기 »

르네 드 소쉬르

르네 드 소쉬르(1868–1943)는 스위스의 수학자이자 에스페란티스토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르네 드 소쉬르 · 더보기 »

리시쥔

리시쥔(한국 한자음: 이사준, 1923년 3월 29일 ~ 2012년 11월 10일)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에스페란티스토이자 번역가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리시쥔 · 더보기 »

링구아프랑카노바

링구아프랑카노바의 기 링구아프랑카노바(Lingua Franca Nova)는 펜실베이니아 주의 조지 보레 박사가 만든 국제보조어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링구아프랑카노바 · 더보기 »

마영태

마영태(馬榮泰, 1946년 ~)는 대한민국의 에스페란티스토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마영태 · 더보기 »

모리스 르네 프레셰

모리스 르네 프레셰(1878 ~ 1973)는 프랑스의 수학자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모리스 르네 프레셰 · 더보기 »

모질라 지역화

모질라 지역화는 모질라 제품의 지역화를 뜻. 이는 일반적으로 제품이 특정언어로 번역된 것과 언어 또는 지역 고유의 기능이 추가되는 것 모두를 수반.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모질라 지역화 · 더보기 »

무자이코

무자이코(Muzaiko)는 에스페란토 관련 인터넷 음악 방송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무자이코 · 더보기 »

무성 후치경 파찰음

무성 후치경 파찰음(無聲 後齒莖 破擦音) 또는 무성 후치경 폐찰음(無聲 後齒莖 閉擦音)은 윗니의 잇몸 뒤쪽에 둔 뒤, 혀가 떨어진 순간에 혀와 잇몸 뒷면 사이에 있는 틈새로 숨을 쉼으로써 생기는 호흡의 마찰에 의해 조음되는 파찰음의 무성음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무성 후치경 파찰음 · 더보기 »

뮌헨 선언

뮌헨 선언(Munkena Deklaracio)이란 1951년에 발표된, 에스페란토 운동의 목표를 정의하는 선언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뮌헨 선언 · 더보기 »

미국인의 명칭

여러 언어에서 미국 시민을 지칭하는 다양한 용어를 쓰고 있. 영어에서는 보통 "미국인"(American)이라는 표현을 쓴. "아메리칸"처럼 미국인을 지칭하는 영어 표현은 모두 "아메리카 합중국"(the United States of America)에서 파생한 말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미국인의 명칭 · 더보기 »

미야모토 마사오

미야모토 마사오(1913–1989)는 일본의 에스페란티스토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미야모토 마사오 · 더보기 »

미야자와 겐지

미야자와 겐지 미야자와 겐지(1896년 8월 27일- 1933년 9월 21일)는 이와테현 출신의 일본의 문인이자 교육자, 에스페란티스토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미야자와 겐지 · 더보기 »

강철군화

강철군화(원제: The Iron Heel)는 1908년 처음으로 출판한 미국 작가 잭 런던의 디스토피아 소설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강철군화 · 더보기 »

가마이시 선

마이시 선()은 일본 이와테현 하나마키 시의 하나마키 역에서 가마이시 시의 가마이시 역까지 연결하는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 노선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가마이시 선 · 더보기 »

거꾸로 된 파테마

《거꾸로 된 파테마》()는 2013년 공개된 일본의 애니메이션 영화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거꾸로 된 파테마 · 더보기 »

베르틸 벤네르그렌

벤네르그렌 베르틸 벤네르그렌(1956년 10월 4일 ~)은 스웨덴의 에스페란티스.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베르틸 벤네르그렌 · 더보기 »

버기 줄러

버기 줄러(1891–1967)는 헝가리의 작가 및 배우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버기 줄러 · 더보기 »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1646년 7월 1일 ~ 1716년 11월 14일)는 독일의 철학자이자 수학자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 더보기 »

보아보무

보아보무(BABM)이란 일본의 철학자 오카모토 후이시키(岡本普意識)가 고안해낸 국제보조어이다. 1962년 출판된 책에 의하여 알려졌으나, 특별한 지지 커뮤니티는 얻지 못했다. 로마자를 음절 문자로 변용하여 쓴다.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보아보무 · 더보기 »

볼라퓌크

볼라퓌크(Volapük)는 대중적 지지와 인기를 얻은 첫 근대적 국제어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볼라퓌크 · 더보기 »

북아메리카 에스페란토 연맹

북아메리카 에스페란토 연맹(Esperanto-Ligo por Norda Ameriko) 또는 에스페란토 USA(Esperanto-USA)는 미국의 대규모 에스.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북아메리카 에스페란토 연맹 · 더보기 »

불로뉴 선언

불로뉴 선언()은 에스페란토와 에스페란토주의(Esperantismo)를 공식적으로 정의한 선언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불로뉴 선언 · 더보기 »

블라디미르 쾨펜

블라디미르 페터 쾨펜(Wladimir Peter Köppen, 1846년 9월 25일 ~ 1940년 6월 22일)은 러시아에 거주하던 독일인 과학자로, 상트페테르부르크 출신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블라디미르 쾨펜 · 더보기 »

비아위스토크

비아위스토크 비아위스토크는 폴란드 북동부에 있는 도시로 포들라스키에 주의 주도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비아위스토크 · 더보기 »

빅스비 (가상 비서)

빅스비(Bixby)는 삼성 전자가 자체 개발한 음성 인식 플랫폼으로, 2017년 3월 29일 공개된 삼성전자의 갤럭시S8에 탑재된 인공지능(AI) 가상 비서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빅스비 (가상 비서) · 더보기 »

김억

억(金億, 일본식 이름: 岸曙生, 1896년 11월 30일 ~ ?)은 한국의 시인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김억 · 더보기 »

대격

격 (對格, accusative case, casus accusativus, 약어 ACC)는 명사가 취하는 격 중 하나로, 주격 및 대격이 형식적으로 표시되는 언어에서 타동사의 직접목적어를 표시할 때 사용되는 형태를 말. '목적격'이라고도 하며, 독일어 에서는 4격()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대격 · 더보기 »

대니얼 태멋

얼 태멋 (2011년) 대니얼 태멋(1979년 1월 31일 ~)은 영국의 작가로, 서번트 증후군 천재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대니얼 태멋 · 더보기 »

대우 에스페로

우 에스페로(후기형) 정측면 대우 에스페로(후기형) 후측면 대우 에스페로(Daewoo Espero)는 대우자동차(한국GM의 전신)에서 1990년부터 1997년까지 생산한 승용차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대우 에스페로 · 더보기 »

대한민국 영문 표기 논쟁

민국 영문 표기 논쟁은 일부에서 주장하는 '한국의 영어 국호인 KOREA의 K가 일제에 의하여 C에서 K로 바뀌었으므로 이를 원래의 C로 바꿔야 한다'는 주장과 그를 둘러싼 논쟁을 말.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대한민국 영문 표기 논쟁 · 더보기 »

구글 번역

번역()은 텍스트 번역을 위해 구글이 무료로 제공하는 다언어 기계 번역 서비스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구글 번역 · 더보기 »

구스타프 욘 람스테트

스타프 욘 람스테트 구스타프 욘 람스테트(1873년 10월 22일 ~ 1950년 11월 25일)는 핀란드의 외교관이자 언어학자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구스타프 욘 람스테트 · 더보기 »

국제어

국제어 또는 국제보조어 (國際補助語, International Auxiliary Language, (int.) auxlang, IAL)란 예술어와 함께 인공어의 한 종류로, 언어와 문화가 다른 이들간 의사소통의 장벽을 낮추기 위해 만들어진 중립적이고 간단한 구조의 언어들을 통칭하는 말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국제어 · 더보기 »

듀오링고

오링고(Duolingo)는 사용자들이 무료로 언어를 배우는 동시에 크라우드 소싱의 방식으로 언어를 번역할 수 있는 플랫폼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듀오링고 · 더보기 »

네이버 파파고

()는 네이버가 무료로 제공하는 기계 번역 서비스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네이버 파파고 · 더보기 »

노시로

시로(NOXILO)는 미즈타 센타로(水田扇太郎)에 의하여 개발중인 국제보조어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노시로 · 더보기 »

녹성기 아래서의 기도

녹성기 아래서의 기도(Preĝo sub la verda standardo)는 루도비코 라자로 자멘호프가 쓴 시.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녹성기 아래서의 기도 · 더보기 »

(moon)은 지구의 유일한 영구한 자연위성으로, 태양계내의 위성 중 5번.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달 · 더보기 »

니 칸투!

《니 칸투!》(Ni Cantu!)는 헝가리의 에스페란토 서적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니 칸투! · 더보기 »

F

F, f는 로마자의 여섯 번째 글자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F · 더보기 »

FC 안양

FC 안양(Football Club Anyang, 안양 시민프로축구단)은 경기도 안양시를 연고지로 하는 대한민국의 K리그2 소속 프로축구단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FC 안양 · 더보기 »

ISO 639

ISO 639는 전 세계의 언어 명칭에 고유 부호를 부여하는 국제 표준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ISO 639 · 더보기 »

ISO 639-1

type.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ISO 639-1 · 더보기 »

ISO/IEC 8859

ISO/IEC 8859는 컴퓨터에서 8비트로 문자를 나타내기 위한 ISO와 IEC의 공동 표준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ISO/IEC 8859 · 더보기 »

ISO/IEC 8859-3

ISO/IEC 8859-3:1999 (별칭:Information technology — 8-bit single-byte coded graphic character sets — Part 3: Latin alphabet No. 3)은 아스키를 기반으로 한 표준 문자 인코딩인 ISO/IEC 8859의 일부로, 1988년에 처음으로 발. 약칭 '라틴-3' (Latin-3)나 '남유럽' 코드 (South European)로 불린.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ISO/IEC 8859-3 · 더보기 »

슬로비오

슬로비오는 스위스에 사는 체코출신 언어학자 마르크 후츠코가 만들어 2001년에 인터넷에 공개한 국제어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슬로비오 · 더보기 »

울리히 린스

울리히 린스(1943–)는 독일의 역사가이자 에스페란티스토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울리히 린스 · 더보기 »

자멘호프의 날

2008년 벨기에 켈미스에서 열린 자멘호프의 날 행사 자멘호프의 날()은 에스페란토의 창시자 루도비코 라자로 자멘호프가 태어난 12월 15일을 기념하는 날로 에스페란토의 날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자멘호프의 날 · 더보기 »

재버워키

〈재버워키〉(Jabberwocky)는 1871년 루이스 캐럴이 쓴 《거울 나라의 앨리스》(원제 Through the Looking-Glass, and What Alice Found There)에 나오는 넌센스 시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재버워키 · 더보기 »

클로드 피롱

롱 (Claude Piron, 1931년 2월 26일-2008년 1월 22일)은 심리치료사이자 언어학자.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클로드 피롱 · 더보기 »

폴란드 국제방송

국제방송()은 폴란드의 국제방송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폴란드 국제방송 · 더보기 »

이도

이도(Ido)는 에스페란토의 개선안에서 출발한 국제어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이도 · 더보기 »

이보 라페나

이보 라페나(1909–1987)는 크로아티아의 법학자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이보 라페나 · 더보기 »

이재현 (1917년)

이재현(李在賢, 1917년 2월 2일 ~ 1997년 2월 24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에스페란티스토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이재현 (1917년) · 더보기 »

이중기

이중기는 대한민국의 에스페란티스.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이중기 · 더보기 »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영어 원제:Alice's Adventures in Wonderland)는 영국의 수학자이자 작가인 찰스 루트위지 도지슨이 루이스 캐럴이라는 필명으로 1865년에 발표한 소설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 더보기 »

이사 (음반)

移徙(이사)는 대한민국의 작곡가 겸 가수 윤상의 네 번째 정규앨범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이사 (음반) · 더보기 »

인류인주의

인류인주의(人類人主義)는 1906년 루도비코 라자로 자멘호프가 발표한 에스페란토 이론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인류인주의 · 더보기 »

인공어

언어창작회의가 채택한 인공어 깃발. 가운데 계단은 바벨탑을 나타낸다 인공어(人工語)는 자연적으로 생성된 자연어와 달리 한 사람이나 여러 사람의 의도와 목적에 따라 만든 언어를 말. 영어로는 constructed language라고 하며, 줄여서 conlang(콘랭)으로 흔히 쓰인.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인공어 · 더보기 »

인테르링구아

인테르링구아(Interlingua, 인터링구아)는 1951년에 알렉산데르 고데(Alexander Gode)에 의해 만들어진 국제어이자 인공어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인테르링구아 · 더보기 »

제1대 첼우드의 세실 자작 로버트 세실

버트 세실(1919년)노벨상 딱지 펀치에 게재되었다. 제1대 첼우드의 세실 자작 에드거 앨저넌 로버트 개스코인세실(Edgar Algernon Robert Gascoyne-Cecil, 1st Viscount Cecil of Chelwood, CH, 1864년 9월 14일~1958년 11월 24일)또는 로버트 세실(Robert Cecil)은 영국의 변호사, 정치인, 외교관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제1대 첼우드의 세실 자작 로버트 세실 · 더보기 »

제1서

섬네일 섬네일 섬네일 섬네일 섬네일 섬네일 《제1서》(第一書)는 라자로 자멘호프가 쓴, 에스페란토를 다루는 최초의 출판물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제1서 · 더보기 »

조지 오웰

조지 오웰(George Orwell)이라는 필명으로 널리 알려진 에릭 아서 블레어(Eric Arthur Blair, 1903년 6월 25일 ~ 1950년 1월 21일)는 인도에서 태어난 영국 작가이자 언론인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조지 오웰 · 더보기 »

조지 소로스

조지 소로스(1930년 8월 12일 ~)는 헝가리계 미국인으로서 금융인이자 투자가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조지 소로스 · 더보기 »

조선에스페란토문화사

조선에스페란토문화사는 1937년 일제강점기 서울에서 조직되었던 아나키즘 운동의 학술단체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조선에스페란토문화사 · 더보기 »

조선에스페란토협회

조선에스페란토협회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에스페란토 협회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조선에스페란토협회 · 더보기 »

중립 모레스네

중립 모레스네()는 1816년부터 1919년까지 유럽에 존재한 3.5km2 크기의 작은 땅으로, 두 이웃 나라 사이에서 소유권에 대한 협정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중립 지역으로 따로 떼어 만들어진 것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중립 모레스네 · 더보기 »

중국망

중국망 (中国网)은 중국외문출판발행사업국과 국무원신문판공실이 관리하는 뉴스 사이트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중국망 · 더보기 »

중국국제방송

중국국제방송의 로고 중국국제방송(중국국제광파전대,, China Radio International, 약칭 CRI)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유일한 국영대외방송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중국국제방송 · 더보기 »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차단된 위키백과의 문서들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에서는 자국 문제와 직결되어 있는 민감한 위키백과의 문서를 차단하고 있는데 처음에는 위키백과 전체를 차단하였으나 지금은 일부 문서만 차단되고 있.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차단된 위키백과의 문서들 · 더보기 »

지구어

어(Earth Language)는 미국에 거주하는 일본인 요시코 맥펄랜드(Yoshiko McFarland)가 만든 국제어로, 줄여서 EL이라고 부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지구어 · 더보기 »

체 언도르

언도르(1895–1979)는 헝가리의 가톨릭 사제이자 에스페란토 교사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체 언도르 · 더보기 »

초기 에스페란토

에스페란토(初期Esperanto, Pra-Esperanto)는 제1서가 출판되기 이전의 에스페란토의 형태를 일컫.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초기 에스페란토 · 더보기 »

카렐 피치

(1920–1995)는 체코의 시인이자 에스페란티스.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카렐 피치 · 더보기 »

카지미에시 베인

미에시 베인(1872–1959)은 폴란드의 안과의사이자 에스페란티스토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카지미에시 베인 · 더보기 »

컬로처이 칼만

이 칼만(1891–1976)은 헝가리의 시인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컬로처이 칼만 · 더보기 »

유럽 연합의 이름

음은 23개 공식 언어로 된 유럽 연합의 이름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유럽 연합의 이름 · 더보기 »

유럽 연합의 언어

브뤼셀의 유럽 의회 건물 출입구에 붙어 있는 유럽 연합 내에서 쓰이는 모든 언어로 쓰여진 팻말. 유럽 연합의 언어는 유럽 연합의 24개 공식 언어를 포함한, 유럽 연합 가맹국에서 쓰는 언어를 말. 유럽 연합은 시민들이 두 개 이상의 모어가 아닌 언어를 구사할 수 있도록 장려하는 다국어 정책을 펴고 있. 그러나 이러한 정책이 완전히 유럽 연합의 사람들에게서 지지되는 것은 아. 일부 사람들은 아랍어도 유럽 연합의 언어로 지정하자고 주장하고 있. 에스페란티스토들은 다국어 정책이 결국 영어를 통한 영국의 이익으로만으로 작용할 것이라면서, 에스페란토를 유럽 연합의 공용어로 지정할 것을 주장하고 있.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유럽 연합의 언어 · 더보기 »

유럽-민주-에스페란토

유럽-민주-에스페란토()는 유럽 연합의 공용어로 에스페란토를 쓰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정당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유럽-민주-에스페란토 · 더보기 »

유로클론

유로클론(Euroclone)이란 국제보조어 중에서 어휘나 음소, 문법, 용례 등을 유럽어에 기초를 두고 만들어진 것들을 말. 대부분의 주요 국제보조어가 유로클론에 속하며, 대부분 로망스어나 게르만어에서 가져온 기초 어휘를 혼합하여 만들어지나, 특히 로망스어(라틴어) 계열의 어휘가 많. 이들 유로클론에 속하는 언어는 대부분 문장의 형태나 발성되었을 때의 소리가 기존의 유럽어와 흡사하여 비유럽인의 시각에서는 서로 구분되지 않는 경우가 많. 클론이란 표현에는 이러한 특징에 대해 약간 야유하는 어감이 숨어 있.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유로클론 · 더보기 »

유로화 관련 언어 문제

유로화 관련 언어 문제는 유로 사용과 함께 철자법 문제로 야기된 여러 논란을 뜻.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euro/cent를 쓰고 있으며 문법적 특성에 따라 복수형 등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유로화 관련 언어 문제 · 더보기 »

유성 후치경 파찰음

유성 후치경 파찰음(有聲 後齒莖 破擦音) 또는 유성 후치경 폐찰음(有聲 後齒莖 閉擦音)은 윗니의 잇몸 뒤쪽에 둔 뒤, 혀가 떨어진 순간에 혀와 잇몸 뒷면 사이에 있는 틈새로 숨을 쉼으로써 생기는 호흡의 마찰에 의해 조음되는 파찰음의 유성음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유성 후치경 파찰음 · 더보기 »

윌리엄 올드

윌리엄 올드(1924–2006)는 스코틀랜드의 시인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윌리엄 올드 · 더보기 »

수사 (품사)

수사(數詞) 또는 셈씨는 사물의 수량이나 순서를 나타내는 말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수사 (품사) · 더보기 »

오모토

오모토(大本)는 일본의 신토(神道)계의 신흥종교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오모토 · 더보기 »

오스기 사카에

오스기 사카에(1885년 1월 17일 ~ 1923년 9월 16일)는 일본의 대표적인 노동운동가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오스기 사카에 · 더보기 »

오사카 외국어대학

오사카 외국어대학()은 1921년에 창립된 오사카 외국어학교(大阪外國語學校)를 모체로, 1949년에 신제(新制) 국립 대학으로 발족하였.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오사카 외국어대학 · 더보기 »

호르헤 카마초

호르헤 카마초 코르돈(1966–)은 스페인의 시인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호르헤 카마초 · 더보기 »

호모글리프

이포그래피에서 호모글리프(homoglyph)는 모양이 같거나, 쉽게 구분할 수 없는 글자나 자체를 말. 한글 모음 ㅣ와 로마자 i의 대문자 I, 로마자 L의 소문자 l, 아라비아 숫자 1 등이 호모글리프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호모글리프 · 더보기 »

예브게니 이오시포비치 미할스키

예브게니 이오시포비치 미할스키(1891–1937)는 우크라이나의 시인이자 노동 운동가, 에스페란티스토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예브게니 이오시포비치 미할스키 · 더보기 »

현대 에스페란토 언어변화

에스페란토가 국제 의사소통의 목적어 충분히 적합에 보임에도 불고하고, 에스페란토 역사에는 많은 개선안이 제안되어왔.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현대 에스페란토 언어변화 · 더보기 »

형용사

형용사(形容詞, Adjective) 또는 그림씨는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품사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형용사 · 더보기 »

어족

현존하는 자연어 어족들의 분포 어족(語族)은 언어학에서 하나의 공통된 조어(祖語)에서 갈라나왔다고 추정되는 여러 언어들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어족 · 더보기 »

언어

언어(言語)에 대한 정의는 여러가지 시도가 있었.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언어 · 더보기 »

언어 창작자

언어 창작자(言語創作者 Conlanger)는 인공어를 창작하는 사람을 의미하는 말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언어 창작자 · 더보기 »

언어별 기초 회화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언어별 기초 회화 · 더보기 »

언어별 위키백과 목록

이 문서는 각언어별 위키백과에 대한 목록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언어별 위키백과 목록 · 더보기 »

에스페란토 (동음이의)

에스페란토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에스페란토 (동음이의) · 더보기 »

에스페란토 동사

에스페란토의 문법에서, 동사(verbo)는 품사의.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에스페란토 동사 · 더보기 »

에스페란토 문자

에스페란토 문자()는 에스페란토의 표기에 쓰는 문자.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에스페란토 문자 · 더보기 »

에스페란토 문학

에스페란토 문학은 에스페란토로 쓰여진 문학 작품을 가리.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에스페란토 문학 · 더보기 »

에스페란토 문화

에스페란토 운동의 120여 년의 역사를 거치면서, 에스페란토로 씌여진, 또는 에스페란토를 사용한 수많은 문학·음악·기타 문화적 매체가 발달하였.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에스페란토 문화 · 더보기 »

에스페란토 공화국

에스페란토 공화국(Esperanta Respubliko)은 에스페란토를 주제로한 가공의 나라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에스페란토 공화국 · 더보기 »

에스페란토 기본 예문집

에스페란토 기본 예문집(Esperanto基本例文集, Fundamenta Krestomatio de la Lingvo Esperanto)은 1903년에 라자로 자멘호프가 편집한, 에스페란토로 쓰여지거나 번역된 짧은 문학 작품을 모은 예문집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에스페란토 기본 예문집 · 더보기 »

에스페란토 대회

에스페란토 대회는 에스페란토로 말하는 대회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에스페란토 대회 · 더보기 »

에스페란토 음악

에스페란토 음악(Esperanto音樂)은 에스페란토로 된 음악을 일컫.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에스페란토 음악 · 더보기 »

에스페란토 위키백과

에스페란토 위키백과()는 인공어 위키백과 중 가장.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에스페란토 위키백과 · 더보기 »

에스페란토 상징

에스페란토의 상징물은 언어기(旗), 언어가(歌), 언어색(色) 따위가 있. 언어가는 라 에스페로이며, 언어색은 녹색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에스페란토 상징 · 더보기 »

에스페란토 어원

에스페란토는 국제어로서 다양한 언어들에서 어휘를 빌어 쓴. 이들 대부분은 유럽의 언어(주로 라틴어, 프랑스어, 독일어, 영어)에서 왔지만, 최근에 생긴 어휘는 비유럽어권에서 온 경우도 있. 다국어주의에 의해 대부분의 어휘는 서로 유사한 다양한 언어의 공통적인 부분에서 가져왔.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에스페란토 어원 · 더보기 »

에스페란토 센 플렉시오

에스페란토 센 플렉시오(Esperanto sen Fleksio, 굴절 없는 에스페란토)는 리차드 케이 해리슨에 의해 만들어진 변형된 에스.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에스페란토 센 플렉시오 · 더보기 »

에스페란토 원어민

에스페란토 원어민(Esperanto原語民)은 에스페란토를 모어로 쓰는 사람을 말. 에스페란토는 본래 인공어지만 에스페란토 원어민의 등장으로 자연어화하였다 할 수 있. 전세계에 약 1000여 명의 에스페란토 원어민이 존재한다고 추측되며, 총 에스페란티스토 (약 10만여 명)의 약 1%를.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에스페란토 원어민 · 더보기 »

에스페란토를 유럽 연합의 공용어로, 지금!

에스페란토를 유럽 연합의 공용어로, 지금!()은 2013년 2월부터 일어나고 있는 에스페란토 운동으로 유럽 연합에서 유럽 나라들끼리 복잡하게 많은 언어로 말하지말고 공평하게 에스페란토로 소통하자는 목적을 담고 있.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에스페란토를 유럽 연합의 공용어로, 지금! · 더보기 »

에스페란토기

에스페란토기 에스페란토기()는 에스페란토 운동을 상징하는 기로 에스페란토 운동의 상징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에스페란토기 · 더보기 »

에스페란토의 역사

에스페란토는 1887년에 창제된 이래 120여 년의 역사를 겪었.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에스페란토의 역사 · 더보기 »

에스페란토화

에스페란토화(Esperantigo, "에스페란티고")는 각 언어마다 가지고 있는 고유말을 에스페란토식으로 맞추어 들여오거나 번역하는 것을 일컫.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에스페란토화 · 더보기 »

에스페란티도

에스페란티도(Esperantido)는 에스페란토가 발표된 이후 발표된 에스페란토에서 파생된 인공어를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에스페란티도 · 더보기 »

에스페란티스토

에스페란티스토(Esperantisto)는 에스페란토로 '에스페란토를 사용하는 사람'을 뜻.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에스페란티스토 · 더보기 »

헝가리 에스페란토 협회

헝가리 에스페란토 협회(Hungaria Esperanto-Asocio)는 헝가리의 에스페란토 협회.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헝가리 에스페란토 협회 · 더보기 »

헤르츠베르크 암 하르츠

헤르츠베르크 암 하르츠(Herzberg am Harz) 독일 니더작센 주 오스터로더 구역의 시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헤르츠베르크 암 하르츠 · 더보기 »

헥토어 호들러

헥토어 호들러(1887–1920)는 스위스의 에스페란티스토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헥토어 호들러 · 더보기 »

푼다멘토 데 에스페란토

Edustudio) 출판사 판의 푼다멘토의 표지. 푼다멘토 데 에스페란토(에스페란토의 기초)는 에스페란토를 공식적으로 정의하는 문서.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푼다멘토 데 에스페란토 · 더보기 »

표음문자

음문자(表音文字)는 사람의 말소리를 기호로 나타낸 문자로서 소리글자.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표음문자 · 더보기 »

씨벌교황

씨벌교황은 대한민국의 네티즌으로 딴지일보 독투 게시판과 디시인사이드 등지에서 활동하였던 악플러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씨벌교황 · 더보기 »

프란츠 요나스

요나스 빈 대학교의 본관 바로 옆에 있는 2층 트램 역, "Jonas-Reindl" 프란츠 요제프 요나스 (Franz Josef Jonas, 1899년 10월 4일 ~ 1974년 4월 24일)는 오스트리아의 정치인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프란츠 요나스 · 더보기 »

프라하 선언

선언(Manifesto de Prago)은 에스페란토 운동이 목표로 하는 다국어주의에 대한 7가지 원칙을 제시한 선언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프라하 선언 · 더보기 »

프로발 다슈굽토

발 다슈굽토(1953–)는 인도의 언어학자이자 에스페란티스.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프로발 다슈굽토 · 더보기 »

프로젝트 구텐베르크

젝트 구텐베르크(Project Gutenberg)는 인류의 자료를 모아서 전자정보로 저장하고 배포하는 프로젝트로, 1971년 미국인 마이클 하트(Michael Hart)가 시작.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프로젝트 구텐베르크 · 더보기 »

석주명

석주명(石宙明, 1908년 10월 17일 ~ 1950년 10월 6일)은 대한민국의 나비 연구가이자 생물학자, 곤충학자, 동물학자, 언어학자, 박물학자, 제주도연구가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석주명 · 더보기 »

세계 에스페란토 협회

세계 에스페란토 협회(世界Esperanto協會, 우니베르살라 에스페란토-아소치오, 약자 UEA)는 세계 최대의 에스페란토 관련 비정부 기구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세계 에스페란토 협회 · 더보기 »

세계무민족성협회

세계무민족성협회(世界無民族性協會,, 약자 SAT)는 좌파 성향의 국제 에스페란토 협회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세계무민족성협회 · 더보기 »

서커시치 아르파드

서커시치 아르파드 서커시치 아르파드(1888년 12월 6일 부다페스트 ~ 1965년 5월 3일 부다페스트)은 헝가리의 정치인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서커시치 아르파드 · 더보기 »

야마다 선

야마다 선()은 일본 이와테현 모리오카 시의 모리오카 역부터 미야코 시의 미야코 역을 경유해 가마이시 시에 있는 가마이시 역을 잇는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 노선(지방 교통선)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야마다 선 · 더보기 »

야쿠르트 (음료)

야쿠르트(Yakult)는 일본에서 발명한 유산균 발효유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야쿠르트 (음료) · 더보기 »

한무협

무협(韓武協, Alfonso Han, 1923년 8월 22일 ~ 2017년 8월 22일)은 대한민국 육군 소장 출신으로, 국방부 정보국장, 중앙정보부 대공수사국장, 현대해상 회장, 자민련 고문 등을 지낸 대한민국의 군인이자 경제인·정부관료·교육인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한무협 · 더보기 »

한국에스페란토협회

국에스페란토협회는 국제어 에스페란토를 연구, 보급시킴으로써 국제문화 교류를 도모하고 국제친선과 세계평화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1987년 5월 14일 설립된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소관의 사단법인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한국에스페란토협회 · 더보기 »

한국외국어대학교

벌 캠퍼스 전경 한국외국어대학교(韓國外國語大學校,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이문동과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에 있는 외국어 특성화 사립대학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한국외국어대학교 · 더보기 »

안고로이

안고로이()는 프랑스의 자크루이 마에() 감독이 제작한 1964년 제작 영화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안고로이 · 더보기 »

안우생

안우생(安偶生, 필명, 1907–1991)은 한국의 독립 운동가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안우생 · 더보기 »

안토니 그라보프스키

안토니 그라보프스키(Antoni Grabowski, 1857–1921)는 폴란드의 화학자이자 에스페란토 번역가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안토니 그라보프스키 · 더보기 »

하나마키 시

마키 시()는 일본 이와테현의 중서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하나마키 시 · 더보기 »

아르카이캄 에스페란톰

아르카이캄 에스페란톰(Arcaicam Esperantom ← Arĥaika Esperanto, 또는 고(古) 에스페란토)은 마누얼 할벨릭(Manuel Halvelik; 본명:카미얼 판휠러 Kamiel Vanhulle)이 만든 인공어로 마치 에스페란토의 고어처럼 보이도록 만든 에스페란토 파생 언어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아르카이캄 에스페란톰 · 더보기 »

아이두

아이두(idoo)는 1999년 12월 설립된 청소년들이 직접 운영하는 커뮤니티 포털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아이두 · 더보기 »

시라카와 히데키

시라카와 히데키(1936년 8월 20일 ~)는 일본의 화학자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시라카와 히데키 · 더보기 »

후타바테이 시메이

후타바테이 시메이 후타바테이 시메이(1864년 4월 4일 ~ 1909년 5월 10일)는, 일본의 소설가, 번역가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후타바테이 시메이 · 더보기 »

홍형의

홍형의(洪亨義, 1910년 ~ 1968년)는 일제강점기의 조선인 아나키즘 운동가, 에스페란토어 운동가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홍형의 · 더보기 »

외젠 랑티

외젠 랑티()는 프랑스의 에스페란티스토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외젠 랑티 · 더보기 »

Lernu!

lernu!는 가입과 활동이 무료이며 접속이 자유로운 다언어 지원 홈페이지로서, 에스페란토(Esperanto)의 학습과 보급에 이바지하기 위해 기획되었.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Lernu! · 더보기 »

OK Computer

《OK Computer》는 영국 밴드 라디오헤드가 1997년 발표한 세 번째 스튜디오 앨범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OK Computer · 더보기 »

RI

RI, Ri, ri는 다음 뜻을 가지고 있.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RI · 더보기 »

12월 15일

12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49번째(윤년일 경우 35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12월 15일 · 더보기 »

1887년

1887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에스페란토와 1887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Esperanto, 에스페란토어.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